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최두호는 1991년 4월 10일 대구광역시 달서구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종합격투기 선수이다. '코리안 슈퍼보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강력한 타격 능력을 바탕으로 UFC 페더급에서 활약하고 있다. 그는 데뷔 초부터 인상적인 KO 승리를 거두며 주목받았으며, 컵 스완슨, 제레미 스티븐스와의 명경기를 통해 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특히 컵 스완슨과의 경기는 2016년 '올해의 경기'로 선정되었고, 2022년에는 UFC 명예의 전당 '경기 부문'에 헌액되었다.
2. 초기 생애 및 배경
최두호는 경상북도 구미시와 깊은 연관을 맺으며 성장했으며, 격투기 선수로서의 기틀을 다졌다.
2.1. 출생 및 가족
최두호는 1991년 4월 10일에 대구광역시 달서구에서 태어났다. 2017년에 결혼했으나, 2021년에 이혼했다.
2.2. 학력
최두호는 구미대학교에서 경호학을 전공했다.
2.3. 격투기 수련 배경
최두호는 킥복싱으로 격투기 경력을 시작했으며, 이후 주짓수를 배우며 종합격투기 선수로 성장했다. 2008년에 프로 종합격투기에 데뷔했다.
3. 프로 격투기 경력
최두호는 일본의 DEEP과 SRC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하여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으며, 이후 세계 최고의 종합격투기 단체인 UFC에 진출하여 페더급의 강자로 자리매김했다.
3.1. 초기 경력 (DEEP & SRC)
최두호는 2010년 6월 DEEP에 데뷔하여 유스케 카기야마와 대결했으나, 스플릿 판정패를 당했다. 하지만 같은 해 9월 아츠히로 츠보이를 1라운드 TKO로 꺾으며 DEEP에서의 첫 승리를 기록했다. 이후 미츠히로 이시다, 코스케 우메다, 노부히로 오비야 등 여러 선수들을 상대로 무패 행진을 이어갔다. 특히 2011년 12월 16일 DEEP 56 IMPACT에서 미츠히로 이시다를 상대로 파운딩 TKO 승리를 거두었으나, 이 경기는 최두호가 계체량에서 900 g을 초과하여 옐로카드 2장을 받은 상태로 진행되었다. 2012년 2월 18일에는 DEEP 57 IMPACT에서 페더급 챔피언 결정전에서 요코타 카즈노리와 대결할 예정이었으나, 대회 직전 최두호가 연락 두절되어 경기가 취소되는 해프닝이 있었다. UFC 진출 전 마지막 DEEP 경기는 2013년 6월 15일 쇼지 마루야마와의 대결이었으며, 2라운드 TKO 승리를 거두었다.
DEEP에서 활동하는 동안 SRC와도 계약했다. 2010년 6월 20일 SRC 13에서 이쿠오 우스다를 상대로 스플릿 판정승을 거두며 SRC에 데뷔했다. 몇 달 뒤 SRC 15에서 마사노리 카네하라와 대결할 예정이었으나, 경기 3주 전 최두호의 부상으로 경기가 취소되었다.
3.2. UFC 경력
최두호는 9연승을 기록하던 2013년 11월, 세계 최고의 종합격투기 단체인 UFC와 페더급 계약을 체결하며 세계 무대에 진출했다.
3.2.1. UFC 데뷔 및 초기 활약
최두호는 2014년 5월 24일 UFC 173에서 샘 시실리아와 대결할 예정이었으나, 부상으로 인해 출전이 불발되었다. 이후 2014년 11월 22일 UFC Fight Night 57에서 후안 푸이그를 상대로 UFC 데뷔전을 치렀다. 이 경기에서 최두호는 1라운드 시작 18초 만에 펀치 TKO 승리를 거두며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샘 시실리아와의 재대결은 2015년 7월 15일 UFC Fight Night 71에서 다시 추진되었으나, 최두호는 6월 말에 불명확한 이유로 또다시 경기를 철회했다. 세 번째로 성사된 샘 시실리아와의 대결은 2015년 11월 28일 UFC Fight Night 79에서 열렸으며, 최두호는 1라운드 1분 33초 만에 펀치 KO 승리를 거두었다. 이 승리로 그는 첫 번째 '퍼포먼스 오브 더 나이트' 보너스를 수상했다.
2016년 7월 8일 The Ultimate Fighter 23 Finale에서 티아고 타바레스와 대결하여 1라운드 펀치 KO 승리를 기록하며 두 번째 '퍼포먼스 오브 더 나이트' 보너스를 받았다.
3.2.2. 주요 경기 및 수상
최두호는 2016년 12월 10일 UFC 206에서 페더급 랭킹 4위의 컵 스완슨과 명경기를 펼쳤다. 이 경기에서 최두호는 여러 차례 다운을 빼앗는 등 치열한 타격전을 벌였으나, 3라운드 종료 후 심판 전원일치 판정패를 당했다. 이 경기는 '파이트 오브 더 나이트'에 선정되었으며, World MMA Awards와 ESPN으로부터 2016년 '올해의 경기'로 뽑히는 영예를 안았다. 또한 2022년 4월 UFC 273 중계방송에서 이 경기가 2022년 UFC 명예의 전당 '경기 부문'에 헌액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
2017년 4월 15일 UFC on Fox 24에서 헤난 바라오와 대결할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최두호가 경기를 거절하면서 무산되었다. 같은 해 7월 29일 UFC 214에서 안드레 필리와 대결할 예정이었으나, 6월 14일 부상으로 인해 출전이 취소되었고 캘빈 케이터가 대체 선수로 나섰다.
2018년 1월 14일 UFC Fight Night: Stephens vs. Choi에서 페더급 랭킹 9위의 제레미 스티븐스와 맞붙었다. 이 경기에서 최두호는 2라운드 TKO패를 당했지만, 양 선수 모두 '파이트 오브 더 나이트' 보너스를 수상했다.
3.2.3. 후기 경력 및 최근 경기
최두호는 2019년 12월 21일 UFC on ESPN+ 23에서 샤를 주르댕과 대결했다. 1라운드에서 주르댕을 다운시켰음에도 불구하고 2라운드 TKO패를 당했으나, 이 경기 또한 '파이트 오브 더 나이트'에 선정되었다.
2021년 7월 31일 UFC on ESPN 28에서 대니 차베스와 대결할 예정이었으나, 부상으로 인해 또다시 경기를 철회했다. 3년의 공백기 끝에 최두호는 2023년 2월 4일 UFC Fight Night 218에서 카일 넬슨과 복귀전을 치렀다. 이 경기에서 최두호는 3라운드에 박치기로 인해 1점 감점을 당했으며, 경기는 심판 1-0의 다수 판정 무승부로 끝났다. 하지만 11개 매체 중 9곳이 최두호의 승리로 채점했다.
2024년 7월 20일 UFC on ESPN 60에서 빌 알지오와 대결하여 2라운드 TKO 승리를 거두었다. 이는 그가 UFC에서 8년 만에 거둔 승리였다. 이어서 2024년 12월 7일 UFC 310에서 네이트 랜드웨어와 대결하여 3라운드 그라운드 앤 파운드 TKO 승리를 기록했다.
4. 격투 스타일
최두호는 강력하고 정확한 타격 기술을 주무기로 하는 스트라이커이다. 특히 펀치와 플라잉 니 킥을 활용한 KO 능력이 뛰어나며, UFC 페더급 역사상 다섯 번째로 많은 KO 승리(5회)를 기록하고 있다. 킥복싱을 기반으로 한 그의 타격은 상대를 압박하고 경기를 빠르게 끝내는 데 효과적이다. 또한 주짓수 수련을 통해 그래플링 능력도 갖추고 있어, 전반적인 종합격투기 기술을 구사할 수 있다.
5. 개인사
최두호는 2017년에 결혼했으나, 2021년에 합의 이혼했다.
6. 방송 출연
최두호는 격투기 선수 활동 외에도 여러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하여 대중에게 얼굴을 알렸다.
- 2015년 MBC 《마이 리틀 텔레비전》 - 게스트
- 2022년 SBS 《순정파이터》 - 멘토
7. 명예 및 수상
최두호는 그의 뛰어난 격투기 경력을 통해 다음과 같은 주요 수상 및 명예를 얻었다.
- UFC
- UFC 명예의 전당 (경기 부문, 2022년 헌액) vs. 컵 스완슨 (UFC 206)
- 퍼포먼스 오브 더 나이트 (2회) vs. 샘 시실리아, 티아고 타바레스
- 파이트 오브 더 나이트 (3회) vs. 컵 스완슨, 제레미 스티븐스, 샤를 주르댕
- UFC 페더급 역사상 다섯 번째로 많은 KO 승리 (5회)
- 2016년 올해의 경기 vs. 컵 스완슨
- World MMA Awards
- 2016년 올해의 경기 vs. 컵 스완슨 (UFC 206)
- ESPN
- 2016년 올해의 경기 vs. 컵 스완슨
- MMADNA.nl
- 2016년 올해의 경기 vs. 컵 스완슨
8. 종합 격투기 기록
최두호의 프로 통산 종합격투기 전적은 16승 4패 1무이다. KO 승리가 13회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며, 서브미션 승리 1회, 판정 승리 2회를 기록했다. 패배는 KO/TKO 2회, 판정 2회이다.
승패 | 누적 전적 | 상대 | 승패 결정 방식 | 대회 | 개최 날짜 | 라운드 | 경기 시간 | 장소 | 특이 사항 |
---|---|---|---|---|---|---|---|---|---|
승 | 16-4-1 | 네이트 랜드웨어 | TKO (엘보우) | UFC 310 | 2024년 12월 7일 | 3 | 3:21 |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거스 | |
승 | 15-4-1 | 빌 알지오 | TKO (펀치에 의한 서브미션) | UFC on ESPN: Lemos vs. Jandiroba | 2024년 7월 20일 | 2 | 3:38 |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거스 | |
무 | 14-4-1 | 카일 넬슨 | 무승부 (다수 판정) | UFC Fight Night: Lewis vs. Spivac | 2023년 2월 4일 | 3 | 5:00 |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거스 | 3라운드 박치기로 1점 감점. |
패 | 14-4 | 샤를 주르댕 | TKO (펀치) | UFC Fight Night: Edgar vs. The Korean Zombie | 2019년 12월 21일 | 2 | 4:32 | 대한민국 부산 | 파이트 오브 더 나이트. |
패 | 14-3 | 제레미 스티븐스 | TKO (펀치 및 엘보우) | UFC Fight Night: Stephens vs. Choi | 2018년 1월 14일 | 2 | 2:36 |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 | 파이트 오브 더 나이트. |
패 | 14-2 | 컵 스완슨 | 판정 (전원일치) | UFC 206 | 2016년 12월 10일 | 3 | 5:00 | 캐나다 온타리오주 토론토 | 파이트 오브 더 나이트. |
승 | 14-1 | 티아고 타바레스 | KO (펀치) | The Ultimate Fighter 23 Finale | 2016년 7월 8일 | 1 | 2:42 |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거스 | 퍼포먼스 오브 더 나이트. |
승 | 13-1 | 샘 시실리아 | KO (펀치) | UFC Fight Night: Henderson vs. Masvidal | 2015년 11월 28일 | 1 | 1:33 | 대한민국 서울 | 퍼포먼스 오브 더 나이트. |
승 | 12-1 | 후안 푸이그 | TKO (펀치) | UFC Fight Night: Edgar vs. Swanson | 2014년 11월 22일 | 1 | 0:18 |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 | |
승 | 11-1 | 쇼지 마루야마 | TKO (펀치) | DEEP: Cage Impact 2013 in Korakuen Hall | 2013년 6월 15일 | 2 | 2:33 | 일본 도쿄 | |
승 | 10-1 | 나가쿠라 타츠나오 | TKO (코너 스톱) | DEEP: 61 Impact | 2013년 2월 16일 | 2 | 4:14 | 일본 도쿄 | |
승 | 9-1 | 우메다 코스케 | KO (펀치) | DEEP: 59 Impact | 2012년 8월 18일 | 1 | 2:49 | 일본 도쿄 | |
승 | 8-1 | 이시다 미츠히로 | KO (니킥 및 펀치) | DEEP: 56 Impact | 2011년 12월 17일 | 1 | 1:33 | 일본 도쿄 | |
승 | 7-1 | 오비야 노부히로 | KO (플라잉 니킥) | DEEP: Cage Impact 2011 in Tokyo | 2011년 10월 29일 | 3 | 0:15 | 일본 도쿄 | |
승 | 6-1 | 히라이시 히사키 | 판정 (전원일치) | Gladiator 23 | 2011년 9월 3일 | 2 | 5:00 | 일본 히로시마 | |
승 | 5-1 | 츠보이 아츠히로 | TKO (펀치) | DEEP: clubDEEP Nagoya | 2010년 9월 5일 | 1 | 4:53 | 일본 아이치현 나고야 | |
승 | 4-1 | 오노 유이치로 | TKO (펀치) | Gladiator 7 | 2010년 6월 27일 | 1 | 0:26 |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 | |
승 | 3-1 | 이쿠오 우스다 | 판정 (스플릿) | World Victory Road Presents: Sengoku 13 | 2010년 6월 20일 | 3 | 5:00 | 일본 도쿄 | |
패 | 2-1 | 유스케 카기야마 | 판정 (스플릿) | DEEP: Cage Impact 2010 in Osaka | 2010년 6월 6일 | 2 | 5:00 | 일본 오사카 | 페더급 데뷔. |
승 | 2-0 | 이종화 | TKO (펀치) | M-1 Selection 2010: Asia Round 1 | 2010년 3월 5일 | 1 | 3:20 | 대한민국 서울 | |
승 | 1-0 | 마츠오카 타카시 | 서브미션 (암바) | Grachan 3 | 2009년 11월 29일 | 1 | 1:05 | 일본 도쿄 | 라이트급 데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