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Early life and background
알렉산드라 포프는 독일 비텐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부터 축구에 대한 깊은 열정을 보였다. 그녀의 초기 생애와 경력 개발은 독일 축구의 엘리트 시스템 내에서 특별한 위치를 차지하며 형성되었다.
1.1. Childhood and education
알렉산드라 포프는 독일 축구 연맹이 "축구 엘리트 학교"로 공인한 4개 시설 중 하나인 겔젠키르헨의 게잠트슐레 베르거 펠트에 다녔다. 그녀는 이 학교의 유일한 여학생이었고, 특별 허가 덕분에 학업과 훈련을 병행할 수 있었다. 그녀는 독일 남자 푸스발-분데스리가 팀인 FC 샬케 04의 주니어 선수들과 함께 공부하고 훈련했다. 포프는 12학년을 마친 후 Fachabitur전문 아비투어독일어 학위(독일의 기술 고등학교 졸업 자격)를 취득하며 학교를 떠났다.
1.2. Early career development
포프는 FC 질셰데에서 경력을 시작했으며, 14세가 될 때까지 혼성 팀에서 뛰었다. 이후 1. FFC 레클링하우젠으로 옮겨 3년 동안 활약한 후 2008년 분데스리가 팀인 FCR 2001 뒤스부르크에 입단했다. 당시 프랑스 챔피언 올랭피크 리옹에서도 영입 제의를 받았으나, 뒤스부르크를 선택했다. 그녀는 2008년 9월 헤르포르더 SV와의 경기에서 분데스리가 데뷔전을 치렀고, 3주 후 TSV 크라일스하임과의 8대0 승리 경기에서 첫 두 골을 기록했다.
2. Club career
알렉산드라 포프는 2008년 FCR 2001 뒤스부르크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한 이래로 주로 독일 분데스리가에서 활약하며 많은 클럽 타이틀을 획득했다.

2.1. FCR 2001 Duisburg
FCR 2001 뒤스부르크에서의 첫 해, 포프는 2009 UEFA 여자컵과 2009 독일 컵을 우승하며 더블을 달성했다. 그녀는 2009년 그 해 최고의 여성 주니어 선수에게 주어지는 프리츠 발터 메달 은메달을 수상했다. 1년 후, 그녀는 다시 한번 독일 컵 타이틀을 획득했고, 2009-10 분데스리가 시즌에서는 뒤스부르크와 함께 준우승을 차지했다. 2010-11 시즌 동안 뒤스부르크가 심각한 부상 문제에 시달리면서 포프는 대부분의 경기를 레프트 백으로 뛰었다.
2.2. VfL Wolfsburg
2012-13 시즌, 포프는 팀 동료인 루이사 벤싱과 함께 VfL 볼프스부르크로 이적했다. 그녀는 볼프스부르크에서의 첫 시즌에 프라우엔-분데스리가 챔피언십, DFB-포칼 및 UEFA 여자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트레블을 달성했다. 1년 후 볼프스부르크는 UEFA 여자 챔피언스리그 타이틀을 성공적으로 방어했다. 분데스리가 챔피언십의 경우, 시즌 마지막 날까지 무패였던 1. FFC 프랑크푸르트와의 경기로 우승팀이 결정되었다. 프랑크푸르트가 무승부만 기록해도 우승이었지만, 볼프스부르크는 승리해야 했다. 포프는 89분에 결승골을 터뜨렸고, 볼프스부르크는 다시 한번 DFB-포칼에서 우승했다.
이후에도 포프는 볼프스부르크에서 계속해서 활약하며 클럽의 수많은 우승을 이끌었다. 그녀는 2016-17, 2017-18, 2018-19, 2019-20, 2021-22 시즌 분데스리가 우승과 2014-15, 2015-16, 2016-17, 2017-18, 2018-19, 2019-20, 2020-21, 2021-22, 2022-23 시즌 DFB-포칼 우승을 달성하며 클럽의 황금기를 함께했다.
3. International career
알렉산드라 포프는 독일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핵심 선수로, 연령별 대표팀부터 성인 대표팀까지 다양한 국제 대회에서 활약하며 많은 성공을 거두었다.
3.1. Youth national team
포프는 2008년 UEFA U-17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독일 국가대표로서 첫 국제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결승전에서 팀의 두 번째 골을 기록했다. 같은 해, 그녀는 2008년 FIFA U-17 여자 월드컵에서 3위를 차지했다. 2010년 2월, 포프는 독일 성인 국가대표팀에 데뷔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친선 경기에 출전했다. 2주도 채 되지 않아 그녀는 2010년 알가르브컵에서 핀란드를 상대로 7대0 승리 경기에서 첫 두 국제 골을 기록했다. 포프는 자국에서 열린 2010년 FIFA U-20 여자 월드컵에 주니어 대회 선수로 다시 참가하여 우승을 차지했고, 대회 최우수 선수 및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 그녀는 독일이 치른 모든 경기에서 득점했으며, 10골로 이 대회 득점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시드니 러루, 크리스틴 싱클레어와 공동).
3.2. Senior national team
포프는 이후 2011년 FIFA 여자 월드컵에 소집되었다. 그녀는 4경기 모두 교체 선수로 출전했지만, 독일은 결국 챔피언이 된 일본에 의해 8강에서 탈락했다. 그 해 말, 그녀는 카자흐스탄과의 UEFA 여자 유로 2013 예선 경기에서 팀 동료인 첼리아 샤시치와 함께 각각 4골씩 기록하여 17대0이라는 기록적인 승리에 기여했다. 이로써 그녀는 국제 경기에서 4골을 기록한 7번째 독일 여자 선수가 되었다.
2015년 5월 24일, 실비아 나이트 감독은 포프를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에 소집했다. 캐나다에서 독일은 스웨덴과 프랑스 등 유럽 강팀들을 격파했지만, 결국 우승팀인 미국에 패하며 4위를 기록했다. 포프는 팀의 7경기 중 4경기에 선발 출전하여 한 골을 기록했다.

포프는 2016년 하계 올림픽에 다시 소집되었고, 독일은 금메달을 획득했다. 그녀는 6경기 모두 출전하여 1골 2도움을 기록했다. 그녀는 다른 독일 팀원들과 함께 질베르네스 로르베르블라트 (독일 최고 스포츠 훈장)를 수상했다.
포프는 부상으로 인해 UEFA 여자 유로 2017 대회에 불참했다. 그녀와 같은 핵심 선수의 부재는 독일의 경기력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고, 독일은 덴마크에 패하며 8강에서 탈락했다.
그녀는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에서 독일 대표팀의 주장을 맡았다. 조별 리그 모든 경기에 풀타임 출전했으며, 남아프리카 공화국과의 경기에서 헤더 골을 기록했다. 2019년 6월 22일 나이지리아와의 16강전에서 100번째 국가대표 경기를 치렀고, 이 경기에서 선제골을 기록했다.
UEFA 여자 유로 2022에서 포프는 프랑스를 상대로 한 준결승전에서 독일의 두 골을 모두 득점하며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개막전에서 포프는 모로코를 상대로 독일의 첫 두 골을 기록하며 6대0 승리에 기여했다. 그러나 콜롬비아와 대한민국과의 경기에서도 득점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독일은 월드컵 역사상 처음으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는 충격적인 결과를 맞이했다.
2024년 9월 30일, 포프는 국제 축구 은퇴를 발표했으며, 마지막 경기는 10월 28일에 치러졌다. 2024년 파리 올림픽에서 독일 대표팀의 일원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4. Personal life
포프는 1년간의 물리치료사 인턴십을 마친 후 레레에 위치한 에세호프 동물원에서 3년간의 사육사 견습 과정을 성공적으로 이수했다. 그녀는 2021년 파트너 패트릭 회페와 결혼했으며, 자신의 인스타그램 채널에 반려견 패치(Patch)의 사진을 자주 게시하며 소박한 일상을 공개하기도 한다.
5. Career statistics
알렉산드라 포프는 클럽과 국가대표팀 모두에서 오랜 기간 꾸준히 활약하며 뛰어난 득점력을 보여주었다.
5.1. Club statistics
포프의 클럽별 주요 출전 기록 및 득점 통계는 다음과 같다.
| 클럽 | 기간 | 출전 | 득점 |
|---|---|---|---|
| 1. FFC 레클링하우젠 | 2007-2008 | - | - |
| FCR 2001 뒤스부르크 | 2008-2012 | 80 | 31 |
| VfL 볼프스부르크 | 2012-현재 | 217 | 110 |
5.2. International goals
포프가 독일 국가대표팀 경기에서 기록한 골은 다음과 같다.
(스코어 열은 포프의 각 골 이후의 점수를 나타내며, 결과 열은 독일의 총 득점을 먼저 기재한다.)
| No. | 날짜 | 장소 | 상대 | 스코어 | 결과 | 대회 |
|---|---|---|---|---|---|---|
| 1 | 2010년 2월 26일 | 파르찰, 포르투갈 | 핀란드 | 2-0 | 7-0 | 2010년 알가르브컵 |
| 2 | 4-0 | |||||
| 3 | 2010년 9월 15일 | 드레스덴, 독일 | 캐나다 | 3-0 | 5-0 | 친선 경기 |
| 4 | 2010년 11월 25일 | 레버쿠젠, 독일 | 나이지리아 | 6-0 | 8-0 | |
| 5 | 2011년 6월 3일 | 오스나브뤼크, 독일 | 이탈리아 | 2-0 | 5-0 | |
| 6 | 5-0 | |||||
| 7 | 2011년 6월 7일 | 아헨, 독일 | 네덜란드 | 3-0 | 5-0 | |
| 8 | 2011년 6월 16일 | 마인츠, 독일 | 노르웨이 | 2-0 | 3-0 | |
| 9 | 3-0 | |||||
| 10 | 2011년 10월 26일 | 함부르크, 독일 | 스웨덴 | 1-0 | 1-0 | |
| 11 | 2011년 11월 19일 | 비스바덴, 독일 | 카자흐스탄 | 2-0 | 17-0 | UEFA 여자 유로 2013 예선 |
| 12 | 4-0 | |||||
| 13 | 8-0 | |||||
| 14 | 12-0 | |||||
| 15 | 2012년 3월 5일 | 파르찰, 포르투갈 | 스웨덴 | 4-0 | 4-0 | 2012년 알가르브컵 |
| 16 | 2012년 3월 31일 | 만하임, 독일 | 스페인 | 3-0 | 5-0 | UEFA 여자 유로 2013 예선 |
| 17 | 2012년 5월 31일 | 빌레펠트, 독일 | 루마니아 | 2-0 | 5-0 | |
| 18 | 4-0 | |||||
| 19 | 5-0 | |||||
| 20 | 2013년 10월 26일 | 코페르, 슬로베니아 | 슬로베니아 | 13-0 | 13-0 |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 21 | 2013년 11월 23일 | 질리나, 슬로바키아 | 슬로바키아 | 5-0 | 6-0 | |
| 22 | 2013년 11월 27일 | 오시예크, 크로아티아 | 크로아티아 | 6-0 | 8-0 | |
| 23 | 2014년 3월 5일 | 알부페이라, 포르투갈 | 아이슬란드 | 5-0 | 5-0 | 2014년 알가르브컵 |
| 24 | 2014년 10월 29일 | 외레브루, 스웨덴 | 스웨덴 | 2-1 | 2-1 | 친선 경기 |
| 25 | 2015년 3월 6일 | 빌라 헤알 지 산투 안토니우, 포르투갈 | 중화인민공화국 | 2-0 | 2-0 | 2015년 알가르브컵 |
| 26 | 2015년 3월 9일 | 파르찰, 포르투갈 | 브라질 | 1-0 | 3-1 | |
| 27 | 2015년 3월 11일 | 스웨덴 | 2-0 | 2-1 | ||
| 28 | 2015년 6월 7일 | 오타와, 캐나다 | 코트디부아르 | 10-0 | 10-0 |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 |
| 29 | 2015년 9월 18일 | 할레 (잘레), 독일 | 헝가리 | 1-0 | 12-0 | UEFA 여자 유로 2017 예선 |
| 30 | 9-0 | |||||
| 31 | 2015년 9월 22일 | 자그레브, 크로아티아 | 크로아티아 | 1-0 | 1-0 | |
| 32 | 2016년 4월 8일 | 이스탄불, 튀르키예 | 튀르키예 | 4-0 | 6-0 | |
| 33 | 5-0 | |||||
| 34 | 2016년 7월 22일 | 파더보른, 독일 | 가나 | 3-0 | 11-0 | 친선 경기 |
| 35 | 2016년 8월 3일 | 상파울루, 브라질 | 짐바브웨 | 2-0 | 6-1 |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하계 올림픽 여자 축구 |
| 36 | 2017년 10월 20일 | 비스바덴, 독일 | 아이슬란드 | 1-1 | 2-3 |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 37 | 2017년 10월 24일 | 그로스아스파흐, 독일 | 페로 제도 | 1-0 | 11-0 | |
| 38 | 6-0 | |||||
| 39 | 2017년 11월 24일 | 빌레펠트, 독일 | 프랑스 | 1-0 | 4-0 | 친선 경기 |
| 40 | 3-0 | |||||
| 41 | 2018년 4월 10일 | 돔잘레, 슬로베니아 | 슬로베니아 | 3-0 | 4-0 |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 42 | 2018년 9월 4일 | 토르스하운, 페로 제도 | 페로 제도 | 6-0 | 8-0 | |
| 43 | 8-0 | |||||
| 44 | 2018년 10월 6일 | 에센, 독일 | 오스트리아 | 1-0 | 3-1 | 친선 경기 |
| 45 | 2019년 4월 9일 | 파더보른, 독일 | 일본 | 1-1 | 2-2 | |
| 46 | 2019년 5월 30일 | 레겐스부르크, 독일 | 칠레 | 1-0 | 2-0 | |
| 47 | 2019년 6월 17일 | 몽펠리에, 프랑스 | 남아프리카 공화국 | 3-0 | 4-0 |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 B조 |
| 48 | 2019년 6월 22일 | 그르노블, 프랑스 | 나이지리아 | 1-0 | 3-0 | |
| 49 | 2019년 8월 31일 | 카셀, 독일 | 몬테네그로 | 2-0 | 10-0 | UEFA 여자 유로 2022 예선 |
| 50 | 3-0 | |||||
| 51 | 5-0 | |||||
| 52 | 2019년 10월 8일 | 테살로니키, 그리스 | 그리스 | 1-0 | 5-0 | |
| 53 | 2019년 11월 9일 | 런던, 잉글랜드 | 잉글랜드 | 1-0 | 2-1 | 친선 경기 |
| 54 | 2022년 7월 8일 | 덴마크 | 4-0 | 4-0 | UEFA 여자 유로 2022 | |
| 55 | 2022년 7월 12일 | 스페인 | 2-0 | 2-0 | ||
| 56 | 2022년 7월 16일 | 밀턴킨스, 잉글랜드 | 핀란드 | 2-0 | 3-0 | |
| 57 | 2022년 7월 21일 | 런던, 잉글랜드 | 오스트리아 | 2-0 | 2-0 | |
| 58 | 2022년 7월 27일 | 밀턴킨스, 잉글랜드 | 프랑스 | 1-0 | 2-1 | |
| 59 | 2-1 | |||||
| 60 | 2022년 10월 7일 | 드레스덴, 독일 | 프랑스 | 1-0 | 2-1 | 친선 경기 |
| 61 | 2-0 | |||||
| 62 | 2023년 7월 7일 | 퓌르트, 독일 | 잠비아 | 2-2 | 2-3 | |
| 63 | 2023년 7월 24일 | 멜버른, 오스트레일리아 | 모로코 | 1-0 | 6-0 |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
| 64 | 2-0 | |||||
| 65 | 2023년 7월 30일 | 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 | 콜롬비아 | 1-1 | 1-2 | |
| 66 | 2023년 8월 3일 | 브리즈번, 오스트레일리아 | 대한민국 | 1-1 | 1-1 | |
| 67 | 2023년 12월 1일 | 로스토크, 독일 | 덴마크 | 1-0 | 3-0 | 2023-24 UEFA 여자 네이션스리그 |
| 국가대표팀 | 연도 | 출전 | 득점 |
|---|---|---|---|
| 독일 | 2010 | 8 | 4 |
| 2011 | 13 | 10 | |
| 2012 | 10 | 5 | |
| 2013 | 8 | 3 | |
| 2014 | 9 | 2 | |
| 2015 | 14 | 7 | |
| 2016 | 15 | 4 | |
| 2017 | 6 | 5 | |
| 2018 | 10 | 4 | |
| 2019 | 13 | 9 | |
| 2020 | 2 | 0 | |
| 2021 | 3 | 0 | |
| 2022 | 13 | 8 | |
| 2023 | 11 | 6 | |
| 2024 | 9 | 0 | |
| 총합 | 144 | 67 | |
6. Honours
알렉산드라 포프는 선수 경력 동안 클럽과 국가대표팀에서 수많은 우승과 개인적인 영예를 얻었다.

6.1. Club honours
FCR 2001 뒤스부르크
- UEFA 여자 챔피언스리그: 2008-09 우승
- DFB-포칼: 2008-09, 2009-10 우승
- 프라우엔-분데스리가: 2009-10 준우승
VfL 볼프스부르크
- UEFA 여자 챔피언스리그: 2012-13, 2013-14 우승
- 프라우엔-분데스리가: 2012-13, 2013-14, 2016-17, 2017-18, 2018-19, 2019-20, 2021-22 우승
- DFB-포칼: 2012-13, 2014-15, 2015-16, 2016-17, 2017-18, 2018-19, 2019-20, 2020-21, 2021-22, 2022-23 우승
6.2. International honours
독일 U17
- FIFA U-17 여자 월드컵: 2008년 3위
- UEFA U-17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2008년 우승
독일 U20
- FIFA U-20 여자 월드컵: 2010년 우승
독일
- 하계 올림픽: 2016년 금메달
- 하계 올림픽 동메달: 2024년 동메달
- UEFA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2022년 준우승
- UEFA 여자 네이션스리그: 2023-24년 3위
- 알가르브컵: 2012년, 2014년 우승
6.3. Individual honours
- UEFA U-17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2008년 골든 플레이어
- 프리츠 발터 메달: 2009년 은메달
- FIFA U-20 여자 월드컵: 2010년 골든볼 (대회 MVP)
- FIFA U-20 여자 월드컵: 2010년 골든슈 (대회 최다 득점자)
- 독일 올해의 여자 축구 선수: 2014년, 2016년, 2023년
- 질베르네스 로르베르블라트: 2016년, 2024년
- IFFHS 여자 월드 팀: 2020년, 2022년
- UEFA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2022년 실버 부트
- UEFA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2022년 토너먼트 팀
- 프라우엔-분데스리가 득점왕: 2022-23 시즌
- DFB-포칼 득점왕: 2022-23 시즌
- FIFA 여자 월드컵 브론즈 부트: 2023년
- 독일 여자 국가대표 올해의 선수: 2022년
7. Legacy and reception
알렉산드라 포프는 독일 여자 축구의 상징적인 인물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녀는 어릴 적부터 남자 선수들 틈에서 훈련하며 탁월한 기량을 연마했고, 이는 그녀의 다재다능한 플레이 스타일의 기반이 되었다. 공격수로서 뛰어난 득점력을 보여주는 동시에, 팀의 필요에 따라 수비 포지션까지 소화하며 팀의 균형을 맞추는 데 기여했다. 특히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과 UEFA 여자 유로 2022에서 주장을 맡아 팀을 이끌며 리더십을 입증했다. 2017년 유로 대회를 부상으로 불참했을 때 독일 팀의 성적이 저조했던 것은 그녀의 팀 내 비중을 보여주는 사례다.
비록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에서 조별 리그 탈락이라는 아쉬운 결과를 경험했지만, 포프는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꾸준히 득점을 기록하며 팀의 정신적인 지주 역할을 수행했다. 그녀의 강인한 정신력과 끊임없는 노력, 그리고 팀에 대한 헌신은 독일 여자 축구의 발전과 후배 선수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그녀는 필드 안팎에서 모범을 보이며 독일 여자 축구의 위상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