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초기 및 배경
에스밀 로저스는 1985년 8월 14일 도미니카 공화국 산토도밍고에서 태어났다. 그의 형인 에드 로저스 역시 볼티모어 오리올스에서 3시즌 동안 메이저리그를 경험한 프로 야구 선수이다.
로저스는 2003년 7월 10일 콜로라도 로키스와 아마추어 자유 계약 선수로 계약하며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마이너리그에서 꾸준히 성장하며 기량을 다졌다.
- 2006년: 루키 레벨의 파이오니어 리그 소속 캐스퍼 로키스에서 프로 데뷔하여 15경기 선발 등판, 3승 6패, 평균자책점 6.96, 40탈삼진을 기록했다.
- 2007년: 싱글-A 사우스 애틀랜틱 리그 소속 애시빌 투어리스츠에서 19경기(선발 18경기)에 등판하여 7승 4패, 평균자책점 3.75, 90탈삼진을 기록했다.
- 2008년: 싱글-A+ 캘리포니아 리그 소속 모데스토 너츠에서 25경기 선발 등판, 9승 7패, 평균자책점 3.95, 116탈삼진을 기록했다.
- 2009년: 더블-A 텍사스 리그 소속 털사 드릴러스에서 15경기 선발 등판, 8승 2패, 평균자책점 2.48, 83탈삼진으로 호투하며 7월에 트리플-A 퍼시픽 코스트 리그 소속 콜로라도 스프링스 스카이삭스로 승격되었다. 트리플-A에서는 12경기(선발 11경기)에 등판하여 3승 5패, 평균자책점 7.42, 46탈삼진을 기록했다.
2. 프로 경력
에스밀 로저스는 메이저 리그에서 데뷔한 이후 KBO 리그, CPBL, 멕시칸 리그 등 다양한 무대를 오가며 활동했다.
2.1. 메이저 리그 (MLB) 시절
로저스는 2009년부터 2015년까지 메이저 리그에서 콜로라도 로키스,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토론토 블루제이스, 뉴욕 양키스 등 4개 팀에서 활동하며 선발과 불펜을 오가는 다양한 역할을 소화했다.
2.1.1. 콜로라도 로키스 (2009년~2012년)
2009년 9월, 로키스 소속으로 메이저리그에 승격되었다. 9월 12일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와의 경기에서 선발 등판하며 메이저리그 데뷔전을 치렀고, 4이닝 3피안타 2실점을 기록하며 팀의 3대2 패배를 막지 못했다. 이 해에는 단 1경기 출전에 그쳤다.

2010년 3월 5일 로키스와 1년 계약을 체결하고, 3월 21일 트리플-A로 이동했으나 4월 3일 시즌 개막 직전에 메이저리그로 승격되었다. 시즌 초에는 불펜으로 3경기에 등판했지만, 4월 16일 다시 트리플-A로 강등되었다. 5월 1일 다시 메이저리그로 승격된 후 선발 투수로 2경기에 나섰지만 부진한 모습을 보여 불펜으로 전환되었다. 5월 23일 캔자스시티 로열스전에서 5점 앞선 5회 1사 상황에서 등판하여 2이닝 5피안타 2실점을 기록했음에도 메이저리그 첫 승을 거두었다. 6월 2일 다시 트리플-A로 강등되었고, 6월 30일에 재승격되어 2경기에 등판했으나 7월 9일 또다시 강등되었다. 8월 8일 피츠버그 파이리츠전에서 선발로 재승격되어 시즌 2승을 올렸지만, 이후 4경기에서는 승리를 기록하지 못하고 9월부터 불펜으로 복귀했다. 시즌 마지막 경기인 10월 3일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전에서는 선발 등판하여 4이닝 7피안타 4실점(2자책)으로 패전 투수가 되었다. 이 시즌에 28경기(선발 8경기)에 등판하여 2승 3패, NaN 경 6.13의 평균자책점과 66탈삼진을 기록했다.
2011년 3월 3일 로키스와 1년 계약을 맺고 시즌을 시작했다. 시즌 초 선발 투수로 5경기에 등판하여 3승 1패를 기록했지만, 평균자책점은 NaN 경 7.66으로 좋지 않았다. 5월 7일 광배근 통증으로 15일짜리 부상자 명단에 올랐고, 7월 25일 복귀했다. 8월부터 선발로 복귀하여 2연승을 기록했지만, 이후에는 승리를 추가하지 못하고 9월 중순에 다시 불펜으로 전환되었다. 이 시즌에는 18경기(선발 13경기)에 등판하여 6승 6패, NaN 경 7.05의 평균자책점과 63탈삼진을 기록했다. 7월 30일 우발도 히메네스가 클리블랜드 인디언스로 트레이드된 후 그의 자리를 선발 로테이션에서 대체하기도 했다.
2012년 3월 3일 로키스와 다시 1년 계약을 맺고 불펜으로 시즌을 시작했다. 23경기에 등판했지만 0승 2패, NaN 경 8.06의 평균자책점으로 부진하여 6월 9일 지명할당되었다. 그리고 6월 12일 클리블랜드 인디언스로 현금 트레이드되었다. 로키스 소속으로 2012년에는 0승 2패와 NaN 경 8.06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2.1.2.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2012년)

2012년 6월 13일, 로저스는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의 현역 로스터에 합류하며 맷 라포르타를 대체했다. 당시 매니 액타 인디언스 감독은 "우리는 그를 콜로라도 구장 밖으로 내보내고 새로운 환경에서 매우 좋은 재능을 발휘할 수 있기를 바라고 있습니다"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로저스는 인디언스 이적 후 44경기에 불펜으로 등판하여 3승 1패, NaN 경 3.06의 평균자책점, 53이닝 동안 54탈삼진을 기록하며 개인 메이저리그 최고 성적을 올렸다.
2.1.3. 토론토 블루제이스 (2013년~2014년)
2012년 11월 3일, 로저스는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의 마이크 아빌레스와 얀 곰스와 2대1 트레이드를 통해 토론토 블루제이스로 이적했다.
2013년 시즌에는 불펜 투수로 시작했지만, 5월에 선발 투수 J.A. 햅이 부상으로 이탈하고 대체 선수였던 숀 놀린마저 부진으로 강등되면서 선발진에 공백이 생겨 선발로 복귀했다. 5월 29일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와의 경기에서 블루제이스 소속으로 첫 선발 등판을 가졌지만, 3.1이닝 3피안타 2볼넷 4탈삼진을 기록하며 승리 요건인 5이닝을 채우지 못했다. 그러나 6월 13일 다르빗슈 유가 선발 등판한 텍사스 레인저스와의 경기에서는 7이닝을 소화하며 3대1 승리를 이끌어 승리 투수가 되었다.
6월 18일, 친정팀인 콜로라도 로키스를 상대로 생애 첫 선발 등판을 한 로저스는 6회까지 노히트 노런을 이어갔으며, 6.2이닝을 소화하고 8대2로 앞선 상황에서 마운드를 내려왔다. 블루제이스는 이 경기에서 8대3으로 승리하며 7연승을 달성했다. 당시 존 기번스 감독과 J. P. 아렌시비아 포수는 로저스의 성공이 향상된 자신감과 싱커 구종의 효과적인 사용 덕분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6월 24일 탬파베이 레이스와의 경기에서는 3연속 홈런을 허용하며 블루제이스의 11연승 행진을 마감시키는 패전 투수가 되었다. 2013년 시즌 총 44경기(선발 20경기)에 등판하여 5승 9패, NaN 경 4.77의 평균자책점, 96탈삼진을 기록했다.
2014년 1월, 로저스는 토론토에 연봉 조정을 신청했으나, 1월 17일에 1년 간 185.00 만 USD에 합의했다. 시즌 초 16경기에 등판하며 NaN 경 6.97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는 등 부진한 모습을 보인 로저스는 5월 23일 지명할당되었다. 5월 24일 웨이버 공시를 통과하여 트리플-A 버팔로 바이슨스로 완전 이적했다. 7월 22일 다시 메이저리그 계약이 체결되어 콜업되었으나, 팀에 등판하지 않고 7월 27일 또다시 지명할당되었다.
2.1.4. 뉴욕 양키스 (2014년~2015년)
2014년 7월 31일, 뉴욕 양키스는 토론토 블루제이스에서 웨이버 공시된 로저스를 영입했다. 그는 8월 3일 양키스 데뷔전에서 3이닝 무실점을 기록하며 인상적인 모습을 보였다. 8월 8일에는 양키스 소속으로 첫 선발 등판하여 5이닝 1실점으로 승리를 거두었다.
2014년 시즌 양키스에서 18경기(선발 1경기)에 등판하여 2승 무패, NaN 경 4.68의 평균자책점과 23탈삼진을 기록했다. 시즌 후인 12월 3일, 양키스는 로저스와 2015년 시즌 1년 간 148.00 만 USD에 계약했다.
2015년 시즌에는 33이닝 동안 41피안타와 NaN 경 6.27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며 부진했다. 결국 6월 13일 트리플-A 스크랜턴/윌크스-배리 레일라이더스로 이적하며 40인 로스터에서 제외되었다. 6월 28일 다시 콜업되었으나, 7월 1일 다시 완전 이적 처리되었고, 7월 31일 방출되었다.
2.2. 한국 프로야구 (KBO) 첫 번째 활동: 한화 이글스 (2015년~2016년)
뉴욕 양키스에서 방출된 로저스는 2015년 8월 1일, 어깨 부상으로 웨이버 공시된 셰인 유먼의 대체 선수로 KBO 리그 한화 이글스와 계약했다.
2015년 8월 6일 LG 트윈스와의 KBO 리그 데뷔전에서 7이닝 3피안타 1실점 7탈삼진으로 완투승을 거두며 팀의 4대1 승리를 이끌었다. 이는 KBO 리그 역사상 외국인 선수가 데뷔전에서 완투승을 기록한 최초의 사례이다.
그의 두 번째 등판인 2015년 8월 11일 KT 위즈전에서는 3피안타 7탈삼진 완봉승을 기록하며 4대0 승리를 거두었다. 이로써 로저스는 KBO 리그 최초로 데뷔 후 2경기 연속 완투승을 달성한 투수가 되었다.
2015년 8월 16일 삼성 라이온즈전에서는 7.1이닝 4실점으로 퀄리티 스타트를 기록했고, 8월 22일 KIA 타이거즈전에서는 두 번째 완봉승이자 세 번째 완투승을 기록했다.
2015년 시즌 10경기에 등판하여 6승 2패, NaN 경 2.97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며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다. 시즌 종료 후 요미우리 자이언츠,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등 일본 구단의 영입 제안이 있었지만, 한화 이글스와 1년 간 190.00 만 USD에 재계약하며 잔류를 선택했다.
하지만 2016년 시즌에는 2차례의 부상과 장기 결장으로 인해 부진을 겪었다. 결국 7월 7일 웨이버 공시되며 팀을 떠났다. 그의 대체 선수로는 에릭 서캠프가 영입되었다.
2.3. 미국 프로야구 복귀 시도: 워싱턴 내셔널스 산하 마이너리그 (2017년)
2017년 8월 1일, 로저스는 워싱턴 내셔널스와 마이너리그 계약을 맺고 메이저리그 복귀를 시도했다. 그는 트리플-A 시라큐스 치프스에 배정되었으나, 10월 26일에 자유 계약 신분이 되었다.
2.4. 한국 프로야구 두 번째 활동: 넥센 히어로즈 (2018년)
2017년 10월 27일, KBO 리그 넥센 히어로즈 (현 키움 히어로즈)는 로저스와 1년 간 150.00 만 USD에 계약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앤디 밴 헤켄을 대체할 외국인 투수로, 로저스에게는 2년 만의 KBO 리그 복귀였다.
2018년 시즌 개막전인 3월 24일 한화 이글스와의 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6.2이닝 3실점(2자책)을 기록하며 팀의 시즌 첫 승과 함께 친정팀을 상대로 승리 투수가 되었다. 그러나 6월 3일 LG 트윈스와의 경기에서 김현수의 강습 타구에 손가락 인대가 손상되는 골절상을 입어 조기 강판되었다. 부상 정도가 심각하여 결국 웨이버 공시되었고, 그의 대체 선수로는 NC 다이노스에서 활동했던 에릭 해커가 영입되었다. 2018년 시즌에는 13경기 선발 등판하여 5승 4패, NaN 경 3.80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2.5. 멕시칸 리그 첫 번째 활동 (2019년)
2019년 2월 1일 (또는 4월 3일), 로저스는 멕시칸 리그 소속 게레로스 데 오아하카와 계약했다. 이 시즌에 그는 17경기 선발 등판하여 91.1이닝을 소화했지만, 6승 5패, NaN 경 7.19의 높은 평균자책점과 60탈삼진을 기록하며 부진했다. 결국 7월 20일에 방출되었다.
2.6. 중화 직업봉구 대연맹 (CPBL) 활동: 중신 브라더스 (2020년~2021년)
2020년 1월 9일, 로저스는 CPBL 소속 중신 브라더스와 계약했다.
2020년 4월 17일 퉁이 라이온즈와의 경기에서 CPBL 데뷔전을 치러 7이닝 1실점을 기록하며 첫 승을 거두었다. 그러나 5월 9일 라쿠텐 몽키스와의 경기 도중 판정에 불만을 품고 심판에게 폭언을 하여 퇴장당했으며, 다음 날 성적 부진을 이유로 2군으로 강등되었다. 7월 15일 다시 1군으로 복귀하여 다음 날 푸방 가디언스전에서 약 두 달 만에 1군 등판을 가졌으나 4이닝 2실점을 기록했다.
8월에는 2승과 NaN 경 0.97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며 투수 부문 월간 MVP를 수상했다. 9월 5일 푸방 가디언스전에서는 CPBL 데뷔 후 첫 완투승이자 첫 완봉승을 달성했다. 하지만 9월 26일 다시 불안정한 투구를 보인다는 판단으로 2군으로 강등되었다. 2020년 시즌 최종 성적은 17경기(선발 17경기) 6승 4패, NaN 경 3.47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시즌 후 재계약하지 않고 자유 계약 신분이 되었다.
2021년 2월 20일, 로저스는 중신 브라더스와 다시 계약하며 복귀를 결정했다. 그는 4월 9일 대만에 입국하여 격리 기간을 거쳤고, 7월 14일 1군에 합류하여 7월 20일 정식으로 1군에 등록되었다. 8월 19일 푸방 가디언스전에서는 4회까지 12탈삼진을 기록하며 CPBL 역사상 최초의 기록을 세웠지만, 결국 6이닝 8실점으로 부진하며 패전 투수가 되었다. 2021년 시즌 최종 성적은 17경기(선발 12경기)에 등판하여 2승 5패, NaN 경 4.94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시즌 종료 후에는 외국인 선수 쿼터 문제로 인해 재계약하지 않고 자유 계약 신분이 되었다.
2.7. 멕시칸 리그 두 번째 활동 (2022년~현재)
2022년 2월 25일, 로저스는 멕시칸 리그 소속 몬테레이 술탄스와 계약했다. 이 시즌에 그는 14경기 선발 등판하여 72.1이닝 동안 3승 5패, NaN 경 5.60의 평균자책점과 46탈삼진을 기록했다. 8월 1일에 방출되었다.
2023년 2월 12일, 로저스는 마리아치스 데 과달라하라와 계약했다. 그는 8경기 선발 등판하여 36.2이닝 동안 2승 4패, NaN 경 7.12의 평균자책점과 25탈삼진을 기록했고, 6월 2일에 방출되었다.
이후 6월 13일 엘 아길라 데 베라크루스와 계약했다. 베라크루스 소속으로 8경기(선발 7경기)에 등판하여 49이닝을 소화하며 4승 2패, NaN 경 4.22의 평균자책점과 34탈삼진을 기록했다.
2024년에는 베라크루스에서 17경기 선발 등판하여 91이닝 동안 6승 7패, NaN 경 4.85의 평균자책점과 55탈삼진을 기록하며 현재까지 활동 중이다.
3. 플레이 스타일
에스밀 로저스의 투구는 안정적인 밸런스와 구위 있는 빠른 변화구가 특징이다. 그의 주요 구종은 다음과 같다.
- 포심 패스트볼: 시속 151.3 km/h에서 157.7 km/h 사이를 오가며 전체 투구의 약 60%를 차지하는 주력 구종이다.
- 슬라이더: 시속 85~89마일 (약 136.8 km/h~143.2 km/h)로, 그의 결정구 역할을 한다.
- 커브: 시속 81~85마일 (약 130.4 km/h~136.8 km/h)의 구속을 보인다.
- 커터: 시속 90마일 (약 144.8 km/h) 전후의 구속을 가진다.
- 체인지업: 거의 구사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 위 구속 데이터는 2012년 PITCHf/x를 기준으로 한 구원 등판 시 측정된 수치이다.)
4. 주요 기록 및 수상
로저스는 프로 경력 동안 메이저리그를 포함하여 KBO 리그, CPBL 등 여러 리그에서 인상적인 개인 기록을 남겼다.
4.1. KBO 리그 및 CPBL 주요 기록
- KBO 리그**:
- 2015년 8월 6일 LG 트윈스전: KBO 리그 최초 외국인 선수 데뷔전 완투승 기록.
- 2015년 8월 11일 KT 위즈전: 완봉승을 기록하며 KBO 리그 최초로 데뷔 후 2경기 연속 완투승을 달성.
- 2015년 8월 22일 KIA 타이거즈전: 두 번째 완봉승이자 세 번째 완투승 기록.
- CPBL**:
- 2020년 4월 17일 퉁이 라이온즈전: CPBL 데뷔 첫 승 기록.
- 2020년 9월 5일 푸방 가디언스전: CPBL 데뷔 첫 완투승이자 첫 완봉승 기록.
- 2021년 8월 19일 푸방 가디언스전: 4회까지 12탈삼진을 기록하며 CPBL 역사상 최초의 기록을 달성.
4.2. CPBL 월간 MVP
- 2020년 8월**: CPBL 투수 부문 월간 MVP 수상 (2승, NaN 경 0.97 평균자책점 기록).
5. 별명 및 평가
에스밀 로저스는 KBO 리그 한화 이글스 시절 인상적인 활약으로 여러 별명을 얻었으며 대중과 언론으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 괴물 투수: 2015년 시즌 KBO 리그에서 압도적인 투구력을 선보이며 얻은 별명이다.
- 지저스: 그의 이름 '로저스'에서 파생된 별명으로, 그의 뛰어난 활약에 대한 팬들의 찬사가 담겨 있다.
- 류저스: 류현진과 '지저스'를 합친 별명이다. 이는 로저스의 압도적인 투구 내용을 류현진에 비견하며 생긴 별명으로, 당시 한화 이글스의 에이스로서 팬들의 기대를 한몸에 받았음을 보여준다.
6. 연도별 투수 성적
연도 | 등판 | 선발 | 완투 | 완봉 | 무사구 | 승리 | 패전 | 세이브 | 홀드 | 승률 | 타자 | 투구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고의 사구 | 몸에 맞는 공 | 탈삼진 | 폭투 | 보크 | 실점 | 자책점 | 평균자책점 | WHIP | |
---|---|---|---|---|---|---|---|---|---|---|---|---|---|---|---|---|---|---|---|---|---|---|---|---|---|
2009년 | 콜로라도 로키스 | 1 | 1 | 0 | 0 | 0 | 0 | 0 | 0 | 0 | ---- | 16 | 4.0 | 3 | 0 | 2 | 0 | 0 | 3 | 0 | 0 | 2 | 2 | 4.50 | 1.25 |
2010년 | 28 | 8 | 0 | 0 | 0 | 2 | 3 | 0 | 1 | .400 | 333 | 72.0 | 94 | 5 | 26 | 2 | 5 | 66 | 5 | 2 | 59 | 49 | 6.13 | 1.67 | |
2011년 | 18 | 13 | 0 | 0 | 0 | 6 | 6 | 0 | 0 | .500 | 404 | 83.0 | 110 | 14 | 47 | 5 | 6 | 63 | 5 | 1 | 65 | 65 | 7.05 | 1.89 | |
2012년 | 23 | 0 | 0 | 0 | 0 | 0 | 2 | 0 | 2 | .000 | 131 | 25.2 | 36 | 2 | 18 | 2 | 2 | 29 | 5 | 0 | 23 | 23 | 8.06 | 2.10 |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44 | 0 | 0 | 0 | 0 | 3 | 1 | 0 | 6 | .750 | 217 | 53.0 | 47 | 5 | 12 | 2 | 3 | 54 | 5 | 0 | 19 | 18 | 3.06 | 1.11 | |
2012 시즌 합계 | 67 | 0 | 0 | 0 | 0 | 3 | 3 | 0 | 8 | .500 | 348 | 78.2 | 83 | 7 | 30 | 4 | 5 | 83 | 10 | 0 | 42 | 41 | 4.69 | 1.44 | |
2013년 | 토론토 블루제이스 | 44 | 20 | 0 | 0 | 0 | 5 | 9 | 0 | 4 | .357 | 598 | 137.2 | 152 | 21 | 44 | 2 | 6 | 96 | 7 | 2 | 76 | 73 | 4.77 | 1.42 |
2014년 | 16 | 0 | 0 | 0 | 0 | 0 | 0 | 0 | 1 | .000 | 96 | 20.2 | 28 | 5 | 7 | 0 | 1 | 21 | 1 | 0 | 17 | 16 | 6.97 | 1.69 | |
뉴욕 양키스 | 18 | 1 | 0 | 0 | 0 | 2 | 0 | 0 | 3 | 1.000 | 106 | 25.0 | 22 | 3 | 10 | 0 | 1 | 23 | 0 | 1 | 13 | 13 | 4.68 | 1.28 | |
2014 시즌 합계 | 34 | 1 | 0 | 0 | 0 | 2 | 0 | 0 | 4 | 1.000 | 202 | 45.2 | 50 | 8 | 17 | 0 | 2 | 44 | 1 | 1 | 30 | 29 | 5.72 | 1.47 | |
2015년 | 18 | 0 | 0 | 0 | 0 | 1 | 1 | 0 | 1 | .500 | 153 | 33.0 | 41 | 5 | 14 | 0 | 2 | 31 | 6 | 0 | 29 | 23 | 6.27 | 1.67 | |
한화 이글스 | 10 | 10 | 4 | 3 | 1 | 6 | 2 | 0 | 0 | .750 | 296 | 75.2 | 62 | 2 | 20 | 0 | 4 | 60 | 1 | 1 | 26 | 25 | 2.97 | 1.08 | |
2016년 | 6 | 6 | 1 | 0 | 0 | 2 | 3 | 0 | 0 | .400 | 160 | 37.2 | 42 | 3 | 12 | 0 | 2 | 24 | 0 | 3 | 22 | 18 | 4.30 | 1.43 | |
2018년 | 넥센 히어로즈 | 13 | 13 | 1 | 0 | 0 | 5 | 4 | 0 | 0 | .556 | 345 | 83.0 | 89 | 7 | 16 | 0 | 5 | 65 | 8 | 0 | 40 | 35 | 3.80 | 1.27 |
2020년 | 중신 브라더스 | 17 | 17 | 2 | 1 | 0 | 6 | 4 | 0 | 0 | .600 | 461 | 109.0 | 111 | 8 | 28 | 2 | 7 | 113 | 2 | 2 | 50 | 42 | 3.47 | 1.28 |
2021년 | 17 | 12 | 0 | 0 | 0 | 2 | 5 | 0 | 0 | .286 | 346 | 78.1 | 92 | 4 | 21 | 0 | 4 | 67 | 6 | 2 | 46 | 43 | 4.94 | 1.44 | |
MLB 통산 (7년) | 210 | 43 | 0 | 0 | 0 | 19 | 22 | 0 | 18 | .463 | 2054 | 454.0 | 533 | 60 | 180 | 13 | 26 | 386 | 34 | 6 | 303 | 282 | 5.59 | 1.57 | |
KBO 통산 (3년) | 29 | 29 | 6 | 3 | 1 | 13 | 9 | 0 | 0 | .591 | 801 | 196.1 | 193 | 12 | 48 | 0 | 11 | 149 | 9 | 4 | 88 | 78 | 3.58 | 1.23 | |
CPBL 통산 (2년) | 34 | 29 | 2 | 1 | 0 | 8 | 9 | 0 | 0 | .471 | 807 | 187.1 | 203 | 12 | 49 | 2 | 11 | 180 | 8 | 4 | 96 | 85 | 4.08 | 1.33 |
- 2021년 시즌 종료 시점 기준
- 각 연도의 굵은 글씨는 해당 리그 최고 기록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