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1.1. 어린 시절 및 가족
카미키 류노스케는 1993년 5월 19일 일본 사이타마현 후지미시에서 태어났다. 그는 유아기 때 몸이 매우 허약하여 몇 달간 중환자실에서 지냈으며, 한때 생존율이 1%에 불과하다는 진단을 받기도 했다. 생후 7개월이 되어서야 병원에서 퇴원할 수 있었고, 의사들은 그가 살아남더라도 장애를 안고 살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에 그의 어머니는 아들의 존재를 구체적인 증거로 남기기 위해 그를 아역 배우로 만들겠다는 아이디어를 냈다.
그의 가족은 조부모, 아버지, 어머니, 그리고 11살 많은 누나와 두 명의 조카로 구성되어 있다. 2020년에는 할머니가 세상을 떠났다.
1.2. 건강 문제
카미키 류노스케는 출생 초기에 심각한 질병을 겪었으며, 생존율이 단 1%에 불과할 정도로 위독한 상태였다. 그는 생후 7개월이 되어서야 병원에서 퇴원할 수 있었고, 당시 의사들은 그가 살아남더라도 장애를 안고 살아갈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러한 유아기 시절의 건강 문제는 그의 어머니가 그를 아역 배우로 데뷔시키기로 결심한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카미키 본인 또한 "지금 이렇게 여기에 서있다고 생각하면 기적이구나라고 생각한다"고 언급하며 당시의 경험이 자신의 삶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했다.
1.3. 학업
카미키 류노스케는 배우 활동과 학업을 병행했다. 그는 호리코시 고등학교에 진학했는데, 이 학교는 일본에서 연예인 지망생이나 현직 연예인들이 많이 다니는 것으로 유명하다. 2011년, 그는 야마다 료스케, 시다 미라이 (《탐정학원 Q》에서 함께 출연), 치넨 유리, 나카지마 유토, 사카모토 쇼고 등 여러 유명 연예인들과 함께 호리코시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중학교 시절에는 히노데 중학교(현 메구로 니혼대학 중학교)의 탁구부에 소속되어 활동했으며, 고등학교 시절에는 켄온부에 소속되어 있었다.
2. 경력
2.1. 데뷔 및 아역 활동
카미키 류노스케는 센트럴 그룹이라는 연예 기획사에 들어가면서 아역 배우로서 연기를 시작했다. 그의 첫 광고 출연은 불과 두 살 때인 1995년 토이 박스 광고였다. TV 드라마 데뷔는 1996년 TBS 드라마 《도쿄 졸업》에서 고쿠분 타이치가 연기한 마사키 타츠로의 어린 시절 역으로 이루어졌다. 이전에 1999년 방영된 TV 드라마 《굿 뉴스》가 그의 드라마 데뷔작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본인의 발언으로 《도쿄 졸업》이 실제 데뷔작임이 밝혀졌다. 《도쿄 졸업》에서 함께 출연했던 이치하라 에츠코와는 2016년 애니메이션 영화 《너의 이름은.》에서도 재회했다. 1999년에는 드라마 《굿 뉴스》에서 주연을 맡았다. 7살이 되던 해인 2000년에는 아라시의 멤버 니노미야 카즈나리와 함께 드라마 《눈물을 닦고》에 출연했다.
2001년, 5살의 어린 나이에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눈에 띄어 직접 스카우트되었다. 이후 그는 스튜디오 지브리의 여러 장편 영화에서 목소리 연기를 맡으며 '지브리 아역'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2004년에는 영화 《아버지의 백 드롭》에서 주연을 맡아 첫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그 후로도 그는 배우와 성우 활동을 병행하며 2년마다 꾸준히 상을 받았다. 2020년에는 일본에서 가장 권위 있는 시상식 중 하나인 엘란도르상에서 신인상을 수상했다.
2005년에는 소속사를 아뮤즈로 옮겼다. 2021년 3월 16일, 카미키 류노스케는 16년간 소속되었던 아뮤즈를 떠나 사토 타케루와 함께 신생 기획사 Co-LaVo를 설립하고 4월 1일부로 이적했다.
2.2. 영화 출연
카미키 류노스케는 아역 시절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에 출연하며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선보였다.
2.2.1. 실사 영화

그는 2005년 미이케 다카시 감독의 영화 《요괴 대전쟁》에서 이나오 타다시 역으로 주연을 맡아 일본 아카데미상 신인 배우상을 수상했다. 이 영화 촬영 중 수영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기도 했다. 2012년 요시다 다이하치 감독의 《키리시마가 동아리활동 그만둔대》에서는 마에다 료야 역으로 주연을 맡아 나약한 고교생을 연기했으며, 이 작품과 《극장판 SPEC~천~》으로 TAMA 영화상 최우수 신진 남우주연상을 받았다.
2014년에는 오토모 케이시 감독의 《바람의 검심 - 교토대화재편》과 《바람의 검심 - 전설의 최후편》에서 원작 팬들에게도 인기가 높은 세타 소지로 역을 맡아 강렬한 인상을 남겼고, 2021년 개봉한 《바람의 검심 최종장 더 파이널》에서도 같은 역으로 출연했다. 2015년에는 사토 타케루와 함께 영화 《바쿠만》에서 타카기 아키토 역으로 공동 주연을 맡았다.
2017년에는 《3월의 라이온》 전편과 후편에서 주인공 키리야마 레이 역으로 주연을 맡았으며, 이를 위해 프로 기사에게 지도를 받아 쇼기 아마추어 초단 면허를 수여받았다. 같은 해 《죠죠의 기묘한 모험 -다이아몬드는 부서지지 않는다 제1장-》에서는 히로세 코이치 역으로 출연했다.
2023년에는 영화 《대명도산》에서 마츠다이라 코시로 역으로 주연을 맡아 처음으로 상투 머리를 선보였다. 같은 해 야마자키 다카시 감독의 《고지라-1.0》에서는 주인공 시키시마 코이치 역으로 주연을 맡아 전 세계적인 호평을 받았으며, 이 작품으로 블루리본상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그 외 주요 실사 영화 출연작은 다음과 같다.
- 《춤추는 대수사선 THE MOVIE 2 레인보우 브릿지를 봉쇄하라!》(2003)
- 《ROCKERS》(2003)
- 《연애 소설》(2004)
- 《SURVIVE STYLE5+》(2004)
- 《아버지의 백 드롭》(2004)
- 《인스톨》(2004)
- 《ZOO》(2005)
- 《대일본인》(2007)
- 《머나먼 하늘로 사라진》(2007)
- 《Little DJ ~작은 사랑 이야기~》(2007)
- 《20세기 소년 최종장 우리들의 깃발》(2009)
- 《극장판 SPEC~천~》(2012)
- 《극장판 SPEC~클로즈~》(2013)
- 《신이 말하는 대로》(2014)
- 《뇌내 포이즌베리》(2015)
- 《태양》(2016)
- 《렛츠락! 죽어서 하는 밴드》(2016)
- 《치가사키 이야기 ~MY LITTLE HOMETOWN~》(2017)
- 《포르투나의 눈동자》(2019)
- 《시인장의 살인》(2019)
- 《라스트 레터》(2020)
- 《요괴 대전쟁 가디언즈》(2021)
- 《노이즈》(2022)
- 《홀릭 xxxHOLiC》(2022)
- 《GHOSTBOOK 오바케즈칸》(2022)
- 《닥터 고토 진료소》(2022)
- 《아토 더 벤치》(2024)
- 《성☆형님 THE MOVIE~홀리맨 VS 악마군단~》(2024)
2.2.2. 애니메이션 영화
카미키 류노스케는 스튜디오 지브리 작품을 포함한 여러 애니메이션 영화에서 목소리 연기 경력을 쌓았다. 2001년 스튜디오 지브리 제작의 장편 애니메이션 영화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서 보우 역으로 출연하며 성우로 데뷔했다. 이후 2004년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서 마르클 역을, 2010년 《마루 밑 아리에티》에서 쇼 역을 맡는 등 여러 지브리 작품에 참여했다.
2009년에는 호소다 마모루 감독의 애니메이션 영화 《썸머 워즈》에서 주인공 고이소 켄지 역으로 주연을 맡았다. 2016년에는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너의 이름은.》에서 주인공 타치바나 타키 역을 연기하여 세이유 어워드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이 작품은 당시 일본 영화 흥행 수입 순위에서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 이어 일본 영화 역대 2위를 기록하는 등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후에도 신카이 감독의 《날씨의 아이》(2019)와 《스즈메의 문단속》(2022)에 조연으로 참여하며 인연을 이어갔다.
그 외 주요 애니메이션 영화 출연작은 다음과 같다.
- 《키리쿠와 마녀》(2003)
- 《나 세잘은 10살 반 1m 39cm》(2004)
- 《황제 펭귄》(2005)
- 《별을 산 날》(2006)
-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공룡대탐험》(2006)
- 《피아노의 숲》(2007)
- 《어느 비공사에 대한 추억》(2011)
- 《메리와 마녀의 꽃》(2017)
-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신공룡》(2020)
- 《신 에반게리온 극장판》(2021)
- 《100일간 산 악어》(2021)
2.3. TV 드라마 출연
카미키 류노스케는 다양한 TV 드라마에서 주연 및 조연으로 활약하며 연기력을 인정받았다. 1999년 TBS 드라마 《굿 뉴스》에서 쿠로사와 나오야 역으로 출연했으며, 2006년에는 《탐정학원 Q 스페셜》에서 큐(렌죠 큐) 역으로 드라마 첫 주연을 맡았다. 이 드라마는 2007년 연속 드라마로 제작되기도 했다.
2010년에는 TBS 드라마 《SPEC》에서 니노마에 쥬이치 역으로 출연하여 강렬한 인상을 남겼으며, 이 역할은 이후 《극장판 SPEC~천~》(2012) 및 《극장판 SPEC~클로즈~》(2013) 등 극장판 시리즈로도 이어졌다. 2011년에는 TV 아사히 드라마 《11명이나 있어!》에서 사나다 카즈오 역으로 주연을 맡았다.
2012년에는 NHK 대하드라마 《타이라노 키요모리》에서 미나모토노 요시쓰네 역을 연기했다. 그는 2005년 대하드라마 《요시츠네》에서 어린 우시와카마루 역을 맡은 바 있어, 동일 인물의 어린 시절과 성인 시절을 다른 대하드라마에서 연기하는 이례적인 경험을 했다. 2013년에는 후지 TV 드라마 《가족 게임》에서 누마타 신이치 역으로 출연하여 호평을 받았다.
2023년에는 NHK 연속 TV 소설 《란만》에서 주인공 마키노 만타로 역으로 주연을 맡아 큰 사랑을 받았다.
그 외 주요 TV 드라마 출연작은 다음과 같다.
- 《아오이 도쿠가와 삼대》(2000)
- 《철갑기 미카즈키》(2000)
- 《QUIZ》(2000)
- 《눈물을 닦고》(2000)
- 《과수연의 여자 시즌 2》(2000)
- 《싱고마마 드라마 스페셜 '옷하-'는 세계를 구한다!》(2001)
- 《가면라이더 아기토》(2001)
- 《데릴사위》(2001)
- 《마리아》(2001)
- 《의사와 환자》(2001)
- 《구명병동 24시 신춘 스페셜 구출 시한 리미트》(2002)
- 《하미다시형사열정계》(2002)
- 《웨딩 플래너 SWEET 딜리버리》(2002)
- 《탐정 가족》(2002)
- 《오미야》(2002)
- 《사이코 닥터》(2002)
- 《그녀들의 크리스마스》(2002)
- 《지지 않는 뼈》(2003)
- 《나의 마법사》(2003)
- 《닥터 고토 진료소》(2003)
- 《폭룡전대 아바레인저》(2003)
- 《정말로 있었던 무서운 이야기》(2004)
- 《연애 소설》(2004)
- 《오오쿠 스페셜 ~쇼군의 여인들~》(2004)
- 《너무 귀여워》(2005)
- 《도쿄타워 ~엄마와 나와, 때때로 아빠~》(2006)
- 《루리의 섬 스페셜 2007》(2007)
- 《돈도 하레》(2007)
- 《스파세카 극장》(2007)
- 《바람의 가든》(2008)
- 《빨간코 선생님》(2009)
- 《블러디 먼데이 Season2》(2010)
- 《마음의 실》(2010)
- 《고교생 레스토랑》(2011)
- 《블랙보드 ~시대와 싸운 교사들~》(2012)
- 《고구레 사진관》(2013)
- 《야마다 타이치 드라마 스페셜 시간은 멈추지 않는다》(2014)
- 《킨다이치 소년의 사건부N(neo)》(2014)
- 《아버지의 등》(2014)
- 《기묘한 이야기》(2014)
- 《학교의 계단》(2015)
- 《사무라이 선생님》(2015)
- 《평온한 고향》(2017)
- 《형사 유가미》(2017)
- 《유난히 달변가인 변호사가 학교에서 울부짖다》(2018)
- 《정말로 있었던 무서운 이야기 여름 특별편 2018》(2018)
- 《이다텐~도쿄 올림픽 이야기~》(2019)
- 《집단좌천!!》(2019)
- 《철의 뼈》(2020)
- 《산주진카쿠와 마호츠카이》(2020)
- 《정말로 있었던 무서운 이야기 2020 특별편》(2020)
- 《아저씨와 고양이》(2021)
- 《콩트가 시작된다》(2021)
- 《카미키 류노스케의 촬휴》(2022)
- 《아내, 초등학생이 되다.》(2022)
- 《빌리언×스쿨》(2024)
- 《마지막으로 본 거리》(2024)
- 《바다에 잠든 다이아몬드》(2024)
2.3.1. TV 애니메이션
TV 애니메이션으로는 2021년 NHK BS1에서 방영된 《아니×파라》 에피소드 12에서 유키히로 역으로 주연을 맡았고, 같은 해 NHK E테레의 《아오와 키이》에서 아오 역으로 주연을 맡았다.
2.4. 연극 출연
카미키 류노스케는 2019년 마츠오 스즈키가 쓰고 연출한 연극 《키레이~하나님과 약속한 여자~》에서 하리코나(소년) 역으로 출연하며 처음으로 무대 연극에 데뷔했다. 이 작품은 Bunkamura 시어터 코쿤, 하카타좌, 페스티벌 홀 등에서 공연되었다. 2020년에는 《불을 끄지 마! Bunkamura 시어터 코쿤》에 출연했으며, 2021년에는 《파 룸 펌 펌 펌》에서 편집자 역을 맡았다.
2.5. 더빙 활동
카미키 류노스케는 외국 영화 및 애니메이션의 일본어 더빙에도 참여했다.
- 실사 영화 더빙**:
- 《나, 세자르》 (2004) - 세자르 역 (쥘 시트루크 분)
- 《황제 펭귄》 (2005) - 새끼 펭귄 역 (쥘 시트루크 분)
- 《기생충》 (2021) - 김기우 역 (최우식 분) (닛폰 TV판)
- 애니메이션 더빙**:
- 《키리쿠와 마녀》 (2003) - 키리쿠 역
- 《아더와 미니모이의 이상한 나라》 (2006) - 아더 역
- 《아더와 마왕 마루타잘의 역습》 (2009) - 아더 역
2.6. 기타 활동
카미키 류노스케는 배우 및 성우 활동 외에도 다재다능한 예술적 재능을 선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2.6.1. 저술 및 출판
2015년, 그는 첫 번째 책 《카미키 류노스케의 Master's Cafe: 달인들의 꿈의 실현법》을 직접 저술했다. 이 책을 위해 그는 다양한 분야의 최전선에서 활동하는 15명의 전문가들을 인터뷰했다. 그 외에도 여러 사진집과 자서전을 출판했다.
- 사진집 《나의 모험》 (2005)
- 《소년배우 vol.1》 (2005)
- 《BOYS: GRASSROOTS》 (2006)
- 사진집 《Sincérité》(2017)
- 자서전 《오모테 카미키 / 우라 카미키》 (2020)
- 《미야기에서,》 (2022) - 사토 타케루와 공저.
- 《카미키 코치》 (2023)
또한,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잡지 'AnAn'에 '카미키 류노스케의 Master's Cafe'를 연재하기도 했다. 2020년에는 기타하라 이치의 소설 《두 사람, 이 밤과 숨을 쉬다》의 책 표지 사진을 직접 촬영했다.
2.6.2. 연출 및 사진 활동
2019년, 카미키 류노스케는 15주년 기념 앨범 '15th Anniversary SUPER HANDSOME COLLECTION 「JUMP↑」'에 수록된 뮤직 비디오 "I Treasure You"의 연출을 맡으며 감독으로 데뷔했다.
그는 사진 촬영에 대한 깊은 관심과 재능을 가지고 있다. 원래는 철도를 촬영하는 것이 취미였으나, 이를 계기로 사진 촬영 자체를 좋아하게 되었다. 2012년에는 그가 촬영한 사진이 '하나마루마켓'에서 '2012년 앨범 대상 최우수상'에 선정되기도 했다. 2020년에는 사토 타케루의 2021년 달력 공식 사진작가로 활동하며 8,000장이 넘는 사진을 촬영했다. 그는 이 사진들로 사진전과 앨범을 만들고 싶다는 포부를 밝히기도 했다. 같은 해, 그는 자신의 연간 달력을 기획하기 시작했다. 25주년 기념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제작된 2021년 달력은 니나가와 미카가 촬영했으며, 카미키가 12개의 소설 속 인물을 연기하는 새로운 시도를 담았다. 이 프로젝트를 위해 그는 처음으로 은발을 선보였으며, 촬영은 이틀에 걸쳐 진행되었다.
2022년에는 '미야기에서,' 촬영 중 미나미산리쿠에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어룡 화석 중 하나를 발굴하기도 했으며, 이 화석은 현재 미나산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2.6.3. 유튜브 채널
2020년 5월 19일, 카미키 류노스케는 '데뷔 25주년 기념 프로젝트'의 시작을 발표했다. 그 첫 번째 일환으로 같은 해 6월 18일 공식 유튜브 채널 '류튜브'를 개설했다. '류튜브'의 오리지널 로고는 카미키와 친분이 있는 그래픽 디자이너 사토 타쿠가 디자인했다.
2.6.4. 라디오 및 내레이션
카미키 류노스케는 라디오 프로그램 진행과 다큐멘터리 내레이션에도 참여했다. 2020년에는 닛폰 방송의 '올 나이트 닛폰0(ZERO)'의 진행을 맡았다. 2021년에는 TOKYO FM을 비롯한 전국 JFN 38개 방송국에서 방영된 '카미키 류노스케의 RADIO MOG STATION presented by 파이널 판타지 XIV'의 진행을 맡았다.
라디오 드라마로는 2005년 '본쿠라'와 2006년 '일용생활'에서 산타로 오데코 역을 연기했다.
다큐멘터리 내레이션 및 출연 경력은 다음과 같다.
- 《이카리야 쵸스케 야생의 아프리카 대모험》(2001) - 게스트
- 《지구의 미래! 긴급 취재》(2012) - 내레이터
- 《신 발견 아트 버라이어티 "아호! 세계도!"》(2012, 2013) - 내레이터 및 스튜디오 게스트
- 《앨마의 전설》(2010) - 앨마 목소리
- 《노리우드 영화가 될 때까지》(2013) - 내레이션
- 《카미키 류노스케 20세의 여행 베트남 국경 철도를 가다》(2014) - 진행자
- 《NHK 스페셜 NEXT WORLD 우리의 미래》(2015) - 진행자
- 《코로나바이러스, 청춘, 우리: 수영부 고3의 마지막 여름》(2020) - 내레이션
- 《버터플라이 이펙트 그날이 있기에 지금이 있다》(2021) - 내레이션
2.6.5. 광고 모델 (CM)
카미키 류노스케는 다양한 브랜드의 광고 모델로 활동했다.
- 토이 박스 (1995)
- 아지노모토 (1997-1998, 2005-2006, 2020)
- P&G (1998, 2021-2023)
- 도쿄 디즈니랜드 (1998)
- 샤프 (1999)
- 일본 코카-콜라 (1999)
- 롯데 (2003-2004)
- 동일본 여객 철도 (2003-2006, 2018)
- 하우스 식품 (2004-2005)
- 스튜디오 지브리 (2005)
- 히스토리 채널 (2005)
- 클레오 (2005)
- 포르노그라피티 (2005)
- 일본광고심사기구 (2006)
- 노무라 부동산 (2006)
- 도요타 자동차 (2007)
- 코나미 (2010)
- NTT 도코모 (2012)
- 혼다 (2012-2015)
- NTT 동일본 (2013-2014)
- 리크루트 (2014-2015, 2021-2022)
- 미쓰이 부동산 (2015)
- PARCO (2015-2016)
- 크라시에 (2016-2018)
- 게오 (2016)
- 닌텐도 (2016)
- 라이온 (2017)
- 아사히 음료 (2017, 2018-2020)
- 에자키 글리코 (2018-2019)
- KDDI au (2018-)
- 학정 (2018-2020)
- Niantic, Inc.·포켓몬 (2019)
- 산토리 (2020-2021)
- 아이묭 (2021)
- 스퀘어 에닉스 (2021-2022)
- 일본 맥도날드 (2022)
- 미쓰비시 전기 (2022-)
- 리크루트 (2023-)
- 라쿠스루 (2024-)
- 반다이 원피스 카드 게임 (2024-)
- 크라시에 프리스크 (2024-)
- 세키스이하우스 부동산 (2025-)
3. 수상 경력
카미키 류노스케는 배우 및 성우로서 다수의 상을 수상하고 후보로 지명되었다.
연도 | 시상식 | 부문 | 작품 | 결과 |
---|---|---|---|---|
2004 | 일본 영화 비평가 대상 | 신인상 | 《아버지의 백 드롭》 | 수상 |
2006 | 일본 아카데미상 | 신인 배우상 | 《요괴 대전쟁》 | 수상 |
2007 | 일본 드라마 아카데미상 | 남우주연상 | 《탐정학원 Q》 | 수상 |
2011 | 서울 드라마 어워즈 | 인기 배우상 | 《마음의 실》 | 수상 |
2011 | 밉컴 바이어스 어워드 | 일본 드라마 부문 | 《마음의 실》 | 수상 |
2011 | 휴고 TV 어워드 | 장편 영화 부문 금상 | 《마음의 실》 | 수상 |
2011 | 몬테카를로 텔레비전 페스티벌 | TV 영화 부문 남우주연상 | 《마음의 실》 | 후보 |
2011 | 몬테카를로 텔레비전 페스티벌 | AMADE 상 | 《마음의 실》 | 수상 |
2012 | TAMA 영화상 | 최우수 신진 남우주연상 | 《키리시마가 동아리활동 그만둔대》, 《극장판 SPEC~천~》 | 수상 |
2012 | 호치 영화상 | 남우주연상 | 《키리시마가 동아리활동 그만둔대》 | 후보 |
2013 | 닛칸 스포츠 드라마 그랑프리 | 남우조연상 | 《가족 게임》 | 수상 |
2013 | 더 텔레비전 드라마 아카데미상 | 남우조연상 | 《가족 게임》 | 수상 |
2013 | TVLIFE 연간 드라마 대상 | 남우조연상 | 《가족 게임》 | 수상 |
2014 | 갤럭시상 월간상 | TV 부문 | 《아버지의 등》 | 수상 |
2015 | 호치 영화상 | 남우주연상 | 《뇌내 포이즌베리》, 《바쿠만》 | 후보 |
2015 | 서울 드라마 어워즈 | 아시아 스타상 | - | 수상 |
2015 | TV Navi 드라마 어워드 | 남우조연상 | 《학교의 계단》, 《사무라이 선생님》 | 수상 |
2016 | 판타지아 영화제 | 최우수 아시아 영화 은상 | 《렛츠락! 죽어서 하는 밴드》 | 수상 |
2016 | 로테르담 국제 영화제 | 넷팩상 | 《렛츠락! 죽어서 하는 밴드》 | 후보 |
2016 | 뉴욕 아시아 영화제 | 관객상 | 《렛츠락! 죽어서 하는 밴드》 | 수상 |
2017 | 호치 영화상 | 남우주연상 | 《3월의 라이온》 | 후보 |
2017 | 세이유 어워드 | 남우주연상 | 《너의 이름은.》 | 수상 |
2018 | 컨피던스 어워드 드라마상 | 남우조연상 | 《형사 유가미》 | 수상 |
2018 | 일본 드라마 아카데미상 | 남우조연상 | 《형사 유가미》 | 수상 |
2020 | 엘란도르상 | 신인상 | 《이다텐~도쿄 올림픽 이야기~》, 《포르투나의 눈동자》 | 수상 |
2021 | 더 텔레비전 드라마 아카데미상 | 심사위원 특별상 | 《콩트가 시작된다》 | 수상 |
2024 | 블루리본상 | 남우주연상 | 《고지라-1.0》, 《대명도산》 | 수상 |
2024 | 일본 아카데미상 | 최우수 남우주연상 | 《고지라-1.0》 | 후보 |
2024 | 하시다상 | - | 《란만》 | 수상 |
2024 | 갤럭시상 | TV 부문 개인상 | 《란만》 | 수상 |
2025 | 더 텔레비전 드라마 아카데미상 | 남우주연상 | 《바다에 잠든 다이아몬드》 | 수상 |
4. 개인사 및 관심사
카미키 류노스케는 배우 활동 외에도 다양한 개인적인 관심사와 취미를 가지고 있다. 그의 신장은 168 cm이며, B형이다.
그는 사진 촬영을 취미로 삼고 있다. 원래는 철도를 촬영하는 것을 좋아했지만, 이를 계기로 사진 촬영 자체에 흥미를 갖게 되었다. 그가 찍은 사진은 2012년 '하나마루마켓'에서 '앨범 대상 최우수상'에 선정되기도 했다.
학생 시절부터 만화, 소설, 라이트 노벨을 즐겨 읽는다고 공언했다. 그가 독서에 흥미를 갖게 된 계기는 고등학교 1학년 때 읽은 만화 《신만이 아는 세계》였다고 한다. 어린 시절에는 수영을 잘하지 못했지만, 영화 《요괴 대전쟁》 촬영 중 늪에 빠지는 장면을 연기하면서 수영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했다.
중학교 시절에는 히노데 중학교(현 메구로 니혼대학 중학교)의 탁구부에 소속되어 활동했으며, 고등학교 시절에는 켄온부에 소속되어 있었다.
그는 YOASOBI의 열렬한 팬으로, 사적으로도 콘서트를 자주 관람한다. 또한 SEKAI NO OWARI의 보컬 후카세 사토시의 열렬한 팬이기도 하다. 영화 《메리와 마녀의 꽃》의 무대 인사에서는 후카세 앞에서 직접 팬심을 드러내기도 했으며, 후카세 역시 카미키 류노스케와의 투샷을 '형제'라는 제목으로 인스타그램에 올리기도 했다.
카미키는 부모님으로부터 '카미키 가문 가훈' 세 가지를 항상 마음속에 새기고 행동한다고 밝혔다. 그 가훈은 "성격이 귀여운 사람이 되어라", "정반대의 의견이라도 일단 받아들여라",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이다.
그의 동급생으로는 시다 미라이, 카와시마 우미카, 노무라 슈헤이, Hey! Say! JUMP의 야마다 료스케, 치넨 유리, 나카지마 유토 등이 있다. 또한 11살 많은 누나가 있다.
영화 《3월의 라이온》에서 주인공 키리야마 레이 역을 연기하기 위해 프로 기사에게 지도를 받았으며, 쇼기 아마추어 초단 면허를 수여받을 정도로 실력을 인정받았다.
5. 영향력 및 평가
카미키 류노스케는 아역 시절부터 꾸준히 활동하며 일본 대중문화계에 큰 영향력을 미쳤다. 그는 특히 배우와 성우 양쪽 분야에서 모두 뛰어난 실력을 인정받는 몇 안 되는 배우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2021년 기준으로 역대 일본 영화 흥행 수입 순위 2위인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3위인 《너의 이름은.》, 5위인 《하울의 움직이는 성》 등 주요 애니메이션 흥행작에 모두 성우로 참여했다. 또한 실사 영화 중 역대 흥행 1위인 《춤추는 대수사선 THE MOVIE 2 레인보우 브릿지를 봉쇄하라!》에도 출연하여 그의 폭넓은 활동 영역을 보여주었다.
그의 연기는 비평가들로부터 꾸준히 호평을 받아왔다. 2005년 영화 《요괴 대전쟁》으로 일본 아카데미상 신인 배우상을 수상하며 일찍이 연기력을 인정받았고, 이후 《키리시마가 동아리활동 그만둔대》, 《가족 게임》 등 다수의 작품에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특히 2016년 《너의 이름은.》에서 보여준 섬세한 목소리 연기는 세이유 어워드 남우주연상으로 이어지며 그의 성우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했다. 2023년 《고지라-1.0》에서의 연기는 전 세계적인 찬사를 받으며 블루리본상 남우주연상을 수상하는 등, 그의 연기 스펙트럼과 깊이는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확장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2022년에는 일본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배우'로 선정되기도 했다. 동료 배우들과 감독들 또한 그의 연기력과 성실함을 높이 평가한다. 쿠라모토 소 각본의 드라마 《바람의 가든》 출연 당시에는 테클라 바다제프스카의 곡 '소녀의 기도'를 몇 주간 연습하여 노컷으로 촬영하는 등, 작품에 대한 그의 열정과 노력은 정평이 나 있다.
그의 대중적 이미지는 다재다능하고 성실하며 친근한 배우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어린 시절부터 쌓아온 탄탄한 경력과 꾸준한 성장은 그를 일본 대중문화계의 대표적인 엔터테이너로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