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선수 경력
조일로 알몬테는 미국 프로야구에서 데뷔한 이후 멕시코 리그, 일본 프로야구, KBO 리그 등 다양한 리그에서 활동하며 커리어를 쌓아 올렸다. 그의 선수 경력은 여러 차례의 이적과 리그 복귀를 거치며 이어졌다.
1.1. 미국 프로야구 시절
알몬테는 미국 메이저 리그 (MLB) 및 그 산하 마이너 리그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
1.1.1. 뉴욕 양키스
2005년 7월 2일, 조일로 알몬테는 국제 아마추어 자유 계약 선수 신분으로 뉴욕 양키스와 계약을 맺고 프로에 입단했다. 그는 2006년 도미니칸 서머 리그 양키스에서 프로 데뷔를 했다. 2007년에는 루키 리그인 걸프 코스트 리그 양키스에서 50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68, 3홈런, 24타점을 기록했다. 2008년에도 같은 팀에서 57경기 타율 .239를 기록했다. 2009년에는 로우-A 스태튼 아일랜드 양키스에서 69경기에 출전, 타율 .274, 7홈런, 39타점, 15도루를 기록했다. 2010년에는 싱글-A 찰스턴 리버 도그스에서 58경기 타율 .278, 10홈런, 35타점을 기록했고, 6월에 하이-A 탬파 양키스로 승격되어 63경기 타율 .261, 3홈런, 26타점을 기록했다.
2011년에는 탬파 양키스에서 70경기 타율 .293, 12홈런, 54타점, 14도루를 기록했으며, 7월에 더블-A 트렌턴 선더로 승격되어 46경기 타율 .251, 3홈런, 23타점을 기록했다. 2011년 시즌 후 룰 5 드래프트를 통해 다른 팀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11월 18일 양키스의 40인 로스터에 포함되었다. 2012년에는 더블-A 트렌턴 선더에서 106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77, 21홈런 (커리어 하이), 70타점, 15도루를 기록했으며, 6월 11일부터 17일까지 이스턴 리그 이주의 선수로 선정되기도 했다.
2013년 시즌은 트리플-A 스크랜턴/윌크스-배리 레일라이더스에서 시작했으며, 5월 6일 인터내셔널 리그 이주의 선수로 선정될 만큼 좋은 활약을 펼쳤다. 당시 양키스는 부상자와 타격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6월 들어 브렛 가드너와 이치로만이 월간 타율 3할을 넘기는 상황이었다. 외야수층이 얇아져 급기야는 1루수였던 라일 오버베이를 외야수로 기용하는 상황까지 발생했다. 이에 트리플-A에서 꾸준히 좋은 성적을 내던 알몬테는 2013년 6월 19일 메이저 리그로 승격되었다. 같은 날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의 더블헤더 2차전에서 대타로 출전하며 메이저 리그 데뷔전을 치렀으나 9회말 3루수 땅볼로 물러났다. 다음 날 탬파베이 레이스와의 경기에서 카일 판스워스를 상대로 3루 베이스에 맞는 대타 안타를 기록하며 메이저 리그 첫 안타를 신고했다. 이틀 뒤 같은 레이스전에서는 로베르토 에르난데스를 상대로 불펜으로 넘어가는 홈런을 쳐내며 메이저 리그 첫 홈런과 타점을 기록했고, 커튼콜을 받기도 했다. 7월 20일 발목 염좌로 부상자 명단에 올랐다가 9월 9일 복귀했다. 그의 신인 시즌 최종 타율은 .236, 출루율 .274, 장타율 .302였으며 9타점을 기록했다.
2014년 시즌은 스크랜턴에서 시작했으며, 시즌 초 몇 달 동안 양키스와 스크랜턴을 오갔다. 33경기에서 타율 .273, 6홈런, 24타점, 9도루를 기록하며 5월 13일 메이저 리그로 다시 승격되었으나, 9경기에서 타율 .158에 그치며 6월 3일 트리플-A로 강등되었다. 7월 9일 다나카 마사히로가 15일짜리 부상자 명단에 오르면서 다시 메이저 리그에 콜업되었으나, 7월 13일 구원 투수의 휴식 때문에 브라이언 미첼이 승격되면서 다시 트리플-A로 내려갔다. 7월 28일에는 투수 제프 프랜시스가 양도 지명 및 방출되면서 로스터에 다시 합류했으나, 9월 2일 양도 지명되었고, 9월 5일 트리플-A 스크랜턴으로 완전 이적되었다. 2014년 11월 3일 자유 계약 선수를 선언했다.

1.1.2.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2014년 11월 10일, 알몬테는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와 1년 계약을 맺었다. 그러나 2015년 3월 31일 로스터에서 제외되었고, 4월 9일 자유 계약을 선언하며 브레이브스 산하 마이너 리그에서의 짧은 기간을 마무리했다.
1.2. 멕시코 리그 시절
미국 프로야구 이후 알몬테는 멕시코 프로야구 리그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1.2.1. 푸에블라 패러츠
2016년 2월 1일, 알몬테는 멕시코 리그의 푸에블라 패러츠와 계약했다. 그는 팀에서 7경기만 출전하여 타율 .250, 출루율 .344, 장타율 .321에 1타점을 기록하는 짧은 기간을 보냈다.
1.2.2. 몬테레이 술탄네스 (첫 번째 계약)
2016년 4월 12일, 알몬테는 푸에블라 패러츠에서 몬테레이 술탄네스로 트레이드되었다. 그는 몬테레이에서 시즌을 마쳤으며, 타율 .288, 출루율 .350, 장타율 .495에 20홈런, 77타점을 기록했고 멕시코 리그 올스타에 선정되었다. 다음 시즌인 2017년에도 타율 .355, 출루율 .421, 장타율 .536, 15홈런, 70타점을 기록하며 다시 올스타에 선정되는 등 뛰어난 활약을 보였다.
1.3. 일본 프로야구 시절
멕시코 리그에서의 성공적인 활약을 바탕으로, 알몬테는 일본 프로야구 (NPB) 무대에 진출하게 된다.
1.3.1. 주니치 드래건스 (첫 번째 계약)
2017년 12월 26일, 조일로 알몬테는 주니치 드래건스와 1년 계약을 맺고 공식적으로 영입이 발표되었다. 계약금은 5천만 엔 (5000.00 만 JPY)에 인센티브가 포함되었으며, 등번호는 42번을 부여받았다. 그는 이전부터 NPB 구단에서의 플레이에 관심을 보여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2018년 시범경기에서 3월 20일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와의 경기에서 만루 홈런을 터뜨리는 등 타율 .280, 4홈런, 11타점을 기록하며 좋은 모습을 보였다. 3월 30일 히로시마 도요 카프와의 개막전에 3번 좌익수로 선발 출전하며 NPB 공식 경기에 데뷔했다. 개막 초에는 수비 불안이 먼저 화제가 되었지만, 곧 타격으로 일본 야구에 적응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4월 8일 한신 타이거스와의 경기에서 4안타 4타점을 기록하며 승리에 기여했고, 이 경기를 시작으로 6경기 연속 타점을 기록했다. 4월 12일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와의 경기에서는 좌타석에서 우익 스탠드 5층석으로 날아가는 초대형 2점 홈런을 기록했다. 개막 15경기 (4월 15일 기준)를 마쳤을 때 타율 .407 (리그 2위), 24안타 (리그 1위), 4홈런 (리그 2위), 15타점 (리그 1위)이라는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며, 특히 득점권 타율은 .625 (16타수 10안타)로 클러치 히터로서의 면모를 과시하며 강렬한 시즌 초반을 보냈다. 5월에는 25경기 모두 3번 타자로 출전하여 타율 .371, 5홈런, 21타점 (리그 공동 2위), 36안타 (리그 1위)를 기록했다. 23경기에서 안타를 기록했고, 10경기에서 멀티히트를 기록하는 등 맹활약을 펼쳤다. 이러한 활약으로 센트럴 리그 타자 부문 월간 MVP를 수상했다.
7월 21일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와의 경기에서 왼 손목 통증으로 7월 22일 출장 선수 등록에서 말소되었으나, 8월 1일 1군에 복귀한 뒤 8경기 연속 안타를 기록했다. 왼 손목 통증의 영향으로 일시적으로 컨디션이 저하되기도 했으나, 9월 11일 한신 타이거스전에서는 1회 선제 13호 3점 홈런, 9회 역전 2점 적시타를 터뜨리며 일본 진출 후 개인 최다인 5타점을 기록했다. 최종적으로 타율 .321 (리그 5위), 15홈런, 77타점 (리그 공동 10위)으로 시즌을 마쳤다. 또한 리그 공동 1위인 37개의 2루타를 기록했다. 2019년 시즌을 앞두고 주니치 드래건스와 1억 엔 (1.00 억 JPY)의 1년 계약을 맺고 재계약했다.
2019년에는 개막 선발로 출전했으나 14타수 무안타로 타격 부진에 빠졌다. 이후 후쿠다 노부마사와 좌익수 포지션 경쟁을 벌였지만, 득점권 타율이 1할 미만으로 떨어지는 등 부진을 겪었다. 여기에 외국인 선수 쿼터 문제까지 겹치면서 4월 25일 등록 말소되었다. 이후 2군에서 지내다 7월 6일 1군에 승격되어 대타로 출전하기 시작했고, 이후 '3번 좌익수'로 자리를 잡았다. 하지만 8월 13일 한신전에서 오른쪽 허벅지 부상을 입어 시즌 중 복귀가 어려워졌다. 오프시즌에는 구단으로부터 육성 선수 계약을 제안받았지만, 최종적으로 지배하 선수 신분을 유지하게 되었다.
2020년 6월 30일 한신 타이거스전에서 노미 아쓰시를 상대로 NPB에서는 처음으로 만루 홈런을 기록했지만, 왼쪽 옆구리 통증으로 7월 3일 출장 선수 등록에서 제외되었다. 8월 11일 히로시마와의 2군 경기에서 실전 복귀했고, 같은 달 14일 1군에 승격되었다. 승격 당일 출전한 요미우리 자이언츠전에서는 NPB에서 처음으로 우익수 포지션을 맡았다. 10월에는 타율 .419 (43타수 18안타), 1홈런, 7타점을 기록하며 타격감을 회복했다. 9월 19일 한신전부터 10월 15일 같은 팀과의 경기까지 21경기 연속 안타 (9월 8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전부터는 30경기 연속 출루)를 이어가던 중, 10월 15일 경기 1회 타석에서 우전 안타를 기록한 후 5회 수비에서 다리에 불편함을 호소하며 교체되었고, 16일 1군 출장 선수 등록에서 말소되었다. 그는 이 시즌에 타율 .294, 9홈런, 29타점을 기록했으나, 부상으로 62경기 출장에 그쳤다. 2020년 11월 8일, 주니치 드래건스는 엔니 로메로, 샌디 브리토, 모이세 시에라, 루이스 곤살레스와 함께 알몬테의 다음 시즌 계약을 체결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주니치에서의 첫 번째 활동 기간 동안 그는 3년 동안 타율 .316, 31홈런, 131타점을 기록했다.
1.4. KBO 리그 시절
일본 프로야구에서의 계약 만료 후, 알몬테는 대한민국의 KBO 리그로 새로운 도전을 시작했다.
1.4.1. kt 위즈
2020년 12월 23일, 알몬테는 KBO 리그의 kt 위즈와 1년에 총액 77.50 만 USD 계약을 맺고 영입되었다. 이는 멜 로하스 주니어의 대체 야수 영입이었다. 그는 kt 위즈에서 60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71, 출루율 .336, 장타율 .404에 7홈런, 36타점을 기록했다. 그러나 오래전부터 있었던 하체 부상과 6월에 발생한 오른쪽 아킬레스건 염좌로 인해 1군에서 말소되었고, 수비에서도 약점을 보이며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결국 2021년 6월 26일, 새로 영입된 제러드 호잉에게 로스터 자리를 내주며 팀에서 방출되었다.
1.5. 멕시코 리그 재복귀
KBO 리그에서의 계약 만료 이후 알몬테는 다시 멕시코 리그로 복귀했다.
1.5.1. 몬테레이 술탄네스 (두 번째 계약)
2022년 1월 31일, 알몬테는 친정팀인 멕시코 리그의 몬테레이 술탄네스와 재계약했다. 이 시즌에 그는 90경기에서 타율 .322, 27홈런, 95타점을 기록하며 좋은 활약을 보였다.
1.6. 일본 프로야구 재복귀
멕시코 리그에서의 뛰어난 활약 덕분에 알몬테는 다시 일본 프로야구 무대로 돌아올 기회를 얻었다.
1.6.1. 주니치 드래건스 (두 번째 계약)
2022년 11월 22일, 알몬테는 2023년 시즌을 앞두고 옛 소속팀인 주니치 드래건스와 재계약했음이 발표되었다. 3년 만의 복귀였으며, 등번호는 96번을 부여받았다. (첫 번째 주니치 시절 등번호 42번은 브라이트 겐타가 착용하고 있다.)
주니치 복귀가 결정되었을 때, 알몬테의 첫 주니치 시절 코치였던 나카무라 다케시는 "개인적으로는 최고로 좋아하는 사람"이라고 그의 인품을 높이 평가했지만, "장타력은 그렇게 기대할 수 없다. 수비력도 그렇게 좋지는 않다"고 선수로서의 능력에 대해서는 다소 비판적인 평가를 내렸다. 나카무라 외에도 평론가들과 구단 내부에서도 알몬테의 재영입에 대한 의문이 컸다.
시즌이 시작되자 이러한 우려는 현실이 되었다. 그는 28경기 출전에 타율 .189, 1홈런, 2타점에 그치며 전혀 전력에 도움이 되지 못했다. 시즌 종료 후 전력외 통보를 받고 팀을 떠났다.
1.7. 멕시코 리그 재재복귀
일본 프로야구에서의 부진 끝에 알몬테는 다시 멕시코 리그로 돌아갔다.
1.7.1. 몬테레이 술탄네스 (세 번째 계약)
2024년 1월 17일, 알몬테는 다시 몬테레이 술탄네스로 복귀하는 것이 발표되었다. 그는 몬테레이에서 78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326, 출루율 .375, 장타율 .599, 22홈런, 63타점을 기록하며 건재함을 과시했다.
2. 선수 특징 및 개인 생활
조일로 알몬테는 스위치 히터로서의 타격 스타일과 그의 상징적인 외모, 그리고 영향을 받은 인물들로 잘 알려져 있다.
2.1. 플레이 스타일 및 수비
알몬테는 스위치 히터로, 타격에서는 '중장거리 타자' 유형으로 평가된다. NPB에서는 주로 좌익수로 뛰었지만, MLB (마이너 리그 포함)와 멕시코 리그에서는 중견수, 우익수 포지션도 경험했다. 2020년 시즌 중에는 일부 보도에서 그의 수비가 불안정하다는 우려가 제기되기도 했다.
2.2. 별명 및 상징
알몬테의 별명 중 하나는 스페인어로 '망치'를 뜻하는 '마르티요'(Martillo스페인어)이다. 또한 그의 독특한 턱수염이 특징으로, 주니치 드래건스에서는 '턱수염 스위치포'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팬들에게 큰 사랑을 받았다. 프로 선수 생활 초기에 뉴욕 양키스 소속이었을 때는 구단의 엄격한 용모 규정 (단정한 콧수염은 허용되나, 지저분한 수염은 금지하는 전통적인 방침) 때문에 수염을 면도해야 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한다. 그의 트레이드마크인 턱수염은 2017년 멕시코 리그에서 2년차 시즌부터 기르기 시작했는데, 그 시즌에 타격 성적이 크게 향상되면서 본인 스스로 '행운의 수염'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주니치에 입단한 이유 중 하나도 '수염을 계속 기를 수 있는' 허가를 받았기 때문이었다고 알려져 있다.
2.3. 영향을 준 인물
알몬테가 존경하는 인물은 아길라스 시바에냐스에서 팀 동료였던 매니 라미레스이다. 알몬테는 매니 라미레스의 등 뒤를 항상 지켜보며 그의 승부 근성을 동경했다고 밝혔다.
3. 상세 기록
조일로 알몬테의 프로 경력 전반에 걸친 구체적인 통계 및 기록은 다음과 같다.
3.1. 연도별 타격 성적
| 연도 | 팀 | 경기 | 타석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루실패 | 희생번트 | 희생플라이 | 볼넷 | 고의사구 | 사구 | 삼진 | 병살타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 2013 | NYY | 34 | 113 | 106 | 9 | 25 | 4 | 0 | 1 | 32 | 9 | 3 | 1 | 0 | 1 | 6 | 0 | 0 | 19 | 2 | .236 | .274 | .302 | .576 |
| 2014 | 13 | 36 | 36 | 2 | 5 | 0 | 0 | 1 | 8 | 3 | 1 | 0 | 0 | 0 | 0 | 0 | 0 | 14 | 1 | .139 | .139 | .222 | .361 | |
| 2018 | 주니치 | 132 | 546 | 498 | 56 | 160 | 37 | 0 | 15 | 242 | 77 | 1 | 1 | 0 | 3 | 44 | 1 | 1 | 95 | 16 | .321 | .375 | .486 | .861 |
| 2019 | 49 | 174 | 164 | 19 | 54 | 8 | 0 | 7 | 83 | 25 | 0 | 1 | 0 | 1 | 8 | 1 | 1 | 37 | 6 | .329 | .362 | .506 | .868 | |
| 2020 | 62 | 247 | 214 | 32 | 63 | 9 | 0 | 9 | 99 | 29 | 1 | 0 | 0 | 1 | 30 | 2 | 2 | 42 | 9 | .294 | .385 | .463 | .847 | |
| 2021 | KT | 60 | 250 | 225 | 18 | 61 | 9 | 0 | 7 | 91 | 36 | 1 | 0 | 0 | 2 | 22 | 0 | 1 | 50 | 9 | .271 | .336 | .404 | .740 |
| 2023 | 주니치 | 28 | 54 | 53 | 3 | 10 | 1 | 0 | 1 | 14 | 2 | 0 | 0 | 0 | 0 | 1 | 0 | 0 | 18 | 2 | .189 | .204 | .264 | .468 |
| MLB 통산 (2년) | 47 | 149 | 142 | 11 | 30 | 4 | 0 | 2 | 40 | 12 | 4 | 1 | 0 | 1 | 6 | 0 | 0 | 33 | 3 | .211 | .242 | .282 | .523 | |
| NPB 통산 (4년) | 271 | 1021 | 929 | 110 | 287 | 55 | 0 | 32 | 438 | 133 | 2 | 2 | 0 | 5 | 83 | 4 | 4 | 192 | 33 | .309 | .366 | .471 | .838 | |
| KBO 통산 (1년) | 60 | 250 | 225 | 18 | 61 | 9 | 0 | 7 | 91 | 36 | 1 | 0 | 0 | 2 | 22 | 0 | 1 | 50 | 9 | .271 | .336 | .404 | .740 | |
- 2023년 시즌 종료 기준
3.2. 연도별 수비 성적
| 연도 | 팀 | 좌익 (LF) | 우익 (RF) | 외야 | |||||||||||||||
|---|---|---|---|---|---|---|---|---|---|---|---|---|---|---|---|---|---|---|---|
| 경기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경기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경기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
| 2013 | NYY | 25 | 49 | 0 | 0 | 0 | 1.000 | 3 | 7 | 0 | 0 | 0 | 1.000 | - | |||||
| 2014 | 6 | 13 | 1 | 0 | 0 | 1.000 | 4 | 6 | 0 | 0 | 0 | 1.000 | - | ||||||
| 2018 | 주니치 | - | - | 122 | 178 | 5 | 3 | 0 | .984 | ||||||||||
| 2019 | - | - | 43 | 61 | 0 | 0 | 0 | 1.000 | |||||||||||
| 2020 | - | - | 59 | 77 | 2 | 0 | 0 | 1.000 | |||||||||||
| 2021 | KT | 35 | 52 | 1 | 2 | 0 | .964 | - | - | ||||||||||
| 2023 | 주니치 | - | - | 11 | 13 | 0 | 1 | 0 | .929 | ||||||||||
| MLB | 31 | 62 | 1 | 0 | 0 | 1.000 | 7 | 13 | 0 | 0 | 0 | 1.000 | - | ||||||
| NPB | - | - | 235 | 329 | 7 | 4 | 0 | .988 | |||||||||||
| KBO | 35 | 52 | 1 | 2 | 0 | .964 | - | - | |||||||||||
- 2023년 시즌 종료 기준
3.3. 수상 및 표창
- 월간 MVP: 1회 (야수 부문: 2018년 5월)
3.4. 주요 기록
- NPB 첫 기록**:
- 첫 출장·첫 선발 출장: 2018년 3월 30일,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1차전 (마쓰다 줌줌 스타디움 히로시마), 3번 좌익수로 선발 출장.
- 첫 타석: 상동, 1회초 노무라 유스케로부터 유격수 플라이.
- 첫 안타: 상동, 6회초 노무라 유스케로부터 우전 안타.
- 첫 타점·첫 홈런: 2018년 3월 31일,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2차전 (마쓰다 줌줌 스타디움 히로시마), 8회초 이치오카 류지로부터 우월 솔로 홈런.
- 첫 도루: 2018년 7월 4일, 대 한신 타이거스 13차전 (한신 고시엔 구장), 3회초 2루 도루 (투수: 후지나미 신타로, 포수: 우메노 류타로).
- MLB 주요 기록**:
- 첫 메이저 리그 안타: 2013년 6월 20일, 탬파베이 레이스전에서 카일 판스워스를 상대로 대타 안타.
- 첫 메이저 리그 홈런: 2013년 6월 21일, 탬파베이 레이스전에서 로베르토 에르난데스를 상대로 홈런.
- NPB 연속 기록**:
- 2020년 9월 19일 한신 타이거스전부터 10월 15일 같은 팀과의 경기까지 21경기 연속 안타.
- 2020년 9월 8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전부터 30경기 연속 출루.
- MLB 기록**:
- 2013년 6월 19일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의 더블헤더 2차전에서 대타로 출전하며 메이저 리그 데뷔.
3.5. 등번호
- 45 (2013년 뉴욕 양키스)
- 63 (2013년 뉴욕 양키스)
- 24 (2014년 뉴욕 양키스)
- 18 (2016년 ~ 2017년 몬테레이 술탄네스)
- 42 (2018년 ~ 2020년 주니치 드래건스)
- 4 (2021년 kt 위즈)
- 96 (2023년 주니치 드래건스)
3.6. 등장곡
- 『Bye Bye』모차르트 라 파라 (Mozart La Para) ft. 리로 샤크 (Liro Shaq) & 침발라 (Chimbala) (2018년)
- 『신타카라지마』사카낙션 (Sakanaction) (2018년 시즌 중)
- 주니치 드래건스의 열렬한 팬인 록 밴드 사카낙션의 야마구치 이치로가 직접 제공을 요청하여 한때 사용하기도 했다.
- 『Culpables』알라 하자 (Ala Jaza) (201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