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교육
플라이셔는 1950년 8월 27일 워싱턴 D.C.에서 태어났다. 그는 롱아일랜드 대학교의 일부였던 사우스햄튼 칼리지에서 의학을 공부했다. 이후 시카고 미술관 산하의 굿맨 드라마 스쿨(현재는 드폴 대학교 소속의 드폴 대학교 연극학교)로 전학하여 연기를 공부했다. 어린 시절부터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관심을 가졌으며, 스탠드업 코미디언으로 경력을 시작했다.
2. 경력
찰스 플라이셔는 스탠드업 코미디언으로 시작하여 영화, 텔레비전, 성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보여주었다.
2.1. 스탠드업 코미디 및 초기 방송 활동
플라이셔는 코미디 클럽 순회 공연을 통해 경력을 시작했다. 그의 첫 번째 주요 코미디 텔레비전 출연은 1973년 1월 15일 방영된 《로완 앤 마틴의 웃음 쇼》였다. 이 쇼에서 그는 납 파이프와 샤워 헤드로 만든 직접 제작한 악기를 연주하며 독특한 재능을 선보였다. 이후 1974년 5월 15일에는 《투나잇 쇼 Starring 조니 카슨》에 출연하여 주목받았다. 그는 또한 《킵 온 트러킹》의 고정 출연자였으며, 단명했던 토요일 아침 쇼 《와코》에도 출연했다. 그는 《위어드 알 쇼》에 밴드의 일원으로 특별 출연하기도 했다. 2019년 1월 17일부터 20일까지 라스베이거스의 트로피카나 라스베이거스에 위치한 래프 팩토리에서 밥 골럽 및 닉 아라곤과 함께 즉흥 코미디 공연을 펼쳤다.
2.2. 영화 출연
플라이셔는 여러 영화에서 실사 및 목소리 연기를 선보였다. 그는 1980년대 초반 《엘름 스트리트의 악몽》(1984)과 《데들리 프렌드》(1986)와 같은 공포 영화에도 출연했다. 1988년 로버트 저메키스 감독이 연출하고 스티븐 스필버그가 총괄 제작한 《누가 로져 래빗을 모함했나》에서 애니메이션 토끼인 로저 래빗의 목소리를 연기하며 단숨에 이름을 알렸다. 이 영화는 실사와 애니메이션을 합성한 작품으로, 플라이셔 자신도 밥 호스킨스가 연기한 실사 주인공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야기를 풍성하게 만들었다. 그는 또한 《백 투 더 퓨처 2》(1989)에서 테리 역으로, 《그리드락 디》(1997)에서 우드슨 씨 역으로, 데이비드 핀처 감독의 스릴러 영화 《조디악》(2007)에서 밥 본 역으로 출연했다.
2.3. 성우로서의 활동
플라이셔는 특히 《누가 로져 래빗을 모함했나》에서 로저 래빗의 목소리를 연기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이 영화의 성공 이후, 그는 여러 디즈니 텔레비전 및 테마파크 행사, 그리고 세 편의 후속 단편 영화에서 로저의 목소리 연기를 계속했다. 그는 또한 이 영화에서 베니 더 캐브, 그리시, 사이코의 목소리도 맡았다. 다른 주목할 만한 성우 역할로는 《폴라 익스프레스》(2004)의 엘프 장군, 《공룡 대행진》(1993)의 드윕, 《발토 2: 늑대의 모험》(2002)과 《발토 3: 희망의 날개를 찾아서》(2004)의 보리스, 조니 뎁이 성우로 참여한 《랭고》(2011)의 엘보스, 그리고 《칩 앤 데일: 다람쥐 구조대》(2022)의 로저 래빗과 다람쥐 TV 아나운서 등이 있다.
2.4. 텔레비전 출연
플라이셔는 1970년대 텔레비전 시리즈 《웰컴 백, 코터》에서 카벨리 역으로 반복 출연했다. 또한 ABC 시리즈 《라번 & 셜리》에서 척 역을, 디즈니 애니메이션 시리즈 《하우스 오브 마우스》에서 베니 더 캐브의 목소리를 맡았다. 그는 1974년 《폴리스 스토리》에 출연하며 배우로서의 경력을 시작했다. 그 외에도 《바니 밀러》(1975), 《슈가 타임!》(1977, 1978), 《힐 스트리트 블루스》(1981), 《탐정 하트 & 하트》(1981), 《사이먼 & 사이먼》(1985), 《나이트 코트》(1985), 《나이트 라이더》(1985), 《비벌리힐스 아이들》(1991), 《신 슈퍼맨》(1996), 《드류 캐리 쇼》(2001, 2003) 등 다수의 텔레비전 드라마에 출연했다.
2.5. 음악 및 기타 활동
플라이셔는 음악가이자 작곡가이기도 하다. 그는 1995년 11월 22일 로스앤젤레스의 윌턴 극장에서 그룹 블루스 트래블러와 하모니카 객원 연주자로 협연했으며, 2002년 12월 10일부터 15일까지 코네티컷 애비뉴의 즉흥 극장에서도 공연했다. 그는 로저 워터스의 1992년 앨범 《어뮤즈드 투 데스》에 수록된 "What God Wants, Part II"에서 텔레비전 전도사 역할을 연기했다. 2010년 12월부터 2011년 9월까지 그는 브래드 와이먼이 제작한 자신의 주간 웹 쇼 《플라이셔스 유니버스(Fleischer's Universe플라이셔스 유니버스영어)》를 유스트림에서 진행했다.
3. 저술 및 출판물
찰스 플라이셔는 학술적인 저술 활동도 했다. 그는 2012년에 코넬 대학교에 제출된 "Can Sequentially Linked Gamma-Ray Bursts Nullify Randomness?"라는 제목의 논문을 저술했다. 이 논문은 과학적 탐구에 대한 그의 관심을 보여준다.
4. 개인 생활
플라이셔는 1977년에 셰릴 스트라스먼과 결혼했으나, 2006년에 이혼했다. 두 사람 사이에는 두 명의 딸이 있다.
5. 평가 및 영향력
찰스 플라이셔는 특히 《누가 로져 래빗을 모함했나》에서 로저 래빗의 목소리 연기를 통해 대중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이 상징적인 역할은 그의 경력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평가된다. 그는 또한 "60년대를 기억한다면, 당신은 정말 그곳에 없었던 것이다(If you remember the '60s, you really weren't there60년대를 기억한다면, 당신은 정말 그곳에 없었던 것이다영어)"라는 유명한 인용구의 원작자이다. 이 인용구는 널리 알려져 있지만, 종종 다른 유명인들에게 잘못 귀속되기도 한다. 이 문구는 1960년대의 문화적, 사회적 변화가 너무나 격렬하고 혼란스러웠기 때문에, 그 시대를 온전히 경험한 사람이라면 모든 것을 명확히 기억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6. 필모그래피
- 《바니 밀러》 (1975) - 플로이드 스피어스 역
- 《리치의 죽음》 (1977) - 브릭 역
- 《원 온 원》 (1977) - 고등학생 역 (크레딧 미기재)
- 《선 밸리의 위기》 (1978) - 슈일러 역
- 《슈가 타임!》 (1978) - 라이트닝 잭 래퍼포트 역
- 《다이 래핑》 (1980) - 찰리 역
- 《힐 스트리트 블루스》 (1981) - 말리부 역
- 《악마의 손》 (1981) - 데이비드 매도우 역
- 《나이트 시프트》 (1982) - 죄수 역
- 《엘름 스트리트의 악몽》 (1984) - 킹 박사 역
- 《하우스 오브 갓》 (1984) - 하이퍼 후퍼 역
- 《데들리 프렌드》 (1986) - BB 역 (목소리)
- 《배드 드림스》 (1988) - 약사 론 역
- 《누가 로져 래빗을 모함했나》 (1988) - 로저 래빗 / 베니 더 캐브 / 그리시 / 사이코 역 (목소리)
- 《미키의 60번째 생일》 (1988) - 무대 스태프 찰리 / 로저 래빗 역 (실사 및 목소리)
- 《터미 트러블》 (1989) - 로저 래빗 역 (목소리)
- 《그로스 아나토미》 (1989)
- 《백 투 더 퓨처 2》 (1989) - 테리 역
- 《딕 트레이시》 (1990) - 기자 역
- 《롤러코스터 래빗》 (1990) - 로저 래빗 역 (목소리)
- 《스트레이트 토크》 (1992) - 토니 역
- 《캐리 온 콜럼버스》 (1992) - 폰티악 역
- 《트레일 믹스-업》 (1993) - 로저 래빗 역 (목소리)
- 《공룡 대행진》 (1993) - 드윕 역 (목소리)
- 《마이 걸 2》 (1994) - 택시 운전사 역
- 《데몬 나이트》 (1995) - 월리 엔필드 역
- 《본 칠러즈》 (1996) - 아르니 역
- 《그리드락 디》 (1997) - 우드슨 씨 역
- 《그라운드 콘트롤》 (1998) - 랜디 역
- 《퍼머넌트 미드나잇》 (1998) - 미스터 촘퍼스의 앨런 역
- 《러스티: 개의 이야기》 (1998) - 바트 비미니 역
- 《지니어스》 (1999) - 크릭스타인 박사 역
- 《빅 몬스터 온 캠퍼스》 (2000) - 스톡턴 씨 역
- 《벨 에어》 (2000) - 거스 역
- 《지-맨 프롬 헬》 (2000) - 마틴 / 피트 역
- 《버즈 라이트이어 오브 스타 커맨드》 (2000) - 모뉴멘투스 역 (목소리)
- 《하우스 오브 마우스》 (2001) - 베니 더 캐브 역 (목소리)
- 《발토 2: 늑대의 모험》 (2002) - 보리스 역 (목소리)
- 《백랏 살인사건》 (2002) - 헨리 역
- 《4번째 테너》 (2002) - 알폰스 역
- 《폴리 쇼어 이즈 데드》 (2003) - 본인 역 (크레딧 미기재)
- 《발토 3: 희망의 날개를 찾아서》 (2004) - 보리스 / 화이트 마운틴 우체국장 역 (목소리)
- 《폴라 익스프레스》 (2004) - 엘프 장군 역 (목소리)
- 《빅 키스》 (2004) - 베레조비치 역
- 《조디악》(2007) - 밥 본 역
- 《퍼니 피플》(2009) - 본인 역
- 《체인 레터》(2009) - 프랭크 위긴스 역
- 《랭고》(2011) - 엘보스 역 (목소리)
- 《네거티브 스페이스》(2011) - 해리 역
- 《리얼리티 퀸!》(2016) - 토크쇼 진행자 역
- 《프롭 컬처》(2020) - 본인 역, 에피소드: "누가 로져 래빗을 모함했나"
- 《칩 앤 데일: 다람쥐 구조대》(2022) - 로저 래빗 / 다람쥐 TV 아나운서 역 (목소리)
7. 비디오 게임 출연
- 《버질 리얼리티에 따른 우주》(1996)
- 《월트 디즈니 월드 익스플로러》(1996)
- 《워리어즈 오브 마이트 앤 매직》(2000)
- 《폴라 익스프레스》(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