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삶과 배경
아드리아노 잔니니는 1971년 5월 10일 이탈리아 로마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배우 잔카를로 잔니니와 리비아 지암팔모이다.
1.1. 출생 및 가족
아드리아노 잔니니는 1971년 5월 10일, 그의 부모인 배우 잔카를로 잔니니와 리비아 지암팔모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21세에 동맥류로 사망한 로렌초라는 형이 있었다. 또한 그는 아버지 잔카를로 잔니니가 배우 유리야 델 보노와 재혼하여 얻은 두 명의 이복 남동생이 있다.
1.2. 초기 경력 시작
아드리아노 잔니니는 18세가 되던 해에 연기 경력을 시작했다. 그의 초기 경력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역할은 2002년 개봉한 영화 《스웹트 어웨이》에서 마돈나와 함께 출연한 것이었다. 이 영화는 비평가들로부터 혹평을 받았지만, 그는 이 작품에서 그의 아버지가 동명의 1974년 이탈리아 원작 영화에서 연기했던 것과 동일한 주세페 에스포시토 역을 맡아 눈길을 끌었다. 특히 그는 이 영화의 이탈리아어 및 스페인어 버전에서 자신의 캐릭터 대사를 직접 더빙하기도 했다.
2. 연기 경력
아드리아노 잔니니는 영화와 텔레비전 시리즈를 오가며 활발한 연기 활동을 펼쳤다. 그는 다양한 장르의 작품에서 주연 및 조연 역할을 소화하며 연기 스펙트럼을 넓혔다.
2.1. 영화 출연
아드리아노 잔니니는 다수의 영화에 출연하여 연기력을 선보였다. 다음은 그가 출연한 주요 영화 목록이다.
| 연도 | 제목 | 역할 |
|---|---|---|
| 2001 | 《리스본행 노란색 시트로엥》 | 마르코 |
| 2002 | 《스웹트 어웨이》 | 주세페 에스포시토 |
| 2004 | 《스테이 위드 미》 | 난니 |
| 《사랑의 결과》 | 발레리오 디 지롤라모 | |
| 《우나 탈파 알 비오파르코》 | 데이비드 | |
| 《오션스 트웰브》 | 박물관장 | |
| 2007 | 《13송이 장미》 | 폰텐라 |
| 《네로 비파밀리아레》 | 오소부코 | |
| 2008 | 《빗속의 산드린》 | 레오나르도 |
| 2009 | 《라 카사 술레 누볼레》 | 아드리아노 라지 |
| 2010 | 《키스 미 어게인》 | 시모네 |
| 2011 | 《블랙 골드》 | 파일럿 |
| 2014 | 《페어리테일 웨딩》 | 루카 마지 |
| 《어 워먼 애즈 어 프렌드》 | 조반니 | |
| 《센자 네쑤나 피에타》 | 마누엘 | |
| 《아이스 포레스트》 | 로렌조 | |
| 《암보》 | 줄리오 | |
| 2015 | 《아이 킬드 나폴레옹》 | 파리데 프레스카 |
| 《포 유어 러브》 | 미켈레 미글리아치오 | |
| 2017 | 《일 콜로레 나스코스토 델레 코세》 | 테오 모스코네 |
| 2018 | 《레드 핸드의 전설》 | 다비데 |
| 2019 | 《비베레》 | 루카 아토레 |
| 2020 | 《결박》 | 성인 산드로 |
| 2021 | 《세 개의 바닥》 | 조르조 |
| 2023 | 《아다지오》 | 바스코 |
| 2024 | 《론리 플래닛》 | 우고 자코넬리 |
2.2. 텔레비전 출연
아드리아노 잔니니는 텔레비전 영화와 시리즈에서도 다양한 배역을 맡아 시청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다음은 그가 출연한 주요 텔레비전 작품 목록이다.
|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 2004 | 《루이사 산펠리체》 | 살바토 팔미에리 | 텔레비전 영화 |
| 2006 | 《48 오레》 | 레나토 텐코 | 12개 에피소드 |
| 2008 | 《티그리 디 카르타》 | 제라드 | 3개 에피소드 |
| 2009 | 《이솔라 데이 세그레티: 코레》 | 바스코 브란디 | 4개 에피소드 |
| 2011 | 《아모레 프로이비토》 | 발레리오 | 텔레비전 영화 |
| 2012 | 《6 파시 넬 잘로》 | 마르코 벤투라 | 에피소드: "소토 프로테치오네" |
| 《미씽》 | 잔카를로 로시 | 10개 에피소드 | |
| 2013-2016 | 《인 트리트먼트》 | 피에트로 | 14개 에피소드 |
| 2014 | 《코스모폴리탄즈》 | 산드로 | 텔레비전 영화 |
| 2016 | 《보리스 줄리아노: 팔레르모의 경찰관》 | 보리스 줄리아노 | 텔레비전 영화 |
| 2017 | 《일 코라지오 디 빈체레》 | 로코 디 산토 | 텔레비전 영화 |
| 2022 | 《뱅뱅 베이비》 | 산토 마리아 바로네 | 10개 에피소드 |
| 2024 | 《슈퍼섹스》 | 토마소 | 7개 에피소드 |
3. 성우 및 더빙 경력
아드리아노 잔니니는 배우 활동 외에도 성우로서 폭넓은 활동을 펼쳐왔다. 그는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이탈리아어 원어 성우로 참여하기도 했으며, 수많은 해외 영화와 텔레비전 시리즈의 이탈리아어 더빙판에서 유명 배우들의 목소리를 담당하며 이탈리아 더빙 업계의 주요 인물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했다.
3.1. 원어 성우 역할
아드리아노 잔니니는 다양한 작품에서 캐릭터의 이탈리아어 원어 성우로 활동했다.
|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 2003 | 《신밧드: 7대양의 전설》 | 쥐 | 애니메이션 영화 (이탈리아어 더빙판에서는 프란체스코 바이아노로 교체됨) |
| 2015 | 《데이 콜 미 지그》 | 기자 | 목소리 카메오 |
| 2016 | 《네이플스 44》 | 내레이션 | 다큐멘터리 영화 |
3.2. 더빙 역할
아드리아노 잔니니는 이탈리아어 더빙판에서 다른 배우나 캐릭터의 목소리를 더빙하는 데 폭넓게 참여했다. 특히 그는 여러 번에 걸쳐 특정 배우들의 전담 더빙 성우로 활동하며 그들의 이탈리아어 목소리를 대변했다.
3.2.1. 실사 영화 더빙
그는 수많은 할리우드 영화에서 주요 배우들의 이탈리아어 더빙을 담당했다. 다음은 그가 더빙한 주요 실사 영화 및 배우들이다.
| 연도 | 제목 | 역할 | 원어 배우 |
|---|---|---|---|
| 2004 | 《배드 에듀케이션》 | 엔리케 고데드 | 펠레 마르티네스 |
| 《레모니 스니켓의 위험한 대결》 | 레모니 스니켓 | 주드 로 | |
| 2005 | 《에드몬드》 | 에드몬드 버크의 감방 동료 | 부킴 우드바인 |
| 2006 | 《캔디》 | 댄 | 히스 레저 |
| 《블랙 달리아》 | 드와이트 "버키" 블라이처트 | 조시 하트넷 | |
| 《스톤 머천트》 | 알체오 | 조르디 몰라 | |
| 2007 | 《굿바이 바파나》 | 제임스 그레고리 | 조지프 파인스 |
| 《아임 낫 데어》 | 로비 클라크 | 히스 레저 | |
| 2008 | 《나의 특별한 사랑 이야기》 | 윌 헤이스 | 라이언 레이놀즈 |
| 《10,000 BC》 | 딜레 | 스티븐 스트레이트 | |
| 《다크 나이트》 | 조커 | 히스 레저 | |
| 《세인트 안나의 기적》 | 헥터 네그론 | 래즈 알론소 | |
| 《오스트레일리아》 | 더 드로버 | 휴 잭맨 | |
| 2009 | 《스타 트렉: 더 비기닝》 | 네로 함장 | 에릭 바나 |
| 《왓에버 웍스》 | 랜디 리 제임스 | 헨리 카빌 | |
| 《커플 테라피》 | 살바도르 | 카를로스 폰세 | |
| 《아바타》 | 추테이 | 래즈 알론소 | |
| 2010 | 《데이트 나이트》 | 톰 "테이스트" 펠턴 / 트리플혼 | 제임스 프랭코 |
| 《파이터》 | 디키 에클런드 | 크리스찬 베일 | |
| 2011 | 《미드나잇 인 파리》 | 어니스트 헤밍웨이 | 코리 스톨 |
| 《그린 랜턴》 | 할 조던 / 그린 랜턴 | 라이언 레이놀즈 | |
| 2012 | 《온 더 로드》 | 딘 모리아티 | 개릿 헤드룬드 |
| 《로우리스》 | 포레스트 본듀런트 | 톰 하디 | |
| 《마스터》 | 프레디 퀠 | 호아킨 피닉스 | |
| 2013 | 《카운슬러》 | 웨스트레이 | 브래드 피트 |
| 2014 | 《엑소더스: 신들과 왕들》 | 모세 | 크리스찬 베일 |
| 2015 | 《파더스 앤 도터스》 | 캐머런 | 에런 폴 |
| 《레버넌트: 죽음에서 돌아온 자》 | 존 피츠제럴드 | 톰 하디 | |
| 2017 | 《스타워즈 에피소드 VIII: 라스트 제다이》 | DJ | 베니시오 델 토로 |
| 2018 | 《막달라 마리아》 | 예수 | 호아킨 피닉스 |
| 《베놈》 | 에디 브록 / 베놈 | 톰 하디 | |
| 2019 | 《헬보이》 | 헬보이 / 아눙 운 라마 | 데이비드 하버 |
| 《조커》 | 아서 플렉 / 조커 | 호아킨 피닉스 | |
| 2024 | 《조커: 폴리 아 되》 |
그는 또한 이탈리아어 버전에서 라즈 데간의 목소리를 여러 차례 더빙하기도 했다.
3.2.2. 애니메이션 영화 더빙
아드리아노 잔니니는 애니메이션 영화의 이탈리아어 더빙판에서도 중요한 캐릭터들의 목소리를 맡았다.
| 연도 | 제목 | 역할 |
|---|---|---|
| 2010 | 《메가마인드》 | 메트로 맨 |
| 2013 | 《에픽: 숲속의 전설》 | 만드레이크 |
| 2021 | 《씽2게더》 | 지미 크리스털 |
3.2.3. 실사 텔레비전 더빙
그는 실사 텔레비전 미니시리즈 및 시리즈에서도 해외 배우들의 목소리를 이탈리아어로 더빙했다.
| 연도 | 제목 | 역할 | 원어 배우 |
|---|---|---|---|
| 2005 |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 젊은 카롤 보이티와 | 캐리 엘위스 |
| 2009 | 《시시》 | 줄러 안드라시 | 벤야민 새들러 |
| 2010 | 《라 라드라》 | 단테 미스트레타 | 요하네스 브란트루프 |
| 2014-현재 | 《트루 디텍티브》 | 러스트 콜 | 매튜 매커너히 |
3.2.4. 애니메이션 텔레비전 더빙
잔니니는 애니메이션 텔레비전 시리즈에서도 더빙 활동을 했다.
|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 2007 | 《팻 & 스탠》 | 팻 | 39개 에피소드 (첫 번째 목소리) |
4. 개인 생활
아드리아노 잔니니는 2019년 트루사르디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인 가이아 트루사르디와 2년간의 교제 끝에 결혼했다. 그의 가족 관계에 대해서는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요절한 형 로렌초와 아버지 잔카를로 잔니니의 재혼으로 얻은 두 명의 이복 남동생이 있다.
5. 유산 및 평가
아드리아노 잔니니는 이탈리아 영화 및 텔레비전 산업에서 배우와 성우로서 다재다능하고 중요한 기여를 해왔다.
5.1. 긍정적 평가
그는 배우로서 다양한 영화와 텔레비전 시리즈에서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보여주었다. 특히 《스웹트 어웨이》와 같이 아버지의 유산을 이어받은 역할에서 깊은 인상을 남기며 자신만의 연기 세계를 구축했다. 그의 진정한 강점은 성우 및 더빙 분야에서 빛을 발한다. 그는 히스 레저와 호아킨 피닉스가 연기한 상징적인 캐릭터인 조커의 이탈리아어 목소리를 담당하며 이탈리아 관객들에게 이 캐릭터의 이미지를 각인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또한 크리스찬 베일, 톰 하디, 라이언 레이놀즈, 베니시오 델 토로와 같은 할리우드 거물급 배우들의 전담 더빙 성우로서 그들의 연기를 이탈리아어로 자연스럽게 전달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이러한 그의 노력은 해외 작품들이 이탈리아에서 성공적으로 안착하고 관객들에게 깊이 있게 다가가는 데 필수적인 요소로 평가받는다.
5.2. 비판 및 논란
현재까지 아드리아노 잔니니의 활동이나 개인적인 측면과 관련하여 알려진 비판적 시각이나 논란은 자료에서 확인되지 않는다.
6. 영향
아드리아노 잔니니는 이탈리아의 배우이자 성우로서, 특히 더빙 분야에서 이탈리아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그는 해외 영화 및 텔레비전 시리즈가 이탈리아 시장에 성공적으로 수용되는 데 필수적인 가교 역할을 수행했으며, 그의 더빙을 통해 수많은 국제적인 캐릭터와 배우들이 이탈리아 관객들에게 더욱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었다. 이는 이탈리아 더빙 산업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 데 기여했으며, 그가 더빙한 상징적인 역할들은 이탈리아 대중문화에 깊이 뿌리내렸다. 잔카를로 잔니니의 아들로서 아버지의 연기 유산을 이어받으면서도 성우라는 자신만의 독자적인 영역을 개척하여 성공한 사례로 평가받는다.

7. 참고 항목
- 잔카를로 잔니니
- 리비아 지암팔모
- 스웹트 어웨이 (2002년 영화)
- 조커 (영화)
- 다크 나이트
- 히스 레저
- 호아킨 피닉스
- 크리스찬 베일
- 톰 하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