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Overview
잘롤리딘 마샤리포프(Jaloliddin Masharipov잘롤리딘 마샤리포프우즈베크어; Жалолиддин Машарипов잘롤리딘 마샤리포프우즈베크어; 1993년 9월 1일 출생)는 우즈베키스탄의 프로 축구 선수로, 현재 이란의 페르시안 걸프 프로리그 소속 클럽 에스테글랄에서 윙어 또는 미드필더로 활약하고 있으며,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이다. 그는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PFC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알 나스르, 샤바브 알아흘리, 판세라이코스 등 여러 클럽을 거치며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특히 파흐타코르 타슈켄트와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소속으로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와 우즈베키스탄컵을 여러 차례 우승하였고, 샤바브 알아흘리에서는 UAE 리그컵과 UAE 프레지던츠컵 우승을 경험했다. 개인적으로는 2020년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 어시스트상, AFC 챔피언스리그 베스트 미드필더(서부) XI, 우즈베키스탄 축구 협회 선정 올해의 선수상, 그리고 2023년 AFC 아시안컵 토너먼트 팀에 선정되는 등 다수의 영예를 안았다.
2. Early life and background
2.1. Birth and upbringing
잘롤리딘 마샤리포프는 1993년 9월 1일 우즈베키스탄 우르겐치에서 태어났다.
3. Club career
잘롤리딘 마샤리포프는 여러 클럽에서 활약하며 다양한 리그와 컵 대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2013년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의 강호 파흐타코르 타슈켄트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 2020 시즌까지 파흐타코르 소속으로 모든 대회를 통틀어 170경기에 출전하여 32골을 기록했으며, 팀의 리그 4회 우승(2014, 2015, 2019, 2020), 우즈벡컵 2회 우승(2019, 2020), 2019년 우즈벡 리그컵 우승에 기여했다. 특히 2020 시즌에는 35경기에서 9골 22도움을 기록하며 팀의 핵심 선수로 활약했다. 하지만 2020년 AFC 챔피언스리그 8강전에서 페르세폴리스와의 경기에서 이른 시간에 레드카드를 받아 퇴장당하며 팀의 패배에 큰 영향을 미쳤다.
2017 시즌에는 같은 지역 연고팀인 PFC 로코모티프 타슈켄트로 임대 이적하여 33경기 8골을 기록했으며, 로코모티프의 리그 우승과 컵대회 우승을 이끌며 더블 달성에 기여했다.
2020년 7월에는 튀르키예 쉬페르리그 팀인 트라브존스포르와 이적설이 있었으나, 이는 성사되지 않았다.
2020년 12월 26일, 그는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의 알 나스르와 계약을 체결했다. 이후 한 달 만인 2021년 1월, 그는 아랍에미리트 클럽 샤바브 알아흘리로 6개월 임대 이적했다. 샤바브 알아흘리에서 그는 2020-21년 UAE 리그컵 우승과 2020-21년 UAE 프레지던츠컵 우승에 기여했으며, UAE 리그컵 결승전에서는 맨 오브 더 매치에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임대 복귀 후 알 나스르에서 등번호 7번을 달고 뛰었으나, 2023년 1월 크리스티아누 호날두가 알 나스르에 입단하면서 호날두가 상징적인 등번호 7번을 착용할 수 있도록 자신의 등번호를 77번으로 변경했다. 2023년 8월 17일, 알 나스르는 마샤리포프와의 계약이 상호 합의 하에 종료되었음을 발표했다.
2023년 9월 27일, 마샤리포프는 그리스 슈퍼리그 클럽 판세라이코스와 1년 계약을 맺었다. 그러나 2024년 1월 31일, 판세라이코스는 마샤리포프의 팀 탈퇴를 발표했다. 이후 그는 이란의 에스테글랄에 합류하여 현재까지 활약하고 있다.
4. International career
잘롤리딘 마샤리포프는 우즈베키스탄의 연령별 대표팀과 성인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하며 국제 무대에서 다양한 경험을 쌓았다.
그는 2013년부터 우즈베키스탄 U-20 대표팀에서 뛰었으며, 튀르키예에서 열린 2013년 FIFA U-20 월드컵 본선 5경기에 모두 출전하여 팀이 2011년 FIFA U-17 월드컵 이후 2년 만에 우즈베키스탄 축구 역사상 두 번째로 FIFA 주관 대회 8강에 진출하는 데 기여했다.
우즈베키스탄 U-23 대표팀 소속으로는 AFC U-23 챔피언십 2016과 2018년 아시안 게임에 출전했다. 특히 2015년 태국에서 열린 킹스컵에 참가했는데, 2월 1일 대한민국 U-23 대표팀과의 경기에서 강상우의 가슴을 발로 차는 비신사적인 행위로 전반전에 레드카드를 받고 퇴장당했다. 이 사건은 같은 팀 동료인 토히르욘 샴시디노프가 심상민의 얼굴을 가격하는 추가적인 비신사적 행위와 함께 대한민국 축구팬들은 물론 영국, 아일랜드 등 전 세계 외신으로부터 거센 비난을 받았다. 이 사태로 인해 우즈베키스탄 축구 협회는 대한축구협회에 공식 사과 공문을 보냈고, 마샤리포프와 샴시디노프는 남은 경기 출장 금지 처분을 받았다. 또한 당시 우즈베키스탄 U-23 대표팀 감독이었던 슈흐라트 막수도프는 선수 관리 소홀에 대한 책임을 지고 경질되었다.

그는 2016년 10월 6일 이란과의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경기에서 후반 61분 사르도르 라시도프와 교체 투입되며 국제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 2019년 1월 13일 투르크메니스탄과의 2019년 AFC 아시안컵 F조 2차전에서 A매치 데뷔골을 기록하며 팀의 4-0 대승에 기여했다.
하지만 2018년 아시안 게임에서는 와일드카드로 출전했음에도 불구하고 8강전에서 대한민국과의 연장 접전 끝에 패배하여 4강 진출이 좌절되자, 심판에게 거세게 항의하다가 경기 종료 후 레드카드를 받고 퇴장당하는 불명예를 안았다.
5. Career statistics
5.1. Club statistics
2024년 6월 1일 기준
| 클럽 | 시즌 | 리그 | 국내 컵 | 리그 컵 | 대륙 대회 | 기타 | 합계 | |||||||
|---|---|---|---|---|---|---|---|---|---|---|---|---|---|---|
| 디비전 | 경기 | 득점 | 경기 | 득점 | 경기 | 득점 | 경기 | 득점 | 경기 | 득점 | 경기 | 득점 | ||
|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 2013 | 우즈벡 리그 | 0 | 0 | 1 | 0 | 0 | 0 | 0 | 0 | - | 1 | 0 | |
| 2014 | 우즈벡 리그 | 12 | 0 | 5 | 1 | 0 | 0 | - | - | 17 | 1 | |||
| 2015 | 우즈벡 리그 | 22 | 3 | 6 | 0 | 0 | 0 | 6 | 0 | 1 | 0 | 35 | 3 | |
| 2016 | 우즈벡 리그 | 30 | 7 | 2 | 0 | - | 6 | 1 | 1 | 0 | 39 | 8 | ||
| 2018 |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 | 29 | 4 | 4 | 1 | - | 1 | 0 | - | 34 | 5 | |||
| 2019 |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 | 25 | 4 | 4 | 2 | 4 | 2 | 8 | 1 | - | 41 | 9 | ||
| 2020 |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 | 23 | 6 | 4 | 1 | - | 8 | 2 | - | 35 | 9 | |||
| 합계 | 141 | 24 | 26 | 5 | 4 | 2 | 29 | 4 | 2 | 0 | 202 | 35 | ||
|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임대) | 2017 | 우즈벡 리그 | 27 | 6 | 6 | 2 | - | 6 | 1 | - | 39 | 9 | ||
| 알 나스르 | 2021-22 |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 | 26 | 2 | 0 | 0 | - | 3 | 2 | - | 29 | 4 | ||
| 2022-23 |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 | 14 | 0 | 1 | 0 | - | - | 1 | 0 | 16 | 0 | |||
| 합계 | 40 | 2 | 1 | 0 | - | 3 | 2 | 1 | 0 | 45 | 4 | |||
| 샤바브 알아흘리 (임대) | 2020-21 | UAE 프로리그 | 12 | 2 | 2 | 0 | 3 | 0 | 4 | 0 | - | 21 | 2 | |
| 판세라이코스 | 2023-24 | 그리스 슈퍼리그 | 7 | 0 | 1 | 0 | - | - | - | 8 | 0 | |||
| 에스테글랄 | 2023-24 | 페르시안 걸프 프로리그 | 14 | 2 | 1 | 0 | - | - | - | 15 | 2 | |||
| 총합 | 241 | 36 | 37 | 7 | 7 | 2 | 42 | 7 | 3 | 0 | 330 | 52 | ||
5.2. International statistics
2024년 6월 11일 경기 기준
| 국가대표팀 | 연도 | 경기 | 득점 |
|---|---|---|---|
| 우즈베키스탄 | |||
| 2016 | 4 | 0 | |
| 2017 | 6 | 1 | |
| 2018 | 4 | 0 | |
| 2019 | 13 | 1 | |
| 2020 | 4 | 0 | |
| 2021 | 7 | 3 | |
| 2022 | 6 | 4 | |
| 2023 | 11 | 3 | |
| 2024 | 9 | 0 | |
| 합계 | 64 | 12 | |
5.2.1. International goals
점수와 결과는 우즈베키스탄의 득점을 먼저 표기한다.
| No. | 날짜 | 경기장 | 상대팀 | 득점 | 결과 | 대회 |
|---|---|---|---|---|---|---|
| - | 2017년 8월 25일 | 마르카지 스타디움, 나망간, 우즈베키스탄 | 키르기스스탄 | 4-0 | 5-0 | 비공식 친선전 |
| 1. | 2019년 1월 13일 | 라시드 스타디움, 두바이, 아랍에미리트 | 투르크메니스탄 | 3-0 | 4-0 | 2019년 AFC 아시안컵 |
| - | 2021년 3월 26일 | 마르카지 스타디움, 나망간, 우즈베키스탄 | 가나 | 2-1 | 2-1 | 비공식 친선전 |
| 2. | 2021년 6월 7일 |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 리야드, 사우디아라비아 | 싱가포르 | 1-0 | 5-0 | 2022년 FIFA 월드컵 예선 |
| 3. | 2-0 | |||||
| 4. | 2021년 6월 11일 | 예멘 | 1-0 | 1-0 | ||
| 5. | 2022년 1월 27일 | 더 세븐스 스타디움, 두바이, 아랍에미리트 | 남수단 | 3-0 | 3-0 | 친선 경기 |
| 6. | 2022년 3월 29일 | 마르카지 스타디움, 나망간, 우즈베키스탄 | 우간다 | 1-0 | 4-2 | |
| 7. | 2022년 6월 8일 | 스리랑카 | 1-0 | 3-0 | 2023년 AFC 아시안컵 예선 | |
| 8. | 2022년 6월 14일 | 태국 | 1-0 | 2-0 | ||
| 9. | 2023년 6월 11일 | 밀리 스타디움,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 오만 | 1-0 | 3-0 | 2023년 CAFA 네이션스컵 |
| 10. | 2-0 | |||||
| 11. | 2023년 12월 25일 | 알 막툼 스타디움, 두바이, 아랍에미리트 | 키르기스스탄 | 3-1 | 4-1 | 친선 경기 |
| 12. | 2024년 9월 5일 | 밀리 스타디움,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0 | 1-0 | 2026년 FIFA 월드컵 예선 |
6. Honours
6.1. Club honours
-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 우승 (2014, 2015, 2019, 2020), 준우승 (2018)
- 우즈베키스탄컵: 우승 (2019, 2020), 준우승 (2018)
- 우즈베키스탄 리그컵: 우승 (2019)
- 우즈베키스탄 슈퍼컵: 준우승 (2015, 2016)
-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 우승 (2017)
- 우즈베키스탄컵: 우승 (2017)
- 샤바브 알아흘리
- UAE 프로리그: 3위 (2020-21)
- UAE 리그컵: 우승 (2020-21)
- UAE 프레지던츠컵: 우승 (2020-21)
6.2. Individual honours
-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 어시스트상: 2020
- 옵타 스포츠 선정 AFC 챔피언스리그 베스트 미드필더(서부) XI: 2020
- 우즈베키스탄 축구 협회 선정 올해의 선수: 2020
- UAE 리그컵 최우수선수상: 2020-21
- AFC 아시안컵 토너먼트 팀: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