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배경
애덤 클레이턴은 잉글랜드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아일랜드로 이주했으며, 그곳에서 음악적 재능을 발견하고 U2의 멤버들을 만나게 되었다.
1.1. 출생과 가족
애덤 찰스 클레이턴은 1960년 3월 13일 잉글랜드 옥스퍼드셔주 치너에서 브라이언과 조 클레이턴 부부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영국 공군 조종사였으며 이후 민간 항공 분야로 전향했고, 어머니는 전직 항공사 스튜어디스였다. 클레이턴이 네 살 때 그의 아버지는 케냐에서 이스트 아프리칸 항공의 조종사로 일했으며, 가족은 나이로비에 거주했다. 클레이턴은 이때를 자신의 어린 시절 중 가장 행복했던 시기로 회상한다. 1965년, 그가 다섯 살 때 가족은 아일랜드 더블린주 북부 말라하이드로 이주했으며, 그곳에서 그의 남동생 세바스찬이 태어났다. 클레이턴 가족은 이후 에반스 가족(훗날 U2를 함께 결성하게 되는 데이비드 에반스("디 에지") 포함)과 친구가 되었다.
1.2. 교육
클레이턴은 여덟 살 때 더블린주 남부 달키에 위치한 사립 기숙학교인 캐슬 파크 스쿨에 입학했다. 그는 운동을 좋아하지 않아 이 학교의 분위기를 좋아하지 않았고 사회적으로도 적응하기 어려워했다. 학생들에게 대중음악 청취가 허용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팝 음악에 관심이 많았으며, 클래식 음악을 듣기 위해 모이는 학교의 "축음기 협회"에 가입하기도 했다. 또한 잠시 피아노 레슨을 받기도 했다. 그가 대중음악에 처음 발을 들인 것은 10세 무렵으로, 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와 헤어 같은 록 오페라와 클래식과 대중음악의 중간 지점에 있는 음악들을 들으며 음악적 소양을 쌓았다.
13세에 클레이턴은 더블린 래스펀햄에 위치한 사립 중등학교인 세인트 콜럼바스 칼리지에 진학했다. 이곳에서 그는 더 후, 비틀즈, 그레이트풀 데드, 캐럴 킹 등 당시의 팝/록 음악에 열광하는 친구들을 만났다. 이에 영향을 받아 그는 더블린 부두 근처의 고물상에서 5파운드짜리 어쿠스틱 기타를 구입하여 기본적인 코드와 노래를 배우기 시작했다. 세인트 콜럼바스에서 클레이턴과 2층 침대를 함께 썼던 존 레슬리는 그에게 학교 밴드에 합류하도록 설득했고, 클레이턴은 이 밴드에서 처음으로 베이스 기타를 연주하게 되었다. 14세 때 어머니는 그가 악기 연주에 전념하겠다고 약속하자 베이스 기타를 사주었다.
이후 클레이턴은 더블린의 비기숙학교인 마운트 템플 종합학교로 전학을 갔고, 그곳에서 훗날 U2의 밴드 동료가 될 폴 휴슨("보노")과 래리 멀런 주니어를 만났으며, 어린 시절 친구인 데이비드 에반스(디 에지)와 재회했다.
2. 음악 경력
애덤 클레이턴은 U2의 핵심 멤버로서 밴드의 사운드를 구축하는 데 기여했으며, 밴드 활동 외에도 다양한 솔로 및 협업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음악적 스펙트럼을 넓혔다.
2.1. U2 결성 및 활동
1976년 9월, 래리 멀런 주니어는 밴드를 결성할 다른 음악가들을 찾기 위해 학교 게시판에 광고를 붙였다. 클레이턴은 첫 모임과 연습에 참석했으며, 디 에지와 그의 형 딕 에반스, 보노, 그리고 멀런의 친구인 이반 맥코믹과 피터 마틴도 함께했지만, 이반과 피터는 밴드 결성 직후 탈퇴했다.
밴드가 보노, 디 에지, 멀런, 딕 에반스, 클레이턴의 5인조로 구성되었을 때 밴드 이름은 "피드백(Feedback)"이었다. 이후 이름은 "더 하이프(The Hype)"로 변경되었고, 딕 에반스가 탈퇴한 직후 "U2"로 바뀌었다. 밴드 초창기에는 클레이턴이 밴드의 매니저 역할을 맡아 공연 섭외 등을 담당했으며, 1978년 5월 폴 맥기네스에게 이 업무를 넘겨주었다.
1981년, U2의 두 번째 앨범이자 영적인 색채가 강한 October 발매 무렵, 클레이턴과 맥기네스, 그리고 다른 세 명의 밴드 멤버들 사이에 갈등이 발생했다. 보노, 디 에지, 멀런은 기독교 그룹에 가입하면서 록 음악과 그들의 영성이 양립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그러나 종교적 견해가 더 모호했던 클레이턴은 덜 우려했고, 이로 인해 그는 밴드 내에서 다소 이질적인 존재가 되었다.
1995년, Zoo TV Tour와 Zooropa 앨범 이후, 클레이턴은 밴드 동료 멀런과 함께 뉴욕으로 가서 정식 베이스 훈련을 받았다. 그 전까지 클레이턴은 전적으로 독학으로 베이스를 연주해왔다. 이 기간 동안 클레이턴은 "패신저스(Passengers)"라는 필명으로 발매된 U2의 실험적인 앨범 Original Soundtracks 1 작업에 참여했다. 이 앨범에는 클레이턴이 보컬로 참여한 몇 안 되는 사례 중 하나인 "Your Blue Room"의 마지막 구절을 그가 낭독하는 부분이 포함되어 있다. 이전에는 "Out of Control", "I Will Follow", "Twilight", "Bullet the Blue Sky"와 같은 곡에서 라이브 백킹 보컬을 제공했을 뿐이었다. 1997년 PopMart Tour 이후로 클레이턴은 밴드를 위해 라이브에서 어떤 형태의 보컬도 맡지 않았다.

2.2. 솔로 및 협업 프로젝트
클레이턴은 U2 활동 외에도 여러 사이드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그는 1987년 로비 로버트슨의 동명 앨범에 U2의 다른 멤버들과 함께 참여했으며, 마리아 맥키와도 함께 공연했다. 클레이턴은 U2의 프로듀서 대니얼 라누아와 밴드 동료 래리 멀런 주니어와 함께 라누아의 1989년 앨범 아카디에 참여하여 "Still Water"와 "Jolie Louise"에서 베이스를 연주했다. 1991년 10월 발매된 샤론 섀넌의 동명 데뷔 앨범에 수록된 "The Marguerita Suite"에도 참여했다. 1994년에는 래리 멀런 주니어와 함께 낸시 그리피스의 앨범 Flyer에 참여하여 "These Days in an Open Book", "Don't Forget About Me", "On Grafton Street", "This Heart"에서 베이스를 연주했다.
클레이턴과 멀런은 1996년 영화 미션 임파서블의 사운드트랙에 기여했으며, 여기에는 "미션 임파서블 테마"를 재작업한 곡이 포함되었다. 이 곡은 원래 5/4박자에서 더 쉽고 춤추기 좋은 4/4박자로 변경되었다. 이 곡은 미국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8위를 기록했으며, 1997년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팝 연주 퍼포먼스 부문 후보에 올랐다. 클레이턴은 또한 스티븐 밴 잔트의 1999년 앨범 Born Again Savage에도 참여했다.
3. 음악 스타일 및 영향
애덤 클레이턴의 베이스 연주 스타일은 독특한 리듬감과 조화로운 접근 방식으로 U2 사운드의 핵심을 이룬다.
3.1. 베이스 연주 스타일
클레이턴의 베이스 기타 연주 스타일은 강사 패트릭 파이퍼가 "하모닉 싱코페이션"이라고 부르는 기법으로 유명하다. 이 기법에서 클레이턴은 각 마디의 8분음표를 강조하는 일관된 리듬을 연주하지만, 기타 코드가 변화하기 전에 "음조를 이동시켜 화음을 예측"한다. 이는 음악에 "전진하는 움직임"을 부여한다.
초기에 클레이턴은 정식 음악 교육을 받지 않았다. 보노는 클레이턴의 초기 베이스 연주에 대해 "애덤은 베이스를 연주할 수 있는 척했다. 그는 와서 '액션', '프렛' 같은 단어를 사용하며 우리를 혼란스럽게 했다. 그에게만 앰프가 있었기 때문에 우리는 그와 논쟁하지 않았다. 우리는 이 사람이 음악가임에 틀림없다고 생각했다. 그가 무슨 말을 하는지 아는구나. 그러다 어느 날, 우리는 그가 올바른 음을 연주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게 문제였다."라고 말했다. 밴드 초창기에는 클레이턴이 주로 4/4박자로 꾸준한 8분음표로 화음의 근음을 강조하는 단순한 베이스 파트를 연주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그는 모타운과 레게 음악의 영향을 자신의 연주 스타일에 통합했으며, 박자 감각이 향상되면서 그의 연주는 더욱 멜로디컬해졌다. 작가 빌 플래너건은 그가 "종종 자메이카 덥 베이시스트처럼 부풀어 오르고 진동하는 저음 사운드로 가장 적은 수의 음으로 가장 넓은 음향 공간을 채운다"고 평했다. 플래너건은 클레이턴의 연주 스타일이 그의 성격을 완벽하게 반영한다고 말하며, "애덤은 박자보다 약간 뒤쳐져서, 마지막 순간까지 기다렸다가 끼어든다. 이는 애덤의 느긋하고 걱정 없는 성격과 잘 맞는다."고 덧붙였다.
클레이턴은 베이스라인을 개발할 때 자신의 직관에 의존하며, 기타의 코드 진행을 따를지 또는 대선율을 연주할지, 그리고 한 옥타브 높거나 낮게 연주할지 결정한다.
3.2. 음악적 영향
클레이턴은 폴 시모논, 브루스 폭스턴, 피터 훅, 장-자크 버넬, 그리고 제임스 제머슨을 자신에게 큰 영향을 준 베이시스트로 꼽는다. 그는 스트랭글러스의 노래 "Hanging Around"에서 장-자크 버넬의 베이스 기타 연주를 들었을 때, "즉시 그것이 자신에게 맞는 악기라는 것을 알았다"며 그에게 악기 선택의 공을 돌린다. 드러머 래리 멀런 주니어와의 U2 리듬 섹션에서의 자신의 역할에 대해 클레이턴은 "래리의 드럼은 항상 내게 무엇을 연주해야 할지 알려주었고, 코드는 어디로 가야 할지 알려주었다"고 말했다. 클레이턴의 가장 잘 알려진 베이스라인 중 하나는 "New Year's Day"에서 나왔는데, 이 곡은 비사지의 노래 "Fade to Grey"를 연주하려던 시도에서 탄생했다.
클레이턴은 몇 차례 보컬로 참여하기도 했다. 1983년 싱글 "Two Hearts Beat as One"의 B-사이드 곡인 "Endless Deep"에서 노래했으며, "I Will Follow", "Twilight", "Trip Through Your Wires"의 백킹 보컬을 맡았고, 라이브 공연에서는 "With or Without You"와 "Bullet the Blue Sky"에서도 가끔 백킹 보컬을 불렀다. 또한 "Your Blue Room"의 마지막 구절을 낭독하기도 했다. 클레이턴은 U2의 1981년 앨범 October에 수록된 "Tomorrow ('96 Version)"(그가 편곡한 "Tomorrow"의 재녹음 버전)에서 말하는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그는 몇 차례 기타를 연주하기도 했는데, 가장 주목할 만한 곡은 그와 기타리스트 디 에지가 악기를 바꾼 "40"이다. 또한 "City of Blinding Lights"와 Iris (Hold Me Close)에서는 키보드를 연주했다.

4. 사용 악기 및 장비
애덤 클레이턴은 그의 독특한 사운드를 만들어내기 위해 다양한 베이스 기타와 앰프를 사용해 왔다.
4.1. 베이스 기타
클레이턴의 첫 베이스는 호두나무색 아이바네즈 뮤지션 베이스로, 그는 Boy 앨범 녹음부터 War 시대까지 이 악기를 많이 사용했다. 2년 후, 16세 때 클레이턴은 악기를 마스터하기 위해 더 나은 기타가 필요하다고 느껴 아버지 브라이언에게 뉴욕에 갔을 때 중고 프레시전 베이스를 사달라고 부탁했다. 이후 그의 경력 내내 그는 주로 다양한 펜더 프레시전 베이스와 펜더 재즈 베이스를 사용해왔다. 클레이턴의 프레시전 베이스는 펜더 재즈 베이스의 넥으로 개조되었다. 베이스 플레이어 매거진과의 인터뷰에서 그는 재즈 베이스 넥이 더 "여성스럽고" 왼손에 더 잘 맞는다고 말했다.
2011년, 펜더 커스텀 숍은 클레이턴의 사양에 맞춰 한정판 시그니처 프레시전 베이스를 60대 한정으로 제작했으며, 오리나무 바디와 골드 스파클 마감이 특징이었다. 2014년, 펜더는 2001년 Elevation Tour 동안 그가 연주했던 셔우드 그린 색상의 1965년 재즈 베이스를 모델로 한 시그니처 애덤 클레이턴 재즈 베이스 기타를 발표했다. 2023년에는 펜더가 클레이턴과 협력하여 디자인한 시그니처 베이스 기타 앰프인 ACB 50을 공개했다. 이 앰프는 50와트의 올튜브 콤보 앰프로, 미드레인지 디스토션을 강조한다.
클레이턴이 사용하는 베이스는 다음과 같다.
- 펜더 프레시전 베이스
- 펜더 재즈 베이스
- 아이바네즈 뮤지션 베이스
- 워윅 애덤 클레이턴 리베르소 시그니처 베이스
- 워윅 스트리머 베이스
- 워윅 스타 베이스 II
- 깁슨 썬더버드 베이스
- 깁슨 레스폴 트라이엄프 베이스
- 깁슨 레스폴 70년대 레코딩 베이스 (모델 미상)
- 깁슨 레스폴 시그니처 베이스
- 레이크랜드 조 오스본 시그니처 베이스
- 레이크랜드 대릴 존스 시그니처 베이스 (치-소닉 픽업 장착)
- 아우어스발트 커스텀 베이스
- 에피폰 리볼리 베이스 ("Get On Your Boots" 뮤직 비디오에 등장)
- 리켄배커 4001 베이스 (U2 초기인 1978~79년경 사용)
- 스테이터스 존 엔트위슬 버자드 베이스
- 깁슨 RD 베이스

4.2. 앰프 및 기타 장비
앰프의 경우, 클레이턴은 처음에는 애쉬다운 엔지니어링 앰프를 사용하다가 나중에 아귈라 앰프로 전환했다.
- 아귈라 DB 751 베이스 앰프
- 아귈라 DB 410 및 115 캐비닛
5. 개인 생활
애덤 클레이턴은 음악 활동 외에도 다양한 개인적인 삶을 살아왔으며, 특히 알코올 중독과 같은 어려움을 극복하는 과정을 통해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5.1. 관계 및 가족
클레이턴은 1982년 보노와 앨리슨 휴슨의 결혼식에서 신랑 들러리를 섰다. 그는 1989년 아일랜드 공화국의 귀화 시민이 되었으며, 동시에 영국 시민권도 유지했다.
1990년대 초반, 그는 영국 슈퍼모델 나오미 캠벨과 교제했으며 한때 약혼까지 했으나, 곧 파혼했다. 또한 폴 맥기네스의 전 비서였던 수잔 "수지" 스미스와 오랜 관계를 유지했으며, 2006년에 약혼했으나 2007년 2월에 헤어졌다. 2010년에는 당시 파트너였던 익명의 프랑스 여성과의 사이에서 아들을 얻었으나, 2013년에는 그 관계가 끝났음을 확인했다. 2013년 9월 4일, 클레이턴은 더블린에서 전 인권 변호사였던 마리아나 테이셰이라 데 카르발류와 결혼했다. 2015년 인디펜던트는 브라질 출신인 데 카르발류가 런던과 뉴욕의 주요 현대 미술 갤러리인 마이클 워너의 이사로 일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2024년, 부부는 이혼을 발표했다. 2017년 7월 25일, 클레이턴 부부는 딸의 출생을 발표했다.
5.2. 개인적 어려움과 회복
클레이턴은 1989년 8월 더블린에서 소량의 대마초를 소지한 혐의로 체포되어 뉴스에 보도되었다. 그러나 그는 자선단체에 거액을 기부하여 유죄 판결을 피했으며, 나중에 "내 잘못이었다. 그리고 나는 분명 제정신이 아니었다. 감정적으로도 그랬다. 하지만 불법이기 때문에 심각한 문제다."라고 언급했다. 그는 또한 음주운전 단속 중인 경찰관을 차로 끌고 달아나 면허가 정지된 적도 있었다.
클레이턴은 알코올 중독 문제도 겪었으며, 이는 Zoo TV Tour 중에 절정에 달했다. 1993년 11월 26일, 그는 너무 심한 숙취로 인해 시드니 공연에 참여할 수 없었고, 이 공연은 그들의 Zoo TV 콘서트 영화의 드레스 리허설이었다. 베이스 연주는 클레이턴의 테크니션인 스튜어트 모건이 대신해야 했다. 이 사건 이후 그는 술을 끊기로 결심했으며, 1996년에 금주를 시작했다. 2017년 6월 26일, 클레이턴은 뮤지케어스 제13회 MAP 기금 자선 콘서트에서 다른 사람들의 중독 회복을 돕기 위한 헌신을 인정받아 스티비 레이 본 상을 수상했다.
2009년, 클레이턴의 전 가정부이자 개인 비서였던 캐롤 호킨스가 180.00 만 EUR를 횡령한 것으로 보도된 후 아일랜드 고등법원은 그녀의 자산을 동결하도록 명령했다. 이후 재판에서는 횡령액이 280.00 만 EUR로 밝혀졌다. 호킨스는 혐의를 부인했지만, 2012년 배심원단에 의해 181건의 절도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7년형을 선고받았다.
5.3. 취미 및 기타 관심사
클레이턴은 1991년 발매된 U2의 앨범 아크퉁 베이비의 북클릿 뒷표지에서 전라 사진을 공개하기도 했다(미국판에서는 중요 부위가 흐리게 처리되었다). 2024년 4월, 클레이턴은 BBC의 Gardeners' World 에피소드에 출연하여 애덤 프로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자신의 더블린 자택에 있는 동백나무, 목련, 진달래 컬렉션을 선보였다. 클레이턴은 또한 RTÉ에서 제작을 의뢰한 텔레비전 프로그램 Ballroom Blitz의 진행을 맡을 예정이며, 이 프로그램은 아일랜드 쇼밴드의 역사를 탐구할 것이다.
6. 자선 활동
클레이턴은 사회 공헌 및 자선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2011년, 그는 더블린에 본사를 둔 세인트 패트릭스 대학교 병원의 정신 건강 서비스 "Walk in My Shoes" 시설의 홍보대사가 되었다.
7. 수상 및 인정
클레이턴과 U2는 수많은 영예를 안았으며, 그중 22개의 그래미 어워드를 수상했다. 여기에는 최우수 록 듀오 또는 그룹 7회, 올해의 앨범 2회, 올해의 레코드 2회, 올해의 노래 2회, 최우수 록 앨범 2회 등이 포함된다. 2005년 3월, 클레이턴은 U2의 멤버로서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는데, 이는 U2가 자격 요건을 갖춘 첫 해에 이루어진 일이다.
8. 관련 항목
- 베이스 기타 연주자 목록
- U2의 연표
- U2 음반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