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Early life and background
장닝은 1975년 5월 19일 중국 랴오닝성 진저우시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오른손잡이 선수로, 키는 1.75 m, 몸무게는 64 kg이다.
2. Playing style
장닝의 플레이 스타일은 여성 선수들 중에서도 비교적 공격적이고 강력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녀는 드롭샷과 컷샷을 활용한 공격에 능했으며, 신장 1.75 m의 장신임에도 불구하고 코트 전체를 커버하는 뛰어난 풋워크를 자랑했다. 그녀의 미스샷은 세계 최고 수준으로 적었으며, 모든 샷을 동일한 폼에서 구사하여 상대방이 샷의 코스를 예측하기 매우 어렵게 만들었다. 랠리의 속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하고 상대를 코트의 네 모서리로 몰아붙이는 일관된 샷과 속임수, 그리고 끊임없는 압박으로 경기를 주도하는 능력이 특히 돋보였다.
3. Career
장닝은 1990년대 중반부터 국제 오픈 대회에서 여러 차례 우승하며 뛰어난 실력을 보여주었다. 그녀는 1994년 우버컵(여자 세계 팀 선수권 대회)에 처음으로 중국 대표로 참가했으며, 2006년까지 이 대회에 중국 대표로 마지막으로 출전했다. 비록 격년으로 열리는 이 대회에 항상 선발된 것은 아니었지만, 그녀의 우버컵 출전 기간은 역대 중국 선수들 중 가장 길다.
3.1. Early career and breakthrough
장닝은 1990년대 중반부터 다수의 국제 오픈 타이틀을 획득했지만, 세계 무대에서 지배적인 선수로 자리매김한 것은 2003년 세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에서였다. 당시 28세였던 장닝은 결승에 진출하여 동료 궁루이나를 11-6, 11-3으로 손쉽게 꺾고 우승을 차지하며 전 세계에 자신의 존재감을 각인시켰다.
3.2. Olympic successes
2004년, 장닝은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중국 대표로 배드민턴 여자 단식에 출전했다. 그녀는 스웨덴의 마리나 안드리옙스카야와 영국의 켈리 모건을 처음 두 라운드에서 물리쳤다. 8강에서는 홍콩의 왕천을 9-11, 11-6, 11-7으로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으며, 준결승에서는 동료 저우미를 11-6, 11-4로 이겼다. 결승에서는 네덜란드의 미아 아우디나를 8-11, 11-6, 11-7로 물리치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는 10년 전 우버컵의 결정적인 경기에서 아우디나에게 패했던 29세 장닝에게 통쾌한 설욕전이었다. 이 올림픽 우승으로 그녀는 세계 선수권 대회와 올림픽에서 연달아 우승을 차지한 세계에서 세 명뿐인 단식 선수 중 한 명이 되었는데, 다른 선수들은 수시 수산티와 타우픽 히다얏이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장닝은 3라운드에서 대한민국의 전재연을 꺾고 8강에 진출했다. 이어서 프랑스의 5번 시드 피훙옌과 인도네시아의 마리아 크리스틴 율리안티를 각각 21-15, 21-15로 제압하며 결승에 올랐다. 결승에서는 세계 랭킹 1위이자 동료인 셰싱팡과 맞붙어 어려운 3세트 접전 끝에 21-12, 10-21, 21-18으로 승리하며 금메달을 방어했다. 33세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올림픽 단식 타이틀을 방어한 최초의 배드민턴 선수가 되었으며, 2008년 베이징 올림픽 폐막식에서 중국 선수단의 기수로도 선정되었다.
3.3. Key rivalries and later career
2005년, 장닝은 차이나 오픈에서 셰싱팡을 3-11, 11-4, 11-8로 꺾었지만, 2005년 세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 결승에서는 셰싱팡에게 8-11, 11-9, 3-11로 패했다.
2006년에도 장닝은 다시 세계 선수권 대회 결승에 진출했지만, 셰싱팡을 넘어서지 못하고 16-21, 14-21로 패배했다. 하지만 재팬 오픈에서는 셰싱팡에게 21-11, 16-21, 30-29로 승리하며 설욕했다. 이는 두 선수의 국제 대회 19번째 맞대결이었고, 전적은 9대9 동률이 되었다. 같은 해, 네덜란드의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자 로엘 반 달렌은 장닝의 삶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올림픽 여정 - 베이징으로 가는 길(Olympic Journey - The Road to Beijing)'을 제작하여 전 세계에 방영했다.
2007년에는 싱가포르 오픈에서 여섯 번의 출전 중 다섯 번째 우승을 차지하며 셰싱팡을 21-18, 19-21, 21-3으로 꺾었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셰싱팡이 3라운드에서 말레이시아의 웡뮤추에게 패하면서 장닝이 우승 후보로 부상했지만, 준결승에서 왕천에게 저지당했다. 이는 2007년에 인도네시아 오픈에 이어 왕천에게 두 번째 패배였다. 장닝의 동료인 주린이 이어서 왕천을 결승에서 21-8, 21-12로 꺾고 우승했다. 베이징 굿 럭 초청 대회에서는 준결승에서 주린과 맞붙을 예정이었으나 부상으로 기권했다.
덴마크 오픈에서는 결승에 진출했지만, 허벅지 부상으로 인해 동료 루란에게 17-21, 14-21로 패했다. 프랑스 오픈 준결승에서도 현지 희망인 피훙옌에게 뜻밖의 패배를 당했다. 차이나 오픈에서는 준결승에서 말레이시아의 웡뮤추에게 완패했다. 장닝은 패배의 주된 이유로 부상과 피로를 꼽았다.
2008년 시즌은 말레이시아 오픈 1라운드 탈락으로 시작했다. 이 대회에서 그녀는 어린 팀 동료들을 지도하는 모습도 보였다. 코리아 오픈에서는 8강에서 전 동료이자 현재 홍콩 대표로 뛰는 저우미에게 패했다. 전영 오픈에서는 장닝과 셰싱팡이 1, 2번 시드였음에도 불구하고 1라운드에서 탈락했다. 하지만 두 선수 모두 스위스 오픈에서 강하게 반등하여 결승에 진출하며 22번째 국제 맞대결을 펼쳤다. 장닝에게 결승 진출은 이전 세 번의 대회에서 8강을 통과하지 못했던 터라 큰 위안이 되었다. 그러나 셰싱팡이 장닝을 21-18, 21-17로 꺾으면서 두 선수의 상대 전적은 11대11 동률이 되었다.
4. Retirement and coaching career
2008년 올림픽 이후 은퇴할 계획을 이미 발표했던 장닝은 2008년 11월 상하이에서 열린 차이나 오픈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에서 다른 은퇴하는 중국 배드민턴 국가대표팀 선수들과 함께 은퇴식을 가졌다. 그녀는 2008년 11월 23일 상하이 차이나 오픈 배드민턴 행사에서 다른 5명의 중국 국가대표팀 동료들과 함께 은퇴를 기념하는 상을 받으며 눈물을 흘렸다. 은퇴 후 장닝은 곧바로 중국 국가대표팀에서 코치로 활동하며 유망한 여자 단식 선수들을 육성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2018년 우버컵에서 팀의 저조한 성적을 이유로 그녀는 뤄이강에게 중국 여자 배드민턴팀 코치직을 넘겨주게 되었다.
5. Major achievements and honors
5.1. Tournament results
장닝은 선수 생활 동안 수많은 국제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하며 배드민턴 역사에 큰 족적을 남겼다. 다음은 그녀의 주요 국제 대회 경기 결과이다.
연도 | 대회 | 상대 | 점수 | 결과 | |
---|---|---|---|---|---|
올림픽 배드민턴 여자 단식 | |||||
2004 | 2004 아테네 | 미아 아우디나 | 8-11, 11-6, 11-7 | 금메달 | |
2008 | 2008 베이징 | 셰싱팡 | 21-12, 10-21, 21-18 | 금메달 | |
세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 여자 단식 | |||||
2001 | 2001 세비야 | 저우미 | 5-11, 9-11 | 동메달 | |
2003 | 2003 버밍엄 | 궁루이나 | 11-6, 11-3 | 금메달 | |
2005 | 2005 애너하임 | 셰싱팡 | 8-11, 11-9, 3-11 | 은메달 | |
2006 | 2006 마드리드 | 셰싱팡 | 16-21, 14-21 | 은메달 | |
2007 | 2007 쿠알라룸푸르 | 왕천 | 11-21, 15-21 | 동메달 | |
배드민턴 월드컵 여자 단식 | |||||
2005 | 2005 이양 | 셰싱팡 | 19-21, 16-21 | 은메달 | |
2006 | 2006 이양 | 왕이한 | 19-21, 18-21 | 동메달 | |
배드민턴 아시아 선수권 대회 여자 단식 | |||||
1999 | 1999 쿠알라룸푸르 | 예자오잉 | 8-11, 5-11 | 은메달 | |
2001 | 2001 마닐라 | 왕천 | 11-1, 11-3 | 금메달 | |
2002 | 2002 방콕 | 저우미 | 11-6, 3-11, 8-11 | 은메달 | |
배드민턴 아시안컵 여자 단식 | |||||
1996 | 1996 서울 | 쩡야충 | 5-11, 11-2, 11-4 | 금메달 | |
동아시아 경기 대회 여자 단식 | |||||
1993 | 1993 상하이 | 선롄펑 | 8-11, 8-11 | 동메달 | |
동아시아 경기 대회 여자 복식 | |||||
1993 | 1993 상하이 | 친이위안 | 김신영, 손혜주 | 12-15, 11-15 | 은메달 |
연도 | 대회 | 상대 | 점수 | 결과 | |
---|---|---|---|---|---|
BWF 슈퍼시리즈 여자 단식 | |||||
2007 | 스위스 오픈 | 루란 | 21-16, 21-18 | 우승 | |
2007 | 싱가포르 오픈 | 셰싱팡 | 21-18, 19-21, 21-3 | 우승 | |
2007 | 차이나 마스터스 | 셰싱팡 | 11-21, 21-8, 21-23 | 준우승 | |
2007 | 덴마크 오픈 | 루란 | 17-21, 14-21 | 준우승 | |
2008 | 스위스 오픈 | 셰싱팡 | 18-21, 17-21 | 준우승 | |
IBF 월드 그랑프리 여자 단식 | |||||
1994 | 프랑스 오픈 | 류위훙 | 7-11, 11-7, 11-7 | 우승 | |
1994 | 브루나이 오픈 | 후닝 | 11-3, 6-11, 11-6 | 우승 | |
1996 | 스웨덴 오픈 | 라경민 | 6-11, 11-2, 11-4 | 우승 | |
1996 | 말레이시아 오픈 | 왕천 | 11-7, 11-8 | 우승 | |
1996 | 차이나 오픈 | 왕천 | 11-6, 11-6 | 우승 | |
1998 | 전영 오픈 | 예자오잉 | 5-11, 8-11 | 준우승 | |
1998 | 말레이시아 오픈 | 다이윈 | 11-1, 11-3 | 우승 | |
1998 | 월드 그랑프리 파이널 | 다이윈 | 11-8, 11-7 | 우승 | |
2001 | 싱가포르 오픈 | 다이윈 | 7-1, 4-7, 7-2 | 우승 | |
2002 | 코리아 오픈 | 궁루이나 | 7-0, 5-7, 7-1, 7-2 | 우승 | |
2002 | 싱가포르 오픈 | 저우미 | 6-11, 3-11 | 준우승 | |
2002 | 인도네시아 오픈 | 궁루이나 | 6-11, 7-11 | 준우승 | |
2002 | 차이나 오픈 | 궁루이나 | 5-11, 8-11 | 준우승 | |
2003 | 스위스 오픈 | 왕천 | Walkover | 우승 | |
2003 | 싱가포르 오픈 | 저우미 | 11-0, 11-8 | 우승 | |
2003 | 독일 오픈 | 카밀라 마르틴 | 11-7, 11-3 | 우승 | |
2003 | 홍콩 오픈 | 궁루이나 | 11-5, 11-9 | 우승 | |
2004 | 코리아 오픈 | 전재연 | 11-6, 11-5 | 우승 | |
2004 | 말레이시아 오픈 | 저우미 | 9-11, 11-7, 11-8 | 우승 | |
2004 | 싱가포르 오픈 | 저우미 | 11-8, 11-1 | 우승 | |
2005 | 독일 오픈 | 셰싱팡 | 5-11, 4-11 | 준우승 | |
2005 | 전영 오픈 | 셰싱팡 | 3-11, 9-11 | 준우승 | |
2005 | 재팬 오픈 | 셰싱팡 | 11-7, 11-8 | 우승 | |
2005 | 싱가포르 오픈 | 저우미 | 11-5, 11-7 | 우승 | |
2005 | 말레이시아 오픈 | 주린 | 11-6, 11-2 | 우승 | |
2005 | 차이나 마스터스 | 저우미 | 11-3, 5-11, 11-3 | 우승 | |
2005 | 홍콩 오픈 | 셰싱팡 | 11-4, 1-11, 11-6 | 우승 | |
2005 | 차이나 오픈 | 셰싱팡 | 3-11, 11-4, 11-8 | 우승 | |
2006 | 독일 오픈 | 루란 | 11-8, 11-3 | 우승 | |
2006 | 전영 오픈 | 셰싱팡 | 6-11, 11-4, 2-11 | 준우승 | |
2006 | 차이니스 타이베이 오픈 | 셰싱팡 | 21-15, 21-15 | 우승 | |
2006 | 말레이시아 오픈 | 트레이시 홀럼 | 21-12, 21-13 | 우승 | |
2006 | 홍콩 오픈 | 셰싱팡 | Walkover | 준우승 | |
2006 | 재팬 오픈 | 셰싱팡 | 21-11, 16-21, 30-29 | 우승 | |
2006 | 차이나 오픈 | 야오제 | 21-14, 21-5 | 우승 | |
IBF 월드 그랑프리 여자 복식 | |||||
1993 | 네덜란드 오픈 | 조앤 구드 | 피나르시, 릴리 탐피 | 9-15, 3-15 | 준우승 |
선수 | 매치 | 승 | 패 | 전적 | |
---|---|---|---|---|---|
황자치 | 黄家琪Huáng Jiāqí중국어 | 3 | 3 | 0 | +3 |
페티야 네델체바 | Петя НеделчеваPetya Nedelcheva불가리아어 | 4 | 4 | 0 | +4 |
다이윈 | 戴韫Dài Yùn중국어 | 8 | 6 | 2 | +4 |
궁루이나 | 龚睿那Gōng Ruìnà중국어 | 9 | 4 | 5 | -1 |
궁즈차오 | 龚智超Gōng Zhìchāo중국어 | 4 | 2 | 2 | 0 |
한징나 | 韩晶娜Hán Jīngnà중국어 | 2 | 0 | 2 | -2 |
루란 | 卢兰Lú Lán중국어 | 4 | 3 | 1 | +2 |
왕린 | 王琳Wáng Lín중국어 | 2 | 1 | 1 | 0 |
왕이한 | 王仪涵Wáng Yíhán중국어 | 4 | 3 | 1 | +2 |
셰싱팡 | 谢杏芳Xiè Xìngfāng중국어 | 23 | 12 | 11 | +1 |
야오옌 | 姚燕Yáo Yàn중국어 | 2 | 1 | 1 | 0 |
예자오잉 | 叶釗穎Yè Zhāoyǐng중국어 | 4 | 0 | 4 | -4 |
주린 | 朱琳Zhū Lín중국어 | 3 | 3 | 0 | +3 |
청샤오제 | 鄭韶婕Zhèng Sháojié중국어 | 2 | 2 | 0 | +2 |
티네 바운 | Tine BaunTine Baun덴마크어 | 5 | 4 | 1 | +3 |
카밀라 마르틴 | Camilla MartinCamilla Martin덴마크어 | 15 | 9 | 6 | +3 |
메테 쇠렌센 | Mette SørensenMette Sørensen덴마크어 | 2 | 2 | 0 | +2 |
트레이시 홀럼 | Tracey HallamTracey Hallam영어 | 6 | 6 | 0 | +6 |
피훙옌 | 皮红艳Pí Hóngyàn중국어 | 17 | 14 | 3 | +11 |
페트라 오버치어 | Petra OverzierPetra Overzier독일어 | 2 | 2 | 0 | +2 |
율리아네 솅크 | Juliane SchenkJuliane Schenk독일어 | 5 | 5 | 0 | +5 |
쉬화이원 | 徐懷雯Xú Huáiwén중국어 | 3 | 3 | 0 | +3 |
왕천 | 王晨Wáng Chén중국어 | 17 | 14 | 3 | +11 |
입푸이인 | 葉姵延Yip Pui Yin중국어 | 5 | 4 | 1 | +3 |
저우미 | 周蜜Zhōu Mì중국어 | 20 | 8 | 12 | -4 |
사이나 네왈 | सायना नेहवालSaina Nehwal힌디어 | 1 | 1 | 0 | +1 |
수시 수산티 | Susi SusantiSusi Susanti인도네시아어 | 6 | 1 | 5 | -4 |
마리아 크리스틴 율리안티 | Maria Kristin YuliantiMaria Kristin Yulianti인도네시아어 | 3 | 2 | 1 | +1 |
미즈이 야스코 | 水井泰子Mizui Yasuko일본어 | 3 | 3 | 0 | +3 |
웡뮤추 | Wong Mew ChooWong Mew Choo말레이어 | 8 | 7 | 1 | +6 |
미아 아우디나 | Mia AudinaMia Audina인도네시아어 | 13 | 7 | 6 | +1 |
방수현 | 4 | 0 | 4 | -4 | |
김지현 | 2 | 0 | 2 | -2 | |
림 샤오칭 | Lim XiaoqingLim Xiaoqing스웨덴어 | 5 | 0 | 5 | -5 |
팀 이벤트 | 1993 | 1994 |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
우버컵 | NH | S | NH | S | NH | A | NH | A | NH | A | NH | G | NH | G | NH |
수디르만컵 | A | NH | A | NH | A | NH | A | NH | A | NH | A | NH | G | NH | G |
아시안 게임 배드민턴 | NH | A | NH | G | NH | G | NH | G | NH | ||||||
동아시아 경기 대회 배드민턴 | G | NH | A | NH |
토너먼트 | 1993 | 1994 |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
올림픽 배드민턴 | NH | A | NH | A | NH | G | NH | G | ||||||||
세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 | R64 | NH | QF | NH | QF | NH | QF | NH | B | NH | G | NH | S | S | B | NH |
배드민턴 월드컵 | A | NH | S | B | NH | |||||||||||
아시안 게임 배드민턴 | NH | A | NH | A | NH | A | NH | QF | NH | |||||||
배드민턴 아시아 선수권 대회 | 3R | QF | A | S | A | G | S | A | ||||||||
배드민턴 아시안컵 | NH | G | NH | |||||||||||||
동아시아 경기 대회 배드민턴 | B | NH | A | NH |
토너먼트 |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
---|---|---|---|---|---|---|---|---|---|---|---|---|---|---|---|---|---|---|---|
연말 파이널 | A | RR | W | RR | A | NH | A | ||||||||||||
차이나 오픈 | 1R | QF | 2R | QF | W | 2R | NH | 2R | NH | SF | F | QF | QF | W | W | SF | A | ||
전영 오픈 | A | 3R | 3R | 3R | QF | F | A | QF | A | QF | SF | SF | F | F | SF | 1R | |||
재팬 오픈 | A | QF | QF | A | QF | 1R | SF | SF | QF | SF | W | W | QF | A | |||||
말레이시아 오픈 | 2R | A | 2R | QF | W | A | W | QF | A | QF | W | W | W | A | 1R | ||||
싱가포르 오픈 | 2R | NH | 3R | A | NH | SF | QF | A | NH | W | F | W | W | W | A | W | A | ||
홍콩 오픈 | A | SF | 2R | A | NH | A | NH | W | NH | W | F | 2R | A | ||||||
인도네시아 오픈 | 2R | A | 3R | 3R | A | F | QF | A | QF | SF | |||||||||
코리아 오픈 | A | SF | QF | NH | QF | A | 2R | W | A | W | A | QF | |||||||
덴마크 오픈 | A | 2R | A | SF | QF | A | SF | A | F | A | |||||||||
독일 오픈 | A | 1R | A | NH | A | W | A | F | W | A | |||||||||
스웨덴 오픈 | A | 1R | W | QF | SF | A | NH | ||||||||||||
스위스 오픈 | A | W | SF | A | W | F | |||||||||||||
차이나 마스터스 | NH | W | QF | F | A | ||||||||||||||
태국 오픈 | A | QF | A | QF | NH | QF | A | NH | A | ||||||||||
브루나이 오픈 | A | W | A | NH | SF | NH | |||||||||||||
차이니스 타이베이 오픈 | A | NH | SF | A | NH | A | W | A | |||||||||||
네덜란드 오픈 | A | 1R | A | NH | A | SF | A | ||||||||||||
프랑스 오픈 | A | W | A | NH | SF | A | |||||||||||||
캐나다 오픈 | A | QF | NH | A | NH | A | NH | ||||||||||||
마카오 오픈 | NH | A | NH | QF | A | ||||||||||||||
US 오픈 | A | 3R | A |
- 참고: G: 금메달, S: 은메달, B: 동메달, W: 우승, F: 결승 진출, SF: 준결승 진출, QF: 8강 진출, R#: #라운드, RR: 라운드 로빈 단계, Q#: 예선 라운드, A: 불참, NH: 개최되지 않음, N/A: 해당 없음, DNQ: 예선 탈락.*
5.2. Records and accolades
장닝은 올림픽 여자 단식에서 2연패를 달성한 유일한 배드민턴 선수라는 독보적인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2003년 세계 챔피언에 등극했으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총 5개의 메달(금메달 1개, 은메달 2개, 동메달 2개)을 획득했다. 1994년 우버컵에 처음 출전한 이래 2006년까지 오랜 기간 중국 대표팀으로 활약하며 중국 선수 중 가장 긴 우버컵 출전 기간을 기록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 폐막식에서는 중국 선수단의 기수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6. Legacy and influence
장닝은 배드민턴 역사상 가장 위대한 여자 단식 선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늦은 나이까지 세계 최고 수준의 기량을 유지하며 두 차례의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한 그녀의 경력은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그녀의 끈기, 뛰어난 기술력, 그리고 강한 정신력은 후대 선수들에게 귀감이 되었으며, 특히 중국 배드민턴 국가대표팀의 여자 단식 부문에서 새로운 세대를 이끄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은퇴 후 코치로서의 활동 역시 중국 배드민턴의 지속적인 강세에 기여했다. 장닝은 올림픽 배드민턴 단식 2연패라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통해 배드민턴 스포츠 역사에 불멸의 유산을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