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아마추어 경력
오현택은 프로 경력을 시작하기 전부터 야구에 대한 열정을 키워왔으며, 원광대학교 시절에는 팀의 핵심 투수로 활약하며 그의 잠재력을 보여주었다. 그의 사촌 동생은 SSG 랜더스의 내야수, 외야수인 오태곤이다.
1.1. 초기 생애 및 학업
오현택은 1985년 7월 17일 서울에서 태어났다. 서울이수초등학교와 이수중학교를 졸업한 후, 배재고등학교에 입학했으나 이후 장충고등학교로 전학하여 학업을 마쳤다. 고등학교 졸업 후에는 원광대학교에 진학하여 야구 선수로서의 꿈을 이어갔다.
1.2. 아마추어 야구 경력
원광대학교 재학 시절 오현택은 팀의 마운드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2학년이었던 2005년에는 2승 2패와 팀 내 2위인 2.70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며 원광대학교가 대통령기 전국대학야구대회에서 우승하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당시 개인적인 특별한 수상 이력이 없어 큰 주목을 받지는 못했다.
4학년이던 2007년에는 선발 투수와 불펜 투수를 오가며 구본범, 정회찬 등 후배 투수들을 제치고 팀의 실질적인 에이스로 활약했다. 이 해 그는 원광대학교가 춘계리그와 대통령기 전국대학야구대회에서 4강에 진출하는 데 크게 공헌했으며, 총 52.2 이닝을 소화하며 3승 4패, 2세이브, 3.08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2. 프로 경력
오현택은 KBO 리그에서 두산 베어스와 롯데 자이언츠 소속으로 활동하며 안정적인 사이드암 투수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상무 야구단 시절에는 국제 대회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치며 자신의 기량을 널리 알렸다.
2.1. 두산 베어스 (첫 입단)
원광대학교 시절 인상적인 성적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직구 구속이 138 km/h에 머물러 2008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에서 어떤 팀으로부터도 지명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2008년 KBO 리그 시즌을 앞두고 두산 베어스에 신고선수로 입단하며 프로의 문을 두드렸다.
그는 직구 구속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권명철 투수코치와의 상의 끝에 투구 스타일을 기존의 오버핸드나 스리쿼터에서 사이드암으로 변경했다. 이 변화는 구속보다는 공의 무브먼트에 초점을 맞추는 계기가 되었다. 한동안 2군에서 활동하던 그는 2009년 6월 3일 KIA 타이거즈와의 경기에서 구원 등판하며 프로 데뷔 첫 경기를 치렀다.
2009년에는 14경기에 구원 등판하여 30.1 이닝 동안 4.45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2010년 4월 27일 한화 이글스와의 경기에서는 2.1 이닝 동안 2개의 탈삼진을 기록하고 노히트로 막아내며 데뷔 첫 승을 달성했다. 이 두 시즌 동안 총 29경기에 등판하여 45.2 이닝을 소화했고, 1승과 5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2010년 시즌 후 그는 팀 동료인 유희관과 함께 상무 야구단에 입대하며 의무 병역을 이행했다.
2.2. 상무 야구단 시절
군 복무 기간 동안 상무 야구단 소속으로 활동하며 기량이 크게 성장했다. 2011년에는 유희관과 함께 상무의 원투 펀치를 구축하며 12승 3패, 2홀드, 3.12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이 활약으로 그는 당시 경찰 야구단 소속의 우규민과 더불어 '군 팀 잠수함 에이스'라는 명성을 얻었다.
2.2.1. 2011년 야구 월드컵
2011년 시즌 후 오현택은 야구 월드컵 국가대표로 발탁되어 생애 최고의 국제대회 활약을 펼쳤다. 파나마에서 열린 이 대회에서 그는 10월 5일 호주와의 경기에서 7 이닝 10탈삼진 2피안타 무실점, 그리고 10월 9일 이탈리아와의 경기에서 7.2 이닝 14탈삼진 5피안타 무실점을 기록하는 등 인상적인 투구를 선보였다.
그는 선발과 롱릴리프를 가리지 않고 5경기에 등판하여 총 22.2 이닝 동안 2승 1패, 35탈삼진, 1실점, 0.40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특히 35탈삼진은 대회 탈삼진 전체 1위에 해당하는 기록이었으며, 이러한 뛰어난 활약을 바탕으로 그는 이 대회 올스타 팀의 선발 투수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2012년에도 상무 야구단에서 21경기에 등판하여 11승 7패, 3.75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선발 투수로서 직구, 슬라이더, 커브 등 기본 구종 외에 서클 체인지업과 싱커까지 장착하며 투구 패턴에 다양성을 더했다. 이는 이닝 소화 능력과 타자를 상대하는 요령이 크게 향상되었음을 의미한다.
2.3. 두산 베어스 복귀
상무 야구단에서 제대 후 두산 베어스로 복귀한 오현택은 팀의 핵심 불펜 자원으로 성장하며 인상적인 시즌을 보냈다.
2.3.1. 보직 변화 및 활약 (2013년~2014년)
2013년 시즌 초반, 팀의 마무리 투수였던 홍상삼의 부상 결장과 변시원의 부진으로 인해 오현택은 임시 마무리 투수 보직을 맡았다. 4월 5일부터 5월 4일까지 20.1 이닝 동안 2세이브와 무실점 호투를 기록하며 마무리 투수로 완전히 자리 잡는 듯했으나, 5월 8일에 블론 세이브를 기록했다. 이후 홍상삼이 부상에서 복귀하면서 셋업맨으로 보직이 변경되었지만, 홍상삼이 부진할 때마다 수시로 마무리 투수로 등판하는 등 '마당쇠'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이 시즌 그는 67경기에 등판하며 팀 내 최다 출장 기록이자 리그 전체 4위에 해당하는 기록을 세웠다. 총 73.1 이닝을 소화하며 5승 3패, 5세이브, 7홀드, 65탈삼진, 2점대 평균자책점이라는 뛰어난 성적을 기록했다.
2014년에는 시즌 중 간간이 임시 선발 투수로 등판하기도 하며 다양한 역할을 소화했다. 총 58경기에 등판하여 66.2 이닝 동안 4승 3패, 4홀드, 3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그해 연말에는 1.10 억 KRW에 2015년 시즌 연봉 계약을 체결하며 데뷔 후 처음으로 억대 연봉 대열에 합류했다.
2.3.2. 부상 및 재활 (2015년~2016년)
2015년 시즌 초반에는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였으나, 1군 복귀 후 안정감을 찾으며 팀 불펜진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었다. 시즌 총 61경기에 등판하여 56 이닝 동안 1승 3패, 13홀드, 5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61경기 등판은 팀 내 2위 기록이었으며, 13홀드는 그의 데뷔 이후 첫 두 자릿수 홀드 기록이었다. 그러나 9월부터 팔꿈치 통증이 발생하여 평균자책점이 치솟는 등 이상 징후를 보였고, 시즌 종료 후 팔꿈치 뼛조각 제거 수술을 받았다.
2016년에는 수술 및 재활 과정을 마치고 마운드에 복귀했다. 첫 등판 이후 5경기에서는 1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며 예전의 모습을 보여주는 듯했으나, 점차 부진에 빠지기 시작했다. 특히 마지막 10경기에서는 9.1 이닝 동안 11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는 매우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결국 재활을 위해 1군에서 제외되었고, 2017년 3월에는 두 번째 팔꿈치 뼛조각 제거 수술을 받게 되었다.
2.4. 롯데 자이언츠
오현택은 2018년 KBO 리그 2차 드래프트를 통해 롯데 자이언츠로 이적하게 되었다.
2018년 시즌, 그는 롯데 자이언츠의 핵심 불펜 투수로 자리매김하며 자신의 가치를 다시 한번 증명했다. 72경기에 등판하며 개인 한 시즌 최다 출장 기록을 세웠고, 이는 리그 전체에서 가장 많은 출장 기록이기도 했다. 총 64.2 이닝을 소화하며 32실점(27자책), 3승 2패, 25홀드, 3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시즌 마지막까지 넥센 히어로즈의 이보근과 홀드왕 경쟁을 펼쳤으며, 시즌 최종전인 10월 14일 두산 베어스와의 경기에서 4연투를 감행하며 1홀드 차이로 극적인 홀드왕 타이틀을 차지하는 투혼을 보여주었다. 2021년 10월에 롯데 자이언츠에서 방출되며 선수 생활을 마무리했다.
3. 통산 기록
오현택의 KBO 리그 정규 시즌 통산 기록은 다음과 같다.
연도 | 팀명 | 평균자책점 | 경기 | 완투 | 완봉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타자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
2009 | 두산 | 4.45 | 17 | 0 | 0 | 0 | 0 | 0 | 0 | 0.000 | 130 | 30.1 | 33 | 4 | 13 | 1 | 22 | 15 | 15 |
2010 | 6.46 | 12 | 0 | 0 | 1 | 0 | 0 | 0 | 1.000 | 69 | 15.1 | 18 | 2 | 6 | 0 | 11 | 12 | 11 | |
2013 | 2.70 | 67 | 0 | 0 | 5 | 3 | 5 | 7 | 0.625 | 302 | 73.1 | 65 | 6 | 19 | 8 | 65 | 23 | 22 | |
2014 | 3.65 | 58 | 0 | 0 | 4 | 3 | 0 | 4 | 0.571 | 300 | 66.2 | 81 | 6 | 18 | 5 | 56 | 28 | 27 | |
2015 | 5.30 | 61 | 0 | 0 | 1 | 3 | 0 | 13 | 0.250 | 239 | 56 | 59 | 6 | 16 | 4 | 45 | 33 | 33 | |
2016 | 6.10 | 20 | 0 | 0 | 1 | 0 | 0 | 4 | 1.000 | 91 | 20.2 | 29 | 3 | 3 | 2 | 17 | 14 | 14 | |
2018 | 롯데 | 3.76 | 72 | 0 | 0 | 3 | 2 | 0 | 25 | 0.600 | 268 | 64.2 | 66 | 11 | 12 | 3 | 63 | 32 | 27 |
2019 | 4.97 | 15 | 0 | 0 | 1 | 0 | 0 | 0 | 1.000 | 56 | 12.2 | 15 | 6 | 2 | 1 | 8 | 9 | 7 | |
2020 | 3.75 | 48 | 0 | 0 | 3 | 1 | 0 | 7 | 0.750 | 152 | 36 | 37 | 5 | 8 | 2 | 17 | 15 | 15 | |
2021 | 6.61 | 20 | 0 | 0 | 0 | 1 | 0 | 1 | 0.000 | 87 | 16.1 | 28 | 2 | 8 | 1 | 8 | 13 | 12 | |
통산 | 10시즌 | 4.20 | 390 | 0 | 0 | 19 | 13 | 5 | 61 | 0.594 | 1694 | 392 | 431 | 51 | 105 | 27 | 312 | 194 | 183 |
4. 외부 링크
- [https://www.koreabaseball.com/Record/Player/Detail.aspx?playerNo=79293 KBO 기록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