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알베르토 히나스테라의 생애는 그의 아르헨티나적 정체성과 국제적인 음악 활동이 교차하는 여정이었다. 그는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태어나 음악 교육을 받았고, 이후 미국과 유럽으로 활동 무대를 넓히며 세계적인 작곡가로 성장했다.
1.1. 출생 및 성장 과정
알베르토 에바리스토 히나스테라는 1916년 4월 11일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스페인계였고 어머니는 이탈리아계였다. 그는 말년에 자신의 성을 스페인어 발음인 '히나스테라'보다 카탈루냐어와 이탈리아어 발음에 가까운 dʒinaˈsteːra지나스테라카탈루냐어로 발음되기를 선호했다.
1.2. 교육 및 초기 활동
히나스테라는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있는 윌리엄스 음악원에서 공부하여 1938년에 졸업했다. 젊은 교수로서 그는 리세오 밀리타르 헤네랄 산 마르틴에서 가르쳤다. 1945년부터 1947년까지 미국을 방문하여 탱글우드에서 아론 코플랜드에게 배웠고, 이후 부에노스아이레스로 돌아왔다. 그는 여러 교육직을 맡았으며, 1949년에는 오늘날 힐라르도 힐라르디 음악원으로 불리는 음악 및 공연 예술 연구소를 공동 설립했다. 그의 저명한 학생들로는 1941년에 그와 함께 공부한 아스토르 피아졸라, 알시데스 란사, 호르헤 안투네스, 왈도 데 로스 리오스, 재클린 노바, 블라스 아테오르투아, 라파엘 아폰테-레데 등이 있다.
1.3. 후기 활동 및 유럽 이주
1968년 히나스테라는 다시 미국으로 거처를 옮겼고, 1970년에는 유럽으로 이주했다. 그는 1983년 6월 25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67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그곳의 왕들의 묘지에 안장되었다.

2. 음악적 특징 및 시기 구분
히나스테라의 음악은 아르헨티나의 풍부한 민속 음악과 가우초 전통에서 영감을 받아 발전했으며, 그의 작곡 기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진적으로 변화했다. 그는 자신의 음악을 세 가지 주요 시기로 나누어 설명했다.
2.1. 음악적 양식과 영감
히나스테라의 많은 작품은 가우초 전통에서 영감을 받았다. 이 전통은 평원의 땅 없는 토착 기마병인 가우초가 아르헨티나의 상징이라는 믿음을 담고 있다. 그의 음악은 아르헨티나의 민속 음악, 가우초 전통, 그리고 선주민 문화의 영향을 깊이 받았다. 그는 이러한 요소들을 자신의 작품에 통합하는 방식으로 오스티나토 기법을 풍부하게 사용한 명쾌한 작풍을 선보였다.
그의 1960년 작품인 《마법의 아메리카 칸타타》(Cantata para América Mágica영어)는 극적인 소프라노와 53개의 타악기를 위한 곡으로, 고대 콜럼버스 이전 시대의 전설들을 바탕으로 한다. 이 곡은 1963년 UCLA에서 앙리 테미앙카와 윌리엄 크라프트의 지휘 아래 로스앤젤레스 퍼커션 앙상블에 의해 미국 서부 해안에서 초연되었다.
2.2. 작곡 시기별 특징
히나스테라는 자신의 음악을 세 가지 시기로 분류했다. 이러한 시기들은 전통적인 아르헨티나 음악 요소를 사용하는 방식에서 차이를 보인다.
3. 주요 작품
히나스테라는 오페라, 발레, 관현악곡, 협주곡, 실내악, 기악곡, 피아노곡, 성악곡, 합창곡, 오르간곡, 부수 음악 및 영화 음악 등 다양한 장르에 걸쳐 방대한 작품을 남겼다.
3.1. 오페라
- 《돈 로드리고》(Don Rodrigo영어), 작품번호 31 (1963년 ~ 1964년): 1964년에 초연되었다.
- 《보마르소》(Bomarzo영어), 작품번호 34 (1966년 ~ 1967년): 1972년까지 아르헨티나에서 공연이 금지되었다.
- 《베아트릭스 센시》(Beatrix Cenci영어), 작품번호 38 (1971년): 퍼시 비시 셸리의 1819년 희곡 《더 첸치》(The Cenci영어)를 바탕으로 한다.
3.2. 발레
- 《파남비》(Panambí영어), 작품번호 1 (1934년 ~ 1937년): 1937년에 모음곡으로도 만들어졌다.
- 《에스탄시아》(Estancia영어), 작품번호 8 (1941년): 1943년에 모음곡으로도 만들어졌다.
3.3. 관현악곡
- 《파남비 모음곡》(Suite from Panambí영어), 작품번호 1a (1937년)
- 《에스탄시아 춤곡》(Dances from Estancia영어), 작품번호 8a (1943년)
- 《파우스트 크리오요 서곡》(Obertura para el "Fausto" criollo영어), 작품번호 9 (1943년)
- 《오얀타이: 3개의 교향 악장》(Ollantay: 3 Symphonic Movements영어), 작품번호 17 (1947년)
- 《협주 변주곡》(Variaciones concertantes영어), 작품번호 23 (1953년)
- 《팜페아나 3번》(Pampeana No. 3영어), 작품번호 24 (1954년)
- 《현을 위한 협주곡》(Concerto per corde영어), 작품번호 33 (1965년)
- 《교향 연습곡》(Estudios Sinfonicos영어), 작품번호 35 (1967년)
- 《포폴 부흐》(Popol Vuh영어), 작품번호 44 (1975년 ~ 1983년): 작곡가 사망 시 미완성으로 남았다.
- 《파우 카살스 주제에 대한 글로스》(현악 오케스트라용), 작품번호 46 (1976년)
- 《파우 카살스 주제에 대한 글로스》(관현악용), 작품번호 48 (1976년 ~ 1977년)
- 《유빌룸》(Iubilum영어), 작품번호 51 (1979년 ~ 1980년)
3.4. 협주곡
- 피아노 협주곡 1번(Piano Concerto No. 1영어), 작품번호 28 (1961년)
- 피아노 협주곡 2번(Piano Concerto No. 2영어), 작품번호 39 (1972년)
- 바이올린 협주곡(Violin Concerto영어), 작품번호 30 (1963년)
- 첼로 협주곡 1번(Cello Concerto No. 1영어), 작품번호 36 (1968년)
- 첼로 협주곡 2번(Cello Concerto No. 2영어), 작품번호 50 (1980년 ~ 1981년)
- 하프 협주곡(Harp Concerto영어), 작품번호 25 (1956년 ~ 1965년): 하프를 위한 몇 안 되는 협주곡 중 하나로 종종 연주된다.
3.5. 실내악 및 기악곡
- 《이중주》(Duo영어), 플루트와 오보에를 위한, 작품번호 13 (1945년)
- 《팜페아나 1번》(Pampeana No. 1영어),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작품번호 16 (1947년)
- 현악 사중주 1번(String Quartet No. 1영어), 작품번호 20 (1948년)
- 《팜페아나 2번》(Pampeana No. 2영어),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작품번호 21 (1950년)
- 현악 사중주 2번(String Quartet No. 2영어), 작품번호 26 (1958년, 1968년 개정)
- 피아노 오중주(Piano Quintet영어), 작품번호 29 (1963년)
- 현악 사중주 3번(String Quartet No. 3영어), 소프라노와 현악 사중주를 위한, 작품번호 40 (1973년)
- 《푸녜냐 1번》(Puneña No. 1영어), 플루트를 위한, 작품번호 41 (1973년): 작곡가 사망 시 미완성으로 남았다.
- 《푸녜냐 2번》(Puneña No. 2영어) ("파울 자허에게 헌정"), 첼로를 위한, 작품번호 45 (1976년)
- 기타 소나타(Sonata for guitar영어), 작품번호 47 (1976년, 1981년 개정)
- 첼로 소나타(Sonata for cello and piano영어), 작품번호 49 (1979년)
- 《네 대의 트럼펫을 위한 팡파르》(Fanfare for four trumpets영어), 작품번호 51a (1980년)
3.6. 피아노곡
- 《아르헨티나의 춤》(Danzas argentinas영어), 작품번호 2 (1937년)
- 《세 개의 소품》(Tres piezas영어), 작품번호 6 (1940년)
- 《말람보》(Malambo영어), 작품번호 7 (1940년)
- 《작은 춤》(Pequena Danza영어) (발레 《에스탄시아》 작품번호 8에서 발췌) (1941년)
- 《12개의 아메리카 전주곡》(12 Preludios americanos영어), 작품번호 12 (1944년)
- 《크리오요 춤 모음곡》(Suite de danzas criollas영어), 작품번호 15 (1946년, 1956년 개정)
- 《아르헨티나 동요 주제에 의한 론도》(Rondó sobre temas infantiles argentinos영어), 작품번호 19 (1947년): "내 아이들 알렉스와 헤오르히나에게 바친다"고 명시되어 있다.
- 피아노 소나타 1번(Piano Sonata No. 1영어), 작품번호 22 (1952년)
- 도메니코 치폴리의 오르간 토카타 편곡 (1970년)
- 피아노 소나타 2번(Piano Sonata No. 2영어), 작품번호 53 (1981년)
- 피아노 소나타 3번(Piano Sonata No. 3영어), 작품번호 54 (1982년): 히나스테라의 마지막 작품으로, 단일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 《아이들을 위한 아르헨티나 춤곡》(Danzas argentinas para los ninos영어) (미완성)
- 《모데라토: 알렉스를 위한》(Moderato: para Alex영어)
- 《풍경: 헤오르히나를 위한》(Paisaje: para Georgina영어)
3.7. 성악곡 및 합창곡
- 《두 개의 노래》(2 Songs영어), 성악과 피아노를 위한, 작품번호 3 (1938년): 첫 번째 곡인 "망각의 나무 노래"는 히나스테라의 가곡 중 특히 잘 알려져 있으며, 연주회에서도 자주 연주된다. 피아노곡 "밀롱가"는 작곡가 자신이 이 가곡을 피아노 독주용으로 편곡한 작품이다.
- 《투쿠만 노래》(Cantos del Tucumán영어), 성악, 플루트, 하프, 타악기, 바이올린을 위한, 작품번호 4 (1938년)
- 《시편 150》(Psalm 150영어), 혼성 합창, 어린이 합창, 오케스트라를 위한, 작품번호 5 (1938년)
- 《5개의 아르헨티나 민요》(5 canciones populares argentinas영어), 성악과 피아노를 위한, 작품번호 10 (1943년)
- 《농장에서의 시간》(Las horas de una estancia영어), 성악과 피아노를 위한, 작품번호 11 (1943년)
- 《예레미야 예언자의 비탄》(Lamentaciones de Jeremias Propheta영어), 합창을 위한, 작품번호 14 (1946년)
- 《마법의 아메리카 칸타타》(Cantata para América mágica영어), 극적인 소프라노와 타악기 오케스트라를 위한, 작품번호 27 (1960년)
- 《보마르소 칸타타》(Cantata Bomarzo영어), 독주자, 내레이터, 실내 오케스트라를 위한, 작품번호 32 (1964년): 오페라 《보마르소》 작품번호 34와는 완전히 다른 작품이다.
- 《밀레나》(Milena영어), 소프라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작품번호 37 (1971년)
- 《세레나타》(Serenata영어), 바리톤, 첼로, 목관 오중주, 타악기, 하프, 더블베이스를 위한, 작품번호 42 (1973년)
- 《그레고리오 수난곡에 대한 군중》(Turbae ad passionem gregorianam영어), 독주자, 합창, 소년 합창, 오케스트라를 위한, 작품번호 43 (1975년)
- 《도난당한 키스의 노래》(Canción del beso robado영어), 성악과 피아노를 위한 (작곡 연도 미상)
3.8. 오르간곡
- 《토카타, 빌란시코와 푸가》(Toccata, Villancico y Fuga영어), 작품번호 18 (1947년)
- 《아우로라 루치스 루틸라트 주제에 대한 변주곡과 토카타》(Variazioni e Toccata sopra Aurora lucis rutilat영어), 작품번호 52 (1980년): 부시 앤 호크스 사장 W. 스튜어트 포프에게 헌정되었으며, 1980년 미국 오르가니스트 길드 미니애폴리스 전국 대회에서 마릴린 메이슨에 의해 초연되었다.
3.9. 부수 음악 및 영화 음악
- 《돈 바실리오 말카사도》(Don Basilio malcasado영어) (1940년)
- 《도냐 클로린다 라 데스콘텐타》(Doña Clorinda la descontenta영어) (1941년)
- 《말람보》(Malambo영어) (1942년)
- 《아메리카의 장미》(Rosa de América영어) (1945년)
- 《고대 씨앗들》(Las antiguas semillas영어) (1947년)
- 《자유가 태어나다》(Nace la libertad영어) (1949년)
- 《다리》(El puente영어) (1950년)
- 《파쿤도, 평원의 호랑이》(Facundo, el tigre de los llanos영어) (1952년)
- 《크리오요 말》(Caballito criollo영어) (1953년)
- 《당신의 충실한 하인》(Su seguro servidor영어) (1954년)
- 《엄마의 남편들》(Los maridos de mamá영어) (1956년)
- 《여인의 수수께끼》(Enigma de mujer영어) (1956년)
- 《생명의 샘》(Spring of Life영어) (1957년)
- 《아이를 목욕시켜야 한다》(Hay que bañar al nene영어) (1958년)
- 《한계》(El límite영어) (1958년)
- 《마리아 델 코라손에게》(A María del corazón영어) (1960년)
- 《경이로운 처녀》(La doncella prodigiosa영어) (1961년)
3.10. 작곡가에 의해 철회된 작품
- 《어린이 소품집》(Piezas Infantiles영어), 피아노를 위한 (1934년)
- 《푸나의 인상》(Impresiones de la Puna영어), 플루트와 현악 사중주를 위한 (1934년)
- 《아르헨티나 협주곡》(Concierto argentino영어),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1936년)
- 《마부의 노래》(El arriero canta영어), 합창을 위한 (1937년)
- 《소나티나》(Sonatina영어), 하프를 위한 (1938년)
- 《교향곡 1번 ("포르테냐")》(Symphony No. 1 ("Porteña")영어) (1942년)
- 《교향곡 2번 ("엘레기아카")》(Symphony No. 2 ("Elegíaca")영어) (1944년)
4. 영향 및 평가
알베르토 히나스테라는 라틴 아메리카 음악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작품은 아르헨티나의 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 그의 음악은 후대 작곡가들에게 영감을 주었고, 때로는 대중음악에도 영향을 미쳤다.
4.1. 후대 음악가 및 장르에 미친 영향
히나스테라는 수많은 학생들을 가르쳤으며, 그중에는 아스토르 피아졸라와 같은 거장도 포함되어 있다. 그의 음악은 현대 음악, 특히 라틴 아메리카 음악에 구체적인 영향을 미쳤다.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 EL&P의 1973년 앨범 《공포의 뇌수술》에는 히나스테라의 피아노 협주곡 1번을 기반으로 한 곡인 "토카타"가 수록되어 있다. 키스 에머슨이 편곡 허락을 받기 위해 히나스테라를 찾아갔을 때, 히나스테라는 그 편곡의 완성도를 극찬했다고 전해진다.
쓰쓰미 슌사쿠가 1978년 제네바 국제 음악 콩쿠르 지휘 부문에서 최고상을 수상했을 때 심사위원 중 한 명이 히나스테라였다. 쓰쓰미는 이후 《에스탄시아》의 일본 초연을 지휘하기도 했다.
4.2. 문화적 의의 및 비평
히나스테라의 음악은 아르헨티나의 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다. 그의 작품은 아르헨티나의 가우초 전통과 민속 음악 요소를 현대적인 음악 언어로 승화시키며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 특히 오페라 《보마르소》가 아르헨티나에서 한때 공연이 금지되었던 사건은 그의 작품이 당시 사회적, 정치적 맥락에서 가졌던 논쟁적인 의미를 보여준다. 그는 전자 음악을 제외한 모든 기법을 사용하며 폭넓은 음악적 스펙트럼을 보여주었고, 이는 그의 작품이 다양한 비평적 수용과 평가를 받게 하는 요인이 되었다.
5. 음반 목록
히나스테라의 작품은 여러 음반으로 발매되어 그의 음악적 유산을 전 세계에 알리고 있다.
- 《보마르소》, 워싱턴 오페라 협회, 줄리어스 루델 지휘; 1967년 녹음, 2016년 소니 클래식에서 재발매.
- 《마법의 아메리카 칸타타》, 라켈 아도나일로 소프라노; 로스앤젤레스 퍼커션 앙상블, 윌리엄 크라프트 지휘. 카를로스 차베스의 《타악기를 위한 토카타》와 함께. LP 음반, 아날로그, 33 1/3 rpm, 스테레오, 0.3 m (12 in), 콜럼비아 마스터웍스 MS 6447. 1963년 콜럼비아 레코드 (뉴욕).
- 《마법의 아메리카 칸타타》, 맥길 퍼커션 앙상블, P. 벨루스 지휘, 엘리스 베다르 소프라노, 1997년 맥길 레코드 CD.
- 《피아노를 위한 전곡》, 안제이 피쿨 (피아노), 2007년 둑스 레코딩 프로듀서스.
- 《현악 사중주 1번》, 파가니니 사중주단, 데카 골드 레이블.
- 《라틴 아메리카 예술 가곡》, 파트리시아 카이세도 소프라노 & 파우 카산 피아노 - 알베르트 모랄레다 레코드, 바르셀로나, 2001년 - 히나스테라의 《5개의 아르헨티나 민요》와 《망각의 나무 노래》.
- 2007년 - 《아르헨티나의 꽃: 히나스테라와 과스타비노의 노래》 / 잉카 로즈 듀오: 애널리스 스코브만드 (목소리); 파블로 곤살레스 하세이 (기타). 클레오 프로덕션. 곤살레스 하세이가 목소리와 기타를 위해 편곡한 《5개의 아르헨티나 민요》 작품번호 10과 《두 개의 노래》 작품번호 3 수록.
- 피아노 협주곡 1번 네 번째 악장 편곡; "토카타"로, 에머슨, 레이크 앤 파머, 《공포의 뇌수술》, 1973년.
- 《니스만, 히나스테라 연주: 세 개의 피아노 협주곡》. 바바라 니스만 (피아노); 케네스 키슬러 (지휘); 미시간 대학교 심포니 오케스트라. (CD) 피에리안 0048 (2012년).
- 《피아노 독주 및 피아노/실내악 전곡》, 바바라 니스만 (피아노) with 아우로라 나톨라-히나스테라 (첼로), 루벤 곤살레스 (바이올린) and 로렌시안 현악 사중주단. 쓰리 오렌지스 레코딩스 (3OR-01).
- 《알베르토 히나스테라, "라틴 아메리카의 남자", 바바라 니스만 마스터클래스》. 쓰리 오렌지스 레코딩스 (3OR-30).
- 《포폴 부흐 - 마야의 창조》, 《에스탄시아》, 《파남비》, 《크리오요 춤 모음곡》(세계 초연 오케스트라 버전), 《오얀타이》. 기젤 벤-도르 (지휘).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예루살렘 심포니 오케스트라, BBC 웨일스 국립 오케스트라. 낙소스, 2010년.
- 《파남비, 에스탄시아 (전곡 발레)》, 기젤 벤-도르 (지휘). 루이스 가에타 (내레이터/베이스 바리톤).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낙소스, 1998년 & 2006년.
- 《파블로 카살스 주제에 대한 글로스》, 《협주 변주곡》. 기젤 벤-도르 (지휘).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이스라엘 챔버 오케스트라. 낙소스, 1995년 & 2010년.
- 존 안틸: 《코로보리 발레 모음곡》과 히나스테라: 《파남비 발레 모음곡》,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유진 에인슬리 구센스 (지휘), 에베레스트 스테레오 LP, SDBR 3003.
- 《현악 사중주》 - "히나스테라: 현악 사중주", 쿠아르테토 라티노아메리카노, 클라우디아 몬티엘 (소프라노) [엘란 82270].
- 《피아노 협주곡 1번》과 《피아노 소나타 1번》, 힐데 소머 (피아노); 에른스트 마르첸도르퍼 (지휘); 빈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데스토 (D-402/DS-6402).
- 2022년 - 《이클립스》, 도이치 그라모폰, 4862383. 힐러리 한 (바이올린) with 안드레스 오로스코-에스트라다와 프랑크푸르트 라디오 심포니, 다양한 작곡가들의 작품 수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