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아이 스기야마杉山愛스기야마 아이일본어는 일본의 전 테니스 선수이다. 그녀는 WTA 투어에서 여자 복식 세계 랭킹 1위에 올랐으며, 2004년 2월 9일에는 개인 최고 단식 세계 랭킹 8위를 기록했다. 스기야마는 선수 경력 동안 단식에서 6개, 복식에서 38개의 WTA 투어 타이틀을 획득했다. 특히 그랜드 슬램 대회에서는 여자 복식에서 3회(줄리 알라르-데퀴지스와 1회, 킴 클레이스터스와 2회), 혼합 복식에서 1회(마헤시 부파티와 1회) 우승을 차지했다. 그녀는 남녀 선수를 통틀어 그랜드 슬램 본선에 62회 연속 출전하는 기록을 세웠으며, 이 기록은 2015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서 로저 페더러에 의해 경신되기 전까지 역대 최고 기록이었다. 2009년 10월에 현역에서 은퇴했다.
2. 생애 및 배경
아이 스기야마는 1975년 7월 5일 일본 요코하마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가나가와현에 거주하며, 오른손잡이로 양손 백핸드를 구사하는 플레이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 1992년 10월에 프로 선수로 전향했으며, 2009년 10월에 은퇴했다. 그녀의 키는 1.63 m이다.
3. 선수 경력
아이 스기야마는 1992년 프로 전향 이후 약 17년간 활발하게 활동하며 단식과 복식 모두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다.
3.1. 1990년대
1993년, 17세의 스기야마는 자신의 고향에서 테니스 전설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와 경기를 펼쳤으나 3세트 접전 끝에 패배했다. 같은 해, 그녀는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서 그랜드 슬램 본선에 처음으로 출전했지만, 1회전에서 세계 랭킹 30위인 지지 페르난데스에게 3세트 끝에 패했다. 1994년에는 다시 윔블던 본선에 진출했으나 세계 랭킹 6위이자 동향 선수인 다테 기미코에게 패했다. 그해 말, 그녀는 수라바야에서 첫 단식 결승에 진출했지만 엘레나 바그너를 상대로 기권패했다. 이후 재팬 오픈 복식에서 우승하며 첫 투어 타이틀을 획득했고, WTA 랭킹 100위권에 진입했다.
1995년, 스기야마는 프랑스 오픈에서 첫 그랜드 슬램 본선 승리를 거두고 4회전까지 진출했다. 1회전에서 15번 시드이자 전 그랜드 슬램 준우승자였던 헬레나 수코바를 최종 세트 9-7로 꺾으며 생애 첫 톱 20 선수 상대 승리를 기록했다. 두 달 후에는 아만다 코체르를 꺾고 3회전에 진출했으나, 세계 랭킹 4위이자 전 윔블던 챔피언인 콘치타 마르티네스에게 패했다. 11월에는 오클랜드 티어-II 대회에서 랭킹 63위임에도 불구하고 22위 이리나 스피를레아, 전 윔블던 준우승자 지나 개리슨 잭슨, 10위 린지 데이븐포트를 연파하며 개인 통산 두 번째 결승에 진출했으나 7위 막달레나 말레바에게 패했다. 이 대회 이후 그녀는 랭킹 50위권에 진입했다.
1996년, 그녀는 호주 오픈에서 3회전에 진출했다. 마이애미에서는 23번 시드로 4회전에 올랐고, 10위 야나 노보트나를 꺾으며 두 번째 톱 10 승리를 기록했다. 이로써 그녀의 랭킹은 30위권으로 상승했다. 또한 도쿄 재팬 오픈 준결승과 윔블던 4회전에 진출하여 5위 앙케 후버를 꺾으며 세 번째 톱 10 승리이자 첫 톱 5 승리를 달성했다. 그녀는 애틀랜타 올림픽에 일본 대표로 출전하여 마르티나 힝기스를 꺾고 3회전에 진출했다.
1997년 시즌은 엘레나 리호프체바에게 패하며 세 번째 결승 진출로 시작했다. 다음 주에는 호주 오픈 2회전에 진출했다。4월에는 재팬 오픈에서 에이미 프레이저를 꺾고 첫 프로 단식 타이틀을 획득했다. 그러나 프랑스 오픈과 US 오픈에서는 2회전 탈락, 윔블던에서는 1회전 탈락으로 그랜드 슬램에서 좋은 성적을 내지 못했다. 연말에는 크렘린 컵에서 나타샤 즈베레바, 14위 브렌다 슐츠-매카시, 9위이자 다수 그랜드 슬램 우승자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도미니크 반 루스트를 꺾으며 첫 티어-I 결승에 진출했으나, 톱 시드이자 2위인 야나 노보트나에게 패했다.
1998년, 골드 코스트에서 두 번째 단식 타이틀을 획득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이후 랭킹 20위권에 진입했으며, 시드니에서 콘치타 마르티네스를 꺾고 또 다른 준결승에 진출했다. 그해 스기야마는 도쿄 (팬 퍼시픽), 베를린 (4위 아만다 코체르를 꺾음), 스트라스부르, 샌디에이고 (슈테피 그라프를 꺾음), 룩셈부르크에서 8강에 진출하고 인디언 웰스, 마이애미, 몬트리올에서 3회전, 프랑스 오픈과 US 오픈에서 2회전에 진출하는 등 꾸준한 모습을 보였다. 재팬 오픈에서 세 번째 WTA 투어 타이틀을 획득했다. 1999년에는 재팬 오픈 결승, 골드 코스트와 도쿄 (프린세스 컵) 준결승 (8위 줄리 알라르-데퀴지스를 꺾음), 스트라스부르와 모스크바 8강 (6위 메리 피어스를 꺾음), 인디언 웰스와 몬트리올 3회전 (7위 야나 노보트나를 꺾음), US 오픈 3회전에 진출했다. 또한 프랑스 오픈과 윔블던에서는 2회전에 진출했다. 같은 해, 스기야마는 마헤시 부파티와 함께 US 오픈 혼합 복식에서 우승하며 첫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획득했다.
1999년, 스기야마는 WTA 카렌 크란츠케 스포츠맨십 상을 수상했다.
3.2. 2000-2005년
2000년 7월 10일, 스기야마는 알라르-데퀴지스와 짝을 이루어 윔블던 여자 복식 결승에 진출했으나, 하루 동안의 비로 인한 지연 후 윌리엄스 자매에게 스트레이트 세트로 패했다. 9월 10일, 그녀는 US 오픈 여자 복식에서 카라 블랙과 엘레나 리호프체바를 1시간 19분 만에 3세트 접전 끝에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10월 23일, 그녀는 7개의 타이틀을 획득하며 일본 여자 선수로는 처음으로 복식 세계 랭킹 1위에 올랐다.
그녀의 가장 큰 성공은 2003년 스코츠데일에서였다. 2회전에서 린지 데이븐포트를 꺾은 후, 엘레니 다닐리두를 물리치고 준결승에 진출했다. 경기 일정 문제로 단식과 복식 모두의 준결승과 결승전이 대회 일요일에 치러졌다. 그리하여 스기야마는 하루 만에 준결승에서 알렉산드라 스티븐슨을 상대로 매치 포인트를 막아내고, 단식 결승에서 복식 파트너인 킴 클레이스터스를 상대로 한 세트 뒤진 상황에서 역전승을 거두었으며, 이어서 두 복식 경기에서도 승리를 확보하여 두 개의 트로피를 모두 들어 올렸다. 2003년은 그녀에게 최고의 해였으며, 프랑스 오픈에서 세레나 윌리엄스를 한계까지 몰아붙였고, 윔블던과 US 오픈에서는 16강에 진출했다. 특히 US 오픈 4회전에서 프란체스카 스키아보네에게 패한 것은 논란의 여지가 있었다. 그녀는 시즌 최종전에서 세계 1위 쥐스틴 에냉을 라운드 로빈에서 꺾는 등 활약하며 연말 랭킹 10위를 기록했다. 또한 그해 총 8개의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는데, 7개는 킴 클레이스터스와 함께(시드니, 앤트워프, 스코츠데일, 프랑스 오픈, 윔블던, 샌디에이고, 취리히), 1개는 리젤 후버와 함께(린츠) 획득했다.
2005년, 스기야마는 4회 연속 1회전 패배로 시즌을 시작했다. 그녀는 처음 세 개의 그랜드 슬램 대회에서 모두 1회전에서 패했으며, 샌디에이고에서만 좋은 성적을 거두어 결승에 진출했지만 메리 피어스에게 스트레이트 세트로 패했다. 이 대회에서 그녀는 다니엘라 한투호바, 세실 카라탄체바,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를 꺾고 결승에 올랐다. 스기야마는 한투호바와 함께 복식 결승에도 진출했지만 버지니아 루아노 파스쿠알과 콘치타 마르티네스에게 패했다. 그녀는 US 오픈에서 3회전에 진출하며 그랜드 슬램 "저주"를 깼지만, 결국 우승자인 킴 클레이스터스에게 패했다.
그해 아이 스기야마는 단식보다 복식에서 더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엘레나 데멘티에바와 짝을 이루어 첫 대회인 시드니에서 결승에 진출했지만 브라이언 스튜어트와 사만다 스토서에게 패했다. 그들은 호주 오픈 16강에 진출했다. 그녀는 아나스타샤 미스키나와 엘레나 리호프체바와 함께 몇몇 대회에 참가했지만 좋지 않은 결과를 얻었다. 베를린에서는 다시 다니엘라 한투호바와 함께 준결승에 진출했지만 블랙과 후버에게 패했다. 프랑스 오픈에서는 비르네로바와 반크에게 2회전에서 패했다. 그들은 다음 대회인 버밍엄에서 다닐리두와 러셀을 꺾고 우승했다. 윔블던에서는 한투호바와 스기야마가 8강에 진출했지만 결국 우승자인 블랙과 후버에게 패했다. 토론토 캐나다 오픈에서는 준결승에서 결국 우승자인 그뢰네펠트와 나브라틸로바에게 패했다. US 오픈에서는 3회전에 진출했지만 얀쯔와 정제에게 패했다. 그녀는 다음 대회에서 세 명의 파트너를 시도한 후 취리히에서 다니엘라와 다시 짝을 이루어 결승에 진출했지만(톱 시드인 리사 레이몬드와 스토서를 꺾음), 블랙과 레니 스텁스에게 3세트 접전 끝에 패했다. 그들은 연말 랭킹 5위로 시즌을 마쳤고, 연말 챔피언십에는 진출하지 못했다.
스기야마는 프랑스 오픈과 US 오픈 두 대회에서 혼합 복식에 출전했다. 프랑스 오픈에서는 막심 미르니와 함께 1회전에서 패했다. US 오픈에서는 케빈 울리엣과 짝을 이루어 8강에 진출했지만 결국 우승자인 한투호바와 부파티에게 패했다. 단식 0승 5패의 기록으로 도하에 출전한 그녀는 와일드카드인 셀리마 스파르를 꺾는 데 성공했다. 2회전에서는 미스키나를 3세트 접전 끝에 이겼고, 여러 매치 포인트를 넘겨야 했다. 8강전에서는 줄리아 슈러프를 상대로 편안하게 승리했다. 준결승에서는 나디아 페트로바와의 대서사시 같은 경기에서 패했다. 2세트 0-4로 뒤진 상황에서 5-4로 다섯 게임을 연속으로 따냈다. 그녀는 한투호바와 함께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준결승에서 얀과 정을, 결승에서 리팅과 쑨톈톈을 꺾었다.
3.3. 2006-2009년
2006년 로마에서 스기야마와 한투호바는 리팅과 쑨톈톈, 블랙과 스텁스(2위), 크베타 페슈케와 스키아보네(8위)를 꺾고 팀으로서 세 번째이자 가장 큰 타이틀을 획득했다.
프랑스 오픈에서 22번 시드인 아이 스기야마는 1회전에서 다닐리두를 꺾었지만, 2회전에서 프랑스 예선 통과자 아라반 레자이에게 패했다. 혼합 복식에 출전하지 않기로 결정한 아이 스기야마와 다니엘라는 캐롤라인 데닌과 마틸드 요한손을 꺾었고, 이어서 소피아 아르비드손과 마르티나 뮐러를 압도했다. 그들은 마리옹 바르톨리와 샤하르 페어를 상대로 3세트 접전 끝에 승리했다. 8강에서는 2번 시드인 블랙과 스텁스를 꺾었다. 준결승에서는 4번 시드인 얀과 정을 꺾었지만, 결승에서는 톱 시드인 레이몬드와 스토서에게 두 세트 만에 패했다.
윔블던에서는 18번 시드인 스기야마가 12번 시드 마르티나 힝기스를 3세트 접전 끝에 꺾고 4회전에 진출했다. 여름에는 단식에서 몇 차례 좋지 않은 패배를 겪었으며, 복식에서도 이변이 있었다. 스기야마는 로스앤젤레스 결승에 진출했지만 루아노 파스쿠알과 파올라 수아레스에게 패했다. 몬트리올에서는 알렉산드라 보즈니아크와 아나벨 메디나 가리게스를 꺾었지만 쿠즈네초바에게 패했다. 복식에서는 나탈리 데시와 짝을 이루어 8강에 진출했다.
US 오픈에서 28번 시드인 그녀는 주자나 온드라스코바와 타티아나 가르빈을 꺾었지만, 2번 시드인 쥐스틴 에냉에게 패했다. 베이징에서는 1회전에서 예선 통과자이자 복식 파트너였던 알리시아 몰리크를 꺾었다. 이어서 4번 시드인 니콜 바이디소바를 3세트 접전 끝에 이겼지만, 또 다른 3세트 경기에서 펑솨이에게 패했다. 서울에서 티어-IV 대회 결승에 진출했지만, 그리스의 엘레니 다닐리두에게 3세트 접전 끝에 패했다.

2007년 시즌 초반은 지난 2년보다 좋았다. 호주 오픈 2회전에서 아나스타시야 야키모바에게 패했지만(3세트 10-8), 마이애미에서는 그녀를 꺾었다. 스기야마와 다니엘라 한투호바는 8강에 진출했지만 결국 우승자인 블랙과 후버에게 패했다. 도쿄에서는 8강에 진출했지만 세계 1위 마리아 샤라포바에게 3세트 접전 끝에 패했다. 도하에서는 발가락 부상을 입었지만 회복하여 인디언 웰스 마스터스 16강에 진출했다. 마이애미에서는 3회전에서 디나라 사피나에게 패했다. 페드컵에서 프랑스를 상대로 0승 3패를 기록하며 타티아나 골로빈과 데시에게 모두 패했지만, 기후현에서 아유미 모리타와 함께 50K 타이틀을 획득하며 반등했다. 일본 듀오는 이 대회에서 단 한 세트만 내주며 우승을 차지했다. 그녀는 베를린에서 카타리나 스레보트니크와 함께 출전했다. 그들은 루르데스 도밍게스 리노와 플라비아 페네타를 더블 베이글로 완파했지만, 같은 날 2번 시드인 블랙과 후버에게 패했다.
그녀의 다음 대회는 로마였고, 마리아 키릴렌코를 2시간 49분간의 3세트 접전 끝에 꺾었다. 다음 라운드에서는 페어에게 패했다. 프랑스 오픈에서는 3회전에 진출했다. 1회전에서 에바 비르네로바를, 2회전에서 메일렌 투를 꺾었지만, 9번 시드인 안나 차크베타제에게 패했다. 복식에서는 스레보트니크와 7번 시드로 출전하여 1회전에서 루시 흐라데츠카와 레나타 보라코바를, 2회전에서 스테파니 포레츠와 카미유 핀을, 3회전에서 페어와 사피나를 꺾었다. 이어서 8강에서 마리아 엘레나 카메린과 기셀라 둘코를 꺾었다. 준결승에서는 톱 시드이자 디펜딩 챔피언인 레이몬드와 스토서를 3세트 접전 끝에 꺾고 프랑스 오픈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알리시아 몰리크와 마라 산탄젤로에게 스트레이트 세트로 패했다.
윔블던에서 26번 시드인 그녀는 와일드카드 멜라니 사우스와 알리제 코르네를 꺾었다. 3회전에서 2번 시드인 샤라포바에게 패했다. 복식에서는 스레보트니크와 함께 안드레아 에리트-반크와 아나스타시아 로디오노바, 에밀리 로이트와 니콜 프랫을 꺾었으며, 3회전에서는 바르톨리와 메일렌 투의 기권으로 부전승을 거두었다. 8강에서는 엘레나 리호프체바와 쑨톈톈을 꺾었다. 1-6, 0-3으로 뒤진 상황에서 톱 시드인 레이몬드와 스토서를 3세트 접전 끝에 꺾고 역전승을 거두었다. 결승에서는 2번 시드인 블랙과 후버에게 패했다.
US 오픈 시리즈 기간 동안 그녀는 샌디에이고 3회전에 진출하여 시빌 밤머를 꺾었다. 이후 차크베타제에게 패했다. 스레보트니크와 함께 샌디에이고와 스탠퍼드에서 두 차례 복식 준결승에 진출했지만, 두 번 모두 빅토리아 아자렌카와 차크베타제에게 패했다. 그러나 그들은 토론토에서 펑솨이와 얀을 8강에서, 몰리크와 산탄젤로를 준결승에서, 블랙과 후버를 결승에서 꺾고 팀으로서 첫 타이틀을 획득했다.
2007년 US 오픈에서 스기야마는 2회전에서 예카테리나 마카로바에게 패했다. 아이 스기야마와 스레보트니크는 쑨성난과 지춘메이를 인상적으로 꺾었으며, 결국 미카엘라 크라이첵과 아그니에슈카 라드반스카를 물리쳤다. 그 팀은 로이트와 바니아 킹을 꺾고 8강에 진출했지만, 결국 우승자인 데시와 사피나에게 패했다. 스레보트니크와 스기야마는 좋은 기세를 이어가 마드리드에서 열린 투어 챔피언십에 진출했다. 2번 시드를 받은 그 팀은 대만의 찬융잔과 좡자룽 듀오를 꺾었지만, 결승에서 블랙과 후버에게 슈퍼 타이브레이크 끝에 패했다.

2008년 단식에서 스기야마의 시즌은 좋지 않게 시작하여 골드 코스트에서 아자렌카에게, 시드니에서 가이도소바에게 패했다. 그러나 멜버른에서 그녀의 기량이 돌아와 1회전에서 베라 즈보나레바를, 2회전에서 타티아나 페레비니스를 꺾었지만, 12번 시드인 바이디소바에게 패했다. 복식에서는 스레보트니크와 함께 시드니에서 얀/정을 상대로 스트레이트 세트 패배를 기록했고, 이들은 결국 우승을 차지했다. 멜버른에서는 2회전에서 윌리엄스 자매와 맞붙어 두 세트 만에 패했다. 스기야마의 커리어 그랜드 슬램 꿈은 좌절되었다. 복식에서는 페슈케와 함께 앤트워프 결승에 진출했으며, 도하와 두바이에서는 스레보트니크와 함께 준결승에 진출했다.
3월 30일 마이애미 티어-I 대회 3회전에서 8번 시드인 한투호바를 3세트 접전 끝에 이겼다. 그녀는 2세트에서 매치 포인트를 놓치고 두 차례 서브 게임을 내준 후에도 역전승을 거두었다. 3세트에서는 0-3으로 뒤졌지만 결국 승리했다. 이는 2006년 베이징 이후 첫 톱 10 승리였다. 다음 라운드에서는 즈보나레바에게 패했다. 복식에서는 스레보트니크와 함께 아키코 모리가미와 알리나 지드코바, 루시 흐라데츠카와 레나타 보라코바, 데이븐포트와 한투호바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그들은 호주 오픈 준우승팀인 아자렌카와 페어, 그리고 세계 1위 팀인 블랙과 후버를 꺾고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는 그들의 팀으로서 두 번째 타이틀이자 스기야마의 여덟 번째 티어-I 타이틀이었다.
스기야마는 찰스턴에서 스레보트니크와 함께 패밀리 서클 컵에서 아홉 번째 티어-I 복식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이는 그들의 세 번째 팀 타이틀로 에디나 갈로비츠-홀과 올가 고보르초바를 두 세트 만에 꺾었다. 스기야마는 2008년 윔블던 대회 출전을 통해 여자 선수로서 57회 연속 그랜드 슬램 출전 기록을 경신했다. 스기야마는 여자 단식 3회전에 진출했지만 러시아의 알리사 클레이바노바에게 패했다. 스탠퍼드에서는 알렉사 글래치를 꺾고 세계 11위 한투호바를 이겼다. 8강에서는 도미니카 시불코바를 상대로 세 개의 매치 포인트를 막아내며 승리했다. 스기야마와 모리타 아유미는 2008년 하계 올림픽에 일본 대표로 출전했지만, 2회전에서 윌리엄스 자매에게 패했다.
2009년 아이 스기야마는 브리즈번 국제 대회에서 스토서에게 1회전 패배를 기록하며 시즌을 시작했고, 여자 복식에서는 한투호바와 짝을 이루어 클라우디아 얀스와 알리샤 로솔스카에게 준결승에서 패했다。시드니 국제 대회에서는 준결승에 진출했지만 결국 사피나에게 패했다.
2009년 호주 오픈에서 그녀는 3회전에 진출했지만 옐레나 얀코비치에게 패했다. 한투호바와 함께 9번 시드로 복식에 출전한 그들은 1번 시드인 블랙과 후버를 꺾었다. 3세트에서 "한투야마"는 2-5로 뒤졌지만, 타이브레이크까지 끌고 가 7개의 매치 포인트를 막아내며 12-10으로 승리했다. 준결승에서는 데시와 산탄젤로를 꺾고 호주 오픈 여자 복식 결승에 처음으로 진출했다. 그러나 윌리엄스 자매에게 두 세트 만에 패했다. 호흡기 감염으로 인해 2009년 오픈 GDF 수에즈에서 기권했다. 스기야마는 두바이 테니스 챔피언십에 참가하여 1회전에서 바르톨리에게 3세트 접전 끝에 패했다. 스기야마와 한투호바는 복식에도 출전했지만 감염으로 인해 기권했다.
인디언 웰스 오픈에서 스기야마와 한투호바는 여자 복식 5번 시드를 받았지만, 1회전에서 알라 쿠드랴프체바와 로디오노바 조에게 패했다. 단식에서는 예선 통과자 안젤라 헤인즈에게 2회전에서 패했다. 소니 에릭슨 오픈에서는 단식과 복식 모두 첫 경기에서 패했으며, 단식에서는 부전승을 받은 후 2회전에서 패했다. 한투호바와 함께 출전한 복식 경기에서의 패배로 그녀의 복식 랭킹은 5위로 떨어졌다. 스기야마는 마이애미, 슈투트가르트, 로마, 마드리드에서 4회 연속 단식 경기에서 패했다. 그러나 한투호바와 함께 로마 마스터스 결승에 진출했지만 7번 시드인 셰쑤웨이와 펑에게 패했다. 그들은 마드리드 마스터스 8강에 진출했지만 스토서와 스텁스에게 패했다. 이들은 이스트본 결승에서 아그굴 아만무라도바와 함께 꺾었으며, 이는 그녀의 38번째 복식 타이틀이었다.
6월 22일, 그녀는 윔블던에서 61회 연속 그랜드 슬램 출전 기록을 경신했으며, 시드 선수인 패티 슈나이더를 스트레이트 세트로 꺾고 11경기 연속 패배 기록을 끊었다. 3회전에서 한투호바에게 패했다. 스탠퍼드에서는 샤라포바에게 3세트 접전 끝에 패했으며, 2세트에서 두 개의 매치 포인트를 막아냈다. 이후 로스앤젤레스에서 라드반스카에게 2회전에서 패했다. 스기야마는 2009년 테니스 시즌이 끝난 후 자신의 고향 일본에서 열린 도레이 팬 퍼시픽 오픈을 마지막으로 은퇴했다. 대회에 앞서 센터 코트에서 그녀를 위한 특별 은퇴식이 열렸다. 아이 스기야마는 몇 달간 집에서 휴식을 취한 후 일본에 있는 자신의 테니스 아카데미에서 젊은 선수들을 가르치는 데 집중할 계획을 세웠다.
4. 주요 성과 및 기록
스기야마는 단식과 복식 모두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으며, 특히 복식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4.1. 그랜드 슬램
스기야마는 그랜드 슬램 대회에서 단식 최고 성적은 호주 오픈 8강(2000년)과 윔블던 8강(2004년)이며, 프랑스 오픈과 US 오픈에서는 4회전에 진출했다.
복식에서는 3회 우승, 7회 준우승을 기록했다.
결과 | 연도 | 대회 | 코트 | 파트너 | 상대 | 점수 |
---|---|---|---|---|---|---|
준우승 | 2000 | 윔블던 선수권 대회 | 잔디 | 줄리 알라르 | 세레나 윌리엄스 비너스 윌리엄스 | 3-6, 2-6 |
우승 | 2000 | US 오픈 | 하드 | 줄리 알라르 | 카라 블랙 엘레나 리호프체바 | 6-0, 1-6, 6-1 |
준우승 | 2001 | 윔블던 | 잔디 | 킴 클레이스터스 | 리사 레이몬드 레니 스텁스 | 4-6, 3-6 |
우승 | 2003 | 프랑스 오픈 | 클레이 | 킴 클레이스터스 | 버지니아 루아노 파스쿠알 파올라 수아레스 | 6-7(5-7), 6-2, 9-7 |
우승 | 2003 | 윔블던 | 잔디 | 킴 클레이스터스 | 버지니아 루아노 파스쿠알 파올라 수아레스 | 6-4, 6-4 |
준우승 | 2004 | 윔블던 | 잔디 | 리젤 후버 | 카라 블랙 레니 스텁스 | 3-6, 6-7(5-7) |
준우승 | 2006 | 프랑스 오픈 | 클레이 | 다니엘라 한투호바 | 리사 레이몬드 사만다 스토서 | 3-6, 2-6 |
준우승 | 2007 | 프랑스 오픈 | 클레이 | 카타리나 스레보트니크 | 알리시아 몰리크 마라 산탄젤로 | 6-7(5-7), 4-6 |
준우승 | 2007 | 윔블던 | 잔디 | 카타리나 스레보트니크 | 카라 블랙 리젤 후버 | 6-3, 3-6, 2-6 |
준우승 | 2009 | 호주 오픈 | 하드 | 다니엘라 한투호바 | 세레나 윌리엄스 비너스 윌리엄스 | 3-6, 3-6 |
혼합 복식에서는 1회 우승을 기록했다.
결과 | 연도 | 대회 | 코트 | 파트너 | 상대 | 점수 |
---|---|---|---|---|---|---|
우승 | 1999 | US 오픈 | 하드 | 마헤시 부파티 | 킴벌리 포 도널드 존슨 | 6-4, 6-4 |
4.2. WTA 투어
스기야마는 WTA 투어 단식에서 6회 우승, 7회 준우승을 기록했다. 첫 단식 우승은 1997년 재팬 오픈이었다.
결과 | No. | 날짜 | 대회 | 코트 | 상대 | 점수 |
---|---|---|---|---|---|---|
준우승 | 1. | 1994년 7월 | 수라바야 클래식, 인도네시아 | 하드 | 엘레나 바그너 | 6-2, 0-6, 기권 |
준우승 | 2. | 1995년 11월 | 실리콘 밸리 클래식, 미국 | 카펫 (실내) | 막달레나 말레바 | 3-6, 4-6 |
준우승 | 3. | 1997년 1월 | 호주 하드코트 챔피언십, 호주 | 하드 | 엘레나 리호프체바 | 6-3, 6-7(7-9), 3-6 |
우승 | 1. | 1997년 4월 | 재팬 오픈, 일본 | 하드 | 에이미 프레이저 | 4-6, 6-4, 6-4 |
준우승 | 4. | 1997년 11월 | 크렘린 컵, 러시아 | 카펫 (실내) | 야나 노보트나 | 3-6, 4-6 |
우승 | 2. | 1998년 1월 | 호주 하드코트 챔피언십, 호주 | 하드 | 마리아 벤토-카브치 | 7-5, 6-0 |
우승 | 3. | 1998년 4월 | 재팬 오픈, 일본 | 하드 | 코리나 모라리우 | 6-3, 6-3 |
준우승 | 5. | 1999년 10월 | 재팬 오픈, 일본 | 하드 | 에이미 프레이저 | 2-6, 2-6 |
우승 | 4. | 2003년 3월 | 스코츠데일 클래식, 미국 | 하드 | 킴 클레이스터스 | 3-6, 7-5, 6-4 |
우승 | 5. | 2003년 10월 | 린츠 오픈, 오스트리아 | 하드 | 나디아 페트로바 | 7-5, 6-4 |
우승 | 6. | 2004년 1월 | 호주 하드코트 챔피언십, 호주 | 하드 | 나디아 페트로바 | 1-6, 6-1, 6-4 |
준우승 | 6. | 2005년 8월 | 칼스배드 오픈, 미국 | 하드 | 메리 피어스 | 0-6, 3-6 |
준우승 | 7. | 2006년 10월 | 코리아 오픈, 대한민국 | 하드 | 엘레니 다닐리두 | 3-6, 6-2, 6-7(3-7) |
WTA 투어 복식에서는 38회 우승, 33회 준우승을 기록했다.
결과 | No. | 날짜 | 대회 | 코트 | 파트너 | 상대 | 점수 |
---|---|---|---|---|---|---|---|
우승 | 1. | 1994년 4월 | 재팬 오픈 | 하드 | 도노시로 마미 | 야육 바수키 미야기 나나 | 6-4, 6-1 |
준우승 | 1. | 1994년 11월 | 수라바야 클래식, 인도네시아 | 하드 | 나가츠카 쿄코 | 야육 바수키 로마나 테자쿠수마 | 기권 |
우승 | 2. | 1995년 1월 | 호바트 국제, 호주 | 하드 | 나가츠카 쿄코 | 마농 볼레그라프 라리사 네일란드 | 2-6, 6-4, 6-2 |
준우승 | 2. | 1995년 4월 | 재팬 오픈 | 하드 | 나가츠카 쿄코 | 요시다 유카 사에키 미호 | 7-6, 4-6, 6-7 |
우승 | 3. | 1996년 4월 | 재팬 오픈 | 하드 | 다테 기미코 | 에이미 프레이저 킴벌리 포 | 7-6, 6-7, 6-3 |
준우승 | 3. | 1997년 5월 | 스트라스부르 국제, 프랑스 | 클레이 | 엘레나 리호프체바 | 헬레나 수코바 나타샤 즈베레바 | 1-6, 1-6 |
우승 | 4. | 1997년 9월 | 프린세스 컵, 일본 | 하드 | 모니카 셀레스 | 줄리 알라르-데퀴지스 찬다 루빈 | 6-1, 6-0 |
우승 | 5. | 1998년 1월 | 호주 하드코트 챔피언십, 호주 | 하드 | 엘레나 리호프체바 | 박성희 왕스딩 | 1-6, 6-3, 6-4 |
우승 | 6. | 1998년 10월 | 룩셈부르크 오픈 | 카펫 (실내) | 엘레나 리호프체바 | 라리사 네일란드 엘레나 타타르코바 | 6-7, 6-3, 2-0 기권 |
우승 | 7. | 1998년 11월 | 라이프치히 컵, 독일 | 카펫 (실내) | 엘레나 리호프체바 | 마농 볼레그라프 이리나 스피를레아 | 6-3, 6-7, 6-2 |
우승 | 8. | 1998년 11월 | 필라델피아 챔피언십, 미국 | 카펫 (실내) | 엘레나 리호프체바 | 모니카 셀레스 | 7-5, 4-6, 6-2 |
우승 | 9. | 1999년 1월 | 시드니 국제, 호주 | 하드 | 엘레나 리호프체바 | 메리 조 페르난데스 앙케 후버 | 6-3, 2-6, 6-0 |
준우승 | 4. | 1999년 2월 | 파리 인도어, 프랑스 | 카펫 (실내) | 엘레나 리호프체바 | 이리나 스피를레아 캐롤라인 비스 | 5-7, 6-3, 3-6 |
우승 | 10. | 1999년 5월 | 스트라스부르 국제, 프랑스 | 클레이 | 엘레나 리호프체바 | 알렉산드라 푸사이 나탈리 토지아 | 2-6, 7-6, 6-1 |
준우승 | 5. | 1999년 11월 | 라이프치히 컵, 독일 | 카펫 (실내) | 엘레나 리호프체바 | 라리사 네일란드 메리 피어스 | 4-6, 3-6 |
우승 | 11. | 2000년 1월 | 시드니 국제, 호주 | 하드 | 줄리 알라르-데퀴지스 | 마르티나 힝기스 | 6-0, 6-3 |
우승 | 12. | 2000년 4월 | 마이애미 오픈, 미국 | 하드 | 줄리 알라르-데퀴지스 | 니콜 아렌트 마농 볼레그라프 | 4-6, 7-5, 6-4 |
우승 | 13. | 2000년 6월 | 이스트본 국제, 영국 | 잔디 | 나탈리 토지아 | 리사 레이몬드 레니 스텁스 | 2-6, 6-3, 7-6(3) |
준우승 | 6. | 2000년 7월 | 윔블던, 영국 | 잔디 | 줄리 알라르-데퀴지스 | 세레나 윌리엄스 비너스 윌리엄스 | 3-6, 2-6 |
준우승 | 7. | 2000년 8월 | 캐나다 오픈 | 하드 | 줄리 알라르-데퀴지스 | 마르티나 힝기스 나탈리 토지아 | 3-6, 6-3, 4-6 |
우승 | 14. | 2000년 8월 | 뉴 헤이븐 오픈, 미국 | 하드 | 줄리 알라르-데퀴지스 | 버지니아 루아노 파스쿠알 파올라 수아레스 | 6-4, 5-7, 6-2 |
우승 | 15. | 2000년 9월 | US 오픈 | 하드 | 줄리 알라르-데퀴지스 | 카라 블랙 엘레나 리호프체바 | 6-0, 1-6, 6-1 |
우승 | 16. | 2000년 10월 | 프린세스 컵, 일본 | 하드 | 줄리 알라르-데퀴지스 | 미야기 나나 파올라 수아레스 | 6-0, 6-2 |
준우승 | 8. | 2000년 10월 | 린츠 오픈, 오스트리아 | 카펫 (실내) | 나탈리 토지아 | 아멜리에 모레스모 찬다 루빈 | 4-6, 4-6 |
우승 | 17. | 2000년 10월 | 크렘린 컵, 러시아 | 카펫 (실내) | 줄리 알라르-데퀴지스 | 마르티나 힝기스 안나 쿠르니코바 | 4-6, 6-4, 7-6(5) |
우승 | 18. | 2001년 1월 | 캔버라 국제, 호주 | 하드 | 니콜 아렌트 | 에스메 데 빌리에르 애나벨 엘우드 | 6-4, 7-6(2) |
우승 | 19. | 2001년 3월 | 인디언 웰스 마스터스, 미국 | 하드 | 니콜 아렌트 | 버지니아 루아노 파스쿠알 파올라 수아레스 | 6-4, 6-4 |
준우승 | 9. | 2001년 7월 | 윔블던, 영국 | 잔디 | 킴 클레이스터스 | 리사 레이몬드 레니 스텁스 | 4-6, 3-6 |
준우승 | 10. | 2001년 9월 | 프린세스 컵, 일본 | 하드 | 킴 클레이스터스 | 카라 블랙 리젤 후버 | 1-6, 3-6 |
우승 | 20. | 2002년 2월 | US 내셔널 인도어, 미국 | 하드 | 엘레나 타타르코바 | 멜리사 미들턴 브리 리프너 | 6-4, 2-6, 6-0 |
준우승 | 11. | 2002년 8월 | 샌디에이고 오픈, 미국 | 하드 | 다니엘라 한투호바 | 엘레나 데멘티에바 자네트 후사로바 | 2-6, 4-6 |
준우승 | 12. | 2002년 8월 | LA 챔피언십, 미국 | 하드 | 다니엘라 한투호바 | 킴 클레이스터스 옐레나 도키치 | 3-6, 3-6 |
준우승 | 13. | 2002년 8월 | 캐나다 오픈 | 하드 | 후지와라 리카 | 버지니아 루아노 파스쿠알 파올라 수아레스 | 4-6, 6-7(4) |
준우승 | 14. | 2002년 9월 | 차이나 오픈 | 하드 | 후지와라 리카 | 안나 쿠르니코바 재닛 리 | 5-7, 3-6 |
준우승 | 15. | 2002년 10월 | 린츠 오픈, 오스트리아 | 카펫 (실내) | 후지와라 리카 | 옐레나 도키치 | 3-6, 2-6 |
우승 | 21. | 2003년 1월 | 시드니 국제, 호주 | 하드 | 킴 클레이스터스 | 콘치타 마르티네스 | 6-3, 6-3 |
우승 | 22. | 2003년 2월 | 앤트워프 게임, 벨기에 | 카펫 (실내) | 킴 클레이스터스 | 나탈리 데시 | 6-2, 6-0 |
우승 | 23. | 2003년 3월 | 스코츠데일 클래식, 미국 | 하드 | 킴 클레이스터스 | 린지 데이븐포트 리사 레이몬드 | 6-1, 6-4 |
준우승 | 16. | 2003년 3월 | 인디언 웰스 오픈, 미국 | 하드 | 킴 클레이스터스 | 린지 데이븐포트 리사 레이몬드 | 6-3, 4-6, 1-6 |
준우승 | 17. | 2003년 5월 | 독일 오픈 | 클레이 | 킴 클레이스터스 | 버지니아 루아노 파스쿠알 파올라 수아레스 | 3-6, 6-4, 4-6 |
우승 | 24. | 2003년 6월 | 프랑스 오픈 | 클레이 | 킴 클레이스터스 | 버지니아 루아노 파스쿠알 | 6-7(5), 6-2, 9-7 |
우승 | 25. | 2003년 7월 | 윔블던, 영국 | 잔디 | 킴 클레이스터스 | 버지니아 루아노 파스쿠알 | 6-4, 6-4 |
우승 | 26. | 2003년 8월 | 샌디에이고 오픈, 미국 | 하드 | 킴 클레이스터스 | 린지 데이븐포트 리사 레이몬드 | 6-4, 7-5 |
준우승 | 18. | 2003년 9월 | 차이나 오픈 | 하드 | 타마린 타나수가른 | 에밀리 로이트 니콜 프랫 | 3-6, 3-6 |
우승 | 27. | 2003년 10월 | 취리히 오픈, 스위스 | 하드 (실내) | 킴 클레이스터스 | 버지니아 루아노 파스쿠알 파올라 수아레스 | 7-6(3), 6-2 |
우승 | 28. | 2003년 10월 | 린츠 오픈, 오스트리아 | 하드 (실내) | 리젤 후버 | 마리옹 바르톨리 실비아 파리나 엘리아 | 6-1, 7-6(6) |
준우승 | 19. | 2003년 11월 | WTA 파이널스, 뉴욕 | 하드 (실내) | 킴 클레이스터스 | 버지니아 루아노 파스쿠알 파올라 수아레스 | 4-6, 6-3, 3-6 |
준우승 | 20. | 2004년 7월 | 윔블던, 영국 | 잔디 | 리젤 후버 | 카라 블랙 레니 스텁스 | 3-6, 6-7(5) |
우승 | 29. | 2004년 8월 | 캐나다 오픈 | 하드 | 아사고에 시노부 | 리젤 후버 타마린 타나수가른 | 6-0, 6-3 |
우승 | 30. | 2004년 9월 | 발리 클래식, 인도네시아 | 하드 | 아나스타샤 미스키나 |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 6-3, 7-5 |
준우승 | 21. | 2005년 1월 | 시드니 국제, 호주 | 하드 | 엘레나 데멘티에바 | 브라이언 스튜어트 사만다 스토서 | 기권 |
우승 | 31. | 2005년 6월 | 버밍엄 클래식, 영국 | 잔디 | 다니엘라 한투호바 | 엘레니 다닐리두 제니퍼 러셀 | 6-2, 6-3 |
준우승 | 22. | 2005년 8월 | 샌디에이고 오픈, 미국 | 하드 | 다니엘라 한투호바 | 콘치타 마르티네스 버지니아 루아노 파스쿠알 | 7-6(7), 1-6, 5-7 |
준우승 | 23. | 2005년 10월 | 취리히 오픈, 스위스 | 하드 (실내) | 다니엘라 한투호바 | 카라 블랙 레니 스텁스 | 7-6(6), 6-7(4), 3-6 |
우승 | 32. | 2006년 3월 | 카타르 레이디스 오픈 | 하드 | 다니엘라 한투호바 | 리팅 쑨톈톈 | 6-4, 6-4 |
우승 | 33. | 2006년 5월 | 이탈리아 오픈 | 클레이 | 다니엘라 한투호바 | 크베타 페슈케 프란체스카 스키아보네 | 3-6, 6-3, 6-1 |
준우승 | 24. | 2006년 6월 | 프랑스 오픈 | 클레이 | 다니엘라 한투호바 | 리사 레이몬드 사만다 스토서 | 3-6, 2-6 |
준우승 | 25. | 2006년 8월 | LA 챔피언십, 미국 | 하드 | 다니엘라 한투호바 | 버지니아 루아노 파스쿠알 파올라 수아레스 | 3-6, 4-6 |
준우승 | 26. | 2007년 5월 | 프랑스 오픈 | 클레이 | 카타리나 스레보트니크 | 알리시아 몰리크 마라 산탄젤로 | 6-7, 4-6 |
준우승 | 27. | 2007년 6월 | 윔블던, 영국 | 잔디 | 카타리나 스레보트니크 | 카라 블랙 리젤 후버 | 6-3, 3-6, 2-6 |
우승 | 34. | 2007년 8월 | 캐나다 오픈 | 하드 | 카타리나 스레보트니크 | 카라 블랙 리젤 후버 | 6-4, 2-6, [10-5] |
준우승 | 28. | 2007년 10월 | 린츠 오픈, 오스트리아 | 하드 | 카타리나 스레보트니크 | 카라 블랙 리젤 후버 | 2-6, 6-3, [8-10] |
준우승 | 29. | 2007년 11월 | WTA 투어 챔피언십, 마드리드 | 하드 (실내) | 카타리나 스레보트니크 | 카라 블랙 리젤 후버 | 7-5, 3-6, [8-10] |
준우승 | 30. | 2008년 2월 | 앤트워프 게임, 벨기에 | 하드 (실내) | 크베타 페슈케 | 카라 블랙 | 1-6, 3-6 |
우승 | 35. | 2008년 4월 | 마이애미 오픈, 미국 | 하드 | 카타리나 스레보트니크 | 카라 블랙 리젤 후버 | 7-5, 4-6, [10-3] |
우승 | 36. | 2008년 4월 | 찰스턴 오픈, 미국 | 클레이 | 카타리나 스레보트니크 | 에디나 갈로비츠 올가 고보르초바 | 6-2, 6-2 |
우승 | 37. | 2008년 10월 | 린츠 오픈, 오스트리아 | 하드 (실내) | 카타리나 스레보트니크 | 카라 블랙 리젤 후버 | 6-4, 7-5 |
준우승 | 31. | 2009년 1월 | 호주 오픈 | 하드 | 다니엘라 한투호바 | 세레나 윌리엄스 비너스 윌리엄스 | 3-6, 3-6 |
준우승 | 32. | 2009년 5월 | 이탈리아 오픈 | 클레이 | 다니엘라 한투호바 | 셰쑤웨이 펑솨이 | 5-7, 6-7(5) |
우승 | 38. | 2009년 6월 | 이스트본 국제, 영국 | 잔디 | 아그굴 아만무라도바 | 사만다 스토서 레니 스텁스 | 6-4, 6-3 |
준우승 | 33. | 2009년 10월 | 팬 퍼시픽 오픈, 일본 | 하드 (실내) | 다니엘라 한투호바 | 알리사 클레이바노바 프란체스카 스키아보네 | 4-6, 2-6 |
4.3. 올림픽 및 연말 챔피언십
스기야마는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여자 복식에서 아사고에 시노부와 짝을 이루어 4위를 기록했다. 동메달 결정전에서 파올라 수아레스와 파트리시아 타라비니에게 3-6, 3-6으로 패했다.
WTA 투어 챔피언십 복식에서는 2회 준우승을 기록했다.
결과 | 연도 | 장소 | 코트 | 파트너 | 상대 | 점수 |
---|---|---|---|---|---|---|
준우승 | 2003 | 로스앤젤레스 | 하드 (실내) | 킴 클레이스터스 | 버지니아 루아노 파스쿠알 파올라 수아레스 | 4-6, 6-3, 3-6 |
준우승 | 2007 | 마드리드 | 하드 (실내) | 카타리나 스레보트니크 | 카라 블랙 리젤 후버 | 7-5, 3-6, [8-10] |
4.4. ITF 서킷
ITF 서킷에서 스기야마는 단식 1회 우승, 2회 준우승을 기록했다.
결과 | No. | 날짜 | 대회 | 코트 | 상대 | 점수 |
---|---|---|---|---|---|---|
준우승 | 1. | 1992년 7월 19일 | ITF 에반스빌, 미국 | 하드 | 이바 마욜리 | 3-6, 1-6 |
우승 | 2. | 1992년 7월 20일 | ITF 로어노크, 미국 | 하드 | 타티아나 이그나티에바 | 6-2, 3-2 기권 |
준우승 | 3. | 1993년 7월 19일 | ITF 세인트 시몬스, 미국 | 클레이 | 나가노 히로미 | 1-6, 1-6 |
복식에서는 4회 우승, 1회 준우승을 기록했다.
결과 | No. | 날짜 | 대회 | 코트 | 파트너 | 상대 ! 점수 | |
---|---|---|---|---|---|---|---|
우승 | 1. | 1992년 2월 10일 | ITF 방콕, 태국 | 하드 | 도노시로 마미 | 황첸 | 6-4, 3-6, 6-4 |
준우승 | 2. | 1992년 2월 17일 | ITF 반둥, 인도네시아 | 하드 | 도노시로 마미 | 첸리 | 6-4, 3-6, 4-6 |
우승 | 3. | 1993년 6월 26일 | ITF 로어노크, 미국 | 하드 | 사사노 요시코 | 마레즈 주베르 | 6-4, 6-3 |
우승 | 4. | 1994년 8월 21일 | ITF 페이엣빌, 미국 | 하드 | 요시다 유카 | 안드레아 린드 | 6-4, 7-5 |
우승 | 5. | 2007년 5월 6일 | 캥거루 컵, 일본 | 카펫 | 모리타 아유미 | 이이지마 쿠미코 | 6-1, 3-6, 6-0 |
4.5. 주요 기록
스기야마는 그랜드 슬램 본선에 62회 연속 출전하여 남녀 선수를 통틀어 역대 최다 기록을 보유했다. 이 기록은 2015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서 로저 페더러에 의해 경신되었다. 그녀는 2008년 윔블던에서 57회 연속 출전 기록을 세웠고, 2009년 윔블던에서는 61회 연속 출전 기록을 연장했다.
5. 경력 통계
5.1. 총 상금 및 순위
스기야마는 선수 경력 동안 총 812.81 만 USD의 상금을 획득했다. 그녀의 연도별 상금 및 순위는 다음과 같다.
연도 | 그랜드 슬램 단식 타이틀 | WTA 단식 타이틀 | 총 단식 타이틀 | 상금 (USD) | 상금 순위 |
---|---|---|---|---|---|
1992-94 | 0 | 0 | 0 | 13.26 만 USD | N/A |
1995 | 0 | 0 | 0 | 15.43 만 USD | 37 |
1996 | 0 | 0 | 0 | 16.01 만 USD | 43 |
1997 | 0 | 1 | 1 | 30.78 만 USD | 26 |
1998 | 0 | 2 | 2 | 37.77 만 USD | 19 |
1999 | 0 | 0 | 0 | 40.51 만 USD | 24 |
2000 | 0 | 0 | 0 | 72.96 만 USD | 12 |
2001 | 0 | 0 | 0 | 43.64 만 USD | 26 |
2002 | 0 | 0 | 0 | 41.64 만 USD | 26 |
2003 | 0 | 2 | 2 | 125.43 만 USD | 7 |
2004 | 0 | 1 | 1 | 73.64 만 USD | 17 |
2005 | 0 | 0 | 0 | 49.56 만 USD | 25 |
2006 | 0 | 0 | 0 | 59.51 만 USD | 25 |
2007 | 0 | 0 | 0 | 69.19 만 USD | 21 |
2008 | 0 | 0 | 0 | 75.72 만 USD | 18 |
2009 | 0 | 0 | 0 | 47.76 만 USD | 44 |
경력 | 0 | 6 | 6 | 812.81 만 USD | 27 |
연말 단식 랭킹은 2004년에 최고 8위를 기록했으며, 연말 복식 랭킹은 2000년에 세계 1위를 달성했다.
연도 |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단식 연말 랭킹 | 180 | 142 | 72 | 46 | 32 | 20 | 18 | 24 | 33 | 30 | 24 | 10 | 17 | 30 | 26 | 38 | 31 | N/A |
복식 연말 랭킹 | 208 | 53 | 45 | 77 | 25 | 13 | 16 | 2 | 1 | 9 | 12 | 3 | 9 | 14 | 12 | 6 | 6 | - |
6. 수상 및 인정
아이 스기야마는 1999년에 WTA 카렌 크란츠케 스포츠맨십 상을 수상했다. 이 상은 테니스 코트 안팎에서 프로페셔널리즘, 페어플레이, 스포츠맨십을 보여준 선수에게 수여된다.
7. 영향 및 유산
아이 스기야마는 일본 테니스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여자 복식에서 세계 1위에 오르고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획득하며 일본 테니스의 위상을 높였다. 그녀의 62회 연속 그랜드 슬램 본선 출전 기록은 테니스 역사상 전례 없는 꾸준함과 헌신을 보여주는 증거로 남아있다.
7.1. 은퇴 후 활동
은퇴 후 스기야마는 일본의 TV 프로그램인 スッキリ슷키리일본어의 월요일 코멘테이터로 활동하며 대중에게 꾸준히 모습을 비추고 있다. 또한 그녀는 일본 내에서 자신의 테니스 아카데미를 통해 젊은 선수들을 가르치며 후학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