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찰스 오거스터스 브릭스(Charles Augustus Briggs찰스 오거스터스 브릭스영어, 1841년 1월 15일 - 1913년 6월 8일)는 미국의 장로교 학자이자 신학자였으며, 이후 성공회 사제로 활동했다. 그는 뉴욕시에서 앨런슨 브릭스와 사라 미드 베리언의 아들로 태어났다. 브릭스는 그의 자유주의적인 신학 사상, 특히 성경 비평학에 대한 진보적인 견해로 인해 미국 장로교회에서 이단 혐의로 재판을 받고 파면당한 인물로 잘 알려져 있다. 그의 학문적 업적은 히브리어 연구와 성경 주석 분야에 중요한 기여를 했으며,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미국 개신교 신학 논쟁의 중심에 있었다.
2. 어린 시절과 교육
찰스 오거스터스 브릭스는 1841년 1월 15일 뉴욕시에서 태어났다. 그는 버지니아 대학교에서 1857년부터 1860년까지 교육을 받았다. 이후 1863년 유니언 신학교를 졸업했다. 미국 남북 전쟁 중에는 뉴욕 민병대 제7연대에서 복무했으며, 전쟁이 끝난 후 1866년부터 1869년까지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에서 학업을 이어갔다.
3. 학자 및 성직자 경력
1870년, 브릭스는 뉴저지주 로젤에 있는 로젤 제일장로교회(First Presbyterian Church of Roselle)의 목사로 임명되어 1874년까지 시무했다. 1874년에 그는 유니언 신학교에서 히브리어 및 관련 언어학 교수로 초빙되어 1891년까지 가르쳤다. 이후 1891년부터 1904년까지 성경 신학 교수로 재직했으며, 그 이후에는 신학 백과사전 및 상징학 교수가 되었다. 유니언 신학교에서 그는 버크 도서관의 수석 사서로도 활동했다. 1880년부터 1890년까지는 장로교 리뷰(Presbyterian Review영어)의 편집자로도 활동했다.
4. 이단 재판과 파면
찰스 오거스터스 브릭스는 19세기 후반 미국 장로교회 내에서 보수주의와 자유주의 신학 간의 격렬한 논쟁의 중심에 섰으며, 특히 그의 성경 비평적 견해로 인해 이단 혐의로 재판을 받게 되었다.
4.1. 재판의 배경 및 혐의
브릭스는 1892년 뉴욕 노회에서 이단 혐의로 기소되었다. 이 혐의들은 주로 그가 전년도에 행한 취임 강연에 기반한 것이었다. 그에게 제기된 주요 혐의는 다음과 같았다.
- 이성과 교회가 성경 외에 신적 권위의 원천이며, 성경과 별개로 사람들을 구원적으로 계몽한다는 주장.
- 성경 원문에 오류가 존재할 수 있다는 주장.
- 구약성경의 예언이 역사적으로 뒤바뀌었으며, 메시아적 예언의 상당 부분이 성취되지 않았거나 성취될 수 없다는 주장.
- 모세오경의 저자가 모세가 아니며, 이사야서 후반부의 저자가 이사야가 아니라는 주장.
- 구원 과정이 이 세상에 국한되지 않고 내세로 확장된다는 주장 (그는 프로테스탄트 신학이 구원을 현세에 제한하고 죽음으로 성화가 완성되지 않는다고 보는 것을 비판했다).
4.2. 재판 과정 및 판결
브릭스는 뉴욕 노회에서 재판을 받았으나 무죄를 선고받았다. 그러나 이 사건은 장로교 총회로 항소되었다. 브릭스의 과장된 행동과 선전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장로교 총회는 1893년 워싱턴 D.C.에서 그를 장로교회에서 면직하고 파면했다. 일부 비평가들은 브릭스 자신의 호전적인 태도와 취임 강연의 독단적이고 자극적인 어조가 총회의 이단 판결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유니언 신학교의 동료들조차 그의 취임 강연의 '교조적이고 자극적인' 성격을 지적하기도 했다.
4.3. 재판 이후와 교단 변경
장로교회에서 파면당한 후, 찰스 오거스터스 브릭스는 성공회로 방향을 돌렸다. 그는 1899년에 프로테스탄트 성공회의 사제로 서품되었다.
5. 주요 저서 및 학문적 기여
찰스 오거스터스 브릭스는 수많은 학술 저작을 남겼으며, 성경 연구 분야에 큰 기여를 했다.
그의 주요 저서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성경 연구: 원리, 방법 및 역사(Biblical Study: Its Principles, Methods and History영어, 1883)
- 창세기의 히브리어 시(Hebrew Poems of the Creation영어, 1884)
- 미국 장로교주의: 그 기원과 초기 역사(American Presbyterianism: Its Origin and Early History영어, 1885)
- 메시아적 예언(Messianic Prophecy영어, 1886)
- 성경 역사(Biblical history영어, 1889)
- 어디로? 시대를 위한 신학적 질문(Whither? A Theological Question for the Times영어, 1889)
- 성경의 권위(The Authority of the Holy Scripture영어, 1891)
- 성경, 교회 그리고 이성(The Bible, the Church and the Reason영어, 1892)
- 육경의 고등 비평(The Higher Criticism of the Hexateuch영어, 1893)
- 복음서의 메시아(The Messiah of the Gospels영어, 1894)
- 사도들의 메시아(The Messiah of the Apostles영어, 1894)
- 성경 연구의 일반 서론(General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Holy Scripture영어, 1899)
- 예수님의 생애에 대한 새로운 빛(New Light on the Life of Jesus영어, 1904)
- 예수님의 윤리적 가르침(The Ethical Teaching of Jesus영어, 1904)
- 시편에 대한 비평적 및 주석적 주해(A Critical and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Book of Psalms영어, 2권, 1906-1907): 이 작업은 그의 딸의 도움을 받아 진행되었다.
- 우리 주님의 동정녀 탄생(The Virgin Birth of Our Lord영어, 1909)
- 신학적 상징학(Theological Symbolics영어, 1914): 사후 출판됨.
학문적 기여로는, 그는 프랜시스 브라운과 새뮤얼 롤스 드라이버와 함께 빌헬름 게세니우스의 사전을 기반으로 한 개정판 히브리어-영어 사전(Hebrew and English Lexicon영어, 1891-1905), 일반적으로 BDB로 알려진 사전을 편찬했다. 또한 드라이버와 함께 국제 비평 주석 시리즈(The International Critical Commentary영어 series)를 편집했다.
6. 신학과 성경 비평
브릭스의 신학은 당시 주류 보수 신학과의 중요한 충돌 지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자유주의 신학의 입장에서 성경 비평학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발전시켰다. 그의 성경 비평학적 접근 방식은 성경을 단순히 신적인 영감으로 기록된 오류 없는 텍스트로만 보는 것을 넘어, 그 역사적, 문학적, 본문적 맥락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포함했다.
그는 이성과 교회가 성경 외에 신적 권위의 원천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함으로써, 개신교의 핵심 교리인 오직 성경(sola scriptura라틴어) 원칙에 도전했다. 또한 성경 원문에 오류가 존재할 수 있다는 주장은 성경의 무오류성을 믿는 보수주의자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모세오경과 이사야서의 저작권에 대한 그의 비판적 견해는 성경의 전통적인 해석과 저자론에 반대되는 것이었다.
그의 신학적 주장은 단순히 학술적 논쟁을 넘어, 당시 미국 개신교계에 광범위한 파급력을 미쳤으며, 신학적 보수주의와 자유주의 간의 근본적인 갈등을 심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7. 명예 학위 및 인정
찰스 오거스터스 브릭스는 그의 학문적 성과를 인정받아 여러 명예 학위를 수여받았다.
- 1884년: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명예 신학 박사(D.D.) 학위 수여.
- 1901년: 글래스고 대학교에서 명예 신학 박사(D.D.) 학위 수여.
- 1901년: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명예 문학 박사(D.Litt.) 학위 수여.
8. 개인 생활
찰스 오거스터스 브릭스의 개인 생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그의 저서 시편에 대한 비평적 및 주석적 주해를 집필할 때 그의 딸이 보조 역할을 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9. 사망
찰스 오거스터스 브릭스는 1913년 6월 8일에 사망했다.
10. 유산 및 평가
찰스 오거스터스 브릭스의 삶과 학문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미국 신학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유산은 학술적 기여와 지속적인 논란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평가된다.
10.1. 학술적 영향
브릭스는 미국에서 성경 비평학을 도입하고 발전시키는 데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 그의 저작과 편집 활동, 특히 히브리어-영어 사전과 국제 비평 주석 시리즈는 히브리어 연구 및 성경 주석 분야에 상당한 발전을 가져왔으며, 오늘날까지도 학자들에게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그는 자유주의 신학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보수적인 신학적 사고에 도전하여 신학적 담론의 지평을 넓히는 데 일조했다. 그의 작업은 성경을 더욱 깊이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접근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10.2. 논란과 비판
브릭스가 겪은 이단 재판은 19세기 말 미국 장로교회 내의 신학적 갈등, 특히 보수주의와 자유주의 신학 간의 긴장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사건으로 기록된다. 그의 성경 해석 방식과 신학적 주장은 전통적 교리와 정면으로 충돌했으며, 성경의 무오류성과 완전성을 훼손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일부 보수주의 신학자들은 그의 주장을 기독교 신앙의 근간을 흔드는 위험한 사상으로 간주했다. 또한, 일부 동료들조차 그의 강연 태도와 표현 방식이 '독단적이고 자극적'이었다고 평가할 만큼, 그의 성격과 언행이 논란을 더욱 심화시킨 측면도 있었다. 이러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브릭스의 이단 재판은 종교적 자유와 학문적 탐구의 경계를 시험하는 중요한 사례로 남아있다.
11. 같이 보기
- 프린스턴 신학교
- 유니언 신학교
- 장로교
- 찰스 호지
- 고등 비평
- 오직 성경
12. 외부 링크
- [https://archive.org/details/texts?query=creator%3A%22Briggs%2C+Charles+Augustus%22 인터넷 아카이브의 찰스 오거스터스 브릭스 저작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