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선수 경력
이현승은 프로 야구 선수로 데뷔하기 전부터 아마추어 야구 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며, 이후 현대 유니콘스와 우리 히어로즈를 거쳐 두산 베어스에서 전성기를 맞이했다.
1.1. 아마추어 시절
이현승은 학창 시절부터 야구 선수로서의 재능을 보였으며, 인하대학교 진학 후에는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어 국제 대회에서도 활약했다.
1.1.1. 어린 시절 및 학창 시절
이현승은 1983년 10월 11일 인천광역시에서 태어났다. 인천서화초등학교, 대헌중학교를 거쳐 동산고등학교에서 야구 선수로 활동했다. 고등학교 3학년이던 2002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에서 현대 유니콘스의 2차 3라운드(전체 34순위) 지명을 받았지만, 곧바로 프로에 입단하는 대신 인하대학교에 진학하기로 결정했다.
1.1.2. 대학교 및 아마추어 야구
이현승은 인하대학교 체육교육과 02학번으로 입학하여 대학 야구 무대에서 활약했다. 대학 졸업 후인 2006년에 현대 유니콘스에 입단하며 프로 선수로서의 경력을 시작했다.
1.1.3. 국가대표 경력 (아마추어)
이현승은 인하대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이던 2002년 대륙간컵에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의 최연소 선수로 선발되어 국제 무대에 데뷔했다. 그는 이 대회에서 좌완 스페셜리스트로 구원 등판하여 4이닝 무실점을 기록하며 팀의 은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2004년에는 대만 타이난시에서 열린 세계대학야구선수권대회에 다시 한번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으로 참가하여 오승환, 장원삼 등과 함께 팀의 동메달을 이끌었다.
또한 2005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에도 참가하여 4위를 기록했다.
1.2. 프로 경력
이현승은 2006년 프로 데뷔 이후 여러 팀을 거치며 선발과 불펜을 오갔고, 특히 두산 베어스에서 마무리 투수로 성공적인 경력을 쌓았다.
1.2.1. 현대 유니콘스 시절
이현승은 2006년 현대 유니콘스에 입단하여 신인 시즌을 성공적으로 보냈다. 그는 셋업맨이자 좌완 스페셜리스트로 70경기에 등판하여 3점대 평균자책점, 2승, 19홀드를 기록하며 KBO 리그 홀드 부문 3위에 올랐다. 그러나 2007년 시즌에는 혹독한 2년차 징크스를 겪었다. 45경기에 출전했지만 1승 2패, 7.15 평균자책점의 난조를 보였고, 22.2이닝 동안 2홀드만을 기록하며 대부분의 시즌을 현대 유니콘스의 2군 팀에서 보냈다.
1.2.2. 우리 히어로즈 시절
2007년 시즌 후 현대 유니콘스가 해체되면서 이현승을 포함한 기존 선수단은 새로운 구단인 우리 히어로즈로 승계되었다. 그는 2008년부터 선발 투수로 전향하여 활약했다. 선발 전업 첫 해인 2008년에는 40경기에 등판하여 6승 8패, 4.58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며 120이닝을 소화해 선발 투수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2009년에는 팀 투수진이 전반적으로 난조를 보이는 가운데 유일하게 선전하며 실질적인 에이스 역할을 했다. 그는 30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4.18 평균자책점, 13승 10패를 기록하며 데뷔 첫 두 자릿수 승을 달성했다. 이는 그의 프로 경력 중 가장 좋은 시즌으로, 승리(13승) 부문 4위, 투구 이닝(170이닝) 부문 5위, 탈삼진(120개) 부문 10위, 평균자책점(4.18 평균자책점) 부문 11위에 오르는 등 대부분의 지표에서 커리어 하이를 기록했다. 그러나 시즌 종료 후인 2009년 12월 30일, 우리 히어로즈는 두산 베어스의 투수 금민철과 현금 10.00 억 KRW를 받는 조건으로 이현승을 두산 베어스로 트레이드했다.
1.2.3. 상무 야구단 시절
이현승은 2011년 말 병역 의무 이행을 위해 상무 야구단에 입대하여 2013년 9월 말에 제대했다. 하지만 제대 약 5개월 전인 2013년 4월에 팔꿈치 부상을 당해 수술을 받고 재활에 전념해야 했다. 이로 인해 2013년 시즌에는 2군 경기에도 단 1경기만 출장하는 데 그쳤다.
1.2.4. 두산 베어스 시절
두산 베어스로 이적한 2010년, 이현승은 시즌을 선발 투수로 시작했으나 손가락 부상과 제구 난조로 인해 시즌 중반 불펜으로 강등되었다. 그는 4.75 평균자책점와 3승 6패를 기록하며 77.2이닝을 소화했다. 이적 후 기대와는 달리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넥센 히어로즈로 이적해 선발로 자리 잡은 트레이드 상대 금민철과 대조를 이루기도 했다. 그러나 포스트시즌에서는 부진했던 정재훈을 대신해 불펜진의 핵심 역할을 수행하며 7경기에서 1승 0패, 0.96 평균자책점을 기록했고, 9.1이닝 동안 11개의 탈삼진을 잡아내는 등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2011년에는 시즌 내내 불펜으로만 등판하여 3승 5패, 4세이브, 6홀드, 4.82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며 50경기에 출전했다. 2014년 상무 야구단에서 제대한 후 두산 베어스에 복귀한 그는 65경기에 등판하여 3승 3패, 15홀드, 5.07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2015년 시즌 중반, 이현승은 두산 베어스의 마무리 투수로 자리 잡았다. 당시 김태형 감독은 그를 선발 투수로 활용할 계획이었으나, 기존 마무리 투수였던 윤명준과 노경은의 난조로 인해 공석이 된 마무리 투수 자리에 임시로 기용했다. 하지만 이현승이 마무리 투수로서 안정감 있는 모습을 보이자 정식으로 그 역할을 맡게 되었다. 그는 2015년 준플레이오프에서 마무리 투수로 등판하여 1승 2세이브, 평균자책점 0을 기록하며 준플레이오프 MVP로 선정되었다. 이에 그치지 않고 플레이오프와 한국시리즈에서도 최고의 활약을 펼쳤다. 준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 한국시리즈를 통틀어 9경기에 구원 등판하여 총 13이닝 동안 단 1실점(비자책)만을 허용했고, 1승 1패 4세이브, 평균자책점 0을 기록하며 두산 베어스의 14년 만의 한국시리즈 우승에 결정적인 공헌을 했다.
2016년에는 25세이브를 기록하며 마무리 투수로서의 입지를 굳혔다. 시즌 후 FA 자격을 획득한 그는 두산 베어스와 3년 총액 27.00 억 KRW에 계약하며 잔류했다. 2017년에는 시즌 개막 전 WBC에 참가했으나, 시즌 성적은 다소 하락하여 57경기에서 3승 2패, 5세이브, 9홀드, 3.98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2018년에는 마무리 투수 역할을 함덕주에게 넘겨주면서 단 하나의 세이브도 기록하지 못했다.
2019년에는 2홀드를 기록했으나, 나이가 들면서 출장 기회가 크게 줄어들었다. 그는 9경기에 등판하여 승리 없이 1패를 기록하는 등 프로 데뷔 이후 가장 적은 경기에 출장하며 커리어 로우 시즌을 보냈다. 같은 해 오프시즌에는 우리 히어로즈 시절 동료였던 고쓰 시게루와 대담하며 "저도 앞으로 2~3년이면 은퇴할 것 같다", "마무리 투수는 팀이 2시간 이상 이기고 있어도, (자신이 던진) 10분 만에 패배로 만들 수도 있다. 그런 압박감 속에서 던지는 것은 정말 힘들었다"고 소회를 밝히기도 했다.
2020년에는 62경기에 등판하며 2년 만에 승리를 거두는 등 부활의 조짐을 보였다. 하지만 2022년에는 6.23 평균자책점으로 부진이 이어졌고, 7월 말 1군 등록이 말소된 이후에는 2군 경기에도 출장하지 못했다. 결국 2022년 시즌 종료 후 자유계약선수로 공시되며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
1.2.5. 등번호 변천사
이현승은 프로 생활 동안 여러 등번호를 사용했다.
- 29 (2006년)
- 48 (2007년 ~ 2009년, 2014년 ~ 2017년, 2019년 ~ 2022년)
- 58 (2010년 ~ 2011년)
- 3 (2018년)
1.2.6. 주요 트레이드 관련 에피소드
2009년 12월 30일, 우리 히어로즈가 KBO 리그에 가입금을 완납하여 정식 구단 자격을 얻게 되자, 이현승은 두산 베어스로 트레이드되고 두산 베어스에서는 현금 10.00 억 KRW와 좌완 투수 금민철을 받는 현금 트레이드가 단행되었다. 이 트레이드로 이현승과 금민철은 서로의 예전 등번호를 바꿔 달기도 했다.
1.3. 국가대표 경력 (프로)
이현승은 프로 선수로서도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어 주요 국제 대회에서 활약했다.
1.3.1. 2015 WBSC 프리미어12
이현승은 2015년 WBSC 프리미어12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어 데뷔 후 처음으로 국가대표 A팀에 합류했다. 그는 이 대회에서 1세이브를 기록하며 팀의 우승에 기여했다. 대한민국은 이 대회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다.
1.3.2. 201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이현승은 2017년 제4회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WBC)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어 참가했다. 그는 이 대회에서 1세이브를 기록했다.
2. 플레이 스타일 및 별명
이현승은 좌완 투수로서 다양한 역할을 소화했으며, 특히 위기 상황에서의 강한 면모로 팬들에게 인상 깊은 별명을 얻었다.
2.1. 플레이 스타일
이현승은 좌완 투수로서 불펜에서 주로 활약했다. 현대 유니콘스 시절에는 좌완 스페셜리스트이자 셋업맨으로, 우리 히어로즈 시절에는 선발 투수로 전향하여 에이스 역할을 수행하기도 했다. 두산 베어스에서는 마무리 투수로 자리 잡으며 팀의 우승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2.2. 별명
이현승은 만루 상황에서 위기를 모면하는 능력이 뛰어나 팬들로부터 '만루변태'라는 별명을 얻었다. 이는 주자 만루 상황에서 오히려 뛰어난 구위와 제구로 실점 없이 이닝을 마무리하는 그의 독특한 플레이 스타일에서 유래했다.
3. 통산 기록
연도 | 팀명 | 평균자책점 | 경기 | 완투 | 완봉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타자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
2006 | 현대 | 3.79 | 70 | 0 | 0 | 2 | 0 | 0 | 19 | 1.000 | 182 | 40.1 | 44 | 3 | 14 | 2 | 43 | 18 | 17 |
2007 | 7.15 | 45 | 0 | 0 | 1 | 2 | 0 | 5 | 0.333 | 105 | 22.2 | 33 | 1 | 9 | 0 | 14 | 19 | 18 | |
2008 | 우리 | 4.58 | 40 | 1 | 0 | 6 | 8 | 0 | 1 | 0.429 | 535 | 120 | 132 | 10 | 53 | 5 | 78 | 64 | 61 |
2009 | 히어로즈 | 4.18 | 30 | 0 | 0 | 13 | 10 | 0 | 0 | 0.565 | 716 | 170 | 161 | 25 | 66 | 5 | 120 | 84 | 79 |
2010 | 두산 | 4.75 | 46 | 0 | 0 | 3 | 6 | 2 | 4 | 0.333 | 327 | 77.2 | 80 | 8 | 25 | 3 | 50 | 45 | 41 |
2011 | 4.82 | 50 | 0 | 0 | 3 | 5 | 4 | 6 | 0.375 | 325 | 74.2 | 85 | 8 | 26 | 5 | 50 | 43 | 40 | |
2014 | 5.07 | 65 | 0 | 0 | 3 | 3 | 0 | 15 | 0.500 | 259 | 55 | 68 | 2 | 23 | 3 | 39 | 34 | 31 | |
2015 | 2.89 | 41 | 0 | 0 | 3 | 1 | 18 | 2 | 0.750 | 191 | 46.2 | 45 | 3 | 10 | 2 | 41 | 16 | 15 | |
2016 | 4.84 | 56 | 0 | 0 | 1 | 4 | 25 | 1 | 0.200 | 260 | 57.2 | 65 | 8 | 17 | 7 | 41 | 36 | 31 | |
2017 | 3.98 | 57 | 0 | 0 | 3 | 2 | 5 | 9 | 0.600 | 235 | 52 | 62 | 4 | 16 | 4 | 38 | 23 | 23 | |
2018 | 4.99 | 39 | 0 | 0 | 1 | 0 | 0 | 6 | 1.000 | 140 | 30.2 | 39 | 4 | 14 | 1 | 21 | 18 | 17 | |
2019 | 3.00 | 9 | 0 | 0 | 0 | 1 | 0 | 2 | 0.000 | 22 | 6 | 4 | 0 | 0 | 0 | 4 | 2 | 2 | |
2020 | 5.31 | 62 | 0 | 0 | 2 | 1 | 2 | 10 | 0.667 | 195 | 42.3 | 48 | 2 | 21 | 2 | 42 | 27 | 25 | |
2021 | 1.93 | 38 | 0 | 0 | 5 | 1 | 0 | 7 | 0.833 | 90 | 23.1 | 16 | 1 | 6 | 0 | 20 | 6 | 5 | |
2022 | 6.23 | 23 | 0 | 0 | 1 | 0 | 0 | 2 | 1.000 | 43 | 8.2 | 13 | 2 | 4 | 1 | 9 | 6 | 6 | |
통산 | 15시즌 | 4.47 | 671 | 1 | 0 | 47 | 44 | 56 | 89 | 0.516 | 3625 | 827.2 | 895 | 81 | 304 | 40 | 610 | 441 | 411 |
4. 수상 및 평가
이현승은 선수 경력 동안 주요 국제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했으며, 특히 2015년 두산 베어스의 한국시리즈 우승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는 2015년 준플레이오프에서 1승 2세이브, 평균자책점 0을 기록하며 준플레이오프 MVP로 선정되었다. 또한 2015년 WBSC 프리미어12에서는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두산 베어스는 그의 활약에 힘입어 14년 만에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할 수 있었다.
5. 출신 학교
- 인천서화초등학교
- 대헌중학교
- 동산고등학교
- 인하대학교
6. 관련 항목
- KBO 리그
- 현대 유니콘스
- 키움 히어로즈
- 두산 베어스
- 상무 야구단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WBSC 프리미어12
-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