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선수 경력 시작
엘로이 히메네스는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태어나 시카고 컵스에 입단하며 프로 야구 선수로서의 초기 경력을 시작했습니다.
1.1. 출생 및 배경
엘로이 아르투로 히메네스 솔라노는 1996년 11월 27일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태어났다.
1.2. 시카고 컵스 입단 및 마이너 리그 시절
히메네스는 2013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 계약 선수 시장에서 최고 유망주로 평가받았다. MLB.com은 그를 5툴 플레이어로 지목하며, 훈련 과정에서 스카우트들에게 그의 야구 지능, 스피드, 그리고 갭 투 갭 파워로 깊은 인상을 주었다고 언급했다. 2013년 7월, 그는 시카고 컵스와 280.00 만 USD의 계약금을 받고 계약을 체결했다.
2014년, 히메네스는 루키 레벨의 애리조나 리그 컵스에서 프로 데뷔를 했지만, 어깨 부상으로 인해 164타석에만 나설 수 있었다. 당시 타율은 .268을 기록했지만, 어린 나이와 타고난 신체 능력 때문에 스카우트들은 여전히 그에게 낙관적인 평가를 내렸다. 2015년에는 숏시즌 싱글-A 팀인 유진 에메랄즈로 승격되어, 250타석에서 7개의 홈런을 기록하며 타율을 .328로 끌어올리는 등 더욱 나은 성적을 보였다.
2016년에는 로우-A 팀인 사우스 벤드 컵스에서 시즌을 시작했으며, 112경기에서 타율 .329, 14홈런, 81타점을 기록했다. 시즌 후, 컵스는 히메네스를 애리조나 가을 리그의 메사 솔라삭스에 배정했다. 2017년 시즌은 하이-A 캐롤라이나 리그의 미틀 비치 펠리칸스에서 시작했다.
2. 시카고 화이트삭스 (2017년-2024년)
히메네스의 시카고 화이트삭스 경력은 컵스에서 트레이드된 이후 마이너 리그에서의 성장, 메이저 리그 데뷔와 초기 성공, 그리고 부상으로 인한 기복을 포함합니다.
2.1. 화이트삭스 트레이드 및 마이너 리그 발전
2017년 7월 13일, 시카고 컵스는 히메네스를 딜런 시스, 맷 로즈, 브라이언트 플레테와 함께 시카고 화이트삭스로 트레이드하고, 그 대가로 호세 퀸타나를 영입했다. 화이트삭스는 그를 캐롤라이나 리그의 윈스턴-살렘 대시에 배정했으며, 이후 더블-A 서던 리그의 버밍햄 배런스로 승격시켰다. 미틀 비치, 윈스턴-살렘, 버밍햄에서의 총 89경기에서 그는 타율 .312, 19홈런, 65타점, OPS .947을 기록했다. 2017년 시즌 후 화이트삭스는 그를 룰 5 드래프트에서 보호하기 위해 40인 로스터에 추가했다.
2018년, 화이트삭스는 히메네스를 더블-A 서던 리그의 버밍햄 배런스에 배정했지만, 그는 무릎 부상으로 스프링 트레이닝을, 흉근 부상으로 정규 시즌 초반을 결장했다. 6월에는 트리플-A 인터내셔널 리그의 샬럿 나이츠로 승격되었다. 두 팀에서 총 108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337/출루율.384/장타율.577, 22홈런, 75타점을 기록하며 뛰어난 성적을 보였다.
2.2. 메이저 리그 데뷔와 초기 성공
2019년 3월 22일, 히메네스는 화이트삭스와 6년 4300.00 만 USD의 계약을 체결했으며, 팀 옵션 2년이 포함될 경우 총액은 7500.00 만 USD에 달할 수 있었다. 이 계약은 메이저 리그 데뷔 전 선수로서는 역대 최고액 계약이었다. 그는 2019년 시즌을 앞두고 화이트삭스 25인 로스터에 포함되며 메이저 리그에 데뷔했다.
2019년 4월 12일, 그는 뉴욕 양키스 투수들을 상대로 메이저 리그 첫 두 개의 홈런을 기록했다. 4월 29일 발목 부상으로 부상자 명단에 올랐다. 2019년 6월 18일, 히메네스는 전 소속팀인 시카고 컵스를 상대로 결승 2점 홈런을 치며 화이트삭스의 3대1 승리를 이끌었다. 2019년 전체 시즌 동안 그는 122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67, 출루율 .316, 31홈런, 79타점을 기록했다. 수비에서는 좌익수로서 수비 기여도 (DRS) -11을 기록하며 메이저 리그 최하위였다. 그는 올해의 신인 투표에서 4위를 차지했다.
2020년 단축 시즌에는 55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96, 출루율 .332, 14홈런, 41타점을 기록하며 첫 실버 슬러거 상을 수상했다.
2.3. 부상 이력 및 기복
2021년 3월 24일, 스프링 트레이닝 경기 중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포수 션 머피의 홈런 타구를 잡으려다 왼쪽 흉근이 파열되는 부상을 입었다. 이 부상은 수술을 요했으며, 5~6개월간의 결장이 예상되었다. 4월 1일, 그는 60일 부상자 명단에 등재되었다. 7월 26일, 부상자 명단에서 복귀하여 시즌 첫 경기에 출전했다. 다음 날인 7월 27일, 그는 캔자스시티 로열스를 상대로 8회에 결승 3점 홈런을 기록했으며, 이 홈런은 약 140 m (459 ft)를 날아갔다. 8월 8일과 9일, 히메네스는 화이트삭스 역사상 최초로 2경기 연속으로 2홈런과 5타점을 기록한 선수가 되었다. 8월 8일에는 시카고 컵스 투수들을 상대로, 8월 9일에는 미네소타 트윈스 투수를 상대로 홈런을 쳤다. 9월 7일 오클랜드 콜리세움에서 열린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와의 경기에서, 덕아웃에 있던 히메네스는 팀 동료 앤드류 본이 친 파울 타구에 무릎을 맞고 심한 골멍 부상으로 경기를 떠났다. 2021년 최종 기록은 55경기 출전, 타율 .249, 출루율 .303, 10홈런, 37타점이었다.
2022년 4월 23일, 미네소타 트윈스와의 경기에서 1루로 뛰던 중 햄스트링 염좌를 겪으며 6~8주간 결장이 예상되었다. 7월 6일 부상자 명단에서 복귀했으며, 복귀 후 두 번째 타석에서 홈런을 쳤다. 2022년 화이트삭스 소속으로 총 84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95/.358/.500, 16홈런, 54타점을 기록했다. 트리플-A 샬럿 나이츠에서는 타율 .246, 2홈런, 6타점을 기록했다.
2023년 5월 6일, 맹장염 수술을 받고 부상자 명단에 올랐지만, 예상보다 빠른 5월 28일에 복귀했다. 2023년 시카고에서 120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72/.317/.441, 18홈런, 64타점을 기록했다.
2.4. 화이트삭스에서의 마지막 시즌
2024년 트레이드 전까지 화이트삭스 소속으로 65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40/.297/.345, 5홈런, 16타점을 기록했다.
3. 이후 경력
시카고 화이트삭스 이후 히메네스는 볼티모어 오리올스를 거쳐 탬파베이 레이스에 입단하며 선수 경력을 이어갔습니다.
3.1. 볼티모어 오리올스 (2024년)
2024년 7월 30일, 화이트삭스는 히메네스와 현금을 볼티모어 오리올스로 트레이드했으며, 그 대가로 트레이 맥고프를 받았다. 그는 볼티모어에서 33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32/.270/.316, 1홈런, 7타점을 기록했다. 11월 2일, 오리올스는 히메네스의 2025년 팀 옵션을 거절하고 300.00 만 USD의 바이아웃을 지불하기로 결정했다.
3.2. 탬파베이 레이스 (2025년-현재)
2024년 12월 23일, 히메네스는 탬파베이 레이스와 마이너 리그 계약을 체결했다.
4. 플레이 스타일 및 특징
히메네스는 프로 데뷔 전부터 뛰어난 타격 재능과 잠재력을 가진 5툴 플레이어로 평가받았다. 스카우트들은 그의 높은 야구 지능, 빠른 발, 그리고 좌중간과 우중간을 가르는 갭 투 갭 파워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그러나 메이저 리그 데뷔 후에는 주로 지명 타자와 외야수로 활약하며, 2019년에는 좌익수로서 수비 기여도 (DRS) -11을 기록하며 메이저 리그 좌익수 중 최하위 수비를 기록하기도 했다. 타격에서는 장타력을 겸비한 강력한 타자로 평가받지만, 잦은 부상으로 인해 꾸준한 출전과 경기력 유지에 어려움을 겪는 특징을 보인다.
5. 주요 업적 및 수상 경력
히메네스가 선수 경력 동안 달성한 주요 성과와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 2016년: 미드웨스트 리그 MVP
- 2020년: 실버 슬러거 상 (아메리칸 리그 외야수)
6. 개인사
엘로이 히메네스의 개인적인 삶에 대해 공개적으로 알려진 정보는 많지 않다. 그는 도미니카 공화국 출신으로, 1996년 11월 27일에 태어났다.
7. 유산 및 평가
엘로이 히메네스는 메이저 리그에서 강한 타격 능력과 홈런 파워를 선보인 선수로 평가받는다. 특히 2020년 실버 슬러거 상 수상은 그의 타격 잠재력을 보여주는 중요한 업적이다. 그러나 반복되는 부상은 그의 꾸준한 활약과 커리어 성장에 걸림돌이 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뛰어난 타격 재능을 바탕으로 팀에 기여하며 야구 팬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그의 유산은 잠재력과 부상의 아쉬움이 공존하는 선수로 기억될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