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세르게이 미하일로비치 브린(Сергей Михайлович Брин러시아어; 1973년 8월 21일 출생)은 래리 페이지와 함께 구글을 공동 창립한 미국의 컴퓨터 과학자이자 기업인이다. 그는 2019년 12월 3일 알파벳 주식회사의 사장직에서 물러났으나, 공동 창업자, 지배 주주, 이사회 구성원으로서 회사에 계속 남아있다. 브린은 정보 접근성의 보편화를 추구하는 철학을 바탕으로 구글을 통해 전 세계 정보의 조직화와 접근성 향상에 기여했으며, 기술의 사회적 영향과 윤리적 책임에 대한 논의를 이끌었다. 2024년 12월 기준, 그는 약 1640.00 억 USD의 순자산을 보유하며 세계에서 7번째로 부유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2. 초기 생애 및 배경
세르게이 브린의 초기 생애는 소비에트 연방에서의 유년기와 미국으로의 이민, 그리고 수학과 컴퓨터 과학에 대한 그의 가족의 영향으로 특징지어진다.
2.1. 출생 및 가족
세르게이 미하일로비치 브린은 1973년 8월 21일 소비에트 연방 모스크바에서 러시아계 유대인 부모인 미하일 브린과 예브게니아 브린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님은 모두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를 졸업한 수학자였다. 그의 아버지 미하일은 은퇴한 메릴랜드 대학교 수학 교수이며, 어머니 예브게니아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의 연구원이었다. 브린 가족은 모스크바 중심가의 방 세 칸짜리 아파트에서 세르게이의 친할머니와 함께 살았다.
2.2. 이민 및 성장
1977년, 그의 아버지가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열린 수학 콘퍼런스에서 돌아온 후, 미하일 브린은 가족이 이민을 가야 할 때라고 선언했다. 그들은 1978년 9월에 공식적으로 출국 비자를 신청했고, 그 결과 그의 아버지는 "즉시 해고"되었다. 관련 이유로 그의 어머니도 직장을 그만둬야 했다. 다음 8개월 동안, 그들은 안정적인 수입 없이 많은 리퓨즈닉처럼 요청이 거부될까 두려워하며 임시직을 전전하며 기다렸다. 1979년 5월, 그들은 공식적인 출국 비자를 받고 출국이 허용되었다. 브린 가족은 미하일 브린이 아나톨 카토크의 도움으로 메릴랜드 대학교에서 교수직을 확보하는 동안 빈과 파리에서 잠시 거주했다. 이 기간 동안 브린 가족은 히브리 이민자 지원 사회(HIAS)로부터 지원과 도움을 받았다. 그들은 1979년 10월 25일 미국에 도착했다. 브린은 유대인으로 자랐지만, 종교적이지는 않다.
2.3. 초기 교육
브린은 메릴랜드주 아델피에 있는 페인트 브랜치 몬테소리 스쿨에서 초등 교육을 받았으나, 추가 교육은 집에서 받았다. 메릴랜드 대학교 수학과 교수였던 그의 아버지는 그에게 수학을 배우도록 격려했으며, 가족은 그가 러시아어 능력을 유지하도록 도왔다. 그는 엘리너 루즈벨트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3. 학력
세르게이 브린은 컴퓨터 과학과 수학 분야에서 학문적 역량을 쌓았으며, 특히 스탠퍼드 대학교에서의 연구는 구글 창업의 기반이 되었다.
3.1. 메릴랜드 대학교
1990년 9월, 브린은 메릴랜드 대학교에 입학하여 컴퓨터 과학과 수학을 전공했다. 그는 19세의 나이로 1993년에 컴퓨터 과학 학사 학위를 우등으로 취득했다. 1993년에는 울프럼 리서치에서 인턴십을 수행했다.
3.2. 스탠퍼드 대학교
1993년, 브린은 미국 국립 과학 재단의 대학원 연구 펠로우십을 받아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컴퓨터 과학 박사 과정을 시작했다. 그는 1995년에 컴퓨터 과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2008년 기준으로 그는 스탠퍼드 대학교 박사 과정을 휴학 중이었다. 2003년에는 IE 비즈니스 스쿨로부터 "기업가 정신을 구현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에 기여한 공로"로 명예 MBA 학위를 받았다.
4. 구글 공동 창업
세르게이 브린은 래리 페이지와의 만남을 통해 혁신적인 검색 엔진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세계 최대의 정보 기술 기업인 구글을 공동 창업했다.
4.1. 래리 페이지와의 만남

스탠퍼드 대학교 신입생 오리엔테이션에서 그는 래리 페이지를 만났다. 처음에는 두 사람이 대부분의 주제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 것처럼 보였으나, 함께 시간을 보내면서 "지적인 동반자이자 절친한 친구"가 되었다. 브린은 데이터 마이닝 시스템 개발에 집중했고, 페이지는 "다른 논문에서의 인용을 통해 연구 논문의 중요성을 추론하는 개념"을 확장하는 데 집중했다.
4.2. 검색 엔진 개발
두 사람은 "대규모 하이퍼텍스트 웹 검색 엔진의 해부학"이라는 논문을 공동으로 집필했다. 그들은 백럽(BackRub)의 웹 크롤러가 수집한 백링크 데이터를 특정 웹 페이지의 중요도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변환하기 위해 페이지랭크 알고리즘을 개발했으며, 이는 당시 존재하던 어떤 검색 엔진보다 훨씬 우수한 검색 엔진을 구축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깨달았다. 새로운 알고리즘은 한 웹 페이지를 다른 웹 페이지와 연결하는 백링크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새로운 종류의 기술에 의존했으며, 링크의 수와 순위를 통해 페이지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게 했다.
그들은 아이디어를 결합하여 페이지의 기숙사 방을 기계 실험실로 활용하고, 저렴한 컴퓨터에서 예비 부품을 추출하여 초기 검색 엔진을 스탠퍼드의 광대역 캠퍼스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장치를 만들었다. 페이지의 방을 장비로 가득 채운 후, 그들은 브린의 기숙사 방을 사무실 및 프로그래밍 센터로 바꾸어 웹에서 새로운 검색 엔진 디자인을 테스트했다. 그들의 프로젝트가 빠르게 성장하면서 스탠퍼드의 컴퓨팅 인프라에 문제가 발생했다.
페이지와 브린은 시각적으로 정교한 웹 페이지 개발자가 없었기 때문에 페이지의 기본적인 HTML 프로그래밍 기술을 사용하여 사용자들을 위한 간단한 검색 페이지를 만들었다. 또한 여러 사용자의 검색을 처리하는 데 필요한 컴퓨팅 파워를 조립하기 위해 찾을 수 있는 모든 컴퓨터 부품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들의 검색 엔진이 스탠퍼드 사용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으면서, 쿼리를 처리하기 위해 추가 서버가 필요해졌다. 1996년 8월, 구글의 초기 버전인 백럽이 스탠퍼드 웹사이트에서 제공되었다.
1997년 초, 백럽 페이지는 다음과 같이 상태를 설명했다.
- 일부 대략적인 통계 (1996년 8월 29일 기준)
- 총 인덱싱 가능한 HTML URL: 75.2306백만
- 총 다운로드된 콘텐츠: 207.022 기가바이트
- 백럽은 자바와 파이썬으로 작성되었으며, 여러 썬 울트라 및 인텔 펜티엄 프로세서에서 리눅스를 실행한다. 주요 데이터베이스는 28 기가바이트의 디스크를 가진 썬 울트라 시리즈 II에 보관된다.
백럽은 이미 검색 엔진의 기본적인 기능과 특성을 보여주었다. 쿼리 입력이 이루어지면 중요도에 따라 순위가 매겨진 백링크 목록을 제공했다. 페이지는 "우리는 쿼리 도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것은 페이지의 전반적인 순위와 후속 페이지의 순서를 잘 보여주었다"고 회상했다. 페이지는 1998년 중반에 마침내 그들의 프로젝트의 더 큰 잠재력을 깨달았다고 말했다. "곧 하루에 10,000건의 검색이 이루어졌고, 우리는 '아마도 이것이 정말 현실이 될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
일부 사람들은 페이지와 브린의 비전을 현대 인쇄술의 발명가인 요하네스 구텐베르크의 영향력에 비유했다. "1440년, 요하네스 구텐베르크는 유럽에 기계식 인쇄기를 도입하여 대량 소비를 위한 성경을 인쇄했다. 이 기술은 손으로 복제되던 책과 원고를 훨씬 빠른 속도로 인쇄할 수 있게 하여 지식을 확산시키고 유럽 르네상스를 이끄는 데 기여했다. 구글도 비슷한 일을 해냈다." "구글 이야기"의 저자들도 이 비유를 언급하며 "구텐베르크 이후 어떤 새로운 발명도 구글만큼 개인에게 권한을 부여하고 정보 접근성을 심오하게 변화시키지 못했다"고 말했다. 또한, 두 사람이 웹 검색을 위한 새로운 엔진을 개발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그들은 당시 웹을 넘어선 정보, 즉 책을 디지털화하고 건강 정보를 확장하는 것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했다.
4.3. 구글 창립
브린과 페이지는 스탠퍼드 대학교 박사 과정을 중단하고, 수잔 보이치츠키의 멘로파크 차고에서 구글을 설립했다. 이 차고는 월 1700 USD에 임대되었다.
5. 구글 및 알파벳에서의 역할
세르게이 브린은 구글의 기술적 방향을 이끌었으며, 알파벳의 공동 창업자이자 이사회 구성원으로서 지속적으로 회사에 기여하고 있다.
5.1. 기술 부문 사장
브린은 구글의 기술 부문 사장(President of Technology)으로서 구글의 기술적 방향을 이끄는 리더십 역할을 수행했다.
5.2. 알파벳에서의 활동
2019년 12월 3일, 브린은 래리 페이지와 함께 알파벳 주식회사의 사장직에서 물러났다. 그러나 그는 공동 창업자, 지배 주주, 이사회 구성원으로서 알파벳에 계속 참여하고 있다.
6. 기타 관심사 및 투자
세르게이 브린은 비즈니스 외적으로도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우주 탐사 및 신기술 기업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6.1. 우주 탐사 및 항공
2008년 6월, 브린은 버지니아주에 본사를 둔 우주 관광 회사 스페이스 어드벤처스에 450.00 만 USD를 투자했다. 그는 래리 페이지와 함께 맞춤형 보잉 767-200 항공기와 다쏘/도르니어 알파 제트를 공동 소유하고 있으며, 이들 항공기와 구글 임원들이 소유한 두 대의 걸프스트림 V 제트기를 모펫 연방 비행장에 보관하는 데 연간 130.00 만 USD를 지불한다. 이 항공기들에는 NASA가 설치한 과학 장비가 탑재되어 비행 중 실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6.2. 신기술 투자
브린은 비행선 제조업체인 LTA 리서치 & 익스플로레이션 LLC의 후원자이다. 2023년 10월, LTA의 124미터 길이 주력 비행선인 패스파인더 1호는 힌덴부르크 비행선 이후 가장 큰 비행선으로 비행 시험 허가를 받았다. 이 비행선은 모펫 연방 비행장과 인접한 팔로 알토 공항의 영공 경계 내에서 최대 460 m 높이까지 비행이 허용되었다. 그는 또한 250마일 전기차인 테슬라 로드스터를 개발하는 테슬라 모터스에도 투자했다.
7. 개인 생활
세르게이 브린의 개인 생활은 그의 결혼과 이혼, 자녀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7.1. 결혼 및 자녀
2007년 5월, 브린은 바하마에서 생명공학 분석가이자 기업가인 앤 보이치츠키와 결혼했다. 그녀는 23앤드미의 설립자이자 유튜브 CEO인 수잔 보이치츠키의 여동생이다. 그들은 2008년 말에 아들을, 2011년 말에 딸을 낳았다. 2018년 11월 7일, 그는 법률 기술 창업가인 니콜 샤나한과 결혼했으며, 2018년 말에 딸을 낳았다.
7.2. 이혼
2013년 8월, 브린이 구글 글래스 동료와 혼외 관계를 가진 후, 브린과 그의 아내는 별거 중이라고 발표되었다. 2015년 6월, 브린과 보이치츠키는 이혼을 확정했다. 2021년 12월 15일, 브린과 샤나한은 별거했으며, 브린은 2022년 1월 4일 이혼 소송을 제기했다. 2023년 여름, 이혼이 최종 확정되었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2021년 샤나한과 일론 머스크 사이의 "짧은 불륜"이 결별의 원인 중 하나라고 보도했다.
8. 자선 활동 및 사회적 영향
세르게이 브린은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한 자선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그의 기술 철학은 보편적인 정보 접근성과 기술의 윤리적 사용을 강조한다.
8.1. 파킨슨병 연구 지원
브린의 어머니 예브게니아는 파킨슨병 진단을 받았다. 2008년, 그는 어머니가 치료를 받은 메릴랜드 대학교 의과대학에 기부하기로 결정했다. 포브스에 따르면, 브린은 파킨슨병 연구 기금으로 10.00 억 USD 이상을 기부했다. 브린과 보이치츠키는 2014년까지 브린-보이치츠키 재단을 공동 운영했다. 그 이후 브린은 자신의 자선 활동을 위해 세르게이 브린 가족 재단과 기부자 권고 기금을 사용하고 있다. 그들은 마이클 J. 폭스 재단에 광범위하게 기부했으며, 2009년에는 그의 가족의 이민을 도왔던 히브리 이민자 지원 사회(HIAS)를 지원하기 위해 100.00 만 USD를 기부했다.
8.2. 정보 접근성 및 기술 윤리
브린은 "지식은 항상 선하며, 무지보다 확실히 낫다"고 믿는 인물이다. 이러한 그의 철학은 "세계의 정보를 조직하고 보편적으로 접근 가능하며 유용하게 만드는 것"이라는 구글의 사명으로 요약된다. 그는 또한 논란의 여지가 있는 비공식 모토인 "사악해지지 마라"와도 연관되어 있다. 이 모토는 구글의 초기 정신을 상징했지만, 회사의 성장과 함께 그 의미와 적용에 대한 비판적 논의가 이어지기도 했다. 브린은 미국 민주당 후보와 단체에 기부자로 활동했으며, 버락 오바마의 2012년 재선 캠페인에 5000 USD를, 민주당 전국위원회에 3.08 만 USD를 기부했다.
9. 부와 명성
세르게이 브린은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인물 중 한 명으로, 기술 및 비즈니스 분야에서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9.1. 순자산 및 부유 순위
2024년 12월 기준, 브린은 블룸버그 억만장자 지수와 포브스에 따르면 약 1640.00 억 USD의 순자산을 보유하며 세계에서 7번째로 부유한 인물이다. 그의 순자산은 2008년 3월 약 187.00 억 USD로 세계 32위였으며, 2018년 10월에는 약 506.00 억 USD로 13위였다. 2021년 4월에는 순자산이 1000.00 억 USD를 넘어 8위에 올랐는데, 이는 코로나19 범유행 이후 유튜브와 구글 검색 이용 증가로 구글 모회사인 알파벳의 실적이 크게 향상되었기 때문이다. 2024년 9월 기준으로는 약 1350.00 억 USD로 10위였다.
9.2. 영향력 있는 인물로서의 평가
브린은 이코노미스트에 의해 "계몽주의 시대의 인간"으로 불렸으며, 2009년 11월 포브스는 그와 페이지를 세계에서 5번째로 영향력 있는 인물로 선정했다. 그는 "오늘날 정보 검색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킨 발명"으로 인정받았다. PC 매거진은 1998년 구글을 "상위 100대 웹사이트 및 검색 엔진"으로 칭찬했으며, 1999년에는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혁신"으로 기술 우수상을 수여했다. 2000년에는 웨비상과 기술 성과 부문 인민의 목소리상(People's Voice Award)을 수상했으며, 2001년에는 서치 엔진 워치 어워드에서 최우수 검색 서비스, 최우수 이미지 검색 엔진, 최우수 디자인, 가장 웹마스터 친화적인 검색 엔진, 최우수 검색 기능 상을 받았다.
10. 수상 및 영예
세르게이 브린은 기술 및 비즈니스 분야에 대한 지대한 공헌을 인정받아 다양한 상과 영예를 얻었다.
- 2002년: MIT 테크놀로지 리뷰의 TR100에 래리 페이지와 함께 35세 미만 세계 100대 혁신가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
- 2003년: 래리 페이지와 함께 IE 비즈니스 스쿨로부터 "기업가 정신을 구현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에 기여한 공로"로 명예 MBA를 받았다.
- 2003년: 래리 페이지와 함께 EY 올해의 기업가상 수상자 및 전국 결선 진출자로 선정되었다.
- 2004년: 래리 페이지와 함께 마르코니 재단의 마르코니상을 수상하고 펠로우로 선정되었다. 두 사람은 "오늘날 정보 검색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킨 발명"으로 인용되었다.
- 2004년: 래리 페이지와 함께 미국 성취 아카데미의 골든 플레이트 상을 수상했다.
- 2006년: 카네기 재단이 선정한 위대한 이민자상의 첫 수상자 중 한 명이었다.
- 2009년 2월: "월드 와이드 웹에서 관련 정보의 신속한 색인 및 검색 개발에 대한 리더십"으로 미국 공학한림원에 입회했다.
- 그는 세계 경제 포럼과 TED 콘퍼런스의 주요 연사로 초청되었다.
- PC 매거진은 1998년 구글을 "상위 100대 웹사이트 및 검색 엔진"으로 칭찬했으며, 1999년에는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혁신"으로 기술 우수상을 수여했다.
- 2000년, 구글은 웨비상과 기술 성과 부문 인민의 목소리상(People's Voice Award)을 수상했다.
- 2001년, 서치 엔진 워치 어워드에서 최우수 검색 서비스, 최우수 이미지 검색 엔진, 최우수 디자인, 가장 웹마스터 친화적인 검색 엔진, 최우수 검색 기능 상을 받았다.
11. 유산 및 평가
세르게이 브린의 유산은 구글의 지속적인 영향력과 인터넷 및 정보 접근성, 그리고 기술 혁신에 대한 그의 기여를 통해 평가된다.
브린과 페이지의 구글은 정보 접근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으며, 이는 요하네스 구텐베르크의 현대 인쇄술 발명에 비견될 정도로 개인의 역량을 강화하고 정보 접근성을 심오하게 변화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들은 단순히 웹 검색을 넘어, 책을 디지털화하고 건강 정보를 확장하는 등 정보의 범위를 넓히는 데 기여했다. 브린은 기술을 통해 전 세계의 정보를 조직하고 보편적으로 접근 가능하며 유용하게 만들겠다는 구글의 사명을 통해 디지털 시대의 정보 민주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의 비전은 오늘날 인터넷이 제공하는 방대한 지식과 서비스의 기반이 되었으며, 끊임없는 기술 혁신을 통해 사회 전반에 걸쳐 지속적인 변화를 이끌고 있다.
11.1. 영화 출연
연도 | 제목 | 역할 |
---|---|---|
2013 | 인턴십 | 본인 (카메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