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자 축구 지도자인 이마이 마사타카(今井 雅隆이마이 마사타카일본어)는 1959년 4월 2일 일본 시즈오카현에서 태어났다. 그는 선수 경력 동안 혼다 FC에서 일본 사커 리그 145경기에 출전했으며, 1989년 FIFA 풋살 월드 챔피언십에 일본 풋살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참가하기도 했다. 지도자로서 그는 혼다 FC에서 선수 겸 감독으로 시작하여, 필리핀 축구 국가대표팀과 마카오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을 역임하며 일본인 최초의 해외 국가대표팀 감독이 되었다. 또한 아비스파 후쿠오카, 도쿠시마 보르티스, 몬테디오 야마가타 유스팀, 아슬클라로 누마즈, FC 카리야 등 일본 내 여러 클럽팀을 지도했다.
2. 초기 생애 및 교육
이마이 마사타카의 어린 시절과 학력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2.1. 출생 및 성장 배경
이마이 마사타카는 1959년 4월 2일 시즈오카현 시미즈시(현재의 시즈오카시 시미즈구)에서 태어났다. 그는 중학교 2학년 때부터 골키퍼 포지션을 맡기 시작했다. 그의 키는 180 cm이다.
2.2. 학력
그는 시즈오카현 자동차공업고등학교(현 시즈오카 북 중학교·고등학교)를 졸업했다. 고등학교 재학 중 국민체육대회에서 우승을 경험했으며, 인터하이 전국 대회에서는 주장으로서 팀을 이끌고 8강에 진출했다. 이후 국사관대학교에 진학하여 국사관대학교 축구부에서 활동했다.
3. 선수 경력
이마이 마사타카는 골키퍼로서 클럽과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했다.
3.1. 클럽 경력
국사관대학교를 졸업한 후, 이마이 마사타카는 1982년 혼다 기연공업 축구부(현재의 혼다 FC)에 입단했다. 그는 일본 사커 리그 1부에서 7년간 활약하며 총 145경기에 출전했다. 1990년에 선수 생활을 은퇴했다.
다음은 그의 클럽 경력 통계이다.
연도 | 소속 클럽 | 리그 | 리그 경기 | 리그 득점 | JSL컵 경기 | JSL컵 득점 | 천황배 경기 | 천황배 득점 |
---|---|---|---|---|---|---|---|---|
1982 | 혼다 기연 | JSL 1부 | 0 | 0 | ||||
1983 | 혼다 기연 | JSL 1부 | 17 | 0 | ||||
1984 | 혼다 기연 | JSL 1부 | 18 | 0 | ||||
1985 | 혼다 기연 | JSL 1부 | 21 | 0 | ||||
1986-87 | 혼다 기연 | JSL 1부 | 22 | 0 | ||||
1987-88 | 혼다 기연 | JSL 1부 | 17 | 0 | ||||
1988-89 | 혼다 기연 | JSL 1부 | 20 | 0 | 0 | 0 | ||
1989-90 | 혼다 기연 | JSL 1부 | 30 | 0 | 0 | 0 | 0 | |
총 통산 | 145 | 0 |
3.2. 풋살 경력
이마이 마사타카는 풋살 선수로도 활동했다. 1989년에는 일본 풋살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어 네덜란드에서 개최된 1989년 FIFA 풋살 월드 챔피언십에 참가했다. 그는 일본 풋살 국가대표팀에서 3경기에 출전하여 득점은 기록하지 않았다.
4. 지도자 경력
이마이 마사타카는 선수 은퇴 후 다양한 클럽팀과 국가대표팀에서 지도자 경력을 쌓았다.
4.1. 지도자 경력 개요
그는 1989년부터 혼다 FC에서 선수 겸 감독으로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다. 이후 2년간은 혼다 기연의 직원으로 일하면서 일본 축구 협회의 내셔널 트레이닝 센터 코치로도 활동했다. 또한 아시아 축구 연맹의 "약소국 지원 프로그램"에 따라 일본 축구 협회에서 파견되어 마카오 축구 국가대표팀 코치를 거쳐 필리핀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으며 일본인 최초의 해외 국가대표팀 감독이 되었다.
4.2. 클럽 지도
- 혼다 FC**: 1989년부터 1992년까지 혼다 기연공업의 감독을 맡았다.
- 나고야 그램퍼스 에이트**: 1995년부터 1999년까지 나고야 그램퍼스 에이트에서 지도자로 활동했다. 1995년부터 1997년까지는 J 사테라이트 리그 감독을 맡았고, 1997년에는 톱팀의 어시스턴트 코치로, 1998년부터 1999년까지는 톱팀의 코치로 활동했다. 당시 톱팀 감독 중 한 명으로는 아르센 벵거가 있었다.
- 아비스파 후쿠오카**: 2002년 J2리그로 강등된 아비스파 후쿠오카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1년 만에 J1리그 복귀를 목표로 했으나, 시즌 초반부터 베테랑 선수들이 많아 경기 후반에 체력 저하가 두드러졌고, 이마이 감독의 전술도 계속 바뀌면서 부진이 이어졌다. 1라운드에서는 3위권을 유지했지만, 2라운드에 들어서면서 순위가 점차 하락했다. 7월 24일 세레소 오사카와의 경기에서는 전반에만 에구치 린지가 해트트릭을 기록하며 3대0으로 앞섰으나, 이후 5골을 허용하며 역전패했다. 이어진 7월 27일 미토 홀리호크와의 경기에서도 J2리그에서 최고 3득점에 불과했던 미토에게 5골을 내주며 대패했다. 결국 이 경기 후 이마이 감독은 사임했다. 당시 사임 시점의 순위는 6위였다.
- 주빌로 이와타**: 2005년부터 2006년까지 주빌로 이와타에서 지도자로 활동했다. 2005년에는 톱팀 코치를, 2006년에는 위성팀 감독을 맡았다.
- 도쿠시마 보르티스**: 2007년 도쿠시마 보르티스의 감독으로 부임했으나, J2리그 최하위로 시즌을 마쳤고 시즌 종료 후 해임되었다.
- 몬테디오 야마가타 유스**: 2010년부터 2019년까지 몬테디오 야마가타 유스(U-18)팀의 감독을 맡았다. 2014년에는 야마가타 유스팀을 이끌고 천황배에 처음으로 출전하는 기록을 세웠다.
- 아슬클라로 누마즈**: 2019년 12월 21일 아슬클라로 누마즈의 감독으로 취임했으나, 2022년 8월 23일 해임되었다.
- FC 카리야**: 2023년부터 FC 카리야의 감독을 맡고 있다.
4.3. 국가대표팀 지도
- 마카오 축구 국가대표팀**: 2000년에는 마카오 축구 국가대표팀의 코치를 맡았으며, 2003년부터 2004년까지는 일본 축구 협회에서 파견되어 마카오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을 역임했다.
- 필리핀 축구 국가대표팀**: 2001년에는 필리핀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을 맡았다. 그는 일본인으로서 최초로 해외 국가대표팀 감독직을 수행했다.
4.4. 감독 기록
이마이 마사타카의 주요 감독 기록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소속 | 클럽 | 리그전 | 컵대회 | ||||||
---|---|---|---|---|---|---|---|---|---|---|
순위 | 경기 | 승점 | 승리 | 무승부 | 패배 | JSL컵/나비스코컵 | 천황배 | |||
1989-90 | JSL 1부 | 혼다 기연 | 6위 | 22 | 32 | 10 | 2 | 10 | 2회전 | 2회전 |
1990-91 | 3위 | 22 | 38 | 10 | 8 | 4 | 4강 | 4강 | ||
1991-92 | 10위 | 22 | 23 | 5 | 8 | 9 | 준우승 | 4강 | ||
2002 | J2리그 | 후쿠오카 | - | 21 | 28 | 7 | 7 | 7 | - | - |
2007 | 도쿠시마 | 13위 | 48 | 33 | 6 | 15 | 27 | - | 4회전 | |
2020 | J3리그 | 누마즈 | - | - | - |
- 2002년 아비스파 후쿠오카 감독 재임 시에는 21라운드에서 사임했으며, 사임 당시 순위는 6위였다.
- 1991년 코니카컵 준우승을 기록했다.
- 2014년에는 천황배 야마가타현 대표 결정전인 야마가타현 축구 종합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5. 평가 및 유산
이마이 마사타카는 일본 사커 리그에서 145경기를 소화한 베테랑 선수였으며, 1989년 FIFA 풋살 월드 챔피언십에 일본 풋살 국가대표팀으로 참가하는 등 선수로서도 중요한 족적을 남겼다. 지도자로서 그는 필리핀 축구 국가대표팀과 마카오 축구 국가대표팀을 이끌며 일본인 최초의 해외 국가대표팀 감독이라는 선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또한 J리그의 여러 클럽팀과 유스팀을 지도하며 일본 축구 발전에 기여했다. 특히 몬테디오 야마가타 유스팀을 천황배에 처음 진출시킨 것은 그의 중요한 업적 중 하나로 평가된다. 그의 감독 이력은 [https://data.j-league.or.jp/SFIX07/?staff_id=402 J리그 데이터 사이트]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