1. Early Life and Judo Career
파베우 나스툴라는 어린 시절부터 유도 훈련을 시작하여 세계적인 선수로 성장했으며, 1990년대 중반 유도계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1.1. Early Life and Training
파베우 나스툴라는 1970년 6월 26일 폴란드의 수도 바르샤바에서 태어났다. 그는 10세의 나이에 AZS AWF에서 유도 훈련을 시작했다. 나스툴라는 한판업어치기나 모로떨어뜨리기와 같은 서서 던지는 기술뿐만 아니라 뛰어난 누르기와 꺾기 기술을 바탕으로 한 굳히기 능력으로 유럽 최고 수준의 기량을 선보였다.
q=Warsaw, Poland|position=right
1.2. International Judo Achievements

나스툴라는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남자 95kg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올림픽 챔피언에 올랐다. 그는 또한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 두 차례 우승을 차지했는데, 1995년 지바 대회와 1997년 파리 대회에서 모두 95kg급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에 앞서 1991년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하기도 했다.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도 1994년 그단스크, 1995년 버밍엄, 1996년 헤이그에서 모두 95kg급 금메달을 획득하며 3년 연속 유럽 챔피언 자리를 지켰다. 1999년 브라티슬라바 대회에서는 100kg급으로 체급을 올린 후 은메달을 추가했다. 그는 1989년과 1990년 유럽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 86kg급 동메달을 획득하며 일찍부터 재능을 보였다.
특히 1994년 2월부터 1998년 3월까지 약 1,220일 동안 유도 경기에서 312연승이라는 압도적인 기록을 세우며 모든 출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는 기념비적인 업적을 달성했다. 그의 연승 행진은 체급이 95kg에서 100kg으로 변경된 이후 깨졌다. 나스툴라는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 연속으로 출전했다.
1.3. Retirement from Judo
파베우 나스툴라는 유도 선수로서의 화려한 경력을 뒤로하고 2004년에 공식적으로 유도계에서 은퇴했다.
2. Mixed Martial Arts Career
유도계에서 은퇴한 나스툴라는 종합격투기로 전향하여 새로운 도전을 시작했다.
2.1. Transition to MMA
나스툴라는 2002년 요시다 히데히코와 호이스 그레이시의 첫 대결을 지켜본 후 종합격투기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일본의 대형 종합격투기 단체인 PRIDE FC와 계약을 맺고 종합격투기 선수로서의 새로운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다카다 도장에 합류하여 사쿠라바 카즈시 등 뛰어난 파이터들과 함께 훈련하며 종합격투기 기술을 익혔다. 유도에서의 그의 뛰어난 기록 때문에 그는 주짓수의 전설적인 인물인 힉슨 그레이시와 비교되기도 했다.
2.2. PRIDE Fighting Championships

나스툴라는 2005년 6월 26일 PRIDE GP 2005 2nd ROUND에서 PRIDE 헤비급의 최강자이자 베테랑인 안토니오 호드리고 노게이라를 상대로 PRIDE 무대에 데뷔하며 혹독한 신고식을 치렀다. 건강상의 문제와 종합격투기 경험 부족에도 불구하고, 나스툴라는 도복을 착용하고 PRIDE 무사도 규칙으로 더 짧은 경기를 제안하려 했으나 노게이라가 이를 거절하면서 일반 규칙으로 경기에 임했다. 경기 초반 그라운드 공방에서 대등한 모습을 보였지만, 타격에서 노게이라의 우위가 드러나며 결국 심판에 의한 TKO 패배를 당했다.
그의 두 번째 상대는 더욱 강적이었다. 삼보의 달인이자 전설적인 표도르 예멜리야넨코의 동생인 알렉산더 예멜리야넨코와의 대결은 2005년 12월 31일 PRIDE 남제 2005에서 펼쳐졌다. 나스툴라는 경기 초반 스탠딩과 그라운드 모두에서 상대를 압도하며 암바를 시도하고 백 포지션을 잡는 등 좋은 기량을 선보였으나, 다시 한번 체력 문제가 발목을 잡았다. 체력이 소진된 나스툴라를 알렉산더가 역전시키며 마운트 포지션에서 리어 네이키드 초크로 서브미션 승리를 거두었다.
2006년 7월 1일, PRIDE 무제한급 그랑프리 2006 2nd ROUND에서 세 번째 경기를 치른 나스툴라는 당시 무패를 기록 중이던 에드슨 드라고를 상대로 PRIDE 첫 승을 거두었다. 그는 바닥에서 인버티드 암바를 시도하며 상대를 위협했고, 이후 마운트 포지션에서 펀치를 쏟아내며 드라고의 눈가에 출혈을 일으켰다. 결국 나스툴라는 다시 바닥에서 암바를 걸어 드라고의 탭아웃을 받아냈다.
나스툴라의 PRIDE 마지막 경기는 2006년 10월 21일 PRIDE 32에서 캐치 레슬링 전문가인 조쉬 바넷과의 대결이었다. 나스툴라는 이 경기에서도 뛰어난 경기력을 선보이며 바넷을 여러 차례 테이크다운시키고 효과적인 왼손 훅을 적중시켰으나, 경기 후반 바넷에게 역전당하여 토 홀드 서브미션으로 패배했다. 경기 후 네바다주 체육위원회가 주관한 약물 검사에서 양성 반응이 나왔다고 발표되며 논란이 일었다. 나스툴라는 금지 약물인 난드롤론과 페닐프로판올아민, 슈도에페드린, 에페드린 등의 각성제에 대해 양성 반응을 보였다. 나스툴라는 검사 결과의 진실성을 부인하며, 각성제는 일반 의약품 보충제를 통해 체내에 흡수되었고, 근육 형성 물질인 난드롤론은 PRIDE 합류 이후 근육량이 증가하지 않았기 때문에 자신에게 유용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변호사를 선임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 약물 검사 양성 판정으로 인해 9개월간의 출전 정지와 6500 USD의 벌금 징계를 받았다.
2.3. World Victory Road and Other Promotions
PRIDE가 해체된 후 나스툴라는 월드 빅토리 로드와 계약을 맺고 2008년 8월 24일 센고쿠 4 대회에 출전하여 양동이와 대결했으나 논란의 여지가 있는 TKO 패배를 당했다. 나스툴라가 암바 시도에서 간신히 벗어난 후, 경기 초반 여러 차례 낭심 가격을 당했던 나스툴라는 심판의 스탠드업 지시에 응하지 못했다. 나스툴라는 당시 파울컵에 문제가 있음을 알렸으나, 심판은 이를 확인하지 않고 갑자기 경기를 중단시키고 양동이의 TKO 승리를 선언했다.
2008년 폴란드의 신생 프로모션인 MCC(Martial Combat Club)와 계약하며 코지 가네치카와의 경기가 예정되었으나, 프로모션이 해체되면서 경기가 취소되었다.
2.4. Later MMA Career
MCC 이벤트가 취소된 이후에도 파베우 나스툴라는 KSW를 포함한 폴란드 내 여러 프로모션과 복귀를 논의하며 꾸준히 활동했다. 마리우시 푸지아노프스키와의 대결이 KSW 13에서 KSW 14로 변경되며 여러 차례 보도되었으나, 푸지아노프스키가 팀 실비아에게 패배한 후 해당 대결에서 철회하면서 성사되지 못했다.
비록 2008년 센고쿠에서의 패배 이후 경기를 치르지 못했지만, 파베우는 바르샤바에서 자신의 클럽인 '나스툴라 클럽'을 운영하며 로베르트 요츠, 얀 블라호비치, 크시슈토프 쿠와크와 같은 선수들과 함께 훈련하며 활동적인 모습을 보였다. 2010년에는 그해 경기를 치르지 못한다면 은퇴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2010년 7월, 나스툴라는 또 다른 폴란드 신생 프로모션인 파이터스 아레나와 계약했다. 그는 2010년 9월 3일 폴란드 우치의 아틀라스 아레나에서 열린 이 단체의 첫 쇼에 메인 이벤트로 출전하여 요시다 히데히코의 훈련 파트너인 마스다 유스케와 맞붙으며 고대했던 복귀전(폴란드에서의 첫 경기)을 치렀다. 나스툴라는 여전히 건재함을 증명하며 상대방을 빠르게 쓰러뜨린 후 그라운드 앤 파운드를 퍼부어 1라운드 26초 만에 심판에 의한 TKO 승리를 거두었다.
q=Łódź, Poland|position=left
2013년 9월 28일 KSW 24에서 나스툴라는 초대 KSW 헤비급 챔피언 자리를 놓고 카롤 베도르프와 대결했으나, 2라운드에 체력 고갈로 인한 TKO 패배를 당했다. 2014년 12월 6일 크라쿠프에서 열린 KSW 29에서는 마리우시 푸지아노프스키에게 3라운드 심판 전원 일치 판정패를 당했으며, 이 경기는 '오늘의 경기'로 선정되었다.
3. Personal Life and Public Image
파베우 나스툴라는 개인적인 삶에서도 충실한 모습을 보이며 다양한 대외 활동을 통해 대중과 소통하고 있다.
3.1. Family and Honors
파베우 나스툴라는 결혼하여 두 딸을 두고 있다. 그는 스포츠 분야에서의 뛰어난 업적을 인정받아 1996년 폴란드 재건국 훈장의 기사십자 훈장(5등급)을 수훈했다.
3.2. Media Appearances and Business Activities

나스툴라는 2000년에 자신의 저서인 『나의 유도(My Judo마이 유도영어)』를 출간하여 자신이 선호하는 기술과 그 조합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다. 그는 2009년 폴란드 버전의 댄싱 위드 더 스타에 출연하여 전체 6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또한 그는 바르샤바에서 자신의 이름을 딴 '나스툴라 클럽' 또는 '나스툴라 유도 피트니스 클럽'을 운영하며 일반인, 여성, 어린이를 대상으로 유도 강습을 직접 진행하는 등 성공적인 사업가이자 유도 지도자로서 활동하고 있다. 그는 모국 폴란드에서 국민적 영웅으로 불리며, 끊임없는 방송 출연 요청과 대중의 사인 요청에 시달릴 정도로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
4. Achievements and Awards
나스툴라는 유도 선수 시절과 종합격투기 선수 시절 모두 뛰어난 성과를 거두며 수많은 타이틀과 상을 획득했다.
- 올림픽
- 1996년 애틀랜타: 금메달 (95kg급)
-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 1991년 바르셀로나: 은메달 (95kg급)
- 1995년 지바: 금메달 (95kg급)
- 1997년 파리: 금메달 (95kg급)
- 유럽 유도 선수권 대회
- 1994년 그단스크: 금메달 (95kg급)
- 1995년 버밍엄: 금메달 (95kg급)
- 1996년 헤이그: 금메달 (95kg급)
- 1999년 브라티슬라바: 은메달 (100kg급)
- 유럽 주니어 유도 선수권 대회
- 1989년 아테네: 동메달 (86kg급)
- 1990년 앙카라: 동메달 (86kg급)
- 기타 주요 유도 대회
- 1992년 폴란드 국제 대회: 우승 (95kg급)
- 1992년 가노컵: 우승 (95kg급)
- 1994년 폴란드 국제 대회: 우승 (95kg급)
- 1995년 프랑스 국제 대회: 우승 (95kg급)
- 1995년 폴란드 국제 대회: 우승 (95kg급)
- 1996년 프랑스 국제 대회: 우승 (95kg급)
- 1996년 폴란드 국제 대회: 우승 (95kg급)
- 2000년 네덜란드 국제 대회: 우승 (100kg급)
- 2001년 폴란드 국제 대회: 우승 (100kg급)
- 2002년 체코 국제 대회: 우승 (100kg급)
- 종합격투기
- Streetfighters Team Cup
- Streetfighters Team Cup 헤비급 챔피언 (1회)
- Konfrontacja Sztuk Walki
- 오늘의 경기 (1회)
- Streetfighters Team Cup
5. Legacy and Reception
파베우 나스툴라는 폴란드 스포츠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유도와 종합격투기 양 분야에서 그의 유산은 현재까지도 높이 평가되고 있다. 그는 유도 선수로서 세운 압도적인 312연승 기록과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라는 지위로 폴란드 국민들에게 영웅으로 추앙받으며, 자국의 스포츠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했다. 그의 이름은 '유럽의 황금 유도왕' 또는 '유럽의 유도 전설'이라는 별명과 함께 폴란드에서 국민적 영웅으로 자리매김했다.
유도에서 종합격투기로의 전향은 그에게 새로운 도전이었고, 최정상급 파이터들과의 대결에서 비록 패배도 있었지만, 뛰어난 유도 기술을 바탕으로 한 그의 투지는 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특히 약물 검사 양성 반응 논란은 그의 경력에 오점을 남기기도 했으나, 그는 자신의 주장을 굽히지 않고 법적 대응을 통해 진실을 밝히고자 노력했다. 은퇴 후에도 유도 클럽을 운영하며 후배 양성과 대중에게 유도를 보급하는 데 기여하는 등, 스포츠에 대한 그의 지속적인 열정은 많은 이들에게 귀감이 되고 있다.
6. Professional Records
파베우 나스툴라의 종합격투기 경기 기록은 다음과 같다.
결과 | 전적 | 상대 | 승패 방식 | 대회 | 날짜 | 라운드 | 시간 | 장소 | 비고 |
---|---|---|---|---|---|---|---|---|---|
패 | 5-6 | 마리우시 푸지아노프스키 | 판정 (전원일치) | KSW 29 | 2014년 12월 6일 | 3 | 3:00 | 크라쿠프, 폴란드 | 오늘의 경기. |
패 | 5-5 | 카롤 베도르프 | TKO (체력 고갈) | KSW 24 | 2013년 9월 28일 | 2 | 2:25 | 우치, 폴란드 | 초대 KSW 헤비급 챔피언십 결정전. |
승 | 5-4 | 케빈 애스플런드 | 서브미션 (아메리카나) | KSW 22 | 2013년 3월 16일 | 1 | 2:33 | 바르샤바, 폴란드 | |
승 | 4-4 | 지미 앰브리즈 | 서브미션 (팔 부상) | STC: Bydgoszcz vs. Torun | 2011년 10월 1일 | 1 | 1:50 | 비드고슈치, 폴란드 | Streetfighters Team Cup 헤비급 챔피언십 획득. |
승 | 3-4 | 안제이 브론스키 | TKO (펀치) | Wieczór Mistrzów | 2011년 8월 20일 | 1 | 1:09 | 코샬린, 폴란드 | |
승 | 2-4 | 마스다 유스케 | TKO (펀치) | FAL: Fighters Arena Lódz | 2010년 9월 3일 | 1 | 0:26 | 우치, 폴란드 | |
패 | 1-4 | 양동이 | TKO (체력 고갈) | 월드 빅토리 로드 프레젠트: 센고쿠 4 | 2008년 8월 24일 | 2 | 2:15 | 사이타마시, 일본 | |
패 | 1-3 | 조쉬 바넷 | 서브미션 (토 홀드) | PRIDE 32 - 더 리얼 딜 | 2006년 10월 21일 | 2 | 3:04 | 라스베이거스, 미국 | 나스툴라 약물 검사 양성 판정. |
승 | 1-2 | 에드슨 클라스 비에이라 | 서브미션 (암바) | PRIDE FC - 크리티컬 카운트다운 앱솔루트 | 2006년 7월 1일 | 1 | 4:33 | 사이타마시, 일본 | |
패 | 0-2 | 알렉산더 예멜리야넨코 | 서브미션 (리어 네이키드 초크) | PRIDE 남제 2005 | 2005년 12월 31일 | 1 | 8:45 | 사이타마시, 일본 | |
패 | 0-1 | 안토니오 호드리고 노게이라 | TKO (펀치) | PRIDE GP 2005 2nd ROUND | 2005년 6월 26일 | 1 | 8:38 | 사이타마시, 일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