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타하라 세이지는 1989년 9월 2일 미야자키현 노베오카시에서 태어난 일본인 프로 야구 선수이다.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투수로 활약했으며, 우투좌타의 사이드암 투수로 정교한 제구와 다양한 변화구를 구사하는 기교파 유형이었다. 2011년 일본 프로 야구 드래프트에서 요미우리 자이언츠에 7순위로 지명되어 프로에 입단했고, 데뷔 첫 해인 2012년부터 1군에 등판하여 팀의 불펜 핵심으로 성장했다. 특히 2015년부터 2018년까지는 꾸준히 1군에서 활약하며 팀의 승리에 기여했다. 2020년 시즌 후 자유계약선수가 되었고, 은퇴 후에는 사회인 야구 팀의 지도자로 새로운 경력을 시작했다.
2. 생애 초기 및 아마추어 경력
타하라 세이지는 프로 야구 선수로 데뷔하기 전부터 야구에 대한 열정을 키워왔으며, 초등학교 시절부터 사회인 야구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경험을 쌓았다.
2.1. 유년기 및 학창 시절 야구
타하라는 미야자키현 노베오카시립 오카토미 초등학교 3학년 때 소프트볼을 시작하며 야구와 인연을 맺었다. 이후 노베오카시립 오카토미 중학교 재학 중에는 연식 야구부에 소속되어 활동했다.
2.2. 고등학교 야구
세이신 우르술라 학원 고등학교에 내야수로 입학했지만, 입부 당시에는 등번호조차 받지 못할 정도로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다. 2학년 가을, 감독의 조언으로 투수로 전향하게 된다. 이후 타격 연습을 할 때 제구의 어려움을 겪으면서 현재의 사이드암 투구폼으로 전환하게 되었다. 3학년 여름에는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 미야자키현 예선 2회전에서 패배하며 탈락했고, 재학 중에는 고시엔 출전 경험이 없다.
2.3. 사회인 야구 경력
고등학교 졸업 후에는 사회인 야구 팀인 미쓰비시 자동차 구라시키 오션스 (당시 '구라시키 오션스')에 입단했다. 입단 첫 해인 2008년부터 공식 경기에 등판하기 시작했고, 2년 차인 2009년부터는 팀의 주력 투수로 자리매김했다. 4년 차인 2011년에는 하쿠와 빅토리즈의 보강 선수 자격으로 제82회 도시대항야구대회 본선에 출전했다. 첫 경기인 도쿄 가스전에서 4회 도중 두 번째 투수로 등판하여 7회까지 무실점으로 호투했으나, 9회에 끝내기 패배를 당하며 패전 투수가 되었다. 당시 큰 주목을 받지 못했던 타하라의 이 경기를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스카우트 부장인 야마시타 데쓰하루가 관전하고 그의 잠재력을 높이 평가하여, 단 한 번의 실전 관찰만으로도 프로 야구 드래프트에서 지명할 것을 강력히 추천했다.
2.4. 프로 지명
2011년 10월 27일, 타하라는 2011년 일본 프로 야구 드래프트 회의에서 요미우리 자이언츠로부터 7순위 지명을 받아 입단하게 되었다.
3. 프로 경력
타하라 세이지는 요미우리 자이언츠 소속으로 8시즌 동안 활약하며 팀의 불펜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3.1. 요미우리 자이언츠 초기 (2012년-2014년)
2012년 봄 훈련에서 싱커를 익혔다. 같은 해 6월 10일 시즌 두 번째 1군 승격을 달성했고, 다음 날인 6월 11일 지바 롯데 마린스와의 경기에서 4회부터 프로 첫 등판을 가졌다. 이 경기에서 1과 2/3이닝 무실점을 기록하며 성공적인 데뷔를 알렸다. 7월 1일 주니치 드래건스와의 경기에서는 프로 첫 선발 등판하여 2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았으나, 대타 교체로 인해 승패를 기록하지는 못했다. 8월 9일 한신 타이거스전에서 프로 첫 승리를 거두었으며, 다음 날 등판에서도 승리하며 조노우치 쿠니오 이래 50년 만에 요미우리 자이언츠 신인 투수로서 이틀 연속 승리를 달성했다. 이 시즌에는 주로 중계 투수로 기용되어 총 32경기에 등판했으며, 시즌 종료 후에는 푸에르토리코 윈터 리그에 마사오 가사하라와 함께 파견되었다.
하지만 2013년에는 요통이 발병하여 7경기 등판에 그쳤다.
2014년에는 시즌 후반기부터 니시무라 겐타로, 야마구치 데쓰야, 스콧 매티슨 등 주요 구원 투수들의 부진 속에서 우완 중계 투수로서 20경기에 등판하며 활약했다. 그러나 좌측 무릎 통증으로 인해 8월 22일 출전 선수 등록에서 말소되기도 했다.
3.2. 핵심 불펜 투수 시기 (2015년-2018년)
2015년 8월 30일 주니치 드래건스전에서 호투하며 3년 만에 승리를 거두었고, 이후 1군에 잔류했다. 우승 경쟁이 치열했던 시즌 종반에는 승리 방정식을 잇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최종적으로 18경기에 등판하며 1.00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2016년에는 시즌 내내 1군에서 활동하며 매티슨과 함께 팀의 주요 불펜 투수로 풀타임 활약을 펼쳤다. 이 해는 개인 최다인 64경기에 등판했다.
2017년에는 27경기에 등판하여 2.89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2018년에는 팀 사정으로 인해 1군과 2군을 오갔지만, 29경기에 등판하며 2년 연속 2점대 평균자책점을 유지했다.
3.3. 말년 경력 및 자유계약선수 (2019년-2020년)
2019년에는 시즌을 2군에서 시작했으나, 4월 16일 1군에 승격되었다. 4월 27일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와의 경기에서 개인 통산 200경기 등판을 달성했다. 하지만 25경기 등판에 그치며 4.32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는 등 성적이 악화되었고, 시즌 내내 1군에서 활약하지 못했다. 시즌 종료 후에는 등번호를 입단 초기의 63번으로 되돌리는 것이 발표되었다.
2020년에는 2군에서 35경기에 등판했으나, 1승 1패, 평균자책점 7.06의 부진한 성적을 기록하며 프로 입단 후 처음으로 1군 등판이 없는 시즌을 보냈다. 같은 해 11월 2일, 요미우리 자이언츠로부터 전력외 통고를 받았다. 현역 속행을 희망하며 12월 7일에 개최된 12구단 합동 트라이아웃에 참가했지만, NPB 구단과의 계약에는 이르지 못했다. 결국 2021년 3월 9일, 현역 은퇴를 결정했음이 보도되었다.
4. 은퇴 후 활동
프로 야구 선수 은퇴 후 타하라 세이지는 새로운 분야에서 자신의 경험을 활용하고 있다.
4.1. 지도자 경력
현역 은퇴 후에는 한동안 규슈의 공장에서 근무하는 한편, 지도자 제의를 받으며 지도자의 길을 검토하는 것으로 보도되었다. 2022년 5월,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를 연고지로 하는 사회인 야구 전문학교 팀인 오키 데이터 컴퓨터 교육 학원 경식 야구부의 코치로 취임하며 정식으로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다.
5. 선수 특성 및 사생활
타하라 세이지는 사이드암 투수로서 특유의 투구 스타일과 변화구를 구사했으며, 가족과 함께 안정적인 개인 생활을 유지했다.
5.1. 투구 스타일
타하라 세이지는 사이드암 투구폼에서 직구 외에도 슬라이더, 커브, 체인지업, 싱커 등의 변화구를 구사하는 기교파 유형의 투수였다. 프로 입단 후 첫 봄 훈련에서 싱커를 익혔으며, 완급 조절을 통해 타자의 헛스윙을 유도하거나 땅볼을 유도하는 것이 장점이었다. 특히 2015년 시즌부터는 슬로우 커브가 주요한 무기가 되었다.
5.2. 개인 생활
타하라는 기혼자이며, 슬하에 아들과 딸을 두고 있다.
6. 주요 기록
타하라 세이지의 프로 경력 동안의 주요 기록과 등번호 및 등장곡은 다음과 같다.
6.1. 연도별 투구 성적
연도 | 구단 | 등판 | 선발 | 완투 | 완봉 | 무볼넷 | 승 | 패 | 세이브 | 홀드 | 승률 | 타자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고의 사구 | 사구 | 탈삼진 | 폭투 | 보크 | 실점 | 자책점 | 평균자책점 | WHIP |
---|---|---|---|---|---|---|---|---|---|---|---|---|---|---|---|---|---|---|---|---|---|---|---|---|---|
2012 | 巨人 | 32 | 1 | 0 | 0 | 0 | 2 | 0 | 0 | 7 | 1.000 | 130 | 30.1 | 30 | 3 | 8 | 0 | 4 | 23 | 0 | 0 | 11 | 11 | 3.26 | 1.26 |
2013 | 7 | 0 | 0 | 0 | 0 | 0 | 0 | 0 | 0 | ---- | 39 | 9.0 | 9 | 0 | 4 | 0 | 1 | 8 | 0 | 0 | 6 | 6 | 6.00 | 1.44 | |
2014 | 20 | 0 | 0 | 0 | 0 | 0 | 1 | 0 | 3 | .000 | 71 | 18.2 | 11 | 4 | 3 | 0 | 3 | 15 | 0 | 0 | 7 | 6 | 2.89 | 0.75 | |
2015 | 18 | 0 | 0 | 0 | 0 | 1 | 0 | 0 | 4 | 1.000 | 75 | 18.0 | 11 | 1 | 9 | 0 | 2 | 18 | 0 | 0 | 2 | 2 | 1.00 | 1.11 | |
2016 | 64 | 0 | 0 | 0 | 0 | 4 | 3 | 0 | 14 | .571 | 233 | 54.2 | 56 | 3 | 22 | 1 | 3 | 29 | 0 | 1 | 22 | 21 | 3.46 | 1.43 | |
2017 | 27 | 0 | 0 | 0 | 0 | 1 | 1 | 0 | 1 | .500 | 123 | 28.0 | 28 | 4 | 11 | 3 | 2 | 17 | 1 | 0 | 9 | 9 | 2.89 | 1.39 | |
2018 | 29 | 0 | 0 | 0 | 0 | 2 | 0 | 0 | 1 | 1.000 | 125 | 31.2 | 27 | 4 | 8 | 1 | 0 | 19 | 0 | 0 | 9 | 9 | 2.56 | 1.11 | |
2019 | 25 | 0 | 0 | 0 | 0 | 2 | 2 | 0 | 5 | .500 | 70 | 16.2 | 14 | 1 | 7 | 1 | 0 | 9 | 1 | 0 | 8 | 8 | 4.32 | 1.31 | |
NPB: 8년 | 222 | 1 | 0 | 0 | 0 | 12 | 7 | 0 | 35 | .632 | 866 | 207.0 | 186 | 20 | 72 | 6 | 15 | 138 | 2 | 1 | 74 | 72 | 3.13 | 1.25 |
- 2020년 시즌 종료 시점 기준
- 각 연도별 볼드체는 리그 최고 기록
6.2. 연도별 수비 성적
연도 | 구단 | 투수 | |||||
---|---|---|---|---|---|---|---|
경기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
2012 | 巨人 | 32 | 5 | 9 | 0 | 1 | 1.000 |
2013 | 7 | 0 | 3 | 0 | 0 | 1.000 | |
2014 | 20 | 1 | 3 | 0 | 0 | 1.000 | |
2015 | 18 | 0 | 4 | 0 | 0 | 1.000 | |
2016 | 64 | 2 | 12 | 0 | 1 | 1.000 | |
2017 | 27 | 2 | 6 | 0 | 0 | 1.000 | |
2018 | 29 | 0 | 3 | 0 | 0 | 1.000 | |
2019 | 25 | 0 | 3 | 0 | 1 | 1.000 | |
통산 | 222 | 10 | 43 | 0 | 3 | 1.000 |
- 2020년 시즌 종료 시점 기준
6.3. 개인 통산 기록
- 첫 등판: 2012년 6월 11일, 대 지바 롯데 마린스 4차전 (도쿄 돔), 4회초에 2번째 투수로 구원 등판, 1과 2/3이닝 무실점.
- 첫 탈삼진: 위와 동일, 4회초 기요타 이쿠히로를 상대로 헛스윙 삼진.
- 첫 선발: 2012년 7월 1일, 대 주니치 드래건스 6차전 (도쿄 돔), 2이닝 무실점 (승패 없음).
- 첫 홀드: 2012년 7월 17일, 대 한신 타이거스 14차전 (한신 고시엔 구장), 6회말 1사 상황에서 3번째 투수로 구원 등판, 2/3이닝 무실점.
- 첫 승리: 2012년 8월 9일, 대 한신 타이거스 18차전 (도쿄 돔), 8회초에 2번째 투수로 구원 등판, 1이닝 무실점.
6.4. 등번호
- 63 (2012년, 2020년)
- 37 (2013년 - 2019년)
6.5. 등장곡
- "Around The World" 레드 핫 칠리 페퍼스 (2012년 - 2017년 8월)
- "Are You Gonna Be My Girl" Jet (2017년 9월 - 2018년 7월)
- "Machine Gun Funk" EXILE SHOKICHI (2018년 7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