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교육
1.1. 출생 및 어린 시절
엘모 러셀 줌왈트 주니어는 1920년 11월 29일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인 엘모 러셀 줌왈트와 프랜시스 펄(혼전 성씨 프랭크) 줌왈트는 모두 시골 의사였다. 특히 그의 어머니 프랜시스는 버몬트주 벌링턴 출신의 줄리어스와 사라 프랭크의 딸로, 유대교 가정에서 자랐다. 그러나 기독교인이었던 줌왈트와 결혼하면서 친가와의 관계가 소원해졌다. 이후 그의 가족은 캘리포니아주 툴레어로 이주하여 그곳에서 성장했다.
1.2. 교육 및 해군사관학교 입학
줌왈트는 미국 보이스카우트의 최고 등급인 이글 스카우트였으며, 우수 이글 스카우트 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그는 캘리포니아주 툴레어에 위치한 툴레어 유니온 고등학교를 졸업하며 수석 졸업생(valedictorian)이 되었다. 이후 롱비치에 위치한 러더퍼드 예비학교를 거쳤다.
원래는 부모님처럼 의사가 될 계획이었으나, 1939년 메릴랜드주 아나폴리스에 위치한 미국 해군사관학교에 입학하게 된다. 해군사관학교 생도 시절, 그는 트라이던트 협회 회장과 쿼터덱 협회 부회장을 역임했으며, 1940년부터 1941년까지 2년 연속으로 6월 주 연설 대회에서 우승했다. 또한 학부 간 토론 대회에 참가하고, 1941년에는 중대장, 1942년에는 연대 3성 생도(Regimental Three Striper)를 맡았다. 1942년 6월 19일, 그는 우수한 성적으로 해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소위로 임관했다. 그는 또한 텍사스 공과대학교에서 명예 학위를 받았다.
2. 해군 경력
줌왈트는 해군 복무 기간 동안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며 여러 직책을 거쳤다.
2.1. 초기 복무 및 제2차 세계 대전
소위로 임관한 줌왈트는 1942년 8월부터 1943년 11월까지 USS 펠프스 (DD-360) 구축함에서 당직 사관으로 근무했다. 1943년 11월에는 샌프란시스코의 태평양 작전 훈련 사령부에서 교육을 받았다.
1944년 1월, 그는 구축함 USS 로빈슨 (DD-562)에 배치되었고, 이 함선에서 "1944년 10월 25일 레이테만 전투 중 적 일본 해군 전함에 대한 전투 정보 센터 평가관으로서의 영웅적인 봉사"로 동성 훈장과 무공 기장을 수여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종전된 1945년 8월 이후에도 줌왈트는 1945년 12월 8일까지 복무를 이어갔다. 그는 승조원 200명 규모의 일본 해군 1,200톤급 강포함 '아타카'의 접수 승무원 장교로 일했다. 이 역할에서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 처음으로 미국이 통제하는 선박을 이끌고 황푸강을 거슬러 중국 상하이로 진입했다. 그곳에서 그는 질서를 회복하고 일본군의 무장 해제를 돕는 데 기여했다. 또한 이 시기 상하이에 거주하던 러시아계 프랑스인 가정의 여성인 모우자 쿠텔레-뒤-로슈와 만나 결혼했다. 그녀는 그와 함께 미국으로 돌아왔다.
2.2. 전후 지휘 및 한국 전쟁
줌왈트는 이어서 구축함 USS 소플리 (DD-465)의 부함장으로 복무했으며, 1946년 3월에는 구축함 USS 젤라스 (DD-777)로 전속되어 부함장 겸 항해사로 근무했다.
1948년 1월, 그는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채플힐 캠퍼스 해군예비역장교훈련단(NROTC)에 배정되어 1950년 6월까지 근무했다. 같은 달, 그는 예비역 상태로 취역한 호위 구축함 USS 틸스 (DE-748)의 함장으로 부임했다. '틸스'는 1950년 11월 21일 찰스턴 해군조선소에서 완전 현역으로 재취역했으며, 그는 1951년 3월까지 이 함선을 지휘했다. 이후 전함 USS 위스콘신 (BB-64)의 항해사로 합류하여 한국 전쟁 작전에 참전했다.
1952년 6월 USS '위스콘신'에서 전출된 그는 로드아일랜드주 뉴포트에 위치한 해군대학에 입학하여 1953년 6월 졸업했다. 이후 워싱턴 D.C. 해군부 해군인사국 해안 및 해외 기지 부서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또한 장교 및 사병 인력 요구 사항 담당관과 메디케어 법안 담당관으로도 활동했다. 1955년 7월 이 임무를 마치고 구축함 USS 아놀드 J. 이스벨 (DD-869)의 함장으로 취임하여 미국 7함대와 함께 두 차례의 배치에 참여했다. 이 임무에서 그는 자신의 함선이 전투 효율성 대회에서 우승하고 공학, 포술, 대잠전, 작전 분야에서 우수상을 수상한 공로로 미국 태평양 함대 순양함-구축함 부대 사령관으로부터 표창을 받았다. 1957년 7월, 그는 추가 임무를 위해 해군인사국으로 복귀했다. 1957년 12월, 그는 해군 차관보(인사 및 예비군 담당)실로 전속되어 1958년 11월까지 해군 인사 특별 보좌관으로, 그 후 1959년 8월까지 특별 보좌관 겸 해군 부관으로 근무했다.
유도 미사일 호위함으로 처음부터 건조된 함선인 USS 듀이 (DLG-14) (메인주 바스 철공소에서 건조)의 지휘를 맡게 되어, 1959년 12월 취역과 함께 해당 호위함의 함장으로 취임하여 1961년 6월까지 지휘했다. 그의 지휘 기간 동안 '듀이'는 공학, 보급, 무기 분야에서 우수상을 수상했으며 전투 효율성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그는 1961년부터 1962년까지 워싱턴 D.C.에 있는 국립 전쟁대학에서 학생으로 재학했다. 1962년 6월, 그는 워싱턴 D.C.의 국방부 차관보(국제 안보 담당)실에 배정되어 처음에는 프랑스, 스페인, 포르투갈 담당관으로, 그 후에는 쿠바에 대한 군비 통제 및 비상 계획 국장으로 근무했다. 1963년 12월부터 1965년 6월 21일까지는 폴 니츠 해군장관의 행정 보좌관 겸 선임 부관으로 봉사했다. 국방부 장관실과 해군장관실에서의 근무를 통해 그는 훈공장을 수여받았다.
2.3. 베트남 전쟁 참전

2.3.1. 베트남 파견 해군 사령관으로서의 지휘
해군 소장으로 승진한 줌왈트는 1965년 7월 24일 샌디에이고에서 제7순양함-구축함 전대를 지휘하게 되었다. 이후 1966년 8월부터 1968년 8월까지 해군 작전 참모부(OPNAV) 시스템 분석 국장(OP-96)으로 근무했다. 1968년 9월, 그는 남베트남 해군군사원조사령부 해군사령관 및 해군자문단장이 되었고, 1968년 10월에는 해군 중장으로 진급했다. 줌왈트는 미국 베트남 군사원조사령부 사령관 크레이튼 에이브람스 장군의 해군 자문관이었다. 줌왈트는 에이브람스를 매우 높이 평가하며, 그가 자신이 아는 가장 자상한 장교였다고 언급했다.
줌왈트의 지휘부는 미국 7함대와 같은 원양 해군이 아니었다. 그것은 연안 해군 부대로, 베트남의 해안, 항구, 강을 순찰하는 고속정(Swift Boats) 전대를 지휘했다. 이 고속정 사령관 중에는 그의 아들 엘모 러셀 줌왈트 3세와 훗날 상원의원 및 국무장관이 되는 존 케리가 있었다. 그의 다른 병력으로는 해안 감시 부대인 제115 기동부대, 강변 순찰 부대인 제116 기동부대, 그리고 육군-해군 연합 기동 강변 부대인 제117 기동부대가 있었다.
2.3.2. 고엽제 논란과 개인적 영향
줌왈트는 베트남 파견 해군 사령관으로 재직하며 다양한 작전에서 고엽제 사용을 명령했다. 당시 고엽제 제조사들은 군에 이 물질이 인체에 무해하다고 설명했고, 줌왈트 역시 다른 지휘관들과 마찬가지로 이 설명을 믿고 고엽제 살포 작전을 실행했다. 고엽제는 메콩강 삼각주 일대에 살포되어 식물을 고사시킴으로써 "베트콩을 수로에서 1000 yd 뒤로 몰아내기" 위한 목적이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고엽제의 실제 유해성이 드러나게 되었다. 많은 장병들이 고엽제에 노출되었고, 그의 아들 엘모 러셀 줌왈트 3세도 그중 한 명이었다. 줌왈트 3세는 1983년 1월 림프종 진단을 받았고, 1985년에는 호지킨 림프종도 발견되었다. 또한 1977년에 태어난 그의 손자 엘모 러셀 줌왈트 4세는 학습 장애를 가지고 태어났다. 줌왈트 제독과 그의 가족은 아들과 손자 모두 고엽제의 피해자라고 확신했다.
1986년 뉴욕 타임스에 실린 기사에서 줌왈트 3세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저는 변호사이지만, 현재 존재하는 과학적 증거만으로는 고엽제가 베트남 참전 용사들이 보고한 모든 의료 문제, 즉 신경 질환, 암, 피부 문제, 그리고 그 자녀들의 심각한 선천적 기형의 원인이라고 법정에서 증명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저는 그것이 원인이라고 확신합니다."
줌왈트 제독과 그의 아들은 작가 존 페카넨과 협력하여 1986년 9월 매크밀런 출판사에서 아들의 암 투병이라는 가족의 비극을 다룬 책 『나의 아버지, 나의 아들(My Father, My Son영어)』을 출간했다. 이 책은 1988년에 동명의 TV 영화로 제작되었고, 칼 말든이 줌왈트 제독을, 키스 캐러딘이 아들을 연기했다. 엘모 줌왈트 3세는 1988년 8월 14일, 42세의 나이로 암으로 사망했으며, 이는 TV 영화가 방영된 지 3개월 후였다. 줌왈트의 고엽제 사용 명령은 군사적 효율성이라는 명분 아래 이루어졌으나, 장병들과 그 가족들에게 돌이킬 수 없는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안겨준 비극적 유산으로 남아있으며, 이는 국가가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깊이 성찰하게 하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된다.
2.4. 해군 작전부장 재임
해군 작전부장 재임 기간 동안 줌왈트는 해군 내 인종차별과 성차별을 줄이고 병사들의 사기를 진작하기 위한 일련의 혁신적인 정책들을 추진했다. 이는 'Z-그램'이라는 해군 전반의 통신문을 통해 전파되었으며, 특히 '하이-로우' 함대 전략으로 해군의 노후 함선 교체 노력을 재편했다.
2.4.1. 해군 개혁 정책 ("Z-그램")
리처드 닉슨 대통령은 1970년 4월 줌왈트를 해군작전부장으로 지명했다. 1970년 5월 15일 베트남 해군 사령관직에서 이임하면서 그는 탁월한 공로로 두 번째 해군 수훈 메달을 수여받았다. 1970년 7월 1일 해군작전부장으로 취임하고 해군 대장으로 진급한 줌왈트는 해군 내 인종차별과 성차별을 줄이기 위한 일련의 조치들을 신속하게 시작했다. 이 조치들은 'Z-그램'으로 알려진 해군 전반의 통신문을 통해 전파되었다. 여기에는 턱수염 허용(구레나룻, 콧수염, 더 길게 다듬은 머리도 허용) 및 병영 내 맥주 자판기 설치 등의 명령이 포함되었다.
줌왈트는 유망한 젊은 장교들에게 조기 지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모드 스쿼드(Mod Squad영어)'를 설립했는데, 이는 제26 구축함 전대, 나중에는 제31 구축함 전대로 이어졌다. 이 보직들은 일반적인 계급보다 한 단계 낮은 계급으로 구성되었다.
그의 Z-그램 정책은 해군 내 경직된 관행과 차별적 요소를 제거하고, 사병들의 사기를 진작하며 복무 환경을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는 사회적 평등과 인권 개선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평가된다. 예를 들어, Z-그램 57은 머리 단정 기준 및 제복 착용에 관한 엄격하게 적용되던 규정들을 완화하여 대다수 해군 장병들이 덜 엄격한 규칙 아래에서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Z-그램 66은 모든 해군 시설에 소수 민족 장교 또는 선임 하사관을 지휘관의 소수 민족 업무 보좌관으로 임명하도록 지시하여 해군 내 다양성과 포용성을 증진하려 했다.
2.4.2. "하이-로우" 함대 전략
줌왈트는 수많은 노후한 제2차 세계 대전 시대 함선들을 대체하기 위한 해군의 노력을 재편했다. 이 계획은 "하이-로우(High-Low영어)"라고 불렸다. 하이먼 G. 리코버 제독과 다른 이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추진된 하이-로우 전략은 고가의 핵추진 함선과 해상 통제함(Sea Control Ship)과 같이 더 저렴하고 대량으로 건조할 수 있는 저가 함선을 구매하는 것 사이의 균형을 맞추려고 했다. '핵 해군의 아버지'로 불리는 리코버는 소수의 주요 함선을 구매하는 것을 선호했다. 줌왈트는 이 계획에 맞는 네 가지 종류의 전함을 제안했지만, 결국에는 미사일 고속정인 페가수스급 초계정과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프리깃만이 현실화되었고, 계획된 100척 이상의 페가수스급 하이드로포일 함선 중 단 6척만이 건조되었다.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은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이 등장하기 전까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 해군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 함급이었다. 줌왈트는 미국 부통령의 공식 관저가 되기 전 넘버원 옵저버토리 서클에 거주했던 마지막 해군작전부장이었다. 줌왈트에게는 이 관저 선택이 불만스러웠으며, 이는 그가 1976년 버지니아주 상원의원 선거에서 해리 F. 버드 주니어 상원의원에게 도전한 이유 중 하나가 되었다.
엘모 줌왈트 주니어는 1974년 7월 1일, 53세의 나이로 해군에서 퇴역했다.
3. 퇴역 후 활동
3.1. 정치 활동
해군에서 퇴역한 후, 줌왈트는 1976년 버지니아주 선거구에서 민주당 소속으로 미국 상원 의원 선거에 출마했으나 현직 무소속 상원의원 해리 F. 버드 주니어에게 57% 대 38%의 득표율로 패배하여 낙선했다.
3.2. 공공 봉사 및 옹호 활동
그는 이후 밀워키, 위스콘신주에 있는 아메리칸 메디컬 빌딩 법인의 사장을 역임했다. 아들 엘모 줌왈트 3세의 투병 중이던 1980년대 초, 줌왈트 제독은 가족 내에 적합한 골수 이식 기증자가 없는 환자들을 위한 국립골수기증프로그램 등록 기관 설립을 위해 의회를 적극적으로 설득했다. 그의 아들은 결국 여동생으로부터 골수를 이식받을 수 있었지만, 많은 환자들이 이러한 방식으로 도움을 줄 가까운 친척을 찾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이에 그의 노력은 1986년 7월 국립골수기증프로그램(NMDP) 설립에 큰 영향을 미쳤다. 줌왈트 제독은 NMDP 이사회의 초대 의장을 역임했다. 그는 또한 1996년 제레미 보르다 작전부장의 베트남 참전 훈장 소지 자격 논란에 대해 보르다를 옹호하는 입장을 보였다.
3.3. 저술 활동
퇴역 후 줌왈트는 1976년 쿼드랭글 북스에서 『온 워치: 회고록(On Watch: a Memoir영어)』을 출간했다. 이 책은 그의 해군 경력을 다루며, 그가 해군작전부장 시절 발행했던 모든 Z-그램의 원문이 수록되어 있다.
또한 줌왈트 제독은 아들 엘모 줌왈트 3세와 함께 작가 존 페카넨과 협력하여 1986년 9월 매크밀런 출판사에서 『나의 아버지, 나의 아들(My Father, My Son영어)』이라는 책을 출간했다. 이 책은 아들의 암 투병이라는 가족의 비극을 다루고 있다. 이 책은 1988년에 동명의 TV 영화로 제작되어 칼 말든이 제독 역을, 키스 캐러딘이 아들 역을 맡았다.
4. 개인 생활
줌왈트는 1945년 상하이에서 프랑스-러시아계 가족 출신인 모우자 쿠텔레-뒤-로슈와 만나 결혼했다. 그녀는 그와 함께 미국으로 돌아왔다. 두 사람 사이에는 네 명의 자녀가 있었다. 엘모 러셀 줌왈트 3세, 제임스 그레고리 줌왈트, 앤 F. 줌왈트 코폴라, 그리고 모우제타 C. 줌왈트-웨더스이다.
줌왈트의 장남 엘모 줌왈트 3세는 베트남 전쟁 중 줌왈트가 지휘하던 순찰정 중 한 척에서 중위로 복무했다. 줌왈트는 말년에 버지니아주 알링턴 카운티에 거주했다.
5. 사망

줌왈트는 2000년 1월 2일, 79세의 나이로 노스캐롤라이나주 더럼에 위치한 듀크 대학교 의료 센터에서 중피종으로 사망했다. 중피종은 그가 해군 복무 기간 동안 오랜 기간 흡입한 석면이 원인으로 알려졌다. 그의 장례식은 해군사관학교 예배당에서 거행되었다. 빌 클린턴 대통령은 추도사에서 줌왈트를 "미국 해군의 양심"이라고 칭했다.
6. 유산 및 평가
6.1. 추모 및 영예
미국 해군의 DD(X) 유도 미사일 구축함 프로그램은 그의 이름을 따서 줌왈트급 구축함으로 명명되었으며, 그 선도함인 USS 줌왈트 (DDG-1000)는 해군 전통에 따라 그의 이름을 딴 함선이다. 특히 이 구축함에 탑재된 두 척의 복합정은 줌왈트 제독과 그의 아들의 이름에서 따온 "엘모"와 "러셀"로 명명되었다.
2013년, 웨스트 로스앤젤레스 재향군인 의료센터에 위치한 중피종 우수 센터는 "엘모 줌왈트 치료 및 연구 센터(Elmo Zumwalt Treatment & Research Center영어)"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이 센터는 중피종 연구, 특히 복무 중 석면에 노출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참전 용사들을 위한 연구를 전문으로 한다. 1994년 미국 해군 기념 재단은 줌왈트에게 그의 뛰어난 해군 경력을 기려 "외로운 선원 상(Lone Sailor Award영어)"을 수여했다. 1972년 줌왈트는 스웨덴 왕립 해군 과학 학회의 명예 회원이 되었다.
7. Z-그램 목록
"Z-그램"은 엘모 줌왈트가 해군작전부장(CNO)으로 재임 중 발행한 정책 지시의 준공식 명칭이다. 이러한 지시 중 다수는 베트남 전쟁에서 미국이 철수하던 시기 자격을 갖춘 해군 인력의 모집 및 유지를 어렵게 만들던 구식 정책들을 개혁하려는 노력의 일환이었다.
- Z-그램 1 (1970년 7월 1일): 줌왈트의 CNO 취임사.
- Z-그램 2 (1970년 7월 14일): 주니어 장교 유지 연구 그룹 소집.
- Z-그램 3 (1970년 7월 22일): 암호 절차 및 정책.
- Z-그램 4 (1970년 7월 30일): 영구 근무지 변경(PCS) 명령을 받은 장교에게 30일 휴가 허용.
- Z-그램 5 (1970년 7월 30일): 6개 함선에서 시험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일등 상사에게 장교 및 주임상사(CPO)와 동일하게 배에 사복을 보관하고 육상 휴가 시 착용할 수 있는 특권 부여.
- Z-그램 6 (1970년 8월 11일): 해외 배치 인력이 휴가 기간 동안 해외 휴가 항구에서 가족 방문을 위한 교통편 및 숙소 마련을 돕기 위해 배치된 인력이 전액 자금을 조달하는 시험 프로그램 도입.
- Z-그램 7 (1970년 8월 11일): 지휘관에게 새로 도착하는 인력의 후원자를 배정하도록 지시. 후원자는 일반적으로 비슷한 계급 또는 직급이며 유사한 결혼 및 가족 상태를 가진 사람이 새로 도착한 가족이 새로운 장소에 정착하는 것을 돕도록 함.
- Z-그램 8 (1970년 8월 11일): 장교 명령서 작성 인력의 근무 시간을 16:30에서 21:00로 연장하여 명령을 기다리는 장교들이 근무 시간 외에도 전화 문의를 할 수 있도록 함.
- Z-그램 9 (1970년 8월 14일): 일반적인 진급 시험에서 5회 불합격한 의욕적인 개인을 위한 일등 상사 및 CPO 진급 대체 수단 제공.
- Z-그램 10 (1970년 8월 20일): 해군 항공 기지에 도착하는 각 임시 항공기를 장교 또는 CPO가 만나 항공기 정비 조율 및 비행 승무원의 식사 및 임시 숙소 지원을 하도록 요구.
- Z-그램 11 (1970년 8월 24일): 해군 사병이 요청할 경우 계속적인 해상 근무를 허용.
- Z-그램 12 (1970년 8월 24일): 기본 훈련 중인 신병을 제외한 모든 사병이 저녁 식사 중 또는 후에 해안 기지에서 사복 착용 허용.
- Z-그램 13 (1970년 8월 26일): 지휘관에게 해외 배치 복귀 후 첫 30일 이내에 승무원의 최소 절반에게 30일 휴가를 부여하도록 지시.
- Z-그램 14 (1970년 8월 27일): 주니어 장교에게 전통적으로 부여되던 18가지 부수적 업무(담배 기금 장교, 한랭 기후 장교 포함) 폐지 및 다른 18가지 부수적 업무(영화 장교, 체육 장교 포함)를 자격을 갖춘 선임 상사에게 할당하도록 권장.
- Z-그램 15 (1970년 8월 28일): 모든 경리 장교에게 1970년 10월 30일 이전에 모든 인력에게 기본 급여 및 의류, 주거, 해상 근무, 적대적 화재 수당과 세금, 공제액 및 할당액을 항목별로 기재한 수입 명세서 제공 명령.
- Z-그램 16 (1970년 9월 2일): 다른 함선 또는 모항에 있는 유사 자격의 해군 장병과 근무 교환을 원하는 해군 사병을 돕기 위한 컴퓨터 데이터베이스 구축.
- Z-그램 17 (1970년 9월 2일): 해군 기지에서의 수표 현금화 한도를 25 USD에서 50 USD로 상향.
- Z-그램 18 (1970년 9월 4일): 해군 재무 센터를 24시간 운영하여 모든 경리 장교가 급여 및 혜택에 대한 긴급 문의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함.
- Z-그램 19 (1970년 9월 4일): 닉슨 대통령의 행정 명령 이행으로 장교들의 조기 진급 비율 증가 허용.
- Z-그램 20 (1970년 9월 8일): 모든 해안 기지가 작업복을 입고 더러운 일을 하는 사병을 위한 세탁 시설 및 사물함 제공을 요구.
- Z-그램 21 (1970년 9월 9일): 지휘관에게 휴일에 경계 근무를 서는 인력에게 보상 휴가를 제공하도록 권장.
- Z-그램 22 (1970년 9월 9일): 해안 기지에 복지, 주거 및 주차 시설을 위한 시설 개선 팀을 조직하도록 허용.
- Z-그램 23 (1970년 9월 12일): CNO 자문 위원회인 CPO 자문 위원회 설립.
- Z-그램 24 (1970년 9월 14일): 해군 부인들이 해안 기지 지휘관에게 불만, 견해 및 제안을 제출하는 절차 수립.
- Z-그램 25 (1970년 9월 16일): 항구에 정박 중인 함선이 당직 근무 순환을 4일 중 1일에서 6일 중 1일로 줄이도록 허용.
- Z-그램 26 (1970년 9월 21일): 주요 해군 기지에서 해안 경비대 인력 배정 책임을 함정 승무원에서 해안 기반 인력으로 전환.
- Z-그램 27 (1970년 9월 21일): 모항에서 출항하는 함선들의 주말 정기 지역 작전 폐지.
- Z-그램 28 (1970년 9월 21일): 유지 연구 그룹의 권고 사항 이행에 대한 현황 보고.
- Z-그램 29 (1970년 9월 22일): 지휘관에게 해외 배치 중 승무원의 5%에게 휴가를 허용하도록 권장.
- Z-그램 30 (1970년 9월 23일): 5개 해군 기지에 주니어 장교를 위한 "하드록(hard-rock영어)" 장교 클럽 설립 및 다른 해군 기지 장교 클럽에 비공식 복장 허용, 미동반 젊은 여성의 클럽 방문 장려, 젊은 장교를 클럽 관리자에게 임명하여 주니어 장교의 사기 향상을 위한 다른 조치에 대해 조언하도록 권장.
- Z-그램 31 (1970년 9월 23일): 주니어 장교 함정 조종 대회 설립, 우승자는 다음 근무지 선택 가능.
- Z-그램 32 (1970년 9월 23일): 해군 장병이 지휘부의 도움을 받아 직접 재입대 의식을 주선할 수 있도록 허용.
- Z-그램 33 (1970년 9월 25일): 해군 PX 매점의 고객 서비스 개선 절차 수립.
- Z-그램 34 (1970년 9월 25일): 주니어 장교의 정식 만찬복 소유 의무 폐지.
- Z-그램 35 (1970년 9월 25일): 병영 내 주류 및 선임 사병 병영 내 맥주 자판기 허용.
- Z-그램 36 (1970년 9월 26일): 지휘관에게 기지 내 진료소 및 재무 시설의 고객 서비스 정신 개선을 권장.
- Z-그램 37 (1970년 9월 26일): 항공 비행대 지휘에 필요한 계급을 소령에서 대위로 하향 조정.
- Z-그램 38 (1970년 9월 28일): 지휘관에게 해외 배치 중인 함선이 아닌 한 일요일과 공휴일의 정기 작업 루틴 편성 폐지 지시.
- Z-그램 39 (1970년 10월 5일): 25개 대형 기지 매점의 운영 시간을 연장하여 토요일 오전 및 급여일 혼잡 감소.
- Z-그램 40 (1970년 10월 7일): 해군 장병에게 현금 또는 수표로 급여를 받을 수 있는 선택권 부여.
- Z-그램 41 (1970년 10월 21일): 해군대학에 지휘 우수 교수직 설치, 지휘에서 뛰어난 실적을 가진 소령 또는 대령이 담당.
- Z-그램 42 (1970년 10월 13일): 주니어 장교가 첫 근무지 배정으로 해상 근무를 요청할 수 있도록 허용.
- Z-그램 43 (1970년 10월 13일): 지휘관에게 경리 장교가 대규모 여행 경비 상환 청구를 신속하게 처리하도록 도울 것을 권장.
- Z-그램 44 (1970년 10월 13일): 선임 상사에게 입항 중 당직 사관 근무를 서도록 권장하여 주니어 장교의 업무 부담 감소.
- Z-그램 45 (1970년 10월 15일): 지휘관에게 포로 가족에 대한 지원 서비스 강화를 권장.
- Z-그램 46 (1970년 10월 15일): 3M 계획 정비 시스템 검사 및 문서화에 필요한 정기 서류 작업 감소.
- Z-그램 47 (1970년 10월 20일): 비활성화되는 함선의 부서장 및 부함장의 책임 강화.
- Z-그램 48 (1970년 10월 23일): 해군인사국에 현역 군인 가족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새로운 사무실 설립.
- Z-그램 49 (1970년 10월 23일): 포상 위원회 인원의 절반은 소령 미만이어야 함.
- Z-그램 50 (1970년 10월 23일): 해외 배치에서 복귀하는 함선이 육상 시설을 이용하여 더 많은 수의 공병 인력이 휴가를 갈 수 있도록 권장.
- Z-그램 51 (1970년 10월 23일): 연안 해군 보트 지휘 장교를 위한 통일된 가슴 배지 제정.
- Z-그램 52 (1970년 10월 23일): CNO 정책 전파.
- Z-그램 53 (1970년 11월 2일): 주니어 장교에게 제공되는 직무 목록을 매년 발간하도록 허용, 경력 계획을 위한 지리적 위치 및 필수 자격 강조.
- Z-그램 54 (1970년 11월 2일): 주니어 장병이 CNO에게 제안을 할 수 있는 절차 개요.
- Z-그램 55 (1970년 11월 4일): 해군 인적 자원 관리 개선을 위한 시범 프로그램 설립.
- Z-그램 56 (1970년 11월 9일): Z-그램 16과 유사한 프로그램으로, 다른 함선 또는 모항에 있는 유사 자격의 장교와 근무 교환을 원하는 장교를 위한 프로그램 설립.
- Z-그램 57 (1970년 11월 10일): 선택적으로 집행되던 광범위한 규정들을 폐지하고, 머리 단정 기준 및 제복 착용에 관한 다른 규정들의 완화된 해석을 명시하여, 소수의 신뢰와 자신감을 남용하는 이들을 제재하기 위해 고안된 정책들로 인해 대다수 해군 장병들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함.
- Z-그램 58 (1970년 11월 14일): 해상 매점에서 구매 시 수표 결제 허용.
- Z-그램 59 (1970년 11월 14일): 장교가 장교와 해군 모두에게 상호 이익이 되는 분야에서 전문성 개발을 위해 1년간 독립적인 연구 및 학습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 설립.
- Z-그램 60 (1970년 11월 18일): 모든 주요 해군 시설에 제안을 받을 수 있는 녹음 응답 장치 한 대를 설치하도록 권장.
- Z-그램 61 (1970년 11월 19일): 준사관 및 선임 상사가 해상에서 통신 당직 장교 및 등록된 출판물 관리인으로 근무할 수 있도록 허용.
- Z-그램 62 (1970년 11월 27일): 해군 인력 정책 개선을 논의하고 CNO 및 해군장관에게 견해를 제시하는 해군 대학 포럼 설립.
- Z-그램 63 (1970년 11월 30일): 함선이 유지해야 할 간행물 수를 25% 감소.
- Z-그램 64 (1970년 12월 3일): 지휘관에게 주니어 장교가 함선 조종을 연습할 기회를 늘리도록 권장.
- Z-그램 65 (1970년 12월 5일): 베트남 근무에 자원하는 장교를 위한 인센티브 목록.
- Z-그램 66 (1970년 12월 17일): 모든 해군 시설에 소수 민족 장교 또는 선임 상사를 소수 민족 업무 보좌관으로 임명하도록 지시.
- Z-그램 67 (1970년 12월 22일): 필요한 검사 절차를 간소화하여 준비 및 실행에 필요한 시간 단축.
- Z-그램 68 (1970년 12월 23일): Z-그램 5에서 시험적으로 도입되었던 사복 착용 특권을 모든 함선의 모든 사병으로 확대.
- Z-그램 69 (1970년 12월 28일): 제독 진급 요건에서 대형 함선 지휘 경험 폐지.
- Z-그램 70 (1971년 1월 21일): Z-그램 57에서 다루었던 머리 단정 기준 및 작업복 규정을 명확히 하여 현대적인 헤어스타일을 반영하고, 기지와 기지 외부 주거지 간 통근 시 작업복 착용을 허용.
8. 계급 진급 연혁
미국 해군사관학교 해군사관학교 생도 - 전시 필요에 따라 1942년 6월 19일 졸업한 1943년 학번.
소위 | 중위 | 대위 | 소령 | 중령 | 대령 |
---|---|---|---|---|---|
O-1 | O-2 | O-3 | O-4 | O-5 | O-6 |
1942년 6월 19일 | 1943년 5월 1일 | 1944년 7월 1일 | 1950년 4월 1일 | 1955년 2월 1일 | 1961년 7월 1일 |
준장 | 소장 | 중장 | 대장 |
---|---|---|---|
O-7 | O-8 | O-9 | O-10 |
해당 없음 | 1965년 7월 1일 | 1968년 10월 1일 | 1970년 7월 1일 |
9. 주요 보직
- 1942년 8월 - 1943년 11월: 당직 장교, USS 펠프스 (DD-360)
- 1943년 11월 - 1943년 12월: 학생, 태평양 작전 훈련 사령부,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주
- 1944년 1월 - 1945년 10월: 당직 장교, USS 로빈슨 (DD-562)
- 1945년 10월 - 1946년 3월: 부함장, USS 소플리 (DD-465)
- 1946년 3월 - 1948년 1월: 부함장, USS 젤라스 (DD-777)
- 1948년 1월 - 1950년 6월: 해군학 조교수,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채플힐 캠퍼스 NROTC 부대
- 1950년 6월 - 1951년 3월: 함장, USS 틸스 (DE-748)
- 1951년 3월 - 1952년 6월: 항해사, USS 위스콘신 (BB-64)
- 1952년 6월 - 1953년 6월: 학생, 해군대학, 뉴포트, 로드아일랜드주
- 1953년 6월 - 1955년 7월: 해군인사국, 워싱턴 D.C.
- 1955년 7월 - 1957년 7월: 함장, USS 아놀드 J. 이스벨 (DD-869)
- 1957년 7월 - 1957년 12월: 중위 인사 담당관, 해군인사국
- 1957년 12월 - 1959년 8월: 특별 보좌관, 해군 차관보실(인사 및 예비군 담당) 행정 보좌관
- 1959년 8월 - 1961년 6월: 함장 예정자, 함장, USS 듀이 (DLG-14)
- 1961년 8월 - 1962년 6월: 학생, 국립 전쟁대학, 워싱턴 D.C.
- 1962년 6월 - 1963년 12월: 담당관, 국방부 차관보실(국제 안보 담당)
- 1963년 12월 - 1965년 6월: 행정 보좌관, 해군장관실
- 1965년 7월 - 1966년 7월: 사령관, 제7순양함-구축함 전대
- 1966년 8월 - 1968년 8월: 국장, CNO실 시스템 분석 국
- 1968년 9월 - 1970년 5월: 사령관, 미국 해군 베트남군 및 단장, 베트남 해군 자문단, 사이공, 남베트남
- 1970년 7월 - 1974년 6월: 해군작전부장, 펜타곤, 알링턴, 버지니아주
10. 수상 및 훈장
10.1. 미국 군사 상훈 및 표창
| 해군 수훈 메달 (금 별 2개 포함) |
훈공장 (금 상훈별 1개 포함) | |
동성 훈장 (무공 기장 포함) | |
해군 표창 메달 (무공 기장 포함) | |
해군 부대 표창 | |
중국 근무 메달 | |
미국 방어 근무 메달 (동 "A" 기장 포함) | |
미국 전역 메달 | |
아시아-태평양 전역 메달 (은 캠페인별 1개 및 동 캠페인별 2개 포함) | |
제2차 세계 대전 승전 메달 | |
해군 점령 근무 메달 ("아시아" 걸쇠 포함) | |
국방 근무 메달 (동 종군별 1개 포함) | |
한국 전쟁 근무 메달 (동 종군별 2개 포함) | |
베트남 전쟁 근무 메달 (은 종군별 1개 및 동 종군별 2개 포함) | |
미국 해군 소총 사격술 리본 |
10.2. 미국 민간인 상훈
대통령 자유 메달 |
10.3. 외국 상훈
![]() | 아르헨티나 해군 공로 훈장 대십자장 |
![]() | 레오폴드 훈장 사령관 |
![]() | 볼리비아 해군 공로 훈장 고위 장교 등급 |
![]() | 브라질 해군 공로 훈장 고위 장교 |
남십자성 훈장 대십자장 | |
칠레 공로 훈장 | |
![]() | 파딜라 제독 해군 공로 훈장 고위 장교 |
두아르테, 산체스, 메야 공로 훈장 은 가슴 별 대십자장 | |
레지옹 도뇌르 훈장 사령관 | |
독일연방공화국 공로훈장 대십자 2등급 | |
![]() | 게오르기오스 1세 훈장 대십자장 |
![]() | 빈탕 잘라세나 1등급 |
이탈리아 공화국 공로훈장 대십자장 | |
욱일장 대훈장 | |
![]() | 무공훈장 3등급 |
보국훈장 통일장 | |
오라녜 나사우 훈장 고위 장교 (검 포함) | |
노르웨이 왕실 성 올라브 훈장 대십자장 | |
검 훈장 대사령관 대십자장 | |
![]() | 베네수엘라 해군 공로 훈장 1등급 |
베트남 국가 훈장 3등급 | |
베트남 수훈 훈장 1등급 | |
베트남 무공 십자장 (야자수 잎 포함) | |
쯔엉 미 메달 1등급 | |
필리핀 해방 메달 (종군별 2개 포함) | |
유엔 한국 전쟁 메달 | |
베트남 전역 메달 | |
한국 전쟁 종군 메달 (대한민국) |
10.4. 외국 부대 표창
필리핀 대통령 부대 표창 (필리핀) | |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 (대한민국) | |
베트남 무공 십자장 부대 표창 (남베트남) | |
베트남 민간 작전 부대 표창 (남베트남) |
10.5. 미국 보이스카우트 상훈
![]() | 우수 이글 스카우트 상 |
11. 같이 보기
- 줌왈트급 구축함
- 미국 해군
- 베트남 전쟁
- 고엽제
- 메소세포종
- 존 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