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안드레이 콜모고로프는 다양한 배경과 환경 속에서 성장하며 학문적 기틀을 다졌고, 일생에 걸쳐 수학의 여러 분야에 깊은 족적을 남겼다. 그의 생애는 소련 사회의 격동기와 맞물려 학문적 성과와 개인적인 도전이 교차하는 시기를 보냈다.
1.1. 유년 및 교육
안드레이 콜모고로프는 1903년 4월 25일 러시아 제국 탐보프에서 태어났다. 그의 미혼모였던 어머니 마리아 야코블레프나 콜모고로바는 출산 중 사망했고, 안드레이는 야로슬라블 근처 투노슈나에 있는 부유한 귀족 출신 할아버지의 영지에서 두 이모의 손에 자랐다. 그의 아버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으나, 니콜라이 마트베예비치 카타예프라는 이름의 농학자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카타예프는 차르에 반대하는 혁명 운동에 가담한 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야로슬라블 주로 추방되었고, 1919년 러시아 내전 중에 실종되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콜모고로프는 이모 베라가 운영하는 마을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그의 초기 문학적 시도와 수학 논문은 학교 저널인 "봄의 제비"에 실렸는데, 다섯 살 때 안드레이는 이 저널의 수학 섹션 "편집자"를 맡기도 했다. 그의 첫 수학적 발견 역시 이 저널에 실렸는데, 다섯 살 때 그는 홀수 합의 규칙성(예: 1 = 12; 1 + 3 = 22; 1 + 3 + 5 = 32)을 알아차렸다. 1910년, 이모가 그를 입양했고, 그들은 모스크바로 이사하여 1920년에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같은 해, 콜모고로프는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와 동시에 멘델레예프 모스크바 화학기술 연구소에서 학업을 시작했다. 그는 이 시기에 대해 "상당한 수학 지식을 가지고 모스크바 대학교에 입학했다. 특히 집합론의 기초를 알고 있었다. 브록하우스 에프론 백과사전에 실린 여러 기사들을 읽으며, 이 기사들이 너무 간결하게 설명한 부분을 스스로 채워나갔다"고 회고했다. 콜모고로프는 폭넓은 학식으로 명성을 얻었다. 대학 학부생 시절, 그는 러시아 역사가 세르게이 바흐루신의 세미나에 참석했으며, 15세기와 16세기의 노브고로드 공화국 토지 소유 관행에 대한 첫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같은 기간(1921년~1922년) 동안, 콜모고로프는 집합론과 푸리에 급수 이론에서 여러 중요한 결과들을 도출하고 증명했다.
1.2. 대학 시절 및 초기 연구
1922년, 콜모고로프는 거의 모든 곳에서 발산하는 푸리에 급수를 구성하여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다. 이 무렵 그는 자신의 삶을 수학에 바치기로 결심했다.
1925년, 콜모고로프는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를 졸업하고 니콜라이 루진의 지도를 받기 시작했다. 그는 루진의 동료 학생이었던 파벨 알렉산드로프와 평생에 걸친 친밀한 우정을 쌓았는데, 일부 연구자들은 두 친구가 동성애 관계였다고 결론지었지만, 둘 다 이를 공개적으로 인정하지는 않았다. 콜모고로프는 (알렉산드르 힌친과 함께) 확률론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또한 1925년에는 직관주의 논리학에 대한 그의 저서 "배중률의 원칙에 관하여"를 발표했는데, 이 책에서 그는 특정 해석 하에 고전 논리학의 모든 진술이 직관주의 논리학의 진술로 공식화될 수 있음을 증명했다. 1929년, 콜모고로프는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같은 해 콜모고로프와 알렉산드로프는 장기간의 여행 중 세반호의 한 섬에서 약 한 달을 머물렀다.
1.3. 해외 활동 및 교수직
1930년, 콜모고로프는 생애 첫 장기 해외 여행을 떠나 독일의 괴팅겐과 뮌헨을 거쳐 프랑스 파리로 향했다. 괴팅겐에서 그는 리하르트 쿠란트 및 그의 학생들과 함께 확산 과정이 이산 확률 과정의 극한임을 증명하는 극한 정리 연구에 참여했고, 헤르만 바일과는 직관주의 논리학에 대해, 에드문트 란다우와는 함수론에 대해 교류했다. 그의 선구적인 저서 《확률론의 해석적 방법에 대하여》는 1931년 독일어로 출판되었다. 같은 해, 그는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 교수로 임용되었다.
1.4. 확률론의 기초 확립
1933년, 콜모고로프는 그의 저서 《확률론의 기초》(Grundbegriffe der Wahrscheinlichkeitsrechnung)를 출판하여 현대 확률론의 공리적 기초를 다졌고, 이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전문가로서 명성을 확립했다. 그는 저서에서 "수학 분야로서의 확률론은 기하학이나 대수학처럼 공리로부터 발전되어야 하고 또 발전될 수 있다"는 확고한 신념을 피력했다. 1935년, 콜모고로프는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 확률론과의 초대 학과장이 되었다. 같은 해(1936년) 콜모고로프는 생태학 분야에 기여했으며 포식자-피식자 시스템의 로트카-볼테라 모델을 일반화했다.
1.5. 주요 연구 분야
콜모고로프는 수학의 다양한 영역에 걸쳐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했으며, 그의 업적은 순수 수학뿐만 아니라 응용 과학 분야에도 깊은 영향을 미쳤다.
1.5.1. 확률 과정과 응용
1938년 발표된 논문에서 콜모고로프는 "정상 확률 과정의 스무딩 및 예측을 위한 기본 정리"를 확립했으며, 이 연구는 냉전 기간 동안 주요 군사적 응용에 활용되었다. 1939년, 그는 소련 과학 아카데미의 정회원(학술회원)으로 선출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콜모고로프는 탄도학에 통계 이론을 적용하여 소련의 전쟁 노력에 기여했다. 그는 모스크바 공방전 동안 독일 폭격기로부터 모스크바를 보호하기 위한 엄폐 풍선의 확률적 분포 방안을 개발했다.
확률 과정, 특히 마르코프 과정 연구에서 콜모고로프는 영국의 수학자 시드니 채프먼과 독립적으로 이 분야의 핵심 방정식인 채프먼-콜모고로프 방정식을 개발했다.
1.5.2. 해석학 및 논리학
콜모고로프는 푸리에 급수의 수렴성 연구에 기여했으며, 1925년에 발표된 "배중률의 원칙에 관하여"를 통해 직관주의 논리학의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그는 고전 논리학의 모든 진술이 특정 해석 하에 직관주의 논리학의 진술로 공식화될 수 있음을 증명했다.
1.5.3. 난류 및 고전 역학
후에 콜모고로프는 연구 초점을 난류로 옮겼으며, 1941년부터 관련 논문을 발표하기 시작했다. 그는 고전 역학 분야에서 콜모고로프-아르놀트-모저 정리로 가장 잘 알려져 있는데, 이 정리는 1954년 세계 수학자 대회에서 처음 발표되었다. 1957년, 그의 제자 블라디미르 아르놀트와 공동 연구를 통해 힐베르트의 13번째 문제의 특정 해석을 해결했다.
1.5.4. 알고리즘 정보 이론 및 복잡성
콜모고로프는 이 무렵 알고리즘 정보 이론을 개발하기 시작했고, 이후 이 분야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이 이론은 종종 콜모고로프 복잡성 이론으로 불린다.


1.6. 교육 활동 및 제자
콜모고로프는 평생 동안 대학 수준의 교육 활동뿐만 아니라 어린 아이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그는 문학, 음악, 수학 분야의 영재 교육 교육학 개발에 깊이 관여했다.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에서 콜모고로프는 확률, 통계, 확률 과정, 수리논리학 등 여러 학과의 학과장을 역임했다. 또한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 기계수학부 학장으로도 봉사했다.
그의 교육적 노력은 소련의 영재 교육 개혁으로 이어졌고, 그를 기념하여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 부설 콜모고로프 물리학·수학 학교가 설립되었다. 그의 수많은 제자 중에는 이스라엘 겔판트와 블라디미르 아르놀트와 같은 저명한 수학자들이 포함되어 있다. 블라디미르 아르놀트는 콜모고로프를 앙리 푸앵카레,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레온하르트 오일러, 아이작 뉴턴과 함께 "우리 과학의 근원에서 단 다섯 명의 생애만이 우리를 나누고 있다"고 평가하며 그의 위대함을 강조했다.
1.7. 개인사
콜모고로프는 1942년에 안나 드미트리예브나 예고로바와 결혼했다. 1971년에는 연구선 '드미트리 멘델레예프 호'에 탑승하여 해양학 탐사에 참여하기도 했다. 그는 또한 《소비에트 대백과사전》을 위한 다수의 기사를 집필했다. 말년에는 확률론의 추상적 및 응용적 분야 사이의 수학적, 철학적 관계를 규명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1.8. 루진 사건
1936년 대숙청 기간 동안, 콜모고로프의 박사 지도 교수였던 니콜라이 루진은 "루진 사건"이라 불리는 사건에서 스탈린 정권의 고위 표적이 되었다. 콜모고로프와 루진의 다른 여러 제자들은 루진에 대해 표절, 족벌주의, 기타 비행 혐의로 증언했다. 청문회는 결국 루진이 "파시스트 과학의 하수인"이자 소련 인민의 적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루진은 학술직을 잃었지만, 특이하게도 그는 체포되거나 소련 과학 아카데미에서 제명되지 않았다.
콜모고로프와 다른 학자들이 스승에 불리한 증언을 하도록 강요받았는지 여부는 역사가들 사이에서 상당한 추측의 대상이 되어왔다. 관련된 모든 당사자들은 평생 동안 이 사건에 대해 공개적으로 논의하기를 거부했다. 2013년 소련-러시아 수학자 세묜 삼소노비치 쿠타텔라제는 1990년대에 공개된 기록물과 다른 생존 증언들을 검토한 후, 루진의 제자들이 개인적인 원한으로 루진에 대한 고발을 시작했다고 결론지었다. 학생들에게 국가의 강요가 있었다는 결정적인 증거도 없었고, 그들의 학술적 비행 주장을 뒷받침할 결정적인 증거도 없었다는 것이었다. 소련 수학사학자 A.P. 유슈케비치는 그 시대의 다른 고위급 박해와 달리, 스탈린이 루진 박해를 개인적으로 시작하지 않았으며, 결국 그가 정권에 위협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이는 다른 동시대 인물들에 비해 이례적으로 가벼운 처벌을 설명할 수 있다는 견해이다.
2. 수상 및 영예
콜모고로프는 생애 동안 그리고 사후에 수많은 상과 영예를 받았다.
- 소련 과학 아카데미 회원
- 1941년: 스탈린상
- 1959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명예 회원 선출
- 1961년: 미국 철학 학회 회원 선출
- 1962년: 발찬상
- 1963년: 네덜란드 왕립 예술 과학 아카데미 해외 회원 선출
- 1964년: 영국 왕립 학회 해외 회원 (ForMemRS) 선출
- 1965년: 레닌상
- 1967년: 미국 과학 아카데미 회원 선출
- 1975년: 헬름홀츠 메달
- 1980년: 울프 수학상
- 1986년: 로바쳅스키상
3. 업적 및 영향
콜모고로프의 수학적, 과학적 영향력은 광범위하며, 그의 이름을 딴 수많은 개념, 정리, 방정식이 현대 과학의 기초를 이루고 있다. 다음은 콜모고로프를 기려 명명된 주요 개념들이다.
- 피셔-콜모고로프 방정식
- 존슨-멜-아브라미-콜모고로프 방정식
- 콜모고로프 공리
- 콜모고로프 방정식 (확산의 맥락에서 포커-플랑크 방정식으로도 알려짐)
- 콜모고로프 차원 (상자 차원)
- 콜모고로프-아르놀트 정리
- 콜모고로프-아르놀트-모저 정리
- 콜모고로프 연속성 정리
- 콜모고로프 판정법
- 콜모고로프 확장 정리
- 콜모고로프 3급수 정리
- 푸리에 급수 수렴성
- 그네덴코-콜모고로프 중심 극한 정리
- 준산술 평균 (콜모고로프 평균이라고도 불림)
- 콜모고로프 호몰로지
- 콜모고로프 부등식
- 란다우-콜모고로프 부등식
- 콜모고로프 적분
- 브라우어-헤이팅-콜모고로프 해석
- 콜모고로프 미시 스케일
- 콜모고로프 노름화 판정법
- 프레셰-콜모고로프 정리
- 콜모고로프 공간
- 콜모고로프 복잡성
- 콜모고로프-스미르노프 검정
- 위너 필터 (위너-콜모고로프 필터링 이론으로도 알려짐)
- 위너-콜모고로프 예측
- 콜모고로프 자기동형사상
- 콜모고로프 가역 확산 특성화
- 보렐-콜모고로프 역설
- 채프먼-콜모고로프 방정식
- 한-콜모고로프 정리
- 콜모고로프-시나이 엔트로피
- 천문 시상 (콜모고로프 난류 법칙으로 설명됨)
- 콜모고로프 구조 함수
- 콜모고로프-우스펜스키 머신 모델
- 콜모고로프 0-1 법칙
- 콜모고로프-주르벤코 필터
- 콜모고로프 2급수 정리
- 라오-블랙웰-콜모고로프 정리
- 힌친-콜모고로프 정리
- 콜모고로프 개체군 모델
- 콜모고로프의 큰 수의 강법칙
4. 저작
콜모고로프는 수많은 중요한 저서와 논문을 남겼으며, 그의 학문적 유산은 여러 권의 선집으로도 출판되었다.
- 1933년. 《확률론의 기초》(Grundbegriffe der Wahrscheinlichkeitsrechnung). Julius Springer, Berlin.
- 1956년. 영역판: 《확률론의 기초》(Foundations of the Theory of Probability). 2nd ed. Chelsea, New York.
- 1925년. "배중률의 원칙에 관하여"(On the principle of the excluded middle). 《수학 논리학 소스북, 1879-1931》(A Source Book in Mathematical Logic, 1879-1931)에 수록. Harvard Univ. Press: 414-37.
- 1963년. "난수표에 관하여"(On Tables of Random Numbers). Sankhyā Ser. A, 25: 369-375.
- 1991-93년. 《A. N. 콜모고로프 선집》(Selected works of A.N. Kolmogorov), 3권. Tikhomirov, V. M., ed., Volosov, V. M., trans. Kluwer Academic Publishers.
- 2005년. 《선집》(Selected works). 6권. Moscow (러시아어).
- 교과서:**
5. 사망
콜모고로프는 1987년 10월 20일 모스크바에서 사망했으며, 그의 유해는 노보데비치 묘지에 안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