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배경
아돌리스 가르시아는 1993년 3월 2일 쿠바 시에고 데 아빌라 주에서 태어났다. 그는 스포츠 교육 기관인 마리나 사무엘 노블(Marina Samuel Noble)에서 학업을 마쳤다. 아돌리스 가르시아의 8살 위 친형인 아도니스 가르시아도 프로 야구 선수로 활동한 바 있다.
2. 프로 경력
아돌리스 가르시아는 쿠바 국내 리그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하여 일본 프로 야구를 거쳐 메이저 리그에 진출했으며, 특히 텍사스 레인저스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2.1. 쿠바 내셔널 시리즈
가르시아는 2011-2012 시즌부터 2016년까지 쿠바 내셔널 시리즈의 시에고 데 아빌라 타이거스 소속으로 뛰었다. 2014-2015 시즌에는 62득점, 110안타로 리그 최다 안타를 기록했으며, 2015년과 2016년에는 타점왕 타이틀을 획득했다. 2015년 7월에는 팬아메리칸 게임 야구 종목의 쿠바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었다. 2016년 2월에는 캐리비안 시리즈에 시에고 데 아빌라 보강 선수로 출전했으며, 같은 해 3월에는 탬파베이 레이스와의 친선 경기에 쿠바 대표로 선발되었다. 쿠바 내셔널 시리즈 통산 4시즌 동안 181경기에 출장하여 520타수 157안타, 타율 .302, 14홈런, 68타점, 14도루를 기록했다.
2.2. 일본 프로 야구 (NPB)
2016년 4월 20일, 가르시아는 NPB의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계약했다. 그는 2016년 6월 16일 도쿄 돔에서 열린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와의 경기 5회말 타하라 세이지의 대타로 출전하여 처음으로 1군 무대를 밟았고, 같은 경기에서 후쿠야마 히로유키를 상대로 헛스윙 삼진을 당하며 첫 타석을 기록했다. 2016년 6월 18일 도쿄 돔에서 열린 지바 롯데 마린스와의 경기에서 1번 타자 좌익수로 선발 출전하며 첫 선발 출장 기록을 세웠다. 그러나 4경기에 출전하여 7타수 무안타라는 저조한 성적을 기록한 뒤 2군으로 내려갔다. 이후 2016년 8월 18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계약이 해지되었다. 계약 해지 후 8월 20일 쿠바로 귀국할 예정이었으나, 경유지인 프랑스에서 행방불명되었으며, 미국으로 망명하기 위해 실종된 것으로 보도되었다. 그는 12월 2일 공식적으로 미국의 FA로 공시되었다. 요미우리에서의 짧은 NPB 경력은 4경기 7타석 7타수 0안타, 0득점, 0타점, 0도루, 3삼진을 기록하며 마무리되었다.
2.3. 메이저 리그 (MLB)
가르시아는 2017년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와 계약하며 MLB 무대를 향한 여정을 시작했고, 이후 텍사스 레인저스로 이적하여 주전 선수로 발돋움하며 뛰어난 활약을 보여주었다.
2.3.1.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가르시아는 2017년 2월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와 마이너 계약을 맺고 스프링 트레이닝에 초청 선수로 참가했다. 그는 2017시즌을 더블A 스프링필드 카디널스와 트리플A 멤피스 레드버즈에서 보냈으며, 두 팀에서 총 타율 .290, 15홈런, 65타점을 기록했다. 2018 시즌에도 멤피스에서 시작하여 112경기에서 타율 .256, 22홈런, 71타점, 10도루를 기록했다. 2018년 8월 6일, 카디널스는 가르시아를 메이저 리그로 승격시켰다. 그는 8월 8일 마이애미 말린스전에서 8번 중견수로 선발 출전하며 메이저 리그에 데뷔했으나, 4타수 무안타를 기록했다. 카디널스에서 21경기에 출전하여 17타수 동안 2안타(12루타 포함), 1타점을 기록했다. 2019년에는 MLB 출전 기록이 없었으며, 2019년 12월 18일 지명 할당되었다.

2.3.2. 텍사스 레인저스
2019년 12월 21일, 가르시아는 현금을 대가로 텍사스 레인저스로 트레이드되었다. 2020년에는 텍사스 레인저스 소속으로 3경기에 출전하여 6타수 무안타를 기록했다.
3. 플레이 스타일 및 기술
아돌리스 가르시아는 강타자 유형의 타자로 평가받으며, 강한 송구 능력을 갖춘 외야수로서 공격과 수비 양면에서 뛰어난 기량을 보여준다. 일본 요미우리 자이언츠 시절에는 적응에 어려움을 겪었으나, 당시 팀 동료였던 나가노 히사요시가 낯선 일본 생활에서 자신을 항상 도와주고 위로해주었다며 그에게 깊은 감사를 표했다. 나가노와의 만남은 그에게 일본에서의 성공적인 경험으로 기억되고 있다고 한다.
4. 주요 수상 및 영예
4.1. 쿠바 내셔널 시리즈
- 타이틀**
- 최다 타점 : 2회 (2015년, 2016년)
- 최다 안타 : 1회 (2014년, 2015년)
4.2. 메이저 리그 (MLB)
- 수상**
- 골드 글러브 (외야수 부문) : 1회 (2023년)
-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MVP : 1회 (2023년)
- 베이브 루스상 : 1회 (2023년)
- 이주의 선수 : 1회 (2021년)
- 올MLB 세컨드 팀 (외야수) : 1회 (2023년)
- 기록**
- MLB 올스타전 선정 : 2회 (2021년, 2023년)
- 단일 포스트시즌 최다 타점: 22타점 (2023년)
5. 개인 생활
아돌리스 가르시아는 전 프로 야구 선수인 아도니스 가르시아의 남동생이다. 또한 랜디 아로자레나의 딸의 대부이기도 하다. 아로자레나는 가르시아보다 1년 먼저 쿠바를 망명했으며, 카디널스에서 첫 마이너 리그 계약을 맺은 공통점이 있다. 아로자레나는 2023년 7월 가르시아를 "마치 형제 같은 사이"라고 표현했다.
6. 통산 성적
6.1. 타격 성적
연도 | 팀 | 경기 | 타석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루실패 | 희생번트 | 희생플라이 | 볼넷 | 고의사구 | 사구 | 삼진 | 병살타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2011-2012 | CAV | 27 | 38 | 37 | 3 | 8 | 1 | 0 | 1 | 12 | 3 | 0 | 0 | 1 | 0 | 0 | 0 | 0 | 9 | 1 | .216 | .216 | .324 | .541 |
2012-2013 | CAV | 29 | 14 | 13 | 10 | 3 | 0 | 0 | 0 | 3 | 1 | 0 | 0 | 0 | 0 | 0 | 0 | 1 | 4 | 0 | .231 | .286 | .231 | .516 |
2013-2014 | CAV | 40 | 145 | 128 | 17 | 36 | 5 | 3 | 1 | 50 | 11 | 3 | 2 | 7 | 0 | 8 | 1 | 2 | 28 | 1 | .281 | .333 | .391 | .724 |
2014-2015 | CAV | 85 | 378 | 342 | 62 | 110 | 14 | 3 | 12 | 166 | 53 | 11 | 14 | 6 | 4 | 20 | 1 | 6 | 67 | 5 | .322 | .366 | .485 | .851 |
쿠바 내셔널 시리즈(CNS) 합계: 4시즌 | 181 | 575 | 520 | 92 | 157 | 20 | 6 | 14 | 231 | 68 | 14 | 16 | 14 | 4 | 28 | 2 | 9 | 108 | 7 | .302 | .346 | .444 | .790 | |
2016 | 巨人 | 4 | 7 | 7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3 | 0 | .000 | .000 | .000 | .000 |
일본 프로 야구(NPB) 합계: 1시즌 | 4 | 7 | 7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3 | 0 | .000 | .000 | .000 | .000 | |
2018 | STL | 21 | 17 | 17 | 3 | 2 | 1 | 0 | 0 | 3 | 1 | 0 | 0 | 0 | 0 | 0 | 0 | 0 | 7 | 0 | .118 | .118 | .176 | .294 |
2020 | TEX | 3 | 7 | 6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1 | 0 | 0 | 4 | 0 | .000 | .143 | .000 | .143 |
2021 | TEX | 149 | 622 | 581 | 77 | 141 | 26 | 2 | 31 | 264 | 90 | 16 | 5 | 0 | 4 | 32 | 0 | 5 | 194 | 15 | .243 | .286 | .454 | .741 |
2022 | TEX | 156 | 657 | 605 | 88 | 151 | 34 | 5 | 27 | 276 | 101 | 25 | 6 | 0 | 6 | 40 | 2 | 6 | 183 | 9 | .250 | .300 | .456 | .756 |
2023 | TEX | 148 | 632 | 555 | 108 | 136 | 29 | 0 | 39 | 282 | 107 | 9 | 1 | 0 | 6 | 65 | 2 | 6 | 175 | 12 | .245 | .328 | .508 | .836 |
2024 | TEX | 154 | 637 | 580 | 68 | 130 | 27 | 0 | 25 | 232 | 85 | 11 | 5 | 0 | 6 | 45 | 2 | 6 | 177 | 12 | .224 | .284 | .400 | .684 |
메이저 리그(MLB) 합계: 6시즌 | 631 | 2572 | 2344 | 344 | 560 | 117 | 7 | 122 | 1057 | 384 | 61 | 17 | 0 | 22 | 183 | 4 | 23 | 740 | 48 | .239 | .298 | .451 | .749 |
6.2. 수비 성적
연도 | 팀 | 좌익수(LF) | 중견수(CF) | 우익수(RF) | |||||||||||||||
---|---|---|---|---|---|---|---|---|---|---|---|---|---|---|---|---|---|---|---|
경기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경기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경기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
2018 | STL | 4 | 1 | 0 | 0 | 0 | 1.000 | 1 | 2 | 0 | 0 | 0 | 1.000 | 7 | 1 | 0 | 1 | 0 | .500 |
2020 | TEX | 3 | 8 | 0 | 0 | 0 | 1.000 | - | - | ||||||||||
2021 | TEX | 9 | 7 | 0 | 0 | 0 | 1.000 | 79 | 206 | 7 | 3 | 1 | .986 | 51 | 112 | 9 | 1 | 2 | .992 |
2022 | TEX | - | 57 | 105 | 2 | 1 | 0 | .991 | 93 | 164 | 8 | 4 | 1 | .977 | |||||
2023 | TEX | - | 8 | 15 | 0 | 1 | 0 | .938 | 135 | 283 | 11 | 5 | 1 | .983 | |||||
2024 | TEX | - | - | 131 | 253 | 5 | 4 | 3 | .985 | ||||||||||
메이저 리그(MLB) 합계 | 16 | 16 | 0 | 0 | 0 | 1.000 | 145 | 328 | 9 | 5 | 1 | .985 | 417 | 813 | 33 | 15 | 7 | .983 |
7. 같이 보기
- 형제 스포츠인 목록
- 쿠바 출신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선수 목록
- 일본 프로 야구/외국인 선수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