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찰스 벨 경(Sir Charles Bell영어, 1774년 11월 12일 ~ 1842년 4월 28일)은 스코틀랜드의 저명한 외과의사, 해부학자, 생리학자, 신경학자, 예술가이자 철학적 신학자였다. 그는 척수 신경의 감각 신경과 운동 신경 간의 차이를 발견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특정 안면 신경 마비 증상인 벨 마비를 처음으로 기술했다. 그의 연구는 현대 신경학의 기초를 다졌으며, 해부학적 지식과 예술적 재능을 결합하여 인체 해부학 및 표현에 관한 중요한 저술과 삽화를 남겼다. 그는 또한 군의관으로서의 경험을 통해 외상 치료에 기여했고, 브리지워터 논고 중 '손'에 관한 저술로 신학적 탐구에도 참여했다.
2. 초기 생애 및 교육
찰스 벨은 어린 시절부터 형들의 영향을 받아 의학의 길에 들어섰으며, 동시에 뛰어난 예술적 재능을 발휘하여 해부학 학습에 예술을 접목하는 독특한 접근 방식을 개발했다.
2.1. 출생과 가족 배경
찰스 벨은 1774년 11월 12일 에든버러에서 스코틀랜드 성공회 목사인 윌리엄 벨 목사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찰스가 5세였던 1779년에 아버지가 사망하면서, 어머니는 그의 초기 교육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녀는 찰스에게 읽기와 쓰기를 가르쳤고, 유명한 스코틀랜드 화가 데이비드 앨런에게 정기적인 그림 및 회화 수업을 받도록 지원하며 그의 타고난 예술적 재능을 키워주었다.
찰스의 세 형제 또한 각자의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로버트 벨(1757~1816)은 신호원 서기였고, 존 벨(1763~1820)은 저명한 외과의사이자 작가였다. 조지 조지프 벨(1770~1843)은 변호사이자 에든버러 대학교의 법학 교수, 그리고 스코틀랜드 민사법원의 수석 서기로 활동했다.
2.2. 교육 및 예술 훈련
찰스 벨은 에든버러에서 성장하며 권위 있는 로열 하이 스쿨에 재학했다(1784~1788). 학업 성적은 뛰어나지 않았지만, 그는 형 존의 발자취를 따라 의학의 길을 걷기로 결심했다. 1792년, 찰스 벨은 에든버러 대학교에 입학하여 형 존의 외과 견습생으로 일하기 시작했다. 대학 재학 중 그는 더갈드 스튜어트의 정신 철학 강의를 수강했으며, 이 강의는 벨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쳐 그의 후기 저서인 『손에 관한 논고(Treatise on the Hand)』의 일부 구절에 스튜어트의 가르침이 반영되었다. 해부학 수업 외에도 벨은 자신의 예술적 기술을 연마하기 위해 드로잉 수업을 들었다. 그는 또한 학생 신분으로 왕립 의학회의 회원이 되어 1837년 학회 100주년 기념 행사에서 연설하기도 했다.
1798년 에든버러 대학교를 졸업한 벨은 곧이어 에든버러 왕립 외과 대학에 입학하여 해부학을 가르치고 에든버러 왕립 진료소에서 수술을 집도했다. 외과의사로서의 재능을 키우는 동안, 벨의 관심은 해부학과 예술을 결합하는 분야로 확대되었다. 그는 형의 4권짜리 저서 『인체 해부학(The Anatomy of the Human Body)』의 3권과 4권을 1803년에 전적으로 집필하고 삽화를 그렸으며, 1798년과 1799년에는 자신만의 삽화집인 『해부 시스템(System of Dissections)』을 출판하면서 타고난 예술적 재능을 발휘했다. 또한 벨은 임상 경험과 예술적 안목을 활용하여 흥미로운 의학 사례들을 밀랍으로 모형화하는 취미를 가졌다. 그는 이를 통해 광범위한 수집품을 축적하여 자신의 해부학 박물관이라 칭했는데, 그 중 일부는 오늘날에도 외과의사 회관 박물관에서 볼 수 있다.
존 벨과 에든버러 대학교의 교수진인 알렉산더 먼로 2세와 존 그레고리 사이의 불화로 인해 찰스 벨의 에든버러 생활은 오래가지 못했다. 존 그레고리는 왕립 진료소의 의장이었으며, 단 6명의 정규 외과 의사만이 진료소에서 일할 수 있다고 선언했다. 벨 형제는 이 명단에 포함되지 않아 왕립 진료소에서 의료 행위를 할 수 없게 되었다. 형의 불화에 직접적으로 연루되지 않았던 찰스 벨은 대학에 100 기니와 자신의 해부학 박물관을 제공하는 대신, 왕립 진료소에서 행해지는 수술을 관찰하고 스케치할 수 있도록 허가해 달라는 제안을 했지만 거절당했다.
3. 전문 경력
찰스 벨은 에든버러에서의 제약으로 인해 런던으로 이주하여 전문적인 의학 및 교육 활동을 시작했으며, 군의관으로서 귀중한 외과적 경험을 쌓고 주요 학술 기관에서 교수직을 역임하며 그의 학문적 성취를 높였다.
3.1. 런던으로의 이주와 초기 활동
1804년, 찰스 벨은 런던으로 이주하여 1805년에는 레스터 스퀘어에 집을 구입하며 정착했다. 이 집에서 벨은 의대생, 의사, 예술가들을 대상으로 해부학 및 외과 강의를 진행했다.
3.2. 군 복무 및 외과적 경험
1809년, 벨은 코루냐 전투에서 퇴각한 수천 명의 병든 병사들과 부상자들을 치료하기 위해 자원한 민간 외과의사들 중 한 명이었다. 6년 후인 1815년, 그는 워털루 전투의 여파로 발생한 병든 병사들과 부상자들을 다시 자원하여 치료했다. 안타깝게도 그의 12건의 사지 절단 수술 사례 중 단 한 명만이 생존했다. 그는 총상 부상에 크게 매료되어 1814년 『총상 논고(Dissertation on Gunshot Wounds)』를 출판했다. 그의 총상 삽화 중 다수는 에든버러 왕립 외과 대학 회관에 전시되어 있다. 또한 그는 하슬라 왕립 병원에서 신경학적 부상에 대한 정교한 기록을 남겼으며, 워털루에서의 경험을 상세히 기록했다. 3일 밤낮으로 그는 브뤼셀의 헌병 병원에서 프랑스 병사들을 수술했다. 프랑스 병사들의 상태는 매우 좋지 않았고, 많은 환자가 수술 직후 사망했다. 벨의 수술 보조원 중 한 명이었던 로버트 녹스 박사는 벨의 수술 기술에 비판적이었으며, 벨의 수술 능력에 대해 상당히 부정적으로 언급하기도 했다 (벨이 수행한 사지 절단 수술의 사망률은 약 90%에 달했다).
3.3. 학술적 임용 및 교육 활동
1811년, 찰스 벨은 매리언 쇼와 결혼했다. 아내의 지참금으로 벨은 해부학자 윌리엄 헌터가 설립한 그레이트 윈드밀 스트리트 해부학 학교의 지분을 매입했다. 벨은 자신의 진료실을 윈드밀 스트리트 학교로 옮겨 1824년까지 학생들을 가르치고 연구를 수행했다. 1813년에서 1814년 사이, 그는 런던 외과 대학의 회원 및 미들섹스 병원의 외과의사로 임명되었다.
벨은 미들섹스 병원 의과대학 설립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1824년에는 런던 왕립 외과 대학의 초대 해부학 및 외과 교수가 되었다. 같은 해 벨은 자신의 3,000점 이상의 밀랍 모형 컬렉션을 에든버러 왕립 외과 대학에 3000 GBP에 매각했다.
1829년, 윈드밀 스트리트 해부학 학교는 새로운 킹스 칼리지 런던에 통합되었다. 벨은 초대 생리학 교수로 초빙되어 런던 대학교 의과대학 설립을 도왔고, 공식 개교식에서 취임 연설을 했으며, 심지어 인증 프로그램 요구 사항에도 기여했다. 그러나 벨의 의과대학 체류는 오래가지 못했는데, 학술 직원들과의 의견 차이로 인해 교수직을 사임했다. 이후 7년 동안 벨은 미들섹스 병원에서 임상 강의를 진행했으며, 1835년 존 윌리엄 터너 교수의 요절에 따라 에든버러 대학교의 외과 교수직을 수락했다.
1833년에는 로열 겔프 훈장의 기사 작위를 받았다.
4. 과학 및 의학적 기여
찰스 벨은 신경학, 해부학, 생리학 분야에서 혁신적인 발견과 이론을 제시하며 현대 의학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
4.1. 감각 신경과 운동 신경의 구분 발견
벨은 1811년에 개인적으로 유포한 저서 『뇌의 새로운 해부학적 아이디어(An Idea of a New Anatomy of the Brain)』에서 상세한 신경계 연구를 발표했다. 이 책에서 벨은 뇌의 여러 부분과 연결되어 각기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신경 통로에 대한 자신의 아이디어를 설명했다. 이를 조사하기 위한 그의 실험은 토끼의 척수를 절개하고 척수의 다른 부분을 건드리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그는 전방 기둥(anterior columns)을 자극하면 근육의 경련을 일으키는 반면, 후방 기둥(posterior columns)을 자극하면 눈에 띄는 효과가 없음을 발견했다. 이러한 실험을 통해 벨은 자신이 감각 신경과 운동 신경을 구별한 최초의 인물이라고 선언했다. 이 논문은 많은 사람들에게 임상 신경학의 초석으로 여겨지지만, 벨의 동료들에게는 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의 실험은 비판을 받았고, 그가 제시한 전방 및 후방 신경근이 각각 대뇌와 소뇌에 연결되어 있다는 아이디어는 거부되었다. 더욱이, 벨의 1811년 '원본' 논문은 벨이 나중에 주장한 것처럼 운동 및 감각 신경근에 대한 명확한 설명을 실제로 포함하고 있지 않았으며, 그는 이후 텍스트를 미묘하게 변경하여 날짜를 잘못 기재한 수정본을 발행한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찰스 벨은 인체 뇌 해부학 연구를 계속했으며, 뇌와 연결된 신경에 초점을 맞췄다. 1821년, 벨은 『신경에 관하여: 시스템의 새로운 배열로 이어지는 구조와 기능에 대한 일부 실험 기록(On the Nerves: Giving an Account of some Experiments on Their Structure and Functions, Which Lead to a New Arrangement of the System)』을 왕립 학회 철학회보에 발표했다. 이 논문에는 벨의 가장 유명한 발견인 안면 신경, 즉 제7뇌신경이 근육 운동 신경이라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이는 외과의사들이 안면 신경통 치료를 시도하며 이 신경을 종종 절단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발견이었는데, 이로 인해 환자는 종종 현재 벨 마비로 알려진 안면 근육의 편측 마비를 겪게 되었다. 이러한 발표로 인해 찰스 벨은 신경해부학의 과학적 연구와 임상 실습을 결합한 최초의 의사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척수 신경의 전근이 운동 섬유만을 포함하고 후근이 감각 섬유만을 포함한다는 벨-마장디 법칙(Bell-Magendie law)은 벨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4.2. 신경계 연구와 벨 마비
벨은 안면 표정 근육과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던 중, 안면 신경의 손상으로 발생하는 편측 마비 증상을 발견하고 이를 벨 마비(Bell's palsy)로 명명했다. 이는 특별한 원인 없이 안면 근육의 움직임이 상실되는 질환으로, 벨의 연구는 이 질환의 신경학적 기원을 규명하고 진단에 중요한 기준을 제시했다.
4.3. 표현의 해부학과 그 영향
벨의 감정 표현에 대한 연구는 찰스 다윈의 인간 감정 생활 기원에 대한 고찰 발전에 촉매 역할을 했다. 다윈은 벨의 신학적 주장은 거부했지만, 호흡근의 표현적 역할에 대한 벨의 강조에는 크게 동의했다. 다윈은 이러한 견해를 정신과 의사 제임스 크라이턴-브라운과의 적극적인 협력 하에 집필한 그의 저서 『인간과 동물의 감정 표현(The Expression of the Emotions in Man and Animals)』(1872)에 자세히 기술했다.
벨은 화가와 삽화가들을 위한 얼굴 표정의 해부학 및 생리학 개념에 대한 최초의 논문인 『회화에서의 표현 해부학 논고(Essays on the Anatomy of Expression in Painting)』(1806)를 저술했다. 이 책은 1824년에 『표현의 해부학과 철학 논고(Essays on The Anatomy and Philosophy of Expression)』로 재출판되었다. 이 저서에서 벨은 자연 신학의 원리를 따르며, 창조주와 독특한 관계를 맺는 인류를 위해 특별히 고안된 인간의 얼굴 근육 체계의 존재를 주장했는데, 이는 윌리엄 페일리의 사상과 일맥상통했다.
4.4. 브리지워터 논고: 손
1829년, 제8대 브리지워터 백작 프랜시스 에저튼이 사망하면서 유언으로 왕립 학회 회장에게 상당한 액수의 돈을 남겼다. 유언에는 이 돈을 사용하여 '신의 능력, 지혜, 선함'에 대한 천 부의 논문을 저술, 인쇄, 출판하도록 명시되어 있었다. 왕립 학회 회장 데이비스 길버트는 이 주제에 대한 별도의 논문을 작성할 여덟 명의 학자를 임명했다. 1833년, 벨은 네 번째 브리지워터 논고인 『손: 설계를 보여주는 그 메커니즘과 생명력 있는 재능(The Hand: Its Mechanism and Vital Endowments as Evincing Design)』을 출판했다. 찰스 벨은 『손』의 네 가지 판본을 출판했다. 처음 몇 장에서 벨은 자신의 논고를 비교 해부학의 초기 교과서로 구성했다. 이 책에는 인간의 손, 침팬지의 앞발, 물고기의 더듬이 등 다양한 유기체의 "손"을 비교하는 그림들이 가득하다. 처음 몇 장을 넘어서 벨은 자신의 논고를 손의 중요성과 해부학에서의 그 중요성에 초점을 맞춘다. 그는 손이 외과 분야에서 눈만큼 중요하며 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5. 예술 작품
찰스 벨은 의학적 지식과 예술적 재능을 결합하여 인체의 구조와 질병의 표현을 담아낸 정교한 해부학 삽화와 그림들을 제작했다.
5.1. 해부학 삽화 및 출판물
찰스 벨은 해부학 지식과 예술적 안목을 결합하여 매우 상세하고 아름답게 삽화된 여러 권의 책을 저술한 다작의 작가였다. 1799년, 벨은 자신의 첫 저서인 『해부 시스템: 인체 해부학, 부분 전시 방법 및 질병에서의 다양성 설명(A System of Dissections, explaining the Anatomy of the Human Body, the manner of displaying Parts and their Varieties in Disease)』을 출판했다. 그의 두 번째 저서는 1803년에 형의 4권짜리 『인체 해부학(The Anatomy of the Human Body)』을 완성한 것이었다. 같은 해 벨은 『동맥의 조각(Engravings of the Arteries)』, 『뇌의 조각(Engravings of the Brain)』, 『신경의 조각(Engravings of the Nerves)』이라는 세 가지 시리즈의 삽화집을 출판했다. 이 삽화집들은 복잡하고 상세한 해부학적 그림들로 구성되었으며, 라벨과 인체에서의 기능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 함께 제공되어 미래의 의대생들을 위한 교육 도구로 출판되었다. 특히 『뇌의 조각』은 벨이 신경계의 조직을 완전히 밝히려는 첫 출판 시도였기에 중요하다. 이 저서의 서문에서 벨은 뇌와 그 내부 작용의 모호한 본질에 대해 언급했는데, 이는 그의 남은 생애 동안 그의 관심을 사로잡을 주제였다. 그는 또한 자신의 여러 저서에서 밀랍 모형과 상세한 해부학 및 외과 삽화, 그림, 판화 등 다양한 예술적, 과학적, 문학적, 교육적 재능을 결합했으며, 그의 저서 『외과 대수술 삽화: 천공술, 탈장, 절단술, 동맥류, 결석 절제술(Illustrations of the Great Operations of Surgery: Trepan, Hernia, Amputation, Aneurism, and Lithotomy)』(1821) 등이 그 예시이다.
5.2. 그림 및 스케치

찰스 벨은 의학적 지식뿐만 아니라 뛰어난 예술적 재능을 바탕으로 여러 그림과 스케치를 남겼다. 대표작으로는 '광인(The Maniac)' (1806)과 '파상풍 환자의 후궁경련(Opisthotonus, Tetanus)' (1809) 등이 있다. 그는 또한 군 복무 중 총상으로 인한 상처들을 세밀하게 묘사한 삽화들을 제작하기도 했다.
6. 이념 및 철학
찰스 벨의 사상은 자연 신학에 깊이 뿌리를 두고 있으며, 특히 인간의 신체, 그중에서도 '손'을 통해 신의 섭리와 설계를 증명하려 했다. 그는 인간의 얼굴 근육 체계가 창조주와의 독특한 관계를 가진 인류를 위해 특별히 고안된 것이라고 주장하며, 이는 윌리엄 페일리와 같은 자연 신학자들의 이상과 유사했다.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더갈드 스튜어트의 정신 철학 강의를 수강했던 경험은 그의 후기 저서, 특히 『손에 관한 논고』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그의 사상적 배경에 깊이를 더했다.
7. 명예 및 수상
찰스 벨은 생전에 여러 학술적 명예와 상을 통해 그의 공헌을 인정받았다.
- 1807년 6월 8일, 로버트 제임슨, 윌리엄 라이트, 토머스 맥나이트의 추천으로 에든버러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1836년부터 1839년까지 에든버러 왕립 학회의 평의원으로 활동했다.
- 1826년 11월 16일, 런던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 과학 분야의 수많은 발견으로 왕립 학회 금메달을 수상했다.
- 1831년, 하노버 왕실 훈장의 기사 작위를 받았다.
- 리처드 오언 경과 마찬가지로 스웨덴 왕립 과학원의 해외 회원으로도 선출되었다.
8. 개인 생활
찰스 벨은 1811년에 매리언 쇼와 결혼하여 가정을 꾸렸다. 그의 개인적인 삶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많이 알려져 있지 않지만, 그의 결혼은 윈드밀 스트리트 해부학 학교의 지분을 매입하는 데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9. 사망
찰스 벨은 1842년 4월 28일, 에든버러에서 런던으로 여행하던 중 우스터셔주 핼로우 근처 핼로우 파크에서 사망했다. 그는 핼로우 교회 묘지에 안장되었다.
10. 유산 및 영향
찰스 벨의 혁신적인 발견과 연구 이론은 후대 과학 및 의학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이름은 여러 중요한 의학 용어와 기관에 남아 그의 유산을 기리고 있다.
10.1. 벨의 이름이 붙은 발견들
벨의 이름은 다음을 포함한 여러 의학 용어 및 법칙에 붙여졌다.
- 벨 신경 (Bell's nerve): 긴가슴신경. 외부 호흡 신경으로도 불린다.
- 벨 마비 (Bell's palsy): 안면 신경의 병변으로 인해 발생하는 안면 근육의 편측성 특발성 마비.
- 벨 현상 (Bell's phenomenon): 개인이 눈을 강제로 감을 때 나타나는 정상적인 방어 기전으로, 눈이 위쪽과 바깥쪽으로 움직이는 현상. 눈둘레근 마비 환자(예: 길랑-바레 증후군 또는 벨 마비)에게서 임상적으로 관찰될 수 있는데, 환자가 눈을 감으려 할 때 눈꺼풀이 올라간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이다.
- 벨 경련 (Bell's spasm): 안면 근육의 불수의적인 경련.
- 벨-마장디 법칙 (Bell-Magendie law) 또는 벨 법칙: 척수 신경근의 전근은 운동 섬유만을 포함하고, 후근은 감각 섬유만을 포함한다는 법칙이다.
10.2. 후대 과학 사상에 미친 영향
찰스 벨은 신경해부학의 과학적 연구와 임상 실습을 결합한 선구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의 신경학 및 해부학 연구는 후대 의학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신경계에 대한 이해의 기초를 제공하여 현대 신경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그의 감정 표현 연구는 찰스 다윈이 『인간과 동물의 감정 표현』(1872)을 집필하는 데 중요한 영감을 주었다.
10.3. 기념물 및 기관
찰스 벨을 기리기 위해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의 일부인 찰스 벨 하우스(Charles Bell House)가 설립되었으며, 이 건물은 외과 교육 및 연구에 사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