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앤드루 옌택 응(Andrew Yan-Tak Ng앤드루 옌택 응영어, 吳恩達우언다중국어, 1976년 4월 18일 ~ )은 영미계 컴퓨터 과학자이자 인터넷 기업가로, 머신러닝과 인공지능(AI) 분야에 중점을 둔 인물이다. 그는 구글 브레인의 공동 설립자이자 책임자였으며, 이전에는 바이두의 최고 과학자로서 수천 명 규모의 AI 그룹을 구축했다.
응 교수는 현재 스탠포드 대학교의 겸임 교수이며 (이전에는 부교수 및 스탠포드 인공지능 연구소(SAIL) 소장), 온라인 교육 분야에서도 선구적인 활동을 펼쳐 코세라와 DeepLearning.AI를 공동 설립했다. 그는 온라인 강좌를 통해 8백만 명이 넘는 학생들을 가르치며 "딥러닝의 민주화"를 위한 여러 노력을 주도했다.
2018년에는 인공지능 스타트업 투자를 위한 1.75 억 USD 규모의 AI 펀드를 설립하여 현재 이끌고 있다. 또한 AI 기반 SaaS 제품을 제공하는 Landing AI를 설립했으며, 2024년 4월 11일에는 아마존의 이사회 이사로 임명되었다. 그는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유명하고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한 명으로, 2012년 타임지 선정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과 2014년 패스트 컴퍼니 선정 '가장 창의적인 기업인'에 이름을 올렸으며, 2023년에는 '타임 AI 100'에 선정되며 영향력을 더욱 공고히 했다.
2. 초기 생애 및 교육
앤드루 응은 영국 런던에서 태어나, 홍콩과 싱가포르에서 성장하며 프로그래밍에 대한 초기 노출을 경험했다. 이후 다양한 명문 교육 기관에서 학업을 이어나가며 뛰어난 학업 성취를 보였다.
2.1. 어린 시절 및 성장 과정
앤드루 응은 1976년 런던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님인 혈액학자이자 UCL 의과대학 강사였던 로널드 폴 응과 런던 필름 페스티벌에서 예술 행정가로 일했던 티사 호는 모두 홍콩 출신 이민자였다. 그는 최소 한 명의 형제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응과 그의 가족은 홍콩으로 돌아가 유년 시절을 보냈다. 6세 때부터 몇 권의 책을 통해 프로그래밍의 기초를 배우기 시작했으며, 1984년 가족과 함께 싱가포르로 이주했다.
2.2. 교육
싱가포르에서 래플스 인스티튜션을 졸업했다. 고등학교 시절에는 뛰어난 수학적 능력을 발휘하여 국제 수학 올림피아드에서 은메달을 수상했다.
1997년, 그는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에 위치한 카네기 멜런 대학교에서 컴퓨터 과학, 통계학, 경제학 세 가지 분야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1996년부터 1998년까지 AT&T 벨 연구소에서 강화 학습, 모델 선택, 특징 선택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1998년, 응은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 위치한 MIT에서 전기 공학 및 컴퓨터 과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MIT 재학 중 그는 웹상의 연구 논문을 위한 최초의 공개 자동 색인 웹 검색 엔진을 구축했다. 이는 CiteSeerX/ResearchIndex의 전신 격이었지만, 특히 머신러닝 분야에 특화되어 있었다.
2002년, 그는 마이클 아이 조던 교수의 지도 아래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컴퓨터 과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의 박사 학위 논문 제목은 "강화 학습에서의 셰이핑 및 정책 탐색(Shaping and policy search in Reinforcement Learning)"으로, 현재까지도 많이 인용되고 있다.
3. 경력
앤드루 응은 학계에서의 연구 및 교육 활동과 더불어 주요 기술 기업에서의 리더십, 그리고 온라인 교육 분야에서의 선구적인 활동을 통해 전문적인 경력을 쌓았다.
3.1. 학계 및 연구
응은 2002년 스탠포드 대학교에서 조교수로 경력을 시작했으며, 2009년에는 부교수로 승진했다. 현재는 컴퓨터 과학 및 전기 공학과 겸임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는 SAIL의 소장을 역임하며 학생들을 가르치고 데이터 마이닝, 빅데이터, 머신러닝 관련 연구를 수행했다. 스탠포드에서 그가 가르친 머신러닝 강좌 'CS229'는 일부 연도에 1,000명 이상의 학생들이 수강할 정도로 캠퍼스에서 가장 인기 있는 강좌였다. 2020년 기준으로 코세라에서 가장 인기 있는 강좌 3개 중 3개(머신러닝, 모두를 위한 AI, 신경망 및 딥러닝)가 응 교수의 강좌이다.
2008년 스탠포드 내 그의 연구 그룹은 딥러닝에 GPU 활용을 주장한 미국 최초의 그룹 중 하나였다. 효율적인 컴퓨팅 인프라가 통계 모델 훈련 속도를 기하급수적으로 높여 빅데이터 관련 확장성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는 것이 그 근거였다. 당시에는 논란의 여지가 있고 위험한 결정이었으나, 이후 응 교수의 주도를 따라 GPU는 이 분야의 핵심 요소가 되었다. 2017년부터 응 교수는 딥러닝 확장을 위해 HPC로의 전환과 분야 발전을 가속화할 것을 주장해 왔다.
3.2. 산업 리더십
앤드루 응은 학계 외에도 주요 기술 기업에서 AI 이니셔티브를 이끌며 기업가적 역량을 발휘했다.
3.2.1. Google Brain
2011년부터 2012년까지 구글에서 근무하며 제프 딘, 그렉 코라도, 라자트 몽가와 함께 구글 브레인 딥러닝 프로젝트를 공동 설립하고 총괄했다. 이 프로젝트는 구글의 분산 컴퓨팅 인프라를 활용하여 대규모 인공 신경망을 개발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성과 중 하나는 16,000개의 CPU 코어를 사용하여 딥러닝 알고리즘으로 훈련된 신경망이 유튜브 동영상만을 시청한 후 "고양이"가 무엇인지 전혀 알려주지 않았음에도 고양이를 인식하게 된 사례이다. 이 프로젝트의 기술은 현재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음성 인식 시스템에도 활용되고 있다.
3.2.2. Baidu
2014년 바이두에 최고 과학자로 합류하여 빅데이터 및 AI 관련 연구를 수행했다. 그는 이곳에서 얼굴 인식 및 헬스케어용 AI 챗봇인 멜로디(Melody)와 같은 여러 연구팀을 구축했다. 또한 바이두를 구글보다 AI 담론 및 개발에서 앞서나가게 한 AI 플랫폼 DuerOS와 기타 기술들을 개발했다. 2017년 3월, 그는 바이두에서의 사임을 발표했다.
3.2.3. DeepLearning.AI
바이두 사임 직후인 2017년 8월, 앤드루 응은 딥러닝 강좌(AI for Good Specialization 포함)의 온라인 시리즈인 DeepLearning.AI를 설립했다.
3.2.4. Landing AI
DeepLearning.AI 설립 이후, 응은 기업을 위한 AI 기반 SaaS 제품을 제공하는 Landing AI를 설립했다. 이 회사는 제조업체들이 컴퓨터 비전을 채택하도록 돕는 데 중점을 둔다. 2021년 11월, Landing AI는 맥락 캐피탈(McRock Capital)이 주도한 시리즈 A 펀딩 라운드에서 5700.00 만 USD를 확보했다.
3.2.5. AI Fund
2018년 1월, 응은 새로운 스타트업에 투자하기 위한 1.75 억 USD 규모의 AI 펀드를 공개했다.
3.2.6. 기타 벤처 및 이사회 활동
앤드루 응은 심리 클리닉으로 인지행동치료를 제공하는 Woebot Labs의 이사회 의장을 맡고 있다. 이 클리닉은 데이터 과학을 활용하여 우울증 등을 치료하는 치료 챗봇을 제공한다. 그는 또한 자율주행차에 AI를 활용하는 Drive.ai의 이사회 멤버였다. Drive.ai는 2019년 애플에 인수되었다. 2024년 4월 11일, 그는 아마존의 이사회 이사로 임명되었다.

3.3. 온라인 교육
앤드루 응은 AI 및 머신러닝 지식을 전 세계적으로 접근 가능하게 만드는 데 혁혁한 공헌을 했다.
3.3.1. Stanford Engineering Everywhere (SEE)
2008년, 응은 SEE 프로그램을 시작하여 스탠포드 강좌들을 무료로 온라인에 공개했다. 그는 이 강좌들 중 하나인 "머신러닝"을 가르쳤는데, 여기에는 그의 비디오 강의와 스탠포드 'CS229' 수업에 사용된 학생 자료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는 MIT 오픈코스웨어와 유사한 경험을 제공했지만, 강의, 강좌 자료, 문제 및 해답 등을 갖춘 보다 "완전한 강좌"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SEE 비디오는 수백만 명에게 시청되었고, 이는 응 교수가 새로운 온라인 기술 버전을 개발하고 반복하게 하는 영감을 주었다.
3.3.2. Coursera 설립
온라인 공개 강좌(MOOC)의 시작은 2012년 코세라 설립보다 몇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현대 MOOC의 설립에서 강조된 두 가지 주제는 '규모(scale)'와 '가용성(availability)'이었다.
응은 스탠포드 내에서 대프니 콜러와 함께 "블렌디드 러닝 경험"과 동료 채점 시스템을 공동 설계했으며, 존 미첼(코스웨어, 학습 관리 시스템), 댄 보네 (비디오 동기화를 위해 머신러닝 사용, 후에 코세라에서 암호학 강의), 베른트 기로드(ClassX) 등 여러 동료들과 협력했다. 스탠포드 외부에서는 응과 스런(Thrun)이 칸 아카데미의 살 칸을 큰 영감의 원천으로 꼽았다. 응은 또한 lynda.com과 스택 오버플로우 포럼의 디자인에서도 영감을 받았다.
위덤, 응, 그리고 다른 이들은 칸 스타일의 태블릿 녹화를 열렬히 지지했으며, 2009년에서 2011년 사이에 스탠포드 강사들이 녹화한 수백 시간의 강의 비디오가 녹화되어 업로드되었다. 응은 강의 녹화에 대한 최적의 방법을 찾기 위해 지역 고등학교에서 초기 디자인 중 일부를 테스트했다.
2011년 10월, 스탠포드 강좌 'CS229a'의 "응용" 버전이 ml-class.org에서 호스팅되어 출시되었으며, 첫 번째 에디션에는 10만 명 이상의 학생들이 등록했다. 이 강좌는 퀴즈와 채점되는 프로그래밍 과제를 포함했으며, 스탠포드 교수가 만든 최초이자 가장 성공적인 MOOC 중 하나가 되었다. 데이터베이스(db-class.org) 및 AI(ai-class.org)에 대한 두 개의 다른 강좌도 출시되었다. ml-class 및 db-class는 프랭크 첸, 지콴 응이암, 추안유 푸, 이판 마이를 포함한 학생들이 개발한 플랫폼에서 운영되었다. 이 소식은 소셜 미디어와 대중 매체를 통해 퍼져나갔다. 세 강좌 모두 10주 과정이었으며, 4만 개 이상의 "수료 증명서"가 수여되었다.
응은 코세라 초기 시절에 대한 다음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2011년, 저는 4명의 스탠포드 학생들과 함께 일했습니다. 이미 10만 명이 넘는 학생들이 등록되어 있었기 때문에 새로운 기능을 구축해야 한다는 엄청난 압박을 받았습니다. 한 학생(프랭크 첸)은 다른 학생(지콴 응이암)이 밤늦게까지 그를 스탠포드 건물에 발이 묶이게 하고 기숙사로 태워다 주는 것을 거부해서, 그는 거기 남아 계속 일할 수밖에 없었다고 주장합니다. 저는 이 이야기를 확인하거나 부인하지 않습니다." 그의 작업은 이후 2012년 콜러와 함께 코세라를 설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2019년 기준으로 플랫폼에서 가장 인기 있는 두 강좌는 응이 가르치고 설계한 "머신러닝"과 "신경망 및 딥러닝"이었다.
3.3.3. AI 교육의 민주화
2023년까지 응은 DeepLearning.AI와 코세라와 같은 플랫폼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약 8백만 명의 개인이 그의 강좌를 수강하며 AI 교육 접근성을 크게 확대했다. 2019년에는 "모두를 위한 AI(AI for Everyone)"라는 새로운 강좌를 출시했다. 이 강좌는 비기술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AI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기업에 미치는 이점과 비용, 그리고 이 기술 혁명을 어떻게 헤쳐나갈 수 있는지 이해하도록 돕기 위해 고안되었다.
4. 연구 및 공헌
앤드루 응은 AI 및 머신러닝 분야에서 핵심적인 연구를 수행하며 영향력 있는 프로젝트와 주요 기술적 공헌을 남겼다.
4.1. 주요 연구 분야
응은 주로 머신러닝, 딥러닝, 기계 지각(machine perception), 컴퓨터 비전, 자연어 처리 및 로보틱스, 인공지능 분야를 연구한다. 그는 세계에서 가장 유명하고 영향력 있는 컴퓨터 과학자 중 한 명이다. 그는 학술 회의에서 자주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했으며, AI, 컴퓨터 비전 및 로봇 공학 분야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4.2. 영향력 있는 프로젝트 및 논문
대학원 시절, 앤드루 응은 데이비드 엠 블라이와 마이클 아이 조던과 함께 드론의 강화 학습에 대한 그의 논문을 위해 LDA을 도입한 영향력 있는 논문을 공동 저술했다.
그의 초기 작업에는 세계에서 가장 유능한 자율 헬리콥터 중 하나를 개발한 스탠포드 자율 헬리콥터 프로젝트가 포함된다. 그는 STAIR(Stanford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프로젝트의 선임 과학자이자 수석 연구원이었다. 이 프로젝트는 널리 사용되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로봇 공학 플랫폼인 ROS를 탄생시켰다. AI 로봇을 만들고 모든 가정에 로봇을 배치하려는 그의 비전은 스콧 해산을 움직여 Willow Garage를 지원하고 설립하게 했다. 그는 또한 머신러닝을 사용하여 프린스턴 대학교의 워드넷 데이터베이스를 확장하는 스탠포드 워드넷 프로젝트의 창립 팀 멤버 중 한 명이다.
5. 철학 및 AI에 대한 견해
앤드루 응은 AI의 사회적 영향, 일의 미래, AI 교육 및 규제의 중요성에 대해 명확한 견해를 가지고 있다.
5.1. AI와 일의 미래
응은 진정한 위협이 일의 미래에 대한 숙고에 있다고 생각한다. 그는 "사악한 살인 로봇에 정신이 팔리기보다는, 이 기계들로 인해 노동에 가해지는 도전이 학계와 산업, 그리고 정부가 논의해야 할 주제"라고 말한다. 그는 인공지능이 인류를 "노예로 만들지" 않고 사람들의 삶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는다. 그는 AI로 인한 잠재적 이점이 위험보다 크다고 믿으며, AI로부터의 위협에 대한 개념이 과장되어 있다고 본다. 그는 "지금 초지능적인 악당 AI에 대해 걱정하는 것은 마치 화성 인구 과밀에 대해 걱정하는 것과 같다. 우리는 아직 화성에 착륙하지도 않았다!"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응은 일자리 자동화가 노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논의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2017년, 그는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이 AI를 학습하여 다시 고용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기본 소득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5.2. AI의 민주화 및 접근성
응의 작업의 특별한 목표는 사람들이 AI에 대해 더 많이 배우고 그 이점을 이해할 수 있도록 AI 학습을 "민주화"하는 것이다. 그는 AI 지식과 도구를 더 넓은 대중에게 접근 가능하게 만들려는 헌신을 보여왔다.
5.3. AI 규제 및 안전
2023년 12월 파이낸셜 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응은 잠재적 규제가 오픈 소스 AI에 미칠 영향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그는 보고, 라이선싱, 책임 위험 등이 소규모 기업에 불공정한 부담을 주고 혁신을 저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오픈 소스 모델과 같은 기본 기술을 규제하는 것이 안전을 크게 향상시키지 않으면서도 발전을 방해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응은 유익한 AI 기술의 개발 및 배포에 장애물이 되지 않도록 신중하게 설계된 규제를 옹호했다.
6. 인정 및 수상
앤드루 응은 그의 뛰어난 업적을 인정받아 수많은 표창과 영예, 그리고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6.1. 주요 수상 및 영예
- 1995년: 벨 아틀랜틱 네트워크 서비스 장학금
- 1995년, 1996년: 마이크로소프트 기술 장학금
- 1996년: 앤드루 카네기 소사이어티 장학금
- 1998년~2000년: 버클리 펠로우십
- 2001년~2002년: 마이크로소프트 리서치 펠로우십
- 2007년: 알프레드 P. 슬론 연구 펠로우십 (슬론 재단 교수 펠로우십)
- 2008년: MIT 테크놀로지 리뷰 선정 '35세 이하 혁신가(TR35)'
- 2009년: IJCAI 컴퓨터 및 사고상 (35세 이하 연구자에게 주어지는 AI 분야 최고상)
- 2009년: 밴스 D. & 알린 C. 코프먼 교수 학자상
- 2024년: 왕립통계학회 명예 펠로우십
6.2. 언론에서의 인정
- 2012년: 타임 선정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 (37세)
- 2013년: 포춘 선정 '40세 이하 40인'
- 2013년: CNN '10인: 사상가들'
- 2014년: 패스트 컴퍼니 선정 '가장 창의적인 기업인'
- 2015년: 세계 경제 포럼 '젊은 글로벌 리더'
- 2023년: 타임 AI 100 선정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7. 출판물 및 서적
앤드루 응은 수많은 학술 논문을 발표했으며, 대중적인 AI 서적도 저술하여 지식 확산에 기여했다.
7.1. 서적
그는 머신러닝에 관심 있는 사람들을 위한 실용적인 안내서인 "Machine Learning Yearning"이라는 책을 저술했으며, 이를 무료로 배포했다. 2018년 12월에는 후속작인 "AI Transformation Playbook"을 저술했다. 응은 미국 미래학자 마틴 포드의 저서 "Architects of Intelligence: The Truth About AI from the People Building it"(2018)에 한 챕터를 기고했다.
7.2. 주요 출판물
응은 로봇 공학 및 관련 분야에서 300편이 넘는 출판물의 저자 또는 공동 저자이다. 그의 컴퓨터 비전 및 딥러닝 연구는 언론 보도 및 평론에서 자주 다루어졌다. 그는 NeurIPS와 같은 학술지에서 수백 편의 AI 출판물을 공동 심사했다. 그는 또한 JAIR의 편집자, IEEE 로봇 및 자동화 학회 컨퍼런스 편집 위원회(ICRA)의 부편집장 등을 역임했다.
그는 NASA,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록히드 마틴, 막스 플랑크 사회, 스탠포드 대학교, 프린스턴 대학교,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코넬 대학교, MIT,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등 수십 개의 대학에서 초청 강연을 했다. 미국 외에도 스페인, 독일, 이스라엘, 중국, 한국, 캐나다 등에서 강연을 진행했다.
그는 또한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 허프포스트, 슬레이트, 애플 뉴스, 퀘스라 세션의 트위터 등에도 글을 기고했다. 또한 더 배치(The Batch)라는 주간 디지털 뉴스레터를 발행하고 있다.
8. 개인적인 삶
앤드루 응은 현재 캘리포니아주 로스 앨토스 힐즈에 거주하고 있다. 2014년, 그는 또한 AI 연구자인 캐롤 E. 라일리와 결혼했다. MIT 테크놀로지 리뷰는 응과 라일리를 "AI 파워 커플"이라고 불렀다. 그들에게는 2019년에 태어난 딸과 2021년에 태어난 아들, 두 자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