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년기와 배경
사뮈엘 드 샹플랭의 어린 시절과 프랑스에서의 군 복무는 그가 북아메리카 탐험가로서의 경력을 쌓는 데 중요한 기반을 제공했습니다.
1.1. 출생과 초기 생애
샹플랭은 프랑스 오니스 지방의 이에르-브루아주 또는 항구 도시 라로셸에서 앙투안 샹플랭(일부 기록에서는 '앙투안 샤플랭'으로도 표기)과 마르그리트 르 로이 사이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정확한 출생일은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최근 프랑스 가계도 학자 장-마리 제르메(Jean-Marie Germe)가 발견한 세례 기록에 따르면, 그는 1574년 8월 13일 또는 그 이전에 태어났습니다. 그러나 이 세례 기록에는 사뮈엘의 나이, 출생일, 출생지는 명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1870년 캐나다 가톨릭 신부 라베르디에르(Laverdière)는 자신의 저서 『Œuvres de Champlain』에서 피에르-다미앵 랭게(Pierre-Damien Rainguet)의 추정치인 1567년을 샹플랭의 출생 연도로 받아들이고 이를 정당화하려 했지만, 그의 계산은 현재 부정확한 것으로 여겨지는 가정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이미 1867년 레오폴드 들레이앙(Léopold Delayant)은 랭게의 추정치가 틀렸다고 주장했지만, 랭게와 라베르디에르의 저서는 상당한 영향력을 미쳤습니다. 그 결과 1567년이라는 날짜는 샹플랭에게 헌정된 수많은 기념물에 새겨졌고 널리 정확한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20세기 상반기에는 일부 학자들이 1567년 대신 1570년이나 1575년을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1978년 장 리벨(Jean Liebel)은 샹플랭의 출생 연도 추정에 대한 획기적인 연구를 발표하며 "사뮈엘 샹플랭은 1580년경 프랑스 브루아주에서 태어났다"고 결론지었습니다. 리벨은 랭게와 라베르디에르를 포함한 일부 가톨릭 신부 학자들이 브루아주가 가톨릭 통제하에 있던 시기(1567, 1570, 1575년 포함)를 선호했다고 주장합니다. 샹플랭은 자신의 1603년 저서 제목에서 브루아주 출신임을, 그리고 1613년 두 번째 저서 제목에서는 자신이 생통제인임을 밝혔습니다.
샹플랭은 브루아주의 로마 가톨릭 신자 가문 출신이었으며, 브루아주는 대부분 가톨릭 도시였습니다. 브루아주는 왕실 요새였고, 1627년부터 1635년 사망할 때까지의 총독은 리슐리외 추기경이었습니다. 그의 정확한 출생지는 확실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그의 부모는 출생 당시 브루아주에 거주했습니다.
선원 가문(그의 아버지와 삼촌 모두 선원 또는 항해사)에서 태어난 사뮈엘 샹플랭은 항해, 그림, 해도 제작, 실용 보고서 작성법을 배웠습니다. 그의 교육에는 고대 그리스어나 라틴어가 포함되지 않아 고대 문학을 읽거나 배우지 않았습니다.

1.2. 초기 군 복무
각 프랑스 함대가 자체 해상 방어를 책임져야 했기 때문에, 샹플랭은 당시의 총기류를 다루는 법을 배우고자 했습니다. 그는 프랑스 종교 전쟁 후기 단계인 1594년 또는 1595년부터 1598년까지 브르타뉴에서 앙리 4세 휘하의 프랑스군에서 복무하며 이러한 실용 지식을 습득했습니다. 그는 처음에는 말의 사료와 관리를 책임지는 병참감으로 복무했습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국왕을 위해 "특정 비밀 항해"를 수행했다고 주장하며, 전투에도 참여했습니다(1594년 말의 크로종 요새 공방전 포함). 1597년에는 캥페르 근처 주둔군에서 "중대장(capitaine d'une compagnie)"으로 복무했습니다.
2. 초기 항해와 탐험
샹플랭의 초기 중요한 항해들은 그를 스페인 식민지와 북아메리카의 미지의 지역으로 이끌었습니다.
2.1. 서인도 제도 항해 (1599-1601)
1598년 샹플랭의 삼촌이자 항해사인 기예르모 엘레나(Guillaume Allene)는 베르뱅 조약에 따라 카디스로 스페인 군대를 수송할 예정인 자신의 선박 『생쥘리앵』에 샹플랭을 동반하도록 허락했습니다. 힘든 항해 끝에 카디스에서 얼마간 시간을 보낸 뒤, 그의 삼촌은 서인도 제도로 대규모 스페인 함대를 동반하는 계약을 맺은 자신의 배에 다시 한번 샹플랭을 태워주었습니다. 삼촌은 배의 지휘를 헤로니모 데 발레아브레라에게 맡겼고, 젊은 샹플랭에게는 배를 돌보도록 지시했습니다.
이 여정은 2년간 지속되었으며, 샹플랭은 카리브해에서 멕시코시티에 이르는 스페인 영토를 보고 듣는 기회를 얻었습니다. 그는 이 항해에서 얻은 것을 상세히 기록하고, 그림을 곁들인 보고서를 작성하여 앙리 4세에게 비밀리에 제출했습니다. 국왕은 이 보고서에 깊은 인상을 받아 샹플랭에게 연금을 지급했습니다. 이 보고서는 1870년 라베르디에르에 의해 『브루아주의 사뮈엘 샹플랭이 1599년부터 1601년까지 서인도 제도에서 인식한 가장 주목할 만한 것들에 대한 간략한 담론(Brief Discours des Choses plus remarquables que Samuel Champlain de Brouage a reconneues aux Indes Occidentalles au voiage qu'il en a faict en icettes en l'année 1599 et en l'année 1601, comme ensuite)』이라는 제목으로, 영어로는 『서인도 제도와 멕시코 항해 기록 1599-1602(Narrative of a Voyage to the West Indies and Mexico 1599-1602)』로 처음 출판되었습니다. 보고서의 정확성 및 다른 자료들과의 불일치로 인해 샹플랭의 저작 여부는 자주 의문이 제기되었지만, 최근 학자들은 이 작품이 샹플랭에 의해 작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습니다. 특히 샹플랭은 대서양과 태평양을 잇는 파나마 운하 건설을 제안하기도 했습니다.
1600년 8월 샹플랭이 카디스로 돌아왔을 때, 병에 걸린 그의 삼촌 기예르모 엘레나는 샹플랭에게 자신의 사업을 돌봐달라고 부탁했습니다. 샹플랭은 이를 이행했고, 1601년 6월 삼촌이 사망하자 샹플랭은 그의 상당한 재산을 상속받았습니다. 이 재산에는 라로셸 근처의 영지와 스페인의 상업용 부동산, 그리고 150톤급 상선이 포함되었습니다. 이 상속 재산은 국왕의 연금과 합쳐져 젊은 탐험가에게 큰 독립성을 부여하여, 상인이나 다른 투자자들의 재정적 지원에 의존할 필요가 없게 되었습니다.
1601년부터 1603년까지 샹플랭은 앙리 4세 궁정에서 지리학자로 복무했습니다. 그는 직무의 일환으로 프랑스 항구들을 방문했습니다. 그는 낸터킷에서 뉴펀들랜드섬에 이르는 해안 지역에 계절적으로 방문하여 풍부한 어장을 활용하는 어부들로부터 북아메리카에 대해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그는 또한 타두삭에서 피에르 드 쇼뱅 드 토네튀의 실패를 포함하여 해당 지역에서 프랑스의 식민지화 실패 사례들을 연구했습니다. 쇼뱅이 1602년 북아메리카의 모피 무역 독점권을 상실하자, 무역 갱신 책임은 에마르 드 샤스트에게 넘어갔습니다. 샹플랭은 드 샤스트에게 첫 항해에 참여할 자리를 요청했고, 국왕의 동의를 얻어 이를 수락했습니다.
2.2. 첫 북아메리카 원정 (1603-1607)
샹플랭의 첫 북아메리카 여행은 프랑수아 그라베 뒤 퐁이 이끄는 모피 무역 원정대의 관찰자 자격으로 이루어졌습니다. 뒤 퐁은 쇼뱅 원정대의 선장이었던 항해사이자 상인으로, 샹플랭은 그와 평생에 걸쳐 굳건한 우정을 쌓았습니다. 그는 샹플랭에게 세인트로렌스강을 포함한 북아메리카 항해에 대해 가르쳤습니다.
선박 『돈 드 디외(Don de Dieu)』는 1603년 3월 15일 타두삭에 도착했습니다. 샹플랭은 60년 전 자크 카르티에가 보고 묘사했던 모든 장소들을 보고 싶어 했고, 가능하다면 카르티에보다 더 멀리 가고자 했습니다. 샹플랭은 이 여행에서 세인트로렌스강의 지도를 제작했고, 9월 20일 프랑스로 돌아온 후 『야만인들에 대하여: 또는 1603년 신프랑스에서 브루아주의 사뮈엘 샹플랭의 여행기(Des Sauvages: ou voyage de Samuel Champlain, de Brouages, faite en la France nouvelle l'an 1603)』라는 제목의 기록을 출판했습니다. 그의 기록에는 타두삭에서 몬타네족(이누족)의 추장 베구라트와의 만남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만남에서 프랑스인과 많은 몬타네족, 그리고 일부 알곤킨족 친구들 사이에 긍정적인 관계가 수립되었습니다.

앙리 4세에게 추가 발견 사항을 보고하겠다고 약속한 샹플랭은 1604년 봄 두 번째 누벨프랑스 원정에 합류했습니다. 이 여행은 여성과 어린이가 없는 탐험 여행으로 수년간 지속되었으며, 세인트로렌스강 남쪽 지역, 즉 훗날 아카디아로 알려진 지역에 집중했습니다. 이 원정은 국왕으로부터 누벨프랑스에서 모피 무역 독점권을 부여받은 귀족이자 개신교 상인인 피에르 뒤과 드 몽스가 이끌었습니다. 뒤과는 샹플랭에게 겨울 정착지를 찾아달라고 요청했습니다.
펀디만에서 가능한 장소들을 탐색한 후, 샹플랭은 세인트크루아강의 세인트크루아섬을 원정대의 첫 겨울 정착지로 선택했습니다. 섬에서 혹독한 겨울을 보낸 후, 정착지는 만 건너편으로 이전하여 포트로열 정착지를 건설했습니다. 샹플랭은 1607년까지 이곳을 거점으로 삼아 대서양 연안을 탐험했습니다. 뒤과는 독점권이 위협받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1605년 9월 프랑스로 떠날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의 독점권은 다른 상인들과 자유 무역 지지자들의 압력으로 인해 1607년 7월 국왕에 의해 취소되었고, 이로 인해 정착지는 버려지게 되었습니다.
1605년과 1606년에 샹플랭은 영구 정착지를 위한 장소를 찾아 케이프코드 남쪽까지 북아메리카 해안을 탐험했습니다. 거주하고 있던 노셋족과의 소규모 충돌로 인해 그는 현재의 채텀 근처에 정착지를 세우려는 생각을 포기했습니다. 그는 이 지역을 말르바르("나쁜 모래톱")라고 명명했습니다.
3. 퀘벡 건설

1608년 봄, 뒤과는 샹플랭이 세인트로렌스강 유역에 새로운 프랑스 식민지와 모피 무역 중심지를 건설하기를 원했습니다. 뒤과는 자신의 비용으로 노동자들을 태운 세 척의 선박을 옹플뢰르 항에서 출발시켰습니다. 주력선인 『돈 드 디외(Don-de-Dieu신이 내린 선물프랑스어)』는 샹플랭이 지휘했습니다. 다른 선박인 『레브리에(Lévrier)』는 그의 친구 뒤 퐁이 지휘했습니다. 이 소규모 남성 정착민 집단은 6월 하류 세인트로렌스강의 타두삭에 도착했습니다. 그곳을 종착점으로 하는 사가네강의 위험한 물살 때문에, 그들은 배를 떠나 작은 보트를 이용해 인원과 물자를 싣고 "큰 강"을 따라 상류로 계속 나아갔습니다.
퀘벡에 도착한 샹플랭은 나중에 "나는 7월 3일 그곳에 도착했고, 우리 정착지에 적합한 장소를 찾았는데, 원주민들이 퀘벡이라고 부르는 곳, 호두나무로 덮인 곳보다 더 편리하거나 적합한 곳을 찾을 수 없었다"고 썼습니다. 샹플랭은 부하들에게 호두나무를 베어 정착지 건설에 사용할 목재를 모으라고 명령했습니다.

샹플랭이 퀘벡에 도착한 며칠 후, 샹플랭 일행의 일원인 장 뒤 발(Jean du Val)은 바스크인이나 스페인인을 위해 정착지를 확보하고 자신을 위해 재산을 모으려는 목적으로 샹플랭을 죽이려는 음모를 꾸몄습니다. 뒤 발의 음모는 그의 공범자가 샹플랭의 항해사에게 음모 가담을 고백하고, 이 항해사가 샹플랭에게 알리면서 좌절되었습니다. 샹플랭은 젊은이에게 뒤 발과 공범자 3명에게 와인 두 병을 전하고 배 위에서 열리는 행사에 그들을 초대하도록 했습니다. 네 명의 공범자가 배에 도착하자마자 샹플랭은 그들을 체포했습니다. 뒤 발은 퀘벡에서 목이 졸려 교수형에 처해졌고 그의 머리는 샹플랭의 요새에서 "가장 눈에 잘 띄는 곳"에 전시되었습니다. 나머지 세 명은 재판을 받기 위해 프랑스로 송환되었습니다. 식민지 개척자들의 첫 겨울은 혹독했습니다. 28명의 정착민 중 8명만이 살아남았는데, 대부분 괴혈병으로 사망했으며 일부는 천연두와 혹독한 추위로 인해 목숨을 잃었습니다.
4. 원주민과의 관계와 충돌
샹플랭은 북아메리카 원주민 부족들과 복잡한 관계를 맺었으며, 이는 동맹과 군사적 충돌로 나타났습니다.
4.1. 동맹과 전투 (1609-1610)
1609년 여름, 샹플랭은 지역 원주민 부족들과의 관계를 개선하려 노력했습니다. 그는 와이앤도트족(프랑스인들은 휴런족이라 부름), 알곤킨족, 몬타네족, 에트체민족과 동맹을 맺었는데, 이들은 세인트로렌스강 지역에 거주했습니다. 이 부족들은 남쪽에 거주하는 이로쿼이족과의 전쟁에서 샹플랭의 도움을 요청했습니다. 샹플랭은 프랑스 군인 9명과 원주민 300명과 함께 리슐리외강으로 알려진 이로쿼이강을 탐험하기 위해 출발하여, 샹플랭호를 최초로 지도에 기록한 유럽인이 되었습니다. 이때까지 이로쿼이족과의 충돌이 없었으므로 많은 인원이 돌아갔고, 샹플랭에게는 프랑스인 2명과 원주민 60명만 남았습니다.

7월 29일, 티콘데로가 (뉴욕주)와 크라운포인트 (뉴욕주) 근처 어딘가(역사학자들은 이 두 장소 중 어느 곳인지 확실히 알지 못하지만, 티콘데로가 요새의 역사학자들은 그곳 근처에서 발생했다고 주장합니다)에서 샹플랭 일행은 이로쿼이족 무리와 마주쳤습니다. 다음 날 시작된 전투에서 250명의 이로쿼이족이 샹플랭의 진영으로 진격했고, 그의 안내인 중 한 명이 세 명의 추장을 지목했습니다。 전투 기록에서 샹플랭은 자신이 아쿼버스를 발사하여 한 발로 두 명을 사살했으며, 그 후 그의 부하 중 한 명이 세 번째 추장을 사살했다고 기록합니다. 이로쿼이족은 돌아서서 도주했습니다. 이 사건으로 이로쿼이족은 수년간 위축되었지만, 이후 비버 전쟁 동안 프랑스인과 알곤킨족에 맞서 성공적으로 싸웠습니다.
소렐 전투는 1610년 6월 19일에 퀘벡주 소렐트레이시에서 프랑스 왕국과 샹플랭의 동맹인 와이앤도트족, 알곤킨족, 이누족이 모호크족에 맞서 싸운 전투입니다. 아쿼버스로 무장한 샹플랭의 군대는 모호크족 거의 전원을 학살하거나 포로로 잡았습니다. 이 전투로 모호크족과의 주요 적대 행위는 20년 동안 중단되었습니다.
5. 누벨프랑스 추가 탐험
샹플랭은 누벨프랑스 내부를 광범위하게 탐험하며 새로운 지형과 원주민 문화를 발견했습니다.
5.1. 오타와강과 오대호 탐험 (1613-1615)
1613년 3월 29일, 누벨프랑스로 돌아온 샹플랭은 먼저 자신의 새로운 왕실 명령이 선언되도록 조치했습니다. 샹플랭은 5월 27일 휴런족 영토를 계속 탐험하고, 자신이 들었던 "북해"(아마도 허드슨만)를 찾기 위해 출발했습니다。 그는 오타와강을 따라 여행하며 이 지역에 대한 최초의 기록을 남겼습니다. 도중에 그는 은컵, 구리 솥, 그리고 1603년 날짜가 새겨진 황동 아스트롤라베를 떨어뜨리거나 남겨두었다고 합니다. 이 아스트롤라베는 나중에 온타리오주 콥든 근처에서 에드워드 리(Edward Lee)라는 농장 소년에 의해 발견되었습니다. 6월에 그는 알루메테섬 (퀘벡주)의 알곤킨족 추장인 테수아(Tessouat)를 만나, 부족이 척박한 땅에서 라신 급류 지역으로 이주한다면 요새를 건설해주겠다고 제안했습니다. 그러나 샹플랭이 이 아스트롤라베를 소유했는지 여부는 현대 학자들에 의해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8월 26일까지 샹플랭은 생말로로 돌아왔습니다. 그곳에서 그는 1604년부터 1612년까지의 삶과 오타와강 탐험에 대한 기록인 『항해기(Voyages)』를 쓰고 새로운 누벨프랑스 지도를 출판했습니다. 1614년 그는 11년간 루앙과 생말로 상인들을 묶는 "루앙 및 생말로 상인 회사(Compagnie des Marchands de Rouen et de Saint-Malo)"와 "샹플랭 회사(Compagnie de Champlain)"를 설립했습니다. 1615년 봄, 그는 새로운 식민지에서 종교 생활을 증진시키기 위해 네 명의 프란치스코회 수사들과 함께 누벨프랑스로 돌아왔습니다. 로마 가톨릭 교회는 결국 프랑스 왕실이 누벨프랑스에서 부여한 전체 토지의 거의 30%에 달하는 크고 가치 있는 영지(seigneurie)를 받았습니다.
1615년, 샹플랭은 유능한 통역사인 에티엔 브륄레와 4년간의 개별 탐험 끝에 재회했습니다. 그곳에서 브륄레는 북아메리카 탐험에 대해 보고했는데, 그는 또 다른 프랑스인 통역사인 그레놀과 함께 『휴런호』로 알려진 "조용한 바다"의 북쪽 해안을 따라 여행하며 슈세인트마리의 거대한 급류, 즉 슈피리어호가 휴런호로 유입되는 지점까지 갔다고 보고했으며, 이 중 일부는 샹플랭에 의해 기록되었습니다.

샹플랭은 원주민들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계속 노력했으며, 이로쿼이족과의 투쟁을 돕겠다고 약속했습니다. 그는 원주민 안내인들과 함께 오타와강을 더욱 상류로 탐험하여 니피싱호에 도달했습니다. 그는 그 후 프렌치강을 따라가 휴런호에 도착했습니다.
1615년에 샹플랭은 와이앤도트족 무리와 함께 현재 온타리오주 피터버러인 지역을 통과했습니다. 그는 체몽호와 피터버러의 리틀호 사이의 고대 운반 통로(현재의 체몽 로드)를 이용했으며, 현재 브리젠노스 근처에서 짧은 시간을 머물렀습니다.
9월 1일, 카이아게(현재 심코호에 있는 와이앤도트족 공동체)에서 샹플랭과 북부 부족들은 이로쿼이족에 대한 군사 원정을 시작했습니다. 일행은 온타리오호의 동쪽 끝을 지나 카누를 숨기고 육로로 여행을 계속했습니다. 그들은 10월 10일 오논다가 요새에 도착할 때까지 오네이다강을 따라갔습니다. 이곳의 정확한 위치는 여전히 논쟁 중입니다. 전통적인 위치인 니콜스 연못은 전문 및 아마추어 고고학자들에 의해 정기적으로 반박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이들이 니콜스 연못이 카나스토타에서 남쪽으로 16093 m (10 mile) 떨어진 전투 장소라고 주장합니다. 샹플랭은 방어벽으로 둘러싸인 오네이다 마을을 공격했습니다. 그는 프랑스인 10명과 와이앤도트족 300명과 동행했습니다. 휴런 와이앤도트족의 조급한 공격 요구에 압박을 받아 공격은 실패했습니다. 샹플랭은 다리에 화살 두 발을 맞았는데, 하나는 무릎에 맞았습니다. 프랑스 와이앤도트족이 도주할 수밖에 없게 되면서 갈등은 10월 16일에 끝났습니다.
샹플랭은 원하지 않았지만, 와이앤도트족은 그가 그들과 함께 겨울을 보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곳에 머무는 동안, 그는 그들과 함께 대규모 사슴 사냥에 나섰는데, 이 사냥 도중 길을 잃고 3일 동안 짐승을 잡아먹고 나무 아래에서 잠을 자며 헤매다가 우연히 원주민 무리를 만나게 되었습니다. 그는 남은 겨울 동안 "그들의 나라, 그들의 풍습, 생활 방식"을 배우는 데 보냈습니다. 1616년 5월 22일, 그는 와이앤도트족 영토를 떠나 퀘벡으로 돌아온 후 7월 2일 프랑스로 귀국했습니다.
6. 개인 생활
샹플랭은 섭정 궁정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12세의 엘렌 불레(Hélène Boullé)와 결혼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녀는 궁정에서 왕실 결정을 수행하는 임무를 맡았던 니콜라 불레의 딸이었습니다. 결혼 계약은 뒤과가 아버지와 협상한 후 1610년 12월 27일에 서명되었고, 부부는 3일 뒤 결혼했습니다. 당시 샹플랭은 43세였습니다. 계약 조건에 따라 결혼은 2년 뒤에 성사되었습니다.
샹플랭의 결혼 생활은 처음에는 헬렌이 1613년 8월 그와 동반하는 것을 거부하면서 꽤 곤란했습니다. 그들의 관계는 물리적인 연결은 없었지만, 회복되었고 수년 동안 원만했습니다. 헬렌은 퀘벡에서 여러 해를 살았지만, 파리로 돌아와 결국 수녀원에 들어가기로 결정했습니다. 부부에게는 자녀가 없었으며, 샹플랭은 1627-28년 겨울에 몬타네족 세 소녀 페이스(Faith), 호프(Hope), 채리티(Charity)를 입양했습니다.
7. 누벨프랑스 행정과 말년
샹플랭은 누벨프랑스 식민지의 행정과 발전에 초점을 맞추게 되면서 정치적 도전에 직면했습니다.
7.1. 행정 역할과 식민지 발전
1620년 샹플랭은 누벨프랑스로 돌아왔고, 남은 생애를 탐험보다는 영토 행정에 집중하게 되었습니다. 샹플랭은 다이아몬드 곶(Cape Diamond) 정상에 생루이 요새를 건설하며 겨울을 보냈습니다. 5월 중순까지 그는 모피 무역 독점권이 카엔 형제들이 이끄는 다른 회사로 넘어갔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몇 번의 긴장된 협상 끝에, 두 회사를 카엔 형제의 지휘 아래 합병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샹플랭은 원주민들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계속 노력했으며, 자신이 선택한 추장을 그들에게 강요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그는 또한 이로쿼이족과 평화 조약을 협상했습니다.
샹플랭은 퀘벡시가 된 요새 건설 작업을 계속했으며, 1624년 5월 6일에 첫 돌을 놓았습니다. 8월 15일 그는 다시 프랑스로 돌아갔고, 그곳에서 자신의 작업을 계속하고 당시 널리 존재한다고 믿어졌던 중국으로 가는 길을 계속 찾도록 격려받았습니다. 7월 5일까지 그는 퀘벡으로 돌아와 도시 확장을 계속했습니다.
7.2. 영국-프랑스 전쟁과 퀘벡 상실 (1628-1632)
1627년 카엔 형제 회사는 모피 무역 독점권을 잃었고, 1624년 왕실 평의회에 합류하여 1642년 사망할 때까지 프랑스 정치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된 리슐리외 추기경은 100명의 동료 회사(Compagnie des Cent-Associés)를 설립하여 모피 무역을 관리하도록 했습니다. 샹플랭은 100명의 투자자 중 한 명이었으며, 식민지 개척자와 보급품을 실은 첫 함대는 1628년 4월에 출항했습니다.
샹플랭은 퀘벡에서 겨울을 보냈습니다. 보급품이 부족했고, 1628년 7월 초 영국 상인들이 카프 투르망을 약탈했습니다. 영국과 프랑스 사이에 전쟁이 발발했고, 잉글랜드의 찰스 1세는 프랑스 선박과 북아메리카 식민지를 포획하는 것을 허용하는 사략 특허장을 발행했습니다. 샹플랭은 7월 10일 데이비드 커크 형제로부터 항복 요구서를 받았습니다. 이들은 영국 정부를 위해 일하는 두 명의 스코틀랜드 형제였습니다. 샹플랭은 퀘벡의 방어가 실제보다 훨씬 나은 것처럼 속여 그들과 협상하기를 거부했습니다(샹플랭은 공동체를 방어할 화약이 50파운드밖에 없었습니다). 성공적으로 속아넘어간 그들은 철수했지만, 프랑스 보급 함대를 만나 포획하여 그 해 식민지로 가는 보급품을 차단했습니다. 1629년 봄까지 보급품이 위험할 정도로 부족해졌고, 샹플랭은 식량을 절약하기 위해 사람들을 가스페반도와 인디언 공동체로 보내야 했습니다. 7월 19일, 커크 형제는 샹플랭의 도움 요청을 가로챈 후 퀘벡 앞에 도착했고, 샹플랭은 식민지를 항복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많은 식민지 개척자들이 커크 형제에 의해 영국으로, 그 다음 프랑스로 이송되었지만, 샹플랭은 식민지를 되찾기 위한 절차를 시작하기 위해 런던에 남아 있었습니다. 항복 3개월 전인 1629년 4월에 이미 수사 조약이 체결되었고, 그 조약 조건에 따라 조약 이후 커크 형제가 점령한 퀘벡과 다른 전리품들은 반환되어야 했습니다. 그러나 퀘벡이 프랑스로 공식적으로 반환된 것은 1632년 생제르맹앙레 조약에 이르러서였습니다. 데이비드 커크는 찰스 1세로부터 기사작위를 받고 뉴펀들랜드섬의 헌장을 받아 보상을 받았습니다. 샹플랭은 1633년 3월 1일 리슐리외 추기경을 대신하여 누벨프랑스 사령관 역할을 되찾았으며, 1629년부터 1635년까지 "리슐리외 추기경의 부재 중" 누벨프랑스의 사령관으로 복무했습니다. 1632년 샹플랭은 리슐리외 추기경에게 헌정된 『누벨프랑스 항해기(Voyages de la Nouvelle-France)』와 리더십, 선원 기술 및 항해에 대한 논문인 『해상 및 좋은 선원의 의무에 관한 조약(Traitté de la marine et du devoir d'un bon marinier)』을 출판했습니다. 샹플랭은 평생 동안 25번 이상의 대서양 횡단 항해를 하면서 단 한 척의 배도 잃지 않았습니다.
7.3. 마지막 행정 기간
샹플랭은 4년의 부재 끝에 1633년 5월 22일 퀘벡으로 돌아왔습니다. 리슐리외는 그에게 누벨프랑스 총독이라는 직함은 아니었지만, 누벨프랑스 부총독을 포함한 다른 직함과 책임을 부여했습니다. 공식적인 지위가 부족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식민지 개척자, 프랑스 상인, 그리고 인디언들은 그를 마치 총독처럼 대우했습니다. 그를 "우리의 총독"이라고 부르는 글들이 남아 있습니다. 1634년 8월 18일, 그는 리슐리외에게 퀘벡 폐허 위에 재건하고, 요새를 확장하며, 두 곳의 정착지를 더 건설했다고 보고했습니다. 하나는 상류로 15 league 떨어진 곳에, 다른 하나는 트루아리비에르에 있었습니다. 그는 또한 이로쿼이족에 대한 공세를 시작했으며, 그들이 완전히 섬멸되거나 "이성을 되찾아야 한다"고 보고했습니다.
8. 사망과 매장
샹플랭은 1635년 10월 심한 뇌졸중을 겪었고, 같은 해 12월 25일에 사망했습니다. 그는 직계 상속인을 남기지 않았습니다. 예수회 기록에 따르면 그는 친구이자 고해성사 신부인 샤를 랄르망의 보살핌 속에서 사망했습니다.
그의 유언장(1635년 11월 17일 작성)은 프랑스 내 재산 대부분을 아내 엘렌 불레에게 남겼지만, 퀘벡 식민지의 가톨릭 선교회와 개인들에게도 상당한 유산을 남겼습니다. 그러나 그의 어머니 쪽 사촌인 마리 카마레(Marie Camaret)가 파리에서 유언장에 이의를 제기하여 이를 뒤집었습니다. 그의 유산이 정확히 어떻게 되었는지는 불분명합니다.
사뮈엘 드 샹플랭은 시내 상부에 그의 유해를 안치할 독립된 예배당이 지어지는 동안 임시로 교회에 매장되었습니다. 이 작은 건물은 다른 많은 건물들과 함께 1640년 대화재로 파괴되었습니다. 즉시 재건되었지만, 현재 그 흔적은 남아 있지 않습니다. 1850년경부터 많은 연구와 도시 내 여러 고고학적 발굴에도 불구하고, 그의 정확한 매장지는 여전히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기존 샹플랭 예배당 부지와 샹플랭의 유해가 노트르담 드 퀘벡 대성당 근처 어딘가에 있을 것이라는 일반적인 합의가 있습니다. 그의 유해를 찾는 과정은 범죄 소설가 루이즈 페니의 2010년 소설 『죽은 자를 묻어라』의 주요 줄거리 중 하나입니다.
9. 유산과 기념
샹플랭은 "누벨프랑스의 아버지"이자 "아카디아의 아버지"로 기념되며, 그의 역사적 중요성은 현대에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9.1. 역사적 중요성
사뮈엘 드 샹플랭은 17세기 프랑스 확장의 위대한 개척자 중 한 명으로 기억됩니다. 그는 아카디아와 퀘벡시를 포함한 여러 정착지를 건설했습니다. 그는 또한 그 지역의 광범위한 지역을 탐험하고 지도에 기록했습니다. 그의 여행은 프랑스가 북아메리카 대륙에 대한 통치권을 확보하고 캐나다라는 국가를 형성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샹플랭은 자신의 항해에 대한 문서들을 남겼습니다. 그의 기록들은 자신이 탐험한 많은 지역들, 원주민들, 지역 동식물들, 그리고 다수의 지도들을 묘사했습니다.


샹플랭은 캐나다 전역에서 영광스럽게 기억됩니다. 샹플랭호 등 많은 장소들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습니다. 그러나 그의 유산은 퀘벡시에서 가장 잘 나타납니다. 샹플랭 사망 당시 누벨프랑스에는 약 300명의 프랑스 개척자들이 살고 있었습니다. 현재 퀘벡에는 7백만 명 이상의 인구를 가지고 있습니다. 퀘벡시는 계속해서 번성하는 지역이며 오늘날에도 퀘벡주의 주도입니다.
q=퀘벡시|position=right
9.2. 헌사와 기념물
샹플랭은 아카디아, 온타리오주, 퀘벡주, 뉴욕주, 버몬트주의 여러 지역에서 중요한 인물이었으며, 그를 기리기 위해 많은 장소와 랜드마크가 명명되었습니다.
- 지형:**
- 샹플랭호: 뉴욕주 북부와 버몬트주 사이의 경계에 걸쳐 있으며, 캐나다 국경까지 약간 확장되어 있습니다. 샹플랭이 1609년 리슐리외강을 따라 원정을 이끌며, 현재 버몬트의 그린산맥과 뉴욕의 아디론댁산맥 사이에 위치한 길고 좁은 호수를 탐험했을 때 그가 명명했습니다.
- 샹플랭 계곡
- 샹플랭 트레일 레이크스
- 샹플랭 해: 샹플랭이 태어나기 수천 년 전에 사라진 북아메리카의 대서양의 옛 내만으로, 세인트로렌스강, 사가네강, 리슐리외강 위로 샹플랭호까지 뻗어 있었습니다.
- 샹플랭 산: 아카디아 국립공원에 위치하며, 샹플랭이 1604년에 처음 관찰했습니다.
- 도시 및 행정 구역:**
- 뉴욕주의 도시와 마을 샹플랭
- 온타리오주의 타운십 샹플랭
- 퀘벡주의 샹플랭 코뮌
- 퀘벡주의 지방 선거구 샹플랭 및 캐나다 다른 지역의 여러 폐지된 선거구
- 공원:**
- 사뮈엘 드 샹플랭 주립공원: 온타리오주 북부 마타와 근처의 주립공원.
오타와 니피싱 포인트의 사뮈엘 드 샹플랭 동상. - 다리:**
- 샹플랭 다리: 몬트리올섬과 퀘벡주 브로사르를 세인트로렌스강을 가로질러 연결합니다.
- 샹플랭 다리: 온타리오주 오타와와 퀘벡주 가티노를 연결합니다.
- 교육기관:**
- 샹플랭 칼리지: 온타리오주 피터버러의 트렌트 대학교 6개 칼리지 중 하나.
- 포트 샹플랭: 온타리오주 킹스턴의 캐나다 왕립 군사 대학의 기숙사로, 1965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10대 사관 생도 중대를 수용합니다.
- 세인트존, 멍크턴, 브로사르에 있는 에콜 샹플랭 초등학교
- 벌링턴, 버몬트주의 샹플랭 칼리지
- 퀘벡주의 세 개 캠퍼스를 가진 세제프인 샹플랭 지역 칼리지
- 호텔:**
- 매리어트 샤토 샹플랭 호텔: 몬트리올에 위치.
- 거리 및 기타 기념물:**
- 퀘벡시, 쇼위니건, 디에프, 플랫츠버그, 버몬트주 북서부 11개 지역 등 수많은 도시의 샹플랭 거리.
- 프랑스 파리의 사무엘 드 샹플랭 정원(Jardin Samuel-de-Champlain).
- 뉴욕주 플랫츠버그의 샹플랭호를 따라 있는 샹플랭 공원의 기념 동상.
- 뉴브런즈윅주 세인트존의 퀸 스퀘어에 있는 기념 동상으로, 그의 세인트존강 발견을 기념합니다.
- 버몬트주 라모트섬의 샹플랭호 기슭에 있는 기념 동상.
버몬트주 라모트섬에서 샹플랭과 안내인의 동상. - 크라운포인트 (뉴욕주)의 등대에는 칼 아우구스투스 헤버의 샹플랭 동상이 있습니다.
- 2006년 5월 미국 우편 서비스와 캐나다 우정공사가 공동 발행한 기념 우표.
- 2009년 샹플랭호 탐험 400주년을 기념하여 뉴욕주 티콘데로가에 건립된 동상.
- 온타리오주 오릴리아의 코우치칭 비치 공원 코우치칭호에 있던 동상은 과거 원주민을 불쾌하게 묘사한 부분이 포함되어 캐나다 공원관리국에 의해 철거되었으며, 복원될 가능성이 낮습니다.
- HMCS 샹플랭 (1919): 1928년부터 1936년까지 캐나다 왕립 해군에서 복무한 S급 구축함.
- HMCS 샹플랭: 1985년 활성화된 이래 퀘벡주 시쿠티미에 본부를 둔 캐나다군 해군 예비군 부대.
- 샹플랭 플레이스: 캐나다 뉴브런즈윅주 디에프에 위치한 쇼핑 센터.
- 샹플랭 협회: 1927년 설립된 캐나다 역사 및 텍스트 출판 협회.
- 오타와의 키웨키 포인트에 있는 해밀턴 매카시의 기념 동상. 이 동상은 아스트롤라베를 거꾸로 들고 있는 샹플랭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이전에는 동상 기단에 무릎을 꿇고 있는 "인디언 스카우트" 조각상이 있었으나, 1990년대 원주민 단체의 로비 이후 동상 기단에서 제거되어 메이저스 힐 공원에 "아니시나베 스카우트"로 이름이 바뀌어 재배치되었습니다.
퀘벡시의 샹플랭 동상 (새벽, 북서쪽을 바라보고 있으며, 전통적인 자크 카르티에 동상과 유사한 표정을 짓고 있다). 폴 슈브레가 1896-1898년에 파리에서 제작했고, 2008년에 새로 보수되었으며, 1898년부터 샤토 프롱트낙 대형 호텔 근처 테라스 뒤프랭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