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Life and Family
알보이노 1세는 베로나에서 태어나 가문의 대를 잇기 위해 두 차례 결혼했으며, 이를 통해 베로나의 미래를 책임질 자녀들을 두었다.
1.1. Birth and Early Life
알보이노는 1284년경 베로나에서 태어났다. 그는 알베르토 1세 델라 스칼라와 베르데 다 살리촐레(Verde da Salizzole)의 둘째 아들이다. 1289년 기록에 따르면 그는 "아주 어렸다"고 묘사되어 있어, 그의 정확한 출생년도는 미상이나 대략적인 시기는 추정된다.
1.2. Marriages and Children
알보이노 1세는 두 번의 결혼을 통해 가문의 대를 이었다.
- 첫 번째 결혼:** 1298년, 그는 밀라노의 군주이자 비스콘티 가문의 일원인 마테오 1세 비스콘티의 딸인 카테리나 비스콘티(Caterina Visconti)와 혼인했다.
- 두 번째 결혼:** 첫 결혼 이후 8년이 지난 1306년, 그는 질베르토 3세 다 코레조(Gilberto III da Correggio)의 딸인 베아트리체 다 코레조(Betrice da Corregio)와 재혼했다.
알보이노는 이 결혼들을 통해 여러 자녀를 두었다.
- 아들:**
- 알베르토 2세 델라 스칼라
- 마스티노 2세 델라 스칼라
- 딸:**
- 알보이나(Alboina): 첫 번째 결혼에서 태어났으며, 1309년경 출생했다. 그녀는 산 미켈레 인 캄파냐(San Michele in Campagna) 수도원의 수녀원장이 되었다.
- 베르데(Verde): 두 번째 결혼에서 태어났으며, 1317년 리차르도 다 카미노(Rizzardo da Camino)와 결혼했다.
2. Lord of Verona
알보이노 1세는 형의 사망으로 베로나의 군주직을 계승한 후, 동생 칸그란데 1세와의 공동 통치를 통해 통치 기반을 다졌으며,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7세를 지지하여 베로나의 위상을 높였다.
2.1. Accession and Early Reign
1304년 3월 7일 또는 8일에 그의 형인 바르톨로메오 1세 델라 스칼라가 사망하자, 알보이노는 베로나의 군주직을 계승했다. 그의 즉위는 스칼라 가문의 권력을 안정적으로 이어나가는 데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2.2. Co-rulership and Imperial Role
알보이노 1세는 1308년부터 그의 어린 동생인 칸그란데 1세 델라 스칼라를 공동 통치자로 임명하여 권력을 공유했다. 이는 스칼라 가문의 통치력을 강화하고 내부 결속을 다지는 전략적인 결정이었다.
스칼라 가문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7세에 대한 적극적인 지지를 통해 정치적 이득을 얻었다. 1311년 하인리히 7세가 이탈리아 원정을 위해 남하했을 때, 그는 알보이노와 칸그란데를 베로나와 그 영토에 대한 제국 대리(Imperial Vicar)로 임명하며 스칼라 가문에 대한 신뢰와 지원을 공식화했다. 알보이노는 이탈리아에서 길벨린 세력의 주요 지지자 중 한 명으로 활동하며 제국에 대한 충성을 보였다. 이러한 제국과의 긴밀한 관계는 베로나의 지역적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3. Death and Succession
알보이노의 사망은 베로나의 정치 지형에 변화를 가져왔으나, 그의 혈통은 이후에도 베로나의 역사를 이어가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3.1. Death
알보이노 1세 델라 스칼라는 1311년 11월 29일 베로나에서 사망했다. 그의 죽음은 베로나 통치에 있어 한 시대의 끝을 알렸다.
3.2. Subsequent Rulers and Legacy
알보이노가 사망하자, 그의 공동 통치자이자 동생인 칸그란데 1세 델라 스칼라가 단독으로 베로나의 군주직을 계승했다. 칸그란데 1세는 1329년 사망할 때까지 베로나를 통치하며 영토를 크게 확장하고 베로나를 주요 영방 국가로 발전시켰다.
칸그란데 1세 사망 후, 알보이노 1세의 아들들인 알베르토 2세 델라 스칼라와 마스티노 2세 델라 스칼라가 베로나의 군주직을 이어받아 공동 통치를 시작했다. 이처럼 알보이노의 직계 혈통이 베로나의 통치권을 계승하게 됨으로써, 그는 자신의 가문이 베로나의 지배 가문으로서 확고히 자리매김하는 데 기여했다는 역사적 유산을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