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오구치알루 치지오케 오니예우 (Oguchialu Chijioke Onyewu오구치알루 치지오케 오니예우영어, 1982년 5월 13일 출생)는 미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스포츠 행정가이다. 선수 시절 포지션은 센터백이었다. 그는 미국 축구 연맹의 스포츠 담당 부회장으로 재직 중이며, 이전에는 올랜도 시티 B의 스포츠 디렉터와 벨기에 축구 클럽 R.E. 비르통의 사무총장을 역임했다. 오니예우는 프랑스, 벨기에, 잉글랜드, 이탈리아, 네덜란드, 포르투갈, 스페인, 미국 등 다양한 국가의 클럽에서 활약했으며,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60회 이상 출전하여 2006년 FIFA 월드컵과 2010년 FIFA 월드컵에 참가했다. 신체적으로는 키 193 cm, 체중 95 kg (210 lb)의 당당한 체구를 자랑한다.
2. 어린 시절 및 교육
오니예우는 1982년 5월 13일 미국 워싱턴 D.C. 교외의 실버 스프링과 올니, 메릴랜드주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학업을 위해 나이지리아에서 워싱턴 D.C.로 이주해 온 이그보족 출신이다. 그는 세인트 앤드류 사도 학교(St. Andrew Apostle School)와 셔우드 고등학교를 다녔으며, 이후 플로리다주 브레이든턴에 위치한 IMG 사커 아카데미의 미국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고등학교 졸업 후에는 클렘슨 대학교에서 2년간 대학 축구를 뛰었다.
3. 클럽 경력
오니예우는 2002년 유럽 무대로 진출하여 다양한 국가의 클럽에서 프로 경력을 쌓았다.
3.1. 초기 유럽 경력
2002년, 오니예우는 프랑스의 2부 리그 소속팀인 FC 메스와 계약하며 유럽 생활을 시작했다. 2003년에는 벨기에의 RAA 루비에르로 임대되어 첫 프로 경력을 쌓았다.
3.2. 스탕다르 리에주 및 뉴캐슬 유나이티드
2004년, 오니예우는 벨기에의 스탕다르 리에주로 임대 이적했으며, 2004-05 시즌에 완전 이적을 확정 지었다。 그는 이 시즌 후 벨기에 리그 베스트 11과 2005년 올해의 외국인 선수로 선정되는 등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이후 2007년 1월, 2006-07 시즌 잔여 기간 동안 뉴캐슬 유나이티드로 임대되었다. 2월 3일 풀럼과의 경기에서 뉴캐슬 데뷔전을 치렀고, 일주일 후 리버풀과의 홈 경기에서는 타이터스 브램블과 함께 출전하여 2대1 승리에 기여했다. 그러나 두 선수의 수비 조합은 여러 차례 실책을 범하며 아쉬움을 남겼고, 결국 새 감독 샘 앨러다이스의 부임 후 오니예우는 주전에서 밀려나 뉴캐슬은 그의 완전 영입을 포기했다.
스탕다르로 복귀한 오니예우는 더욱 성장하는 모습을 보였다. 2008년 3월 14일 헤르미날 베르스홋과의 경기에서 100번째 벨기에 퍼스트 디비전 출장 기록을 세웠으며, 29경기 무패 행진을 이끌며 2007-08 시즌 리그 우승의 핵심 멤버로 활약했다. 이 시즌 후 그는 두 번째로 벨기에 리그 베스트 11에 이름을 올렸다. 2008-09 시즌에도 좋은 기세를 이어가 스탕다르의 2연속 리그 우승을 이끌었다. 시즌 막판 안데를레흐트와의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며 우승을 확정 지었다.
벨기에에서 활동하던 기간 동안 오니예우는 여러 차례 인종차별에 시달렸다. 스탕다르 리에주 소속으로 뛰던 중 인종차별주의 팬들에게 주먹으로 맞고 고함을 듣기도 했다. 가장 널리 알려진 사건은 2008-09 시즌 챔피언십 플레이오프에서 발생했다. 안데를레흐트의 수비수 옐러 판 담이 오니예우에게 "더러운 원숭이"라는 말을 반복적으로 사용했다고 오니예우는 주장했으며, 심판에게 알렸음에도 불구하고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판 담은 경기 후 이러한 주장을 부인하며 오히려 오니예우가 자신에게 "더러운 플랑드르인"이라고 인종차별적인 발언을 했다고 맞섰다. 약 2주 후 오니예우의 변호사는 유럽 축구에서 경기장 내 인종차별을 근절하기 위해 판 담을 고소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이 소송은 2011년 2월 두 선수가 만나 판 담이 자신이 야기했을 수 있는 불쾌감에 대해 사과하면서 취하되었다.
3.3. AC 밀란 및 FC 트벤테 임대
2009년 7월, 오니예우는 AC 밀란과 3년 계약을 체결했으나, 18개월 동안 단 한 경기도 리그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 9월 30일, 산 시로에서 열린 FC 취리히와의 UEFA 챔피언스리그 경기에서 교체 선수로 출전하며 데뷔전을 치렀다. 그러나 국가대표팀 경기 도중 입은 무릎 부상으로 인해 2009-10 시즌 전체를 결장했으며, 챔피언스리그 한 경기에만 출전했다. 시즌 말, 오니예우의 요청에 따라 밀란과의 계약이 한 시즌 연장되어 2012-13 시즌까지 구단 소속으로 남게 되었는데, 이 1년 연장 계약에는 급여가 포함되지 않았다.
2010년 11월 5일, 오니예우는 팀 동료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와 훈련 중 싸움을 벌여 국제적인 이목을 끌었다. AS 바리와의 리그 경기를 앞두고 이브라히모비치의 거친 태클에 오니예우가 격분하여 몸싸움으로 번졌다는 보도가 있었다. 두 선수는 팀 동료들에 의해 제지되었으나, 구단은 그들이 화해했다고 발표했다.
2011년 1월, 오니예우는 네덜란드의 FC 트벤테로 시즌 말까지 임대되었다. 1월 19일 헤라클레스 알멜로와의 에레디비시 경기에서 90분 풀타임을 소화하며 트벤테 데뷔전을 치렀다. 짧은 기간이었지만 오니예우는 국내 및 유럽 대회에서 주전으로 활약하며 팀이 유럽 대회 8강에 진출하는 데 기여했다. 트벤테에서 총 14경기에 출전했으며, KNVB컵 결승전에서 아약스를 3대2로 꺾고 우승을 차지하며 컵 위너스 메달을 획득했다.
3.4. 포르투갈 및 스페인 활동
2011년 6월, 오니예우는 AC 밀란에서 자유 이적으로 포르투갈의 스포르팅 CP로 이적하며 3년 계약을 맺었다. 시즌 초반, 스포르팅의 첫 5경기(리그 3경기, 유럽 대회 예선 2경기)에서 도밍구스 파시엔시아 감독은 중앙 수비수 다니엘 카리수와 알베르토 로드리게스, 그리고 안데르송 폴가를 선발로 기용하며 오니예우는 벤치를 지켰다. 그러나 시즌 초 카리수와 폴가의 부상으로 인해 오니예우는 선발 라인업에 이름을 올리게 되었다. 9월 10일 파수스 드 페헤이라와의 원정 경기에서 3대2 승리를 거두며 팀 데뷔전을 치렀으며, 90분 풀타임을 소화했다. 데뷔 일주일 후인 9월 19일 에스타디우 도스 아르코스에서 열린 히우 아브와의 경기에서 디에고 카펠의 코너킥을 헤딩으로 연결하며 결승골을 넣어 스포르팅에서의 첫 골을 기록했다.

AC 밀란 시절과는 달리, 오니예우는 2011-12 시즌 동안 출전 시간이 늘어났다. 이 시즌 동안 그는 안데르송 폴가와 함께 중앙 수비수로 활약하며 점차적으로 주전 선수로 자리매김했다. 2012년 초 도밍구스 파시엔시아 감독의 경질과 히카르두 사 핀투 감독의 부임에도 불구하고, 오니예우는 2월 중순 파수스 드 페헤이라와의 리그 경기에서 부상을 입기 전까지 주전으로 활약했다. 이 부상은 오른쪽 무릎의 내측 측부 인대와 외측 반월판 골절로 밝혀졌으며, 오니예우는 두 달 동안 경기에 나설 수 없게 되었다. 4월 말, 오니예우는 나시오날과의 경기에서 복귀하여 두 달 만에 경기를 뛰었다. 그는 2012 타사 드 포르투갈 결승전에 출전할 수 있게 되었지만, 팀은 아카데미카 드 코임브라에게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오니예우는 스포르팅에서의 첫 시즌을 31경기 출전 5골로 마무리했다.
히카르두 사 핀투 감독의 부임 이후 칼리드 불라루즈와 마르코스 로호가 영입되면서 오니예우는 2012년 8월 스페인 라리가의 말라가 CF로 임대되었다. 10월 24일, 그는 AC 밀란과의 UEFA 챔피언스리그 경기에서 교체 선수로 출전하여 1대0 승리에 기여하며 팀 데뷔전을 치렀다. 일주일 후인 10월 31일 CP 카세레뇨와의 코파 델 레이 4라운드 경기에서 선발 출전하여 말라가에서의 첫 골을 기록했다. 12월 18일 SD 에이바르와의 같은 대회 경기에서는 추가 시간 골로 무승부를 이끌어내며 득점력을 과시했다. 그러나 오니예우는 말라가에서 주전으로 자리 잡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시즌 내내 9경기 출전 2골에 그치며 성공적이지 못한 임대 생활을 보냈다.
2013년 여름 스포르팅으로 복귀했지만, 상호 합의에 따라 계약을 해지했다.
3.5. 잉글랜드 복귀 및 MLS 활동

2013년 10월, 오니예우는 자유 이적으로 퀸스 파크 레인저스에 입단했지만, 단 한 경기도 출전하지 못하고 6차례 교체 명단에만 이름을 올렸다. 2014년 1월, 그는 시즌 종료까지 셰필드 웬즈데이로 이적했다.
2014년 10월, 오니예우는 단기 계약으로 찰턴 애슬레틱에 입단했으며, 12월 26일 교체 선수로 데뷔전을 치렀다. 구단은 그의 계약을 시즌 종료까지 연장했지만, 시즌이 끝난 후 그는 방출되었다. 2015년 5월 계약 만료와 함께 찰턴 애슬레틱을 떠났다.
2015년 5월, 오니예우는 MLS의 뉴욕 시티 FC에서 입단 테스트를 받았지만 계약하지 못했다. 이후 2016년 6월에는 스코티시 프리미어십 소속팀인 레인저스 FC와 프리시즌 투어를 함께했지만, 계약 제안을 받지 못했다.
2017년 MLS 프리시즌 동안 오니예우는 필라델피아 유니언과 계약했다. 그는 젊은 수비진에게 베테랑의 존재감을 제공하기 위해 영입되었으나, 필라델피아 유니언의 주전 선수로 자리매김하며 22경기에 출전해 1골을 기록했다. 2017 시즌 종료 후 유니언으로부터 방출되었다.
4. 국가대표팀 경력
오니예우는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2006년과 2010년 FIFA 월드컵 주기 동안 주전으로 활약했다.
4.1. 유소년 및 초기 성인 대표팀 활동
선수 경력 초기에 오니예우는 2001년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를 포함한 다양한 연령별 유소년 대표팀에서 미국을 대표하여 활약했다. 2004년 10월 13일 파나마와의 경기에서 성인 국가대표팀 데뷔전을 치렀다. 그는 2005 CONCACAF 골드컵에서 첫 국제골을 기록했다. 온두라스와의 준결승전에서 연장전 결승골을 헤딩으로 넣었고, 이후 대회 베스트 11에 선정되었다.
4.2. 주요 대회 및 핵심 활약
오니예우는 2006년 FIFA 월드컵에서 미국 대표로 출전하여 팀의 세 경기 모두 선발 출전했다. 그러나 가나와의 조별리그 세 번째이자 마지막 경기 전반전 막판에 페널티킥을 내주었고, 가나는 이 페널티킥으로 득점하며 미국은 1대2로 패해 탈락했다. 그는 1995년 알렉시 랄라스 이후 처음으로 이 상을 받은 수비수로서 2006년 미국 축구 올해의 선수로 선정되었다.
200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동안 오니예우는 주전 파트너인 카를로스 보카네그라의 부상으로 인해 제이 드메리트와 짝을 이루었다. 그는 이집트를 상대로 좋은 경기를 펼쳐 미국이 3대0 승리를 거두고 준결승 진출권을 획득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스페인과의 준결승전 2대0 승리에서도 뛰어난 활약을 보였다.
2009년 10월 14일 코스타리카와의 월드컵 예선전에서 착지 도중 슬개건 파열 부상을 입어 남은 예선전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
2010년 FIFA 월드컵에서 오니예우는 잉글랜드와의 조별리그 첫 경기에서 선발 출전하여 90분 풀타임을 소화했다. 슬로베니아와의 두 번째 조별리그 경기에서도 선발 출전했지만, 80분에 교체되었다. 그는 알제리와의 세 번째 조별리그 경기나 가나와의 16강 경기에는 출전하지 못했다.
5. 은퇴 후 경력
선수 경력 은퇴 후 오니예우는 스포츠 분야에서 다양한 행정적 역할과 사업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5.1. 선수 경력 은퇴
2018년 9월, 오니예우는 인스타그램을 통해 15년간의 프로 축구 선수 경력에서 은퇴한다고 발표했다.
5.2. 스포츠 행정 및 사업 활동
2018년 12월 6일, 오니예우는 USL 리그 1 (미국 3부 리그 상당) 소속인 올랜도 시티 B의 스포츠 디렉터로 임명되었다. 그는 또한 벨기에 축구 클럽 R.E. 비르통의 사무총장도 역임했다. 2023년 5월에는 미국 축구 연맹의 스포츠 담당 부회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미국 축구 연맹의 초대 스포츠 담당 부회장이다. 2017년 초에는 버지니아주 리치먼드에 스포츠 퍼포먼스 시설을 공동 개업하며 개인 사업 활동도 시작했다.
6. 개인사
오니예우의 부모는 학업을 위해 나이지리아에서 워싱턴 D.C.로 이주해 온 이그보족 출신이다. 그에게는 우체(Uche)와 논예(Nonye)라는 두 명의 형제와 치치(Chi-Chi)와 오게치(Ogechi)라는 두 명의 자매가 있다. 그는 또한 벨기에 국적을 보유하고 있다. 오니예우는 영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에 능통하다. 그는 가톨릭 신자이다. 키 193 cm, 체중 95 kg (210 lb)인 오니예우는 오마르 곤살레스에 이어 미국 국가대표팀 역사상 두 번째로 키 큰 필드 플레이어이다.
7. 수상 경력
오구치 오니예우의 주요 수상 경력은 다음과 같다.
- 클럽
- RAA 루비에르**
- 벨기에 컵: 2002-03
- 스탕다르 리에주**
- 벨기에 퍼스트 디비전: 2007-08, 2008-09
- 벨기에 슈퍼컵: 2008
- FC 트벤테**
- KNVB컵: 2010-11
- 국가대표팀
- 미국**
- CONCACAF 골드컵: 2005, 2007, 2013
- 개인
- NCAA 올-아메리칸 (NSCAA 세컨드 팀): 2001
- 벨기에 퍼스트 디비전 베스트 11: 2004-05, 2007-08
- 벨기에 퍼스트 디비전 최우수 외국인 선수: 2003-05
- 미국 축구 올해의 선수: 2006
- CONCACAF 골드컵 베스트 11: 2005
- 미국**
- RAA 루비에르**
8. 경력 통계
8.1. 클럽 통계
클럽 | 시즌 | 리그 | 국내 컵 | 리그 컵 | 대륙 대회 | 합계 | ||||||
---|---|---|---|---|---|---|---|---|---|---|---|---|
디비전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출전 | 득점 | ||
메스 | 2002-03 | 리그 2 | 3 | 0 | 0 | 0 | 0 | 0 | 0 | 0 | 3 | 0 |
라 루비에르 (임대) | 2003-04 | 벨기에 프로 리그 | 24 | 1 | 0 | 0 | 0 | 0 | 0 | 0 | 24 | 1 |
스탕다르 리에주 | 2004-05 | 벨기에 프로 리그 | 30 | 3 | 0 | 0 | 0 | 0 | 0 | 0 | 30 | 3 |
2005-06 | 29 | 2 | 0 | 0 | 0 | 0 | 0 | 0 | 29 | 2 | ||
2006-07 | 15 | 1 | 2 | 0 | 0 | 0 | 2 | 0 | 19 | 1 | ||
2007-08 | 33 | 2 | 0 | 0 | 0 | 0 | 0 | 0 | 33 | 2 | ||
2008-09 | 34 | 3 | 1 | 2 | 0 | 0 | 8 | 1 | 43 | 6 | ||
합계 | 141 | 11 | 3 | 2 | 0 | 0 | 10 | 1 | 154 | 14 | ||
뉴캐슬 유나이티드 (임대) | 2006-07 | 프리미어리그 | 11 | 0 | 0 | 0 | 0 | 0 | 0 | 0 | 11 | 0 |
AC 밀란 | 2009-10 | 세리에 A | 0 | 0 | 0 | 0 | 0 | 0 | 1 | 0 | 1 | 0 |
2010-1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
합계 | 0 | 0 | 0 | 0 | 0 | 0 | 1 | 0 | 1 | 0 | ||
트벤테 (임대) | 2010-11 | 에레디비시 | 8 | 0 | 1 | 0 | 0 | 0 | 5 | 0 | 14 | 0 |
스포르팅 CP | 2011-12 | 프리메이라 리가 | 17 | 4 | 5 | 0 | 3 | 1 | 5 | 0 | 30 | 5 |
말라가 (임대) | 2012-13 | 라리가 | 2 | 0 | 4 | 2 | 0 | 0 | 3 | 0 | 9 | 2 |
퀸스 파크 레인저스 | 2013-14 | EFL 챔피언십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셰필드 웬즈데이 | 2013-14 | 챔피언십 | 18 | 0 | 1 | 1 | 0 | 0 | 0 | 0 | 19 | 1 |
찰턴 애슬레틱 | 2014-15 | 챔피언십 | 3 | 0 | 0 | 0 | 0 | 0 | 0 | 0 | 3 | 0 |
필라델피아 유니언 | 2017 | 메이저 리그 사커 | 22 | 1 | 0 | 0 | - | - | 0 | 0 | 22 | 1 |
커리어 합계 | 249 | 17 | 14 | 5 | 3 | 1 | 24 | 1 | 290 | 24 |
8.2. 국가대표팀 통계
국가대표팀 | 연도 | 출전 | 득점 |
---|---|---|---|
미국 | 2004 | 2 | 0 |
2005 | 9 | 1 | |
2006 | 6 | 0 | |
2007 | 11 | 1 | |
2008 | 10 | 3 | |
2009 | 13 | 0 | |
2010 | 7 | 1 | |
2011 | 4 | 0 | |
2012 | 5 | 0 | |
2013 | 1 | 0 | |
2014 | 1 | 0 | |
합계 | 69 | 6 |
:득점 목록은 미국 대표팀의 득점을 먼저 표시하며, 득점란은 오니예우의 각 골 이후의 점수를 나타낸다.
번호 | 날짜 | 장소 | 상대팀 | 득점 | 결과 | 대회 |
---|---|---|---|---|---|---|
1. | 2005년 7월 21일 | 자이언츠 스타디움, 이스트 러더퍼드, 미국 | 온두라스 | 2-1 | 2-1 | 2005 CONCACAF 골드컵 |
2. | 2007년 6월 2일 | 스파르탄 스타디움, 산호세, 미국 | 중국 | 4-1 | 4-1 | 친선 경기 |
3. | 2008년 2월 6일 | 릴라이언트 스타디움, 휴스턴, 미국 | 멕시코 | 1-0 | 2-2 | 친선 경기 |
4. | 2008년 3월 26일 | 스타디온 미에이스키, 크라쿠프, 크라쿠프, 폴란드 | 폴란드 | 2-0 | 3-0 | 친선 경기 |
5. | 2008년 10월 11일 | RFK 스타디움, 워싱턴 D.C., 미국 | 쿠바 | 6-1 | 6-1 | 2010 월드컵 예선 |
6. | 2010년 10월 9일 | 솔저 필드, 시카고, 일리노이주, 미국 | 폴란드 | 2-1 | 2-2 | 친선 경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