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어네스트 프리츠 후스트 (Ernesto Frits Hoost영어, 1965년 7월 11일 ~ )는 네덜란드 출신의 은퇴한 전설적인 킥복싱 선수이다. 그는 K-1 월드 그랑프리에서 네 차례나 우승을 차지하여 역대 최다 우승 기록을 세웠으며, 이로 인해 역사상 가장 위대한 킥복서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1993년 제1회 K-1 월드 그랑프리에 데뷔하여 세계 타이틀에 근접했던 그는, 13년 뒤인 2006년 12월 2일 일본 도쿄 돔에서 열린 K-1 월드 그랑프리 파이널 토너먼트를 끝으로 공식 은퇴를 선언했다.
후스트는 피터 아츠, 미르코 크로캅, 제롬 르 밴너, 앤디 훅, 레이 세포, 무사시, 마이크 베르나르도, 프란시스코 필리오, 샘 그레코, 스테판 레코, 마크 헌트, 시릴 아비디, 글라우베 페이토자 등 수많은 강자들을 상대로 인상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특히 뛰어난 기술력으로 인해 '미스터 퍼펙트(Mr. Perfect)'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전투 정밀 기계', '검은 섬광', '갈색 슈퍼컴퓨터' 등으로도 불렸다. 또한 그는 K-1 초기부터 활약하며 피터 아츠, 앤디 훅, 마이크 베르나르도와 함께 'K-1 사천왕'으로 불리며 K-1 헤비급 무대의 상징적인 존재였다.
2. 초기 생애 및 경력
어네스트 후스트는 유년기 축구 선수 생활을 하다가 킥복싱에 입문하여 K-1 데뷔 이전부터 다양한 무술 종목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2.1. 어린 시절 및 교육
어네스트 후스트는 1965년 7월 11일 네덜란드 북홀란트주 헤임스케르크에서 수리남계 부모님 사이에서 태어났다. 1970년에 네덜란드로 이주한 그는 15세까지 아마추어 클럽 홀란디아(Hollandia)에서 축구 선수로 활동했으며, 이때 새로 문을 연 소쿠도(Sokudo) 체육관에서 킥복싱 훈련을 시작하게 되었다.
2.2. 초기 무술 경력 (K-1 이전)
1983년 12월 11일, 후스트는 빔 샤렌베르그를 상대로 첫 킥복싱 경기에 출전하여 2라운드 KO승을 거두었다. 그의 경력은 1988년부터 급격히 성장하기 시작했다. 그는 사바테와 무에타이를 포함한 다양한 종목에서 여러 유럽 및 세계 타이틀을 획득하며 두각을 드러냈다. 특히 1987년 11월 8일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MTBN 네덜란드 타이틀전에서 케네스 플랙을 판정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고, 이듬해인 1988년 5월 7일 아른험에서 열린 MTBN 유럽 타이틀전에서도 프랑수아 코레만스를 판정으로 누르고 왕좌에 올랐다.
1988년 6월에는 ISKA 주최 풀 컨택트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으며, 6월 11일 프랑스 스트라스부르에서 열린 유럽 사바테 선수권 대회 콤바 부문 미들급에서 실뱅 포스텔을 5라운드 KO로 꺾고 우승했다. 9월에는 WKA 주최 킥복싱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1988년 11월 20일, 후스트는 당시 떠오르는 강자였던 피터 아츠와 첫 대결을 펼쳐 5라운드 판정승을 거두었다. 1989년 8월 27일에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1회 세계 사바테 선수권 대회 콤바 부문에서 프랑시스 도뱅을 3라운드 KO로 꺾으며 첫 세계 타이틀을 획득했다. 같은 해 10월에는 무에타이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도 우승했다.
1990년 1월, WKA 킥복싱 세계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했고, 10월 14일에는 WMTA 무에타이 세계 타이틀을 차지했다. 11월 8일에는 롭 카만과 재대결을 펼쳤으나 5라운드 KO패를 당했다. 1992년 11월 13일, 프랑스에서 열린 ISKA 풀 컨택트 세계 라이트헤비급 타이틀전에서 당시 챔피언이었던 릭 루퍼스와 맞붙었지만, 로우킥이 금지된 룰에 적응하지 못하고 12라운드 판정패를 기록했다. K-1 데뷔 직전인 1993년 9월 4일에는 도쿄에서 열린 K-1 일루전 대회에서 타시스 페트리디스를 3라운드 TKO로 꺾고 WKA & WMTA 세계 라이트헤비급 통합 타이틀을 획득했다.
3. K-1 및 프로 경력
어네스트 후스트는 K-1 무대에서 전무후무한 기록들을 세우며 '미스터 퍼펙트'라는 별명을 얻었다.
3.1. K-1 그랑프리 데뷔 및 초기 도전 (1993-1996)
1993년 4월 30일, K-1의 첫 대회인 'K-1 그랑프리 '93'에 출전하며 K-1 무대에 데뷔했다. 그는 8강전에서 피터 아츠를 판정으로 꺾고, 준결승에서는 모리스 스미스를 왼발 하이킥으로 실신 KO시키는 인상적인 활약을 펼치며 결승에 진출했다. 그러나 결승에서 브랑코 시카틱의 오른손 훅에 KO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비록 우승은 놓쳤지만, 데뷔전에서 강력한 인상을 남기며 K-1의 강자 대열에 합류했다.
같은 해 12월 19일, 료고쿠 국기관에서 열린 'K-2 그랑프리 '93'에 출전하여 8강전에서 맨슨 깁슨에게 연장 판정승을 거뒀고, 준결승에서 애덤 와트를 1라운드 오른발 하이킥 KO로 제압했다. 결승에서는 차푸악 키아송릿을 4라운드 오른발 하이킥 KO로 꺾고 K-2 그랑프리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K-1에서 유일하게 개최된 K-2 토너먼트였다.
1994년 5월 8일,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K-2 플러스 토너먼트'에 참가하여 결승에서 밥 슈라이버를 1라운드 KO로 물리치고 우승을 차지했다. 그러나 1994년 12월 10일 'K-1 레전드'에서 브랑코 시카틱과 재대결하여 2라운드 오른손 스트레이트에 KO패를 당하며 다시 한번 고배를 마셨다.
1995년 5월 4일, 'K-1 그랑프리 '95'에 출전하여 준결승에서 피터 아츠에게 연장 판정패를 당하며 우승 문턱에서 좌절했다. 1995년 7월 16일 'K-1 레전드'에서는 앤디 훅과 첫 대결을 펼쳐 2-0 판정승을 거두었다. 1996년 5월 6일, 'K-1 그랑프리 '96' 준결승에서 앤디 훅에게 1-2 스플릿 판정패를 당하며 1995년에 이어 또다시 우승을 놓쳤다. 1996년 10월 18일에는 'K-1 스타 워즈 '96'에서 제롬 르 밴너와 첫 대결을 가졌으나 2라운드 오른손 훅에 KO패했다.
3.2. 전성기와 첫 K-1 월드 그랑프리 우승 (1997-2001)
1997년 4월 29일, 'K-1 브레이브스 '97'에서 마이크 베르나르도에게 다운을 빼앗겼으나 빠른 콤비네이션으로 역전 KO승을 거두며 상승세를 탔다. 마침내 1997년 11월 9일, 'K-1 그랑프리 '97'에서 우승하며 첫 K-1 월드 그랑프리 챔피언 타이틀을 차지했다. 그는 8강전에서 제롬 르 밴너를 1라운드 오른손 훅 KO로, 준결승에서 프란시스코 필리오를 판정으로, 결승에서는 앤디 훅을 판정으로 꺾는 완벽한 모습을 보였다.
1998년 12월 13일, 'K-1 그랑프리 '98' 8강전에서 샘 그레코에게 경기 중 왼 눈 위가 찢어져 2라운드 종료 후 닥터 스톱에 의한 TKO패를 당하며 타이틀 방어에 실패했다.
1999년 12월 5일, 'K-1 그랑프리 '99'에서 두 번째 K-1 월드 그랑프리 타이틀을 획득했다. 8강전에서 앤디 훅을 판정으로, 준결승에서 제롬 르 밴너를 2라운드 오른손 훅 KO로, 결승에서 미르코 크로캅을 3라운드 왼손 보디 샷 KO로 제압하며 8개월 전 프란시스코 필리오에게 당했던 실신 KO패의 아픔을 딛고 극적인 부활을 이뤄냈다。
2000년 12월 10일, 'K-1 월드 그랑프리 2000'에서 세 번째 K-1 월드 그랑프리 챔피언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그는 8강전에서 미르코 크로캅을, 준결승에서 프란시스코 필리오를, 결승에서 레이 세포를 모두 판정으로 꺾으며 3연속 우승을 달성했다. 이로써 후스트는 당시 피터 아츠와 함께 최다 우승 기록(3회)을 보유하게 되었다.
2001년 6월 16일, 'K-1 월드 그랑프리 2001 인 멜버른'에서 멜버른 지역 예선 토너먼트에 출전하여 세르게이 구르, 마크 헌트, 매트 스켈턴을 차례로 꺾고 우승하며 K-1 월드 그랑프리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 그러나 2001년 12월 8일 'K-1 월드 그랑프리 2001' 8강전에서 스테판 레코를 판정으로 이겼지만, 정강이 부상으로 인해 준결승을 기권해야 했다.
3.3. 주요 라이벌전 및 네 번째 K-1 월드 그랑프리 우승 (2002)
2002년은 후스트의 경력에서 가장 드라마틱한 한 해였다. 2002년 10월 5일, 'K-1 월드 그랑프리 2002 개막전'에서 당시 무시무시한 괴물로 불리던 밥 샵과 대결했다. 후스트는 로우킥으로 샵을 다운 직전까지 몰아붙였지만, 샵의 강력한 펀치 러시에 두 차례 다운을 빼앗겼고, 1라운드 인터벌 중 왼 눈썹 부위의 컷으로 인해 닥터 스톱 TKO패를 당했다. 하지만 밥 샵이 이어진 경기에서 부상을 당하면서 준결승 진출을 포기했고, 이에 후스트가 패자 부활전으로 극적으로 2002년 K-1 월드 그랑프리 파이널 토너먼트에 진출할 수 있었다.
2002년 12월 7일, 'K-1 월드 그랑프리 2002' 8강전에서 밥 샵과 재대결을 펼쳤다. 1라운드에 로우킥과 펀치 러시로 샵에게 다운을 빼앗으며 우위를 점했지만, 2라운드에 샵의 무차별적인 펀치에 밀려 두 차례 스탠딩 다운을 당하며 KO패를 기록했다. 그러나 경기 직후 밥 샵은 오른손 중지 골절 및 갈비뼈 네 개 골절로 인해 경기를 계속할 수 없게 되어 기권했고, 다시 한번 후스트가 그의 빈자리를 대신하여 준결승에 진출하는 기회를 얻었다.
준결승에서 레이 세포와 맞붙았다. 세포는 8강전에서의 데미지와 피터 아츠의 로우킥에 의해 이미 다리에 무리가 있었고, 후스트의 무릎에 정강이를 부딪히면서 부상이 악화되어 1라운드 TKO승을 거두었다. 결승전 상대는 당시 최고의 육체 개조에 성공하며 최강자로 불리던 제롬 르 밴너였다. 많은 전문가와 팬들은 르 밴너의 우승을 점쳤으나, 3라운드에서 르 밴너가 후스트의 강력한 미들킥을 막다가 왼팔에 복합골절을 입는 치명적인 부상을 당했고, 후스트는 이를 놓치지 않고 르 밴너의 팔을 집중 공격하여 경기 종료 94초를 남기고 TKO승을 거두었다. 이 극적인 승리로 후스트는 전무후무한 네 번째 K-1 월드 그랑프리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하며 '전설'로 불리게 되었다.
3.4. 말년 경력 및 은퇴 (2003-2006)
2003년 1월 19일, 후스트는 일본 도쿄 돔에서 열린 프로레슬링 이벤트 '판타지 파이트 WRESTLE-1'에 '어네스트 "비스트"'라는 이름으로 출전하여 밥 샵과 프로레슬링 규칙으로 재대결을 펼쳐 스쿨보이(횡진입 새우 꺾기)로 3카운트를 얻어내며 승리하기도 했다.
2003년 'K-1 월드 그랑프리 2003'에는 지병인 아토피성 피부염의 악화로 인해 불참했다. 2004년 9월 25일 'K-1 월드 그랑프리 2004'에 출전하여 8강전에서 글라우베 페이토자를 판정으로 꺾었다. 하지만 12월 4일 준결승에서 전년도 우승자 레미 본야스키와 접전을 펼쳤으나 연장 판정패를 당했다. 이 경기는 일부 격투기 잡지에서 '의혹의 판정'으로 다뤄질 정도로 논란이 많았으며, 후스트의 패배는 많은 이들을 놀라게 했다.
2005년 9월 23일, K-1 월드 그랑프리 2005 개막전은 아토피성 피부염과 무릎 부상으로 인해 또다시 결장했다. 이 시기 그는 앞으로는 원매치만 출전하고 1일 3경기 이상을 소화해야 하는 그랑프리 토너먼트에는 더 이상 출전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그러나 2005년 12월 31일 'K-1 프리미엄 2005 다이너마이트!!'에서 당시 K-1 챔피언이었던 세미 슐트와 신구 챔피언 대결을 펼쳤으나, 1라운드에 슐트의 무릎 공격에 다운을 당하며 왼 눈꼬리가 찢어져 닥터 스톱 TKO패를 당했다.
2006년 5월 13일, 'K-1 월드 그랑프리 2006 인 암스테르담'에서 네덜란드에서의 은퇴 경기를 가질 예정이었으나, 대전 상대로 예정되었던 밥 샵이 계약 문제로 경기 직전에 보이콧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이에 급히 대체 상대로 피터 아츠와 재대결을 펼쳐 판정승을 거두었다.
2006년 7월 30일, 'K-1 월드 그랑프리 2006 삿포로 대회'에서 "9월의 그랑프리 개막전을 거쳐 12월 2일 그랑프리 결승 대회에서 우승하여 5회 챔피언이 된 후 현역 은퇴를 목표로 한다"고 선언하며, 이번 그랑프리가 마지막 싸움이 될 것임을 밝혔다. 그는 우승 시 은퇴하지만, 동시에 그랑프리에서 누구에게든 패하는 순간 즉시 은퇴하겠다고 덧붙였다. 22년간의 선수 생활에 만족하며, 끝이 오는 것은 당연하다는 의연한 모습을 보였다.
2006년 9월 30일, 'K-1 월드 그랑프리 2006 개막전'에서 후지모토 유스케에게 KO승을 거두며 8강에 진출했다. 그리고 2006년 12월 2일, 'K-1 월드 그랑프리 2006 결승전'에 출전했다. 8강전에서 할리드 디 파우스트를 연장 판정승으로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세미 슐트에게 판정패를 당하며 아쉽게 우승의 꿈을 이루지 못했다. 경기가 끝난 후 감정이 북받쳐 눈물을 흘리며 관중들에게 인사를 전했고, 큰 환호와 박수 속에 링을 떠나며 공식적으로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 이후 그는 경기장을 찾은 가족들과 함께 은퇴식을 가졌다.
3.5. 은퇴 후 활동 및 복귀
은퇴 후 어네스트 후스트는 후학 양성에 힘쓰며 '팀 미스터 퍼펙트'라는 자신의 체육관을 운영하고 있다. 그는 폴 슬로윈스키와 같은 '분노의 무릎' 파이터들을 훈련시켰고, 슬로윈스키는 그의 지도 아래 2007년 암스테르담 K-1 토너먼트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프라이드 챔피언 표도르 예멜리야넨코와도 레그 스트라이크, 레슬링 등 다양한 기술 훈련을 함께했다. UFC 파이터 안토니 하든크의 코너맨으로도 활동하며 그의 UFC 85, UFC 92, UFC 97 경기에서 함께했다.
2012년에는 '카타나 6: 반란' 쇼의 특별 게스트로 초청받기도 했다. 2012년 도쿄 마라톤에 출전하여 완주에 성공했으며, 2012년 5월 20일에는 자신의 이름을 딴 대회인 '호스트 컵 2012 ~Departure~'의 총괄 프로듀서로도 활동했다.
은퇴한 지 8년 만인 2014년 3월 23일, 48세의 나이로 '호스트 컵: 레전드'에서 토머스 스탠리를 상대로 현역 복귀전을 치렀다. 그는 두 차례 다운을 빼앗으며 만장일치 판정승을 거두었다. 그리고 2014년 10월 19일 오사카에서 피터 아츠와 통산 6번째 대결을 펼쳐 만장일치 판정승을 거두고 공석이었던 WKO 세계 헤비급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했다.
4. 격투 스타일
어네스트 후스트의 '미스터 퍼펙트'라는 별명은 그의 독특하고 완벽한 격투 기술과 전략에서 비롯되었다. 그는 헤비급 파이터들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체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스피드, 정확성, 치명적인 콤비네이션, 그리고 탁월한 전술적 역량으로 성공을 거두었다. 그의 기술은 기계와 같은 정밀함으로 복잡한 콤비네이션을 구사하는 것으로 유명했다.
후스트의 가장 위력적인 기술은 바로 '시그니처 로우킥'이었다. 그는 콤비네이션의 마지막에 이 로우킥을 사용하여 경기 내내 상대의 다리를 무력화시켰다. 레이 세포, 미르코 크로캅, 이고르 보브찬친 등 정상급 선수들을 로우킥으로 쓰러뜨리기도 했다。 다만, 350파운드(약 158.76 kg)에 달하는 밥 샵과의 경기에서는 이러한 방어 능력이 두 차례 실패하기도 했다. 또한, 후스트는 뛰어난 카운터 능력과 높은 수준의 방어 기술을 겸비하여, 힘으로 밀어붙이는 파이터들의 공격을 효과적으로 막아내고 반격할 수 있었다.
5. 개인 생활 및 대중적 이미지
어네스트 후스트는 현재 호른에서 아내와 자녀들과 함께 살고 있다. 그는 유창한 일본어를 구사하는 것으로 유명하며, 공식 인터뷰에서는 네덜란드어를 사용하지만, 일본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할 때는 종종 일본어로 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가라오케를 즐기는 취미를 가지고 있으며, 한 일본 방송에서는 요시 이쿠조의 노래 'Dream'을 부르는 모습을 선보이기도 했다. 또한 그는 '공처가'로 알려져 있다. 현역 시절에는 지병인 아토피성 피부염으로 인해 종종 건강 문제를 겪어 경기를 취소하거나 컨디션 난조를 보이기도 했다.
6. 유산 및 평가
어네스트 후스트는 킥복싱 역사에 지대한 영향력을 남겼으며, 그의 업적은 높이 평가받고 있다.
6.1. 주요 업적 및 영향
후스트는 K-1 월드 그랑프리 최다 우승 기록(4회)을 달성하며 이 스포츠의 살아있는 전설이 되었다. 그는 강력한 파워 파이터들이 즐비한 헤비급 무대에서 '지능형 파이터'의 상징으로서 K-1 스타일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그의 섬세하고 완벽한 기술력은 '미스터 퍼펙트'라는 별명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그의 경기 운영 방식은 수많은 후배 격투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은퇴 후에도 '팀 미스터 퍼펙트'를 통해 후학 양성에 힘쓰며 킥복싱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6.2. 비판 및 논란
후스트의 경력 중에는 몇 가지 논란이 되는 부분도 있었다. 2002년 밥 샵과의 두 차례 경기에서 발생한 논란의 판정은 대표적이다. 특히 두 번째 경기에서는 후스트가 KO패를 당했음에도 샵의 부상으로 인해 기권하면서 후스트가 준결승에 진출하게 되어 공정성 문제가 제기되기도 했다. 또한 2004년 레미 본야스키와의 'K-1 월드 그랑프리 2004' 준결승 경기에서도 연장 판정패를 당했는데, 이 판정 역시 당시 많은 격투기 전문가와 팬들 사이에서 '의혹의 판정'으로 불리며 논란이 되었다. 이 경기를 관전하던 많은 관계자들도 레미 본야스키의 승리에 의아함을 표했다.
7. 획득 타이틀 및 수상
어네스트 후스트가 아마추어 및 프로 경력 동안 획득한 주요 타이틀과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 프로
- 2014년 WKO 세계 헤비급 챔피언
- 2002년 K-1 월드 그랑프리 챔피언
- 2001년 K-1 월드 그랑프리 멜버른 챔피언
- 2000년 K-1 월드 그랑프리 챔피언
- 2000년 K-1 월드 그랑프리 나고야 준우승
- 1999년 K-1 월드 그랑프리 챔피언
- 1997년 K-1 월드 그랑프리 챔피언
- 1994년 ISKA 풀 컨택트 라이트 헤비급 세계 챔피언
- 1994년 K-2 플러스 토너먼트 챔피언 (암스테르담)
- 1993년 K-2 그랑프리 챔피언
- 1993년 WMTA & WKA 라이트 헤비급 세계 챔피언
- 1993년 K-1 월드 그랑프리 준우승
- 1992년 WMTA 무에타이 세계 챔피언
- 1990년 WMTA 무에타이 세계 챔피언
- 1990년 WKA 킥복싱 세계 챔피언
- 1989년 WMTA 무에타이 세계 챔피언
- 1989년 사바테 세계 챔피언
- 1988년 WKA 유럽 킥복싱 챔피언
- 1988년 사바테 유럽 챔피언
- 1988년 ISKA 유럽 풀 컨택트 챔피언
- 1988년 ISKA 유럽 무에타이 챔피언
- 1987년 WMTB 네덜란드 무에타이 챔피언
- 기타
- 2004년 블랙 벨트 매거진 올해의 풀 컨택트 파이터
8. 킥복싱 전적
승패 | 대전 상대 | 경기 결과 | 대회명 | 개최 일자 | |
---|---|---|---|---|---|
승 | 피터 아츠 | 5R 종료 판정 3-0 | WKO: Kumite Energy | 2014년 10월 19일 | |
승 | 토머스 스탠리 | 3R 종료 판정 3-0 | Hoost Cup: Legend | 2014년 3월 23일 | |
패 | 세미 슐트 | 3R 종료 판정 0-3 | K-1 월드 그랑프리 2006 준결승 | 2006년 12월 2일 | |
승 | 할리드 디 파우스트 | 연장R 종료 판정 3-0 | K-1 월드 그랑프리 2006 8강전 | 2006년 12월 2일 | |
승 | 후지모토 유스케 | 3R 2:09 KO (오른발 로우킥) | K-1 월드 그랑프리 2006 개막전 | 2006년 9월 30일 | |
승 | 피터 아츠 | 3R 종료 판정 2-0 | K-1 월드 그랑프리 2006 인 암스테르담 | 2006년 5월 13일 | |
패 | 세미 슐트 | 2R 0:41 TKO (주심 중단) | K-1 프리미엄 2005 다이너마이트 | 2005년 12월 31일 | |
패 | 레미 본야스키 | 연장R 종료 판정 0-3 | K-1 월드 그랑프리 2004 8강전 | 2004년 12월 4일 | |
승 | 글라우베 페이토자 | 3R 종료 판정 3-0 | K-1 월드 그랑프리 2004 개막전 | 2004년 9월 25일 | |
승 | 자비트 바이라미 | 3R 종료 판정 3-0 | K-1 월드 그랑프리 2004 인 사이타마 | 2004년 3월 27일 | |
승 | 몬타냐 실바 | 3R 종료 판정 3-0 | K-1 프리미엄 2003 다이너마이트 | 2003년 12월 31일 | |
승 | 시릴 아비디 | 2R 종료 판정 3-0 | K-1 월드 그랑프리 2003 인 후쿠오카 | 2003년 7월 13일 | |
승 | 마틴 홀름 | 5R 종료 판정 3-0 | K-1 월드 그랑프리 2003 인 파리 | 2003년 6월 14일 | |
승 | 제퍼슨 실바 | 1R 2:55 KO (펀치) | K-1 월드 그랑프리 2003 인 사이타마 | 2003年 3월 30일 | |
승 | 제롬 르 밴너 | 3R 1:26 KO (오른발 미들킥) | K-1 월드 그랑프리 2002 결승 | 2002년 12월 7일 | |
승 | 레이 세포 | 1R 1:49 TKO (정강이 부상) | K-1 월드 그랑프리 2002 준결승 | 2002년 12월 7일 | |
패 | 밥 샵 | 2R 2:53 TKO (주심 중단) | K-1 월드 그랑프리 2002 8강전 | 2002년 12월 7일 | |
패 | 밥 샵 | 1R 종료 TKO (닥터 스톱) | K-1 월드 그랑프리 2002 개막전 | 2002년 10월 5일 | |
무승부 | 세미 슐트 | 5R 종료 판정 0-0 | 프라이드 쇼크웨이브 | 2002년 8월 28일 | |
승 | 얀 노르키아 | 3R 1:29 KO (킥) | K-1 월드 그랑프리 2002 인 라스베이거스 | 2002년 8월 17일 | |
승 | 스테판 레코 | 1R 1:48 KO (펀치) | K-1 월드 그랑프리 2002 인 파리 | 2002년 5월 22일 | |
승 | 나카사코 츠요시 | 1R 1:46 KO | K-1 버닝 2002 | 2002년 4월 21일 | |
승 | 스테판 레코 | 3R 종료 판정 3-0 | K-1 월드 그랑프리 2001 8강전 | 2001년 12월 8일 | |
승 | 매트 스켈턴 | 3R 종료 판정 2-0 | K-1 월드 그랑프리 2001 인 멜버른 결승 | 2001년 6월 16일 | |
승 | 마크 헌트 | 3R 종료 판정 3-0 | K-1 월드 그랑프리 2001 인 멜버른 준결승 | 2001년 6월 16일 | |
승 | 세르게이 구르 | 1R 2:03 TKO (주심 중단) | K-1 월드 그랑프리 2001 인 멜버른 8강전 | 2001년 6월 16일 | |
승 | 무사시 | 5R 종료 판정 2-0 | K-1 버닝 2001 | 2001년 4월 15일 | |
승 | 자비트 바이라미 | 5R 종료 판정 | 2H2H - Simply The Best | 2001년 3월 18일 | |
승 | 레이 세포 | 3R 종료 판정 3-0 | K-1 월드 그랑프리 2000 결승 | 2000년 12월 10일 | |
승 | 프란시스코 필리오 | 3R 종료 판정 3-0 | K-1 월드 그랑프리 2000 준결승 | 2000년 12월 10일 | |
승 | 미르코 크로캅 | 연장R 종료 판정 3-0 | K-1 월드 그랑프리 2000 8강전 | 2000년 12월 10일 | |
패 | 제롬 르 밴너 | 1R 종료 TKO (코너 중단) | K-1 월드 그랑프리 2000 인 나고야 결승 | 2000년 7월 30일 | |
승 | 로이드 반 담 | 3R 종료 판정 2-0 | K-1 월드 그랑프리 2000 인 나고야 준결승 | 2000년 7월 30일 | |
승 | 파리스 바실리코스 | 3R 2:20 KO (오른손 펀치) | K-1 월드 그랑프리 2000 인 나고야 8강전 | 2000년 7월 30일 | |
승 | 라니 베르바치 | 3R 종료 TKO (코너 중단) | K-1 서바이벌 2000 | 2000년 5월 28일 | |
승 | 샘 그레코 | 3R 종료 TKO (코너 중단) | K-1 밀레니엄 | 2000년 4월 23일 | |
승 | 미르코 크로캅 | 3R 1:09 KO (왼손 보디 샷) | K-1 월드 그랑프리 1999 결승 | 1999년 12월 5일 | |
승 | 제롬 르 밴너 | 2R 0:26 KO (오른손 훅) | K-1 월드 그랑프리 1999 준결승 | 1999년 12월 5일 | |
승 | 앤디 훅 | 3R 종료 판정 3-0 | K-1 월드 그랑프리 1999 8강전 | 1999년 12월 5일 | |
승 | 자비트 바이라미 | 5R 종료 판정 3-0 | K-1 월드 그랑프리 1999 개막전 | 1999년 10월 3일 | |
승 | 이고르 보브찬친 | 3R 0:51 KO (로우킥/3다운) | K-1 드림 1999 | 1999년 7월 18일 | |
패 | 프란시스코 필리오 | 1R 1:37 KO (오른손 훅) | K-1 리벤지 1999 | 1999년 4월 25일 | |
패 | 샘 그레코 | 2R 종료 TKO (코너 중단) | K-1 월드 그랑프리 1998 8강전 | 1998년 12월 13일 | |
승 | 타시스 페트리디스 | 4R 종료 TKO (코너 중단) | K-1 월드 그랑프리 1998 개막전 | 1998년 9월 27일 | |
승 | 모리스 스미스 | 5R 종료 판정 3-0 | K-1 더 뉴 파이팅 스피릿 1998 | 1998년 8월 7일 | |
승 | 무사시 | 3R 2:52 TKO (주심 중단) | K-1 드림 1998 | 1998년 7월 18일 | |
승 | 장 리비에르 | 1R 1:17 KO (오른발 하이킥) | K-1 브레이브스 1998 | 1998년 5월 24일 | |
패 | 피터 아츠 | 5R 종료 판정 0-2 | K-1 킹스 1998 | 1998년 4월 9일 | |
승 | 앤디 훅 | 3R 종료 판정 2-0 | K-1 월드 그랑프리 1997 결승 | 1997년 11월 19일 | |
승 | 프란시스코 필리오 | 3R 종료 판정 2-0 | K-1 월드 그랑프리 1997 준결승 | 1997년 11월 19일 | |
승 | 제롬 르 밴너 | 1R 1:15 KO (오른손 훅) | K-1 월드 그랑프리 1997 8강전 | 1997년 11월 19일 | |
승 | 스테판 레코 | 2R 0:34 KO (오른손 크로스) | K-1 월드 그랑프리 1997 개막전 | 1997년 9월 7일 | |
승 | 숀 존슨 | 1R 1:12 KO (보디 샷) | K-1 파이트 나이트 1997 | 1997년 6월 7일 | |
승 | 마이크 베르나르도 | 4R 1:03 TKO (주심 중단/오른손 훅) | K-1 브레이브스 1997 | 1997년 4월 29일 | |
승 | 듀안 반 더 메르베 | 3R 1:49 KO (킥) | K-1 킹스 1997 | 1997년 3월 16일 | |
승 | 레이 세포 | 4R 0:25 KO (로우킥) | K-1 헤라클레스 1996 | 1996년 12월 8일 | |
패 | 제롬 르 밴너 | 2R 2:57 TKO (오른손 훅) | K-1 스타 워즈 1996 | 1996년 10월 18일 | |
승 | 칼 베르나르도 | 2R 0:20 KO | K-1 리벤지 1996 | 1996년 9월 1일 | |
패 | 앤디 훅 | 연장2R 종료 판정 1-2 | K-1 월드 그랑프리 1996 준결승 | 1996년 5월 6일 | |
승 | 미르코 크로캅 | 3R 1:27 KO (오른발 로우킥) | K-1 월드 그랑프리 1996 8강전 | 1996년 5월 6일 | |
승 | 스튜어트 그린 | 2R 0:09 KO (킥) | K-1 월드 그랑프리 1996 오프닝 배틀 | 1996년 3월 10일 | |
승 | 모리스 트래비스 | 1R 2:13 TKO (코너 중단) | K-1 헤라클레스 | 1995년 12월 9일 | |
승 | 마이클 톰슨 | 2R 2:45 TKO | K-1 리벤지 2 | 1995년 9월 3일 | |
승 | 앤디 훅 | 3R 종료 판정 2-0 | K-3 그랑프리 1995 | 1995년 7월 16일 | |
패 | 피터 아츠 | 연장R 종료 판정 0-3 | K-1 월드 그랑프리 1995 준결승 | 1995년 5월 4일 | |
승 | 존 클레인 | 2R 0:45 KO (오른손 크로스) | K-1 월드 그랑프리 1995 8강전 | 1995년 5월 4일 | |
승 | 후베르트 눔리치 | 4R 2:25 TKO (코너 중단) | K-1 월드 그랑프리 1995 오프닝 배틀 | 1995년 3월 3일 | |
패 | 브랑코 시카틱 | 2R 1:18 KO (오른손 훅) | K-1 레전드 | 1994년 12월 10일 | |
승 | 릭 루퍼스 | 11R 1:02 KO (오른발 하이킥) | Thriller in Marseille | 1994년 11월 12일 | |
승 | 마크 러셀 | 2R 2:42 TKO (3다운) | K-1 리벤지 | 1994년 9월 18일 | |
승 | 다비도프 | N/A | N/A | 1994년 6월 25일 | |
승 | 밥 슈라이버 | 1R 3:00 KO | K-2 플러스 토너먼트 1994 결승 | 1994년 5월 8일 | |
승 | 마크 러셀 | 2R 2:05 TKO (3다운) | K-2 플러스 토너먼트 1994 준결승 | 1994년 5월 8일 | |
승 | 토니 루치아노 | 3R 종료 판정 | K-2 플러스 토너먼트 1994 8강전 | 1994년 5월 8일 | |
승 | 사타케 마사아키 | 2R 2:45 KO (왼발 하이킥) | K-1 챌린지 | 1994년 3월 4일 | |
승 | 차푸악 키아송릿 | 4R 0:40 KO (오른발 하이킥) | K-2 그랑프리 1993 결승 | 1993년 12월 19일 | |
승 | 애덤 와트 | 1R 2:13 TKO (2다운) | K-2 그랑프리 1993 준결승 | 1993년 12월 19일 | |
승 | 맨슨 깁슨 | 연장R 종료 판정 2-0 | K-2 그랑프리 1993 8강전 | 1993년 12월 19일 | |
승 | 타시스 페트리디스 | 3R 0:45 TKO (3다운) | K-1 일루전 | 1993년 9월 4일 | |
패 | 브랑코 시카틱 | 1R 2:49 KO (오른손 훅) | K-1 그랑프리 1993 결승 | 1993년 4월 30일 | |
승 | 모리스 스미스 | 3R 1:18 KO (왼발 하이킥) | K-1 그랑프리 1993 준결승 | 1993년 4월 30일 | |
승 | 피터 아츠 | 3R 종료 판정 2-0 | K-1 그랑프리 1993 8강전 | 1993년 4월 30일 | |
승 | 트로이 휴즈 | N/A | N/A | 1993년 2월 14일 | |
승 | 산마르크 | KO | N/A | 1992년 | |
패 | 릭 루퍼스 | 12R 종료 판정 0-3 | N/A | 1992년 11월 13일 | |
승 | 텝피탁 상모라곳 | 2R 2:14 KO (왼손 펀치) | Holland vs Thailand: The Revenge | 1992년 10월 25일 | |
승 | 조 칵타스 | N/A | N/A | 1992년 4월 26일 | |
승 | 레오 드 스누 | 5R 종료 판정 | Hot Night in Amsterdam | 1991년 10월 20일 | |
승 | 얀 웨셀스 | 5R 종료 판정 3-0 | Kickboxing "Holland vs Canada" | 1991년 4월 21일 | |
승 | 뤽 베르하예 | 5R 종료 판정 3-0 | Holland vs Thailand VI | 1991년 2월 17일 | |
패 | 롭 카만 | 5R KO (왼손 훅) | The Battle of the Year | 1990년 11월 18일 | |
승 | 세요케 | 1R KO | Holland vs Thailand V | 1990년 10월 14일 | |
승 | 어네스트 시몬스 | 3R KO | N/A | 1990년 1월 28일 | |
승 | 브랑코 시카틱 | 3R 실격 | N/A | 1989년 10월 8일 | |
승 | 프랑시스 도뱅 | 2R KO | N/A | 1989년 8월 27일 | |
승 | 파스칼 뒤크로 | N/A | N/A | 1989년 5월 19일 | |
패 | 장 이브 테리오 | 12R 종료 판정 1-2 | N/A | 1989년 4월 21일 | |
승 | 커크우드 워커 | 5R 종료 판정 | N/A | 1989년 2월 19일 | |
승 | 피터 아츠 | 5R 종료 판정 3-0 | N/A | 1988년 11월 20일 | |
승 | 브누아 브리양 | 6R KO | N/A | 1988년 9월 25일 | |
승 | 실뱅 포스텔 | 5R KO | Champions in Action | 1988년 6월 11일 | |
승 | 레지스 레생 | 3R KO | N/A | 1988년 6월 3일 | |
승 | 프랑수아 코레만스 | 5R 종료 판정 | Superfights II | 1988년 5월 7일 | |
승 | 앙드레 만나트 | 3R KO | Superfights I | 1988년 2월 27일 | |
승 | 라트리신 | N/A | N/A | 1987년 12월 5일 | |
승 | 케네스 플랙 | 5R 종료 판정 | N/A | 1987년 11월 8일 | |
패 | 로니 바겐마커 | KO | N/A | 1987년 9월 10일 | |
승 | 파스칼 뒤크로 | 5R 종료 판정 | Kick-Thaiboxing Gala in Amsterdam | 1987년 5월 31일 | |
패 | 롭 카만 | 5R 종료 판정 0-3 | W.K.A. Kickboxing | 1987년 2월 1일 | |
패 | 장 이브 테리오 | 12R 종료 판정 0-3 | N/A | 1986년 12월 14일 | |
패 | 어네스트 시몬스 | N/A | N/A | 1986년 6월 12일 | |
승 | 레오 드 스누 | N/A | N/A | 1986년 3월 2일 | |
승 | 로이 마티나 | KO | N/A | 1986년 1월 18일 | |
승 | 앙드레 만나트 | 5R 종료 판정 | N/A | 1985년 10월 20일 | |
승 | 롭 플로리스 | KO | N/A | 1985년 6월 23일 | |
승 | 제라디 | KO | N/A | 1985년 5월 31일 | |
승 | 레오 드 스누 | N/A | N/A | 1985년 3월 10일 | |
승 | 드리에예 | KO | N/A | 1984년 11월 18일 | |
승 | 리카르도 다르산 | KO | N/A | 1984년 10월 20일 | |
승 | 레인체스 | KO | N/A | 1984년 3월 25일 | |
승 | 빔 샤렌베르그 | 2R KO | N/A | 1983년 12월 11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