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야코포 델라 퀘르차(Jacopo della Quercia, 약 1374년 ~ 1438년 10월 20일)는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의 저명한 조각가이다. 본명은 `Jacopo di Pietro d'Agnolo di Guarnieri야코포 디 피에트로 다뇰로 디 과르니에리이탈리아어`이며, `Quercia Grossa퀘르차 그로사이탈리아어`(현재의 `Quercegrossa케르체그로사이탈리아어`)라는 그의 고향 마을에서 이름을 따왔다. 그는 브루넬레스키, 기베르티, 도나텔로와 동시대 인물로, 특히 후대 르네상스 거장인 미켈란젤로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야코포 델라 퀘르차의 작품은 고딕 양식에서 이탈리아 르네상스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특징을 뚜렷하게 보여주며, 그의 대표작으로는 시에나의 `Piazza del Campo캄포 광장이탈리아어`에 위치한 기념비적인 분수 `Fonte Gaia폰테 가이아이탈리아어`와 볼로냐의 산 페트로니오 교회의 `Porta Magna포르타 마냐이탈리아어`(대문) 조각 등이 있다. 그의 작품은 프란체스코 디 조르조 마르티니, `Niccolo dell Arca니콜로 델라르카이탈리아어` 등 여러 후대 예술가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2. 생애와 초기 활동
야코포 델라 퀘르차는 초기 생애 동안 예술적 재능을 키우고, 중요한 예술적 영향을 받으며, 피렌체 세례당 청동 문 디자인 경쟁과 같은 중요한 초기 의뢰에 참여했다.
2.1. 출생과 가족 배경
야코포 델라 퀘르차는 약 1374년, 토스카나 시에나 근처의 퀘르차 그로사(현재의 `Quercegrossa케르체그로사이탈리아어`)에서 태어났다. 그는 공예가 집안 출신으로, 그의 아버지 `Piero d'Angelo피에로 다뇰로이탈리아어`는 목각가이자 금세공인이었고, 그의 형제 `Priamo프리아모이탈리아어`는 화가였다. 야코포는 아버지에게서 초기 예술 교육을 받았다. 1386년, 당파 싸움과 혼란으로 인해 그와 그의 아버지는 루카로 이주했다.
2.2. 초기 예술적 영향과 교육
시에나 출신인 야코포 델라 퀘르차는 시에나 대성당 강단에 있는 니콜라 피사노와 아르놀포 디 캄비오의 작품을 보고 큰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그는 피사의 `Camposanto캄포산토이탈리아어`에 있는 방대한 고대 로마 조각상과 석관 컬렉션을 연구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초기 로마 예술에 대한 연구와 후대의 영향은 그를 유럽 미술사에서 과도기적 인물로 만들었다. 그의 작품은 그의 경력 중반에 걸쳐 고딕 양식에서 이탈리아 르네상스 양식으로의 뚜렷한 전환을 보여준다. 이는 기베르티의 경우처럼 동시대 예술가인 도나텔로의 영향 때문일 것으로 보인다.
2.3. 초기 의뢰와 피렌체 세례당 경쟁
야코포 델라 퀘르차의 첫 작품은 16세 때 아조 우발디니(Azzo Ubaldini)의 장례식을 위해 제작한 기마 목상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루카 대성당에 있는 『`Man of Sorrows슬픔의 사람영어`』(성찬 제단)과 『`St. Aniello성 아넬로영어`』의 무덤에 있는 부조가 그의 초기 작품으로 언급되기도 하나, 이는 일부 논쟁의 여지가 있다. 1401년, 그는 피렌체의 세례당에 놓일 청동 문 디자인 경쟁에 참여했지만, 기베르티에게 패배했다. 그의 낙선작은 현재까지 그 행방을 알 수 없다. 1403년에는 페라라 대성당을 위해 대리석 『`Virgin and Child성모와 아기 예수영어`』상을 조각했으며, 이 시기 페라라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St. Maurelius성 마우렐리우스영어`』 소상과 함께 현재 두 작품 모두 `Museo del Duomo두오모 박물관이탈리아어`에 전시되어 있다.
3. 주요 작품 활동
야코포 델라 퀘르차의 주요 작품 활동은 그의 예술적 발전과 르네상스 양식으로의 전환을 명확히 보여주는 일련의 중요한 프로젝트들을 포함한다. 그는 대리석, 청동, 목재 등 다양한 재료를 다루며 뛰어난 역량을 발휘했다.
3.1. 일라리아 델 카레토의 무덤
1406년, 루카로 돌아온 야코포 델라 퀘르차는 도시의 통치자 파올로 구이니지로부터 그의 두 번째 아내 일라리아 델 카레토의 무덤을 루카 대성당에 제작하라는 의뢰를 받았다. 이 무덤은 그의 가장 아름다운 작품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화려한 옷을 입은 일라리아는 `sarcofago석관이탈리아어` 위에 섬세한 고딕 양식으로 묘사되어 있으며, 그녀의 발치에는 부부간의 정절을 상징하는 개가 놓여 있다. 그러나 무덤 측면에 여러 명의 `putti푸티이탈리아어`(벌거벗은 아기 천사상)를 사용한 것은 피사 캄포산토의 로마 석관에서 받은 고전적 영향을 명확히 보여준다. 이 작품은 초기 르네상스의 도래를 알리는 선구자적 신호로 여겨진다.
3.2. 시에나 폰테 가이아 분수


1406년, 야코포 델라 퀘르차는 시에나의 캄포 광장에 새로운 분수를 건설하라는 의뢰를 받았다. 이 분수는 당시 흑사병 발병의 원인으로 지목되어 파괴된 이교도 여신 `Venus베누스라틴어`의 조각상이 있던 기존의 분수를 대체해야 했다. 베누스상은 파괴되어 도시 성벽 밖에 묻히며 그 "악의 영향"을 피하려 했다. 이 권위 있는 의뢰는 그가 이미 시에나에서 가장 저명한 조각가로 인정받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Fonte Gaia폰테 가이아이탈리아어`라 불리는 이 직사각형의 하얀 대리석 분수는 `Vergine성모 마리아이탈리아어`에게 헌정되었으며, 세 면에 걸쳐 많은 조각상과 여러 개의 물을 뿜는 주둥이로 장식되었다. 분수의 이름은 "기쁨의 분수"라는 의미로, 분수가 완공되어 가동되었을 때의 기쁨과 축제를 기념하여 붙여졌다. 야코포 델라 퀘르차가 동시에 다른 의뢰도 수락했기 때문에 작업 진행은 더뎠다. 그는 1414년에 작업을 시작하여 1419년에야 분수를 완성했다. 분수의 패널들은 대성당 옆에 위치한 조각가 작업장에서 조각되었으며, 이 작업장은 현재 대성당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분수의 원래 조각상들은 1858년에 `Tito Sarrocchi티토 사로키이탈리아어`의 복제품으로 교체되었으며, 원본 조각의 손상된 부분은 현재 산타 마리아 델라 스칼라의 하층부와 `Palazzo Pubblico푸블리코 궁전이탈리아어`의 `Loggia dei Nove아홉 명의 로지아이탈리아어`에 전시되어 있다.
3.3. 루카와 시에나에서의 다른 작업
1412년, 야코포 델라 퀘르차는 부유한 상인 로렌초 트렌타(Lorenzo Trenta)의 의뢰로 루카의 산 프레디아노 성당에 있는 트렌타 예배당 디자인 작업을 시작했다. 그는 1416년 루카로 돌아와 트렌타 예배당의 대리석 제단과 벽감에 안치된 여러 성자 조각상을 계속 작업했으며, 일부는 그의 조수들이 수행했다. 야코포는 또한 제단 앞 바닥에 놓인 로렌초 트렌타와 그의 아내 이사베타 오네스티(Isabetta Onesti)의 묘비 디자인도 맡았다.
1416년, 기베르티가 시에나 세례당의 육각형 세례반과 청동 패널 디자인을 의뢰받았을 때, 정치적 분쟁으로 인해 야코포 델라 퀘르차도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었다. 그는 `Fonte Gaia폰테 가이아이탈리아어`와 트렌타 예배당 작업을 동시에 진행하고 있었기 때문에 『`The Annunciation to Zacharias성 자카리아에게 알림영어`』이라는 청동 부조 하나만을 완성했다. 피렌체 '천국의 문' 경쟁에서 탈락한 이후 청동 작업에 소극적이었던 그는 세례당의 `tabernacolo성궤이탈리아어` 작업 시 대리석 부분만을 담당하겠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1427년에는 시에나 세례당의 세례반 상부 디자인을 의뢰받았다. 세례반 중앙에 기둥으로 지탱된 이 육각형 기둥에는 벽감에 다섯 명의 예언자가 배치되어 있다. 성궤 위 돔 꼭대기에 있는 대리석 『`St. John the Baptist세례 요한영어`』 조각상도 야코포 델라 퀘르차의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3.4. 산 지미냐노의 수태고지
1421년, 야코포 델라 퀘르차는 산 지미냐노의 `Collegiata di San Gimignano콜레지아타 교회이탈리아어`를 위해 『`Annunciation수태고지영어`』라는 제목의 두 점의 다색 목재 조각상, 『`Virgin성모영어`』와 『`Gabriel가브리엘영어`』을 조각했다. 다색 채색 작업은 `Martino di Bartolomeo마르티노 디 바르톨로메오이탈리아어`와 같은 다른 거장들이 수행했다. 이 조각상들의 정교함은 그의 대리석 조각상만큼이나 뛰어나며, 그가 목각 예술가로서도 다재다능했음을 보여준다. 이로 인해 일부 학자들은 다른 목재 조각상들도 그의 작품으로 보았지만, 대부분은 그의 활발했던 작업실에서 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3.5. 볼로냐 산 페트로니오 대성당 포르타 마냐


1425년, 야코포 델라 퀘르차는 볼로냐의 산 페트로니오 교회의 원형 아치형 `Porta Magna포르타 마냐이탈리아어`(대문) 디자인이라는 또 다른 주요 의뢰를 수락했다. 이 작업은 그의 생애 마지막 13년 중 상당 부분을 차지했으며, 그의 대표작으로 간주된다. 그는 석재를 구하기 위해 베로나, 베네치아, 밀라노를 여행하기도 했다.
문의 양쪽에는 나선형 장식이 있는 작은 기둥이 먼저 있고, 그 뒤로는 9개의 `profeta예언자이탈리아어` 흉상이 있으며, 마지막으로 `Old Testament구약성서라틴어`의 5장면이 낮은 부조로 조각되어 있다. 『`Creation of Adam아담의 창조영어`』에서는 시에나의 `Fonte Gaia폰테 가이아이탈리아어`에서 사용했던 것과 동일한 구도를 역순으로 활용했다. 1494년 볼로냐를 방문했던 미켈란젤로는 자신의 시스티나 예배당 천장화에 그려진 『`Genesis창세기영어`』(특히 `birth of Eve하와의 탄생영어` 장면)가 이 부조들을 바탕으로 했다고 인정했다.
문 위 `architrave상인방영어`에는 `New Testament신약성서라틴어`의 5장면이 새겨져 있다. 반원형 벽면인 `lunetta루네트이탈리아어`에는 세 점의 독립된 조각상이 있다. 『`Virgin and Child성모와 아기 예수영어`』, `Saint Petronius성 페트로니우스영어`(오른손에 볼로냐의 모형을 들고 있음), 그리고 `Saint Ambrose성 암브로시우스영어`이다. 성 암브로시우스상은 1510년에 `Domenico Aimo도메니코 아이모이탈리아어`가 조각했는데, 원래는 교황 특사 `Cardinal Alemmano알레만노 추기경이탈리아어`을 표현할 의도였으나, 추기경이 볼로냐에서 추방된 후 이 계획은 폐기되었다. 야코포 델라 퀘르차는 이 프로젝트에서 `Cino di Bartolo치노 디 바르톨로이탈리아어`와 같은 볼로냐 작업실의 예술가들에게 크게 의존했다.
3.6. 말년의 활동과 미완성 프로젝트
말년에 야코포 델라 퀘르차는 더욱 활발하게 활동하며 여러 프로젝트를 동시에 진행했다. 1434년에는 시에나 시민들로부터 캄포 광장 근처의 `Loggia di San Paolo산 파올로 로지아이탈리아어`를 디자인하라는 의뢰를 받았다. 그러나 그는 이 의뢰를 완성하지 못했으며, 사망할 때까지는 기둥머리(capital)와 여섯 개의 벽감만을 완성한 상태였다.
그는 또한 시에나 대성당 내에 위치한 `Cardinal Casini카시니 추기경이탈리아어`을 위한 성 세바스티아노 예배당(1645년 파괴됨) 장식 작업에도 참여했으나, 추기경의 부조 대부분은 그의 시에나 작업실에서 제작되었다. 이 조각된 높은 부조, 『`Cardinal Antonio Casini presented to the Virgin by St. Anthony of Egypt이집트의 성 안토니우스에게 성모에게 소개되는 안토니오 카시니 추기경영어`』은 현재 대성당 박물관의 조각상 전시실에 전시되어 있다.
말년에는 시에나 시민들로부터 여러 영예를 안았다. 1435년에는 기사 작위를 받았고, 대성당의 중요한 직책인 `Operaio오페라이오이탈리아어`(건설 책임자)로 임명되었다.
4. 개인 생활과 논란
야코포 델라 퀘르차의 개인적인 삶은 그의 예술적 경력만큼이나 평탄치 않았으며, 법적 문제에 연루되어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4.1. 법적 문제와 논란
1413년, 야코포 델라 퀘르차는 그의 조수 `Giovanni da Imola조반니 다 이몰라이탈리아어`와 함께 절도, 강간, 동성애 등의 심각한 범죄 혐의로 기소되었다. 그는 `Clara Sembrini클라라 셈브리니이탈리아어`라는 여성에 대한 강간 및 동성애 혐의를 받았다. 이로 인해 그는 시에나로 도피했으며, 이 시기에 `Fonte Gaia폰테 가이아이탈리아어` 작업을 시작했다. 그의 조수는 3년 동안 투옥되었다. 야코포 델라 퀘르차는 1416년 3월에 안전 통행증을 받고서야 루카로 돌아올 수 있었다.
5. 죽음
야코포 델라 퀘르차는 1438년 10월 20일 시에나에서 사망했다. 그의 시신은 시에나의 산 아고스티노 교회에 안치되었다.
6. 유산과 평가
야코포 델라 퀘르차는 그의 독창적인 예술 양식과 혁신적인 기법을 통해 이탈리아 르네상스 미술사에 지대한 유산을 남겼으며, 당대와 후대 예술가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6.1. 후대 예술가에 대한 영향
야코포 델라 퀘르차는 특히 미켈란젤로를 비롯한 후대 르네상스 예술가들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미켈란젤로는 볼로냐 산 페트로니오 대성당의 `Porta Magna포르타 마냐이탈리아어`에 있는 퀘르차의 부조, 특히 『`Creation of Eve하와의 창조이탈리아어`』에 영향을 받아 자신의 시스티나 예배당 천장화의 `Genesis창세기영어` 장면을 구상했다고 직접 인정했다. 그의 역동적인 인체 묘사와 감정 표현은 프란체스코 디 조르조 마르티니와 `Niccolo dell Arca니콜로 델라르카이탈리아어`를 포함한 많은 후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6.2. 비평과 역사적 의의
야코포 델라 퀘르차는 생전에 이미 기베르티, `Antonio Filarete안토니오 필라레테이탈리아어`, `Giovanni Santi조반니 산티이탈리아어` 등 동시대 예술가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Giorgio Vasari조르조 바사리이탈리아어`는 그의 저서 『미술가 열전』에 야코포 델라 퀘르차의 전기를 수록하며 그의 역사적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고딕 양식에서 르네상스 양식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인물로서, 고전적 형태와 인간 중심적인 표현을 통합하여 새로운 조각 전통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 그의 작품은 단순히 외형적 아름다움을 넘어 인물의 내면적 고뇌와 역동성을 표현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으며, 이는 르네상스 시대 조각의 중요한 특징이 되었다.
7. 주요 작품 목록
- 아조 우발디니 장례식을 위한 기마 목상 (약 1400년)
- 시에나 대성당 피콜로미니 제단 상부 『`Madonna성모영어`』 (1397년~1400년)
- 『`Virgin and Child성모와 아기 예수영어`』 (『`Silvestri Madonna실베스트리 성모영어`』) (1403년) - 대리석, 높이 210 cm, 페라라 대성당
- 『`St. Maurelius성 마우렐리우스영어`』 (약 1403년) - 페라라 대성당
- 일라리아 델 카레토의 무덤 (약 1406년) - 루카 대성당
- `Fonte Gaia폰테 가이아이탈리아어` (1408년~1419년) - 시에나
- 『`Virtue덕영어`』 (1409년~1419년) - 대리석, 높이 135 cm, 시에나 푸블리코 궁전
- 『`Hope희망영어`』 (1409년~1419년) - 대리석, 시에나 푸블리코 궁전
- 『`Acca Laurentia아카 라렌티아영어`』 (1414년~1419년) - 대리석, 높이 162 cm, 시에나 푸블리코 궁전
- 『`Rhea Sylvia레아 실비아영어`』 (1414년~1419년) - 대리석, 높이 160 cm, 시에나 푸블리코 궁전
- 『`Annunciation수태고지영어`』, 『`Virgin성모영어`』, 『`Gabriel가브리엘영어`』 (1421년) - 산 지미냐노 콜레지아타 교회
- 트렌타 가문 제단의 `polyptych폴립티크영어` (1422년) - 루카 산 프레디아노 성당
- `Porta Magna포르타 마냐이탈리아어` (1425년) - 볼로냐 산 페트로니오 대성당
- 분수, 패널, 『`John the Baptist세례 요한영어`』 소상 (1427년) - 시에나 대성당 세례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