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어린 시절 및 유소년 경력
카카우는 브라질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부터 축구 선수로서의 꿈을 키웠다. 그는 브라질 유소년 아카데미를 거쳐 독일로 건너와 초기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
1.1. 출생 및 초기 성장
카카우는 1981년 3월 27일 브라질 상파울루주 산투안드레에서 태어났다. 그의 형제인 블라데미르 제로니무 바헤투 또한 축구 선수이며 파라나 클루비 등에서 프로 선수로 활동했다. 카카우는 어린 시절을 브라질 모지다스크루제스에서 보냈으며, 독실한 기독교인으로 그의 신앙은 삶의 중요한 부분이라고 언급했다.
1.2. 유소년 아카데미 및 초기 독일 클럽
카카우는 1994년부터 1997년까지 SE 파우메이라스 유소년 아카데미에 소속되어 축구 경력을 시작했으며, 이후 나시오나우 아틀레치쿠 클루비 (상파울루주) 유소년팀에서도 활동했다. 나시오나우 아틀레치쿠를 떠난 뒤 잠시 선수 경력을 중단하기도 했으나, 2000년 독일로 이주한 후 5부 리그 소속의 SV 튀르크귀쥐 뮌헨에 입단하며 축구 선수 생활을 재개했다. 튀르크귀쥐 뮌헨에서 2000-01 시즌 동안 31경기에 출전하여 7골을 기록한 후, 2001년 1. FC 뉘른베르크의 리저브 팀으로 이적하며 더 높은 단계로 나아갔다.
2. 클럽 경력
카카우는 독일 분데스리가의 주요 클럽에서 오랜 기간 활약하며 성공적인 클럽 경력을 보냈다.
2.1. 1. FC 뉘른베르크
리저브 팀에서의 좋은 활약에 힘입어 카카우는 2001년 11월 18일 한자 로스토크와의 경기에서 1. FC 뉘른베르크 소속으로 분데스리가에 데뷔했다. 불과 두 번째 분데스리가 경기인 2001년 12월 8일 바이어 04 레버쿠젠과의 경기에서 두 골을 넣으며 팀의 4대2 패배에도 불구하고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그는 데뷔 시즌인 2001-02 시즌에 17경기에 출전하여 6골을 기록하며 성공적인 출발을 보였다. 그러나 다음 시즌인 2002-03 시즌에는 27경기에 출전하여 단 2골에 그치며 이전 시즌의 성공을 재현하지 못했고, 뉘른베르크는 시즌 종료 후 강등되었다. 2003년 1월, 카카우는 이미 VfB 슈투트가르트와 계약을 체결했으며, 같은 해 여름 2003-04 시즌부터 슈투트가르트에 합류하게 되었다.
2.2. VfB 슈투트가르트

카카우는 2003-04 시즌을 앞두고 VfB 슈투트가르트에 입단했다. 슈투트가르트에서의 첫 시즌에 그는 UEFA 챔피언스리그 4경기에 출전하며 유럽 무대 경험을 쌓았다. 2004-05 시즌에는 분데스리가에서 12골을 기록하며 팀 내 두 번째로 높은 득점자가 되었다. 같은 시즌 UEFA컵에서는 팀의 첫 세 경기에서 연속으로 두 골씩을 기록하며 성공적인 활약을 펼쳤고, 총 8경기에 출전하여 7골을 기록했다.
2005-06 시즌은 분데스리가에서 4골에 그치며 아쉬운 시즌을 보냈지만, 2006-07 시즌에는 슈투트가르트가 리그 우승을 차지하는 데 핵심적인 선수 중 한 명으로 활약했다. 그는 다시 한번 팀 내 두 번째로 많은 13골을 기록했으며, 특히 FC 바이에른 뮌헨과의 2대0 승리 경기에서 두 골을 모두 넣고, 시즌 마지막 다섯 경기에서 VfL 보훔과의 원정 경기에서 3대2 승리를 이끄는 결승골을 넣는 등 중요한 득점을 책임졌다. 2006-07 시즌 동안 그는 DFB-포칼 결승에 진출하는 데도 기여하여 6경기에서 5골을 기록했다. 결승전에서는 친정팀 1. FC 뉘른베르크를 상대로 선제골을 터뜨렸으나, 득점 11분 후 퇴장당했고 슈투트가르트는 연장전 끝에 2대3으로 패배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이는 슈투트가르트가 그 시즌 뉘른베르크에 당한 세 번째 패배였다.
2007-08 시즌에는 UEFA 챔피언스리그에서 5경기에 추가로 출전하여 레인저스 FC와의 경기에서 동점골을 기록하며 대회 첫 득점을 올렸다. 그는 또한 27경기에 출전하여 9골을 기록하며 팀이 분데스리가 6위로 시즌을 마치는 데 기여했다. 2008-09 시즌에는 25경기에서 7골을 기록하며 팀이 리그 3위를 차지하는 데 일조했다. 특히 마리오 고메스와 공격 파트너로 활약하며 마르쿠스 바벨 감독 부임 이후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2010년 2월 20일, 카카우는 1. FC 쾰른과의 원정 경기에서 5대1 승리에 기여하는 4골을 폭발시켰다. 이 경기를 포함하여 시즌 후반 12경기에서 11골을 기록하며 팀의 순위를 7위까지 끌어올려 UEFA 유로파리그 진출권을 확보했다. 4월 30일 TSG 1899 호펜하임과의 경기에서 시즌 마지막 골을 기록하여 총 8골로 시즌을 마감했다. 이 활약에 힘입어 2010년 5월 1일, 카카우는 VfB 슈투트가르트와의 계약을 2013년 여름까지 연장했다.
2011-12 시즌 초반, 카카우는 좋은 컨디션을 유지하며 2011년 8월 6일 FC 샬케 04와의 경기에서 헤딩골을 기록하며 3대0 승리에 기여했다. 2013년 3월 22일, 그는 슈투트가르트와의 계약 옵션을 행사하여 계약을 2014년 6월까지 연장했다. 그러나 2014년 5월 3일, 계약 만료로 2013-14 시즌을 끝으로 슈투트가르트를 떠날 것이 발표되었다.
2.3. 세레소 오사카
2014년 8월 11일, 카카우는 일본 J1리그 클럽인 세레소 오사카로 이적했다. 그는 득점력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던 팀에 구세주가 될 것이라는 기대를 받으며 2015년 6월까지의 계약을 맺었다. 일본 언론에 따르면 그의 연봉은 약 3.40 억 JPY에 달했다. 9월 23일 나고야 그램퍼스와의 경기에서 J리그 첫 골을 기록하는 등, 개인적으로는 12경기에 출전하여 5골을 기록하며 준수한 성적을 냈으나, 팀은 결국 J2리그로 강등되었다. 2015년 6월 9일, 그는 6월 말까지였던 세레소 오사카와의 계약을 앞당겨 해지하고 팀을 떠났다. 이후 독일 키커지와의 인터뷰에서 J리그의 수준이 분데스리가보다 2~3단계 낮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2.4. 말년 경력 및 은퇴
세레소 오사카를 떠난 후 한동안 소속팀이 없었던 카카우는 2016년 2월 VfB 슈투트가르트 II로 복귀했다. 그는 강등 위기에 처한 친정팀의 세컨드 팀을 돕기 위해 3. 리가에 소속된 슈투트가르트 II에서 뛰었다. 이후 2016년 10월 11일, 그는 프로 축구 선수로서의 은퇴를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은퇴 발표 당시 그는 "흥미로운 제안이 없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3. 국가대표 경력
카카우는 브라질 태생임에도 불구하고 브라질 국가대표팀에 한 번도 소집되지 않았다. 대신 독일로 귀화하여 독일 국가대표로 활약했다.
3.1. 귀화 및 국가대표 데뷔
카카우는 1999년부터 독일에서 거주하며 8년 이상을 보낸 후, 2009년 2월 독일 시민권을 획득하여 독일 국가대표팀에서 뛸 수 있는 자격을 얻었다. 그는 브라질과 독일의 이중국적을 유지했다.
2009년 5월 19일, 당시 독일 국가대표팀 감독이었던 요아힘 뢰프에 의해 중국 및 아랍에미리트와의 친선 경기를 위한 독일 대표팀에 처음으로 소집되었다. 2009년 5월 29일, 중국과의 1대1 무승부 경기에서 마리오 고메스와 교체되어 27분간 출전하며 독일 국가대표팀 데뷔전을 치렀다. 나흘 뒤 아랍에미리트와의 7대2 승리 경기에서는 루카스 포돌스키와 교체되어 후반전 전체를 소화했으며, 후반전 시작 1분여 만에 마리오 고메스의 세 번째이자 독일의 다섯 번째 골을 어시스트했다. 2010년 5월 13일 몰타와의 친선 경기에서 2골을 넣으며 국가대표팀 데뷔골을 기록했고, 경기는 3대0으로 승리했다.
3.2. 2010년 FIFA 월드컵

클럽에서의 활약에 힘입어 카카우는 2010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하는 독일 국가대표팀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조별리그 첫 경기인 2010년 6월 13일 오스트레일리아전(4대0 승)에 교체 투입되어 홀거 바트슈투버의 도움을 받아 투입 직후 1분 52초 만에 쐐기골인 네 번째 골을 성공시켰다. 이 경기 막판에는 다이빙으로 판단되어 옐로카드를 받기도 했다. 미로슬라프 클로제가 세르비아전에서 퇴장당하자, 카카우는 가나전에 출전했으나 득점하지는 못했다. 7월 10일 우루과이와의 3위 결정전에서는 선발 출전하여 73분까지 뛰었으며, 독일은 3대2로 승리하며 월드컵 3위를 차지했다.
3.3. 이후 국가대표 활동 및 UEFA 유로 2012 예선
월드컵 이후에도 카카우는 UEFA 유로 2012 예선에서 독일 대표팀의 주전 선수로 활약했다. 그는 벨기에와의 예선 첫 경기를 포함하여 카자흐스탄과의 4차전까지 4경기 연속 교체 출전했다. 하지만 예선 중반에는 클럽에서의 부진으로 소집 명단에서 제외되기도 했다. 2011년 8월에는 그의 모국인 브라질과의 친선 경기에 다시 소집되었다. 이미 본선 진출을 확정한 상태에서 치러진 예선 최종전 벨기에전(3대1 승)에서 다시 교체 출전했으나, 예선 5경기 모두 교체 출전하여 득점은 기록하지 못했다.
2012년 2월 29일 프랑스와의 친선 경기(1대2 패)에서 팀의 유일한 득점을 올렸다. 이후 UEFA 유로 2012 본선을 앞두고 발표된 독일 대표팀의 27인 예비 명단에 포함되었으나, 5월 28일 발표된 최종 23인 명단에서는 제외되었다. 그는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총 23번의 A매치에 출전하여 6골을 기록했다.
4. 개인사
카카우는 그의 개인적인 삶과 대외 활동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4.1. 가족 및 신념
카카우의 형제 블라데미르 제로니무 바헤투는 파라나 클루비 등에서 활약한 축구 선수이다. 카카우는 독실한 기독교인이며, 그의 신앙이 삶의 큰 부분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4.2. 별명 및 대외 활동
2009년 초 독일 시민권을 취득한 이래로, 카카우는 VfB 슈투트가르트와 독일 국가대표팀에서 '헬무트'(Helmut)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이 별명은 당시 슈투트가르트 팀 동료였던 스위스 선수 뤼도빅 마냐앵이 독일인이 된 카카우에게 "제대로 된 독일 이름"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붙여준 것이다.
2021년, 그는 독일 프로 축구계에서 흑인 선수들이 겪는 경험을 다룬 다큐멘터리 '검은 독수리'에 출연했다. 이 다큐멘터리를 통해 카카우는 독일 축구 내의 인종 문제에 대한 논의에 참여하며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기여했다.
5. 은퇴 후 활동
프로 축구 선수 은퇴 후 카카우는 VfB 슈투트가르트의 홍보대사로 활동하며 축구계와의 인연을 이어가고 있다.
6. 수상 및 영예
카카우는 선수 경력 동안 클럽과 국가대표팀에서 다음과 같은 주요 우승 및 준우승 기록을 달성했다.
VfB 슈투트가르트
- 분데스리가: 2006-07 우승
- DFB-포칼 준우승: 2006-07, 2012-13
독일
- FIFA 월드컵 3위: 2010
개인
- DFB-포칼 득점왕: 2006-07
7. 경력 통계
7.1. 클럽
클럽 | 시즌 | 리그 | 국내 컵 | 리그 컵 | 대륙 대회 | 합계 | ||||||
---|---|---|---|---|---|---|---|---|---|---|---|---|
디비전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
SV 튀르크귀쥐 뮌헨 | 2000-01 | 란데스리가 (5부) | 31 | 7 | - | - | - | 31 | 7 | |||
1. FC 뉘른베르크 | 2001-02 | 분데스리가 | 17 | 6 | 0 | 0 | - | - | 17 | 6 | ||
2002-03 | 27 | 2 | 2 | 0 | - | - | 29 | 2 | ||||
합계 | 44 | 8 | 2 | 0 | 0 | 0 | 0 | 0 | 46 | 8 | ||
VfB 슈투트가르트 | 2003-04 | 분데스리가 | 16 | 4 | 3 | 1 | 1 | 0 | 4 | 0 | 24 | 5 |
2004-05 | 32 | 12 | 3 | 2 | 2 | 2 | 8 | 7 | 45 | 23 | ||
2005-06 | 20 | 4 | 1 | 1 | 3 | 0 | 5 | 0 | 29 | 5 | ||
2006-07 | 32 | 13 | 6 | 5 | - | - | 38 | 18 | ||||
2007-08 | 27 | 9 | 1 | 0 | 1 | 0 | 5 | 1 | 34 | 10 | ||
2008-09 | 25 | 7 | 1 | 1 | - | 6 | 0 | 32 | 8 | |||
2009-10 | 25 | 13 | 2 | 2 | - | 6 | 1 | 33 | 16 | |||
2010-11 | 27 | 8 | 2 | 2 | - | 7 | 1 | 36 | 11 | |||
2011-12 | 33 | 8 | 4 | 3 | - | - | 37 | 11 | ||||
2012-13 | 5 | 1 | 2 | 0 | - | 4 | 0 | 11 | 1 | |||
2013-14 | 21 | 1 | 2 | 0 | - | 4 | 0 | 27 | 1 | |||
합계 | 263 | 80 | 27 | 17 | 7 | 2 | 49 | 10 | 346 | 109 | ||
세레소 오사카 | 2014 | J1리그 | 12 | 5 | 2 | 0 | 1 | 0 | - | 15 | 5 | |
2015 | J2리그 | 12 | 2 | - | - | - | 12 | 2 | ||||
VfB 슈투트가르트 II | 2015-16 | 3. 리가 | 8 | 3 | - | - | - | 8 | 3 | |||
총합계 | 370 | 105 | 31 | 17 | 8 | 2 | 49 | 10 | 458 | 134 |
7.2. 국가대표 득점
득점은 독일의 득점을 먼저 표시하며, 점수 열은 각 카카우 득점 후의 점수를 나타낸다.
# | 날짜 | 장소 | 상대 | 점수 | 결과 | 대회 |
---|---|---|---|---|---|---|
1 | 2010년 5월 13일 | 노이 티볼리, 아헨, 독일 | 몰타 | 1-0 | 3-0 | 친선 경기 |
2 | 2-0 | |||||
3 | 2010년 5월 29일 | 푸슈카시 페렌츠 슈타디온, 부다페스트, 헝가리 | 헝가리 | 3-0 | 3-0 | 친선 경기 |
4 | 2010년 6월 13일 | 모지스 마비다 스타디움, 더반, 남아프리카 공화국 | 오스트레일리아 | 4-0 | 4-0 | FIFA 월드컵 2010 |
5 | 2011년 9월 6일 | PGE 아레나, 그단스크, 폴란드 | 폴란드 | 2-2 | 2-2 | 친선 경기 |
6 | 2012년 2월 29일 | 베저슈타디온, 브레멘, 독일 | 프랑스 | 1-2 | 1-2 | 친선 경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