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Early Life and Background
비너스 라의 초기 생애와 배경은 그녀의 겸손한 시작과 학문적 성취를 보여준다. 그녀는 카타르에서 태어나 필리핀의 시골 지역에서 어려운 환경 속에서 성장했으며, 이러한 경험은 그녀의 이후 삶과 활동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1.1. Birth and Upbringing
비너스 라지는 1988년 7월 7일 카타르 도하에서 인도계 미국인 아버지와 필리핀인 어머니 사이에서 5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 그녀는 생후 1개월이 되었을 때 어머니와 함께 필리핀으로 건너와 카마리네스수르주 바토에서 자랐다. 21세가 될 때까지 그녀는 드넓은 논밭 한가운데 자리 잡은, 전기도 들어오지 않는 나무, 대나무, 아나하우(luyong 야자수) 잎으로 지어진 니파 오두막(바하이 쿠보)에서 생활했다. 어린 시절 가족을 돕기 위해 11세부터 미인 대회를 꿈꾸었으며, 논의 둑길을 이용하여 워킹 연습을 하면서 자신만의 독특한 걸음걸이를 개발했다고 알려져 있다. 그녀는 산비센테 고등학교 재학 중 지역 미인 대회와 웅변 대회에 참가했고, 주요 대회에서 받은 상금으로 어머니를 위해 할부 방식으로 토지를 구매하여 가족의 생계를 개선하는 데 기여했다.
1.2. Education
라지는 비콜 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 아트(언론학 전공) 학사 학위를 우등(쿰 라우데)으로 졸업했다. 그녀는 프랜시스 파피카 재단으로부터 장학금을 지원받아 학업을 마칠 수 있었다. 2017년에는 필리핀 대학교 딜리만 캠퍼스에서 지역사회 개발 석사 학위를 취득하며 학업에 대한 열정을 이어갔다. 이후 2021년 6월에는 영국 옥스퍼드에 위치한 옥스퍼드 기독교 변증학 센터(OCCA)를 졸업하기도 했다.
1.3. Early Professional Activities
본격적인 연예계 활동을 시작하기 전, 비너스 라지는 환경천연자원부 비콜 지부에서 정보 보조원으로 근무했다. 이와 동시에 그녀는 자신의 고향인 비콜과 마닐라에서 파트타임 패션 모델로도 활동하며 다방면으로 경험을 쌓았다.
2. Pageantry Career
비너스 라의 미인 대회 경력은 그녀의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이며, 여러 난관을 극복하고 국제적인 명성을 얻기까지의 과정을 보여준다.
2.1. Initial Pageant Participation
라지는 2008년 미스 필리핀 어스 대회에 처음 출전하여 미스 필리핀 에코 투어리즘 2008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 대회에서 얻은 상금은 그녀가 어머니를 위해 토지를 구매하는 데 사용되어 가족의 삶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발판이 되었다.
2.2. Binibining Pilipinas 2010

2010년 3월 6일, 비너스 라지는 아라네타 콜로세움에서 열린 비니비닝 필리피나스 대회에서 비니비닝 필리피나스 유니버스 2010 타이틀을 거머쥐며 미스 유니버스 2010 대회에 필리핀 대표로 출전할 자격을 얻었다. 그녀는 또한 최우수 롱가운상, 최우수 필리핀 전통 의상상, 미스 우정상 등 특별상도 여러 개 수상했다.
그러나 3월 29일, 비니비닝 필리피나스 자선 단체(BPCI)는 그녀의 출생 증명서에 허위 기재가 있었다는 이유로 타이틀을 박탈했다. (이 결정은 그녀의 국적 문제 때문이 아니었다.) 준우승자인 다이앤 일레인 S. 네시오는 당시 17세로 미스 유니버스 참가 연령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기 때문에, 대회 조직위는 3위인 헬렌 니콜레트 헨슨을 세계 대회에 파견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문제는 법정 소송으로 이어질 가능성까지 거론되었고, 프랜시스 파두아 파피카를 비롯한 여러 변호사들이 그녀를 위해 무보수로 변호하겠다고 나섰다. 증가하는 대중의 압력과 도널드 트럼프가 이끄는 미스 유니버스 조직의 개입으로 인해, 4월 10일 BPCI는 유효한 필리핀 여권을 취득하는 것을 조건으로 라지의 타이틀을 복권시키기로 합의했다. 필리핀 외교부는 5월 19일 라지의 여권을 발급했으며, 그녀는 2010년 8월 미국 라스베이거스로 출국하여 공식적인 필리핀 대표로 미스 유니버스 대회에 참가하게 되었다.
2.3. Miss Universe 2010
미스 유니버스 대회 기간 동안 라지는 동료 필리핀-독일 미인인 멜로디 게르스바흐와 메이크업 아티스트 알덴 오렌세가 자동차 사고로 사망했다는 소식을 듣고 큰 슬픔에 잠겼다. 멜로디 게르스바흐는 라지와 같은 비콜라나 출신으로, 미스 인터내셔널 2009에서 상위 15위에 들었던 인물이며 미스 유니버스 대회 준비 과정에서 라지의 코치 중 한 명이었다.
라지는 호주의 제신타 캠벨, 콜롬비아의 나탈리아 나바로, 아이티의 사로지 베르틴, 멕시코의 히메나 나바레테, 푸에르토리코의 마리아나 비센테 그리고 미스 유니버스 2009인 스테파니아 페르난데스와 함께 미디어 투어에 참여하는 여섯 명의 대표자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 그녀는 미스 유니버스 웹사이트에서 3.54점을 기록하며 필리핀 대표자 중 역대 최고 점수를 받았다.
라지는 상위 15위에 마지막으로 호명된 참가자였으며, 이는 필리핀이 미스 유니버스에서 10년간 준결승 진출에 실패했던 기록을 깨고 미스 유니버스 2021까지 이어지는 연속적인 준결승 진출의 시작을 알리는 것이었다. 이는 필리핀 미인 대회 역사상 가장 긴 연속 진출 기록이기도 하다. 미스 유니버스 질문 및 답변(Q&A) 시간에 그녀는 미국 배우 윌리엄 볼드윈으로부터 "인생에서 저지른 가장 큰 실수는 무엇이며, 그것을 바로잡기 위해 무엇을 했는가?"라는 질문을 받았다. 이에 라지는 "인생에서 어떤 큰 실수도 저지른 적이 없다"고 답하며 유명한 "메이저 메이저(Major Major영어)" 발언을 남겼다. 라지는 결국 멕시코의 우승자 나바레테에 이어 4위(4th runner-up)를 차지했으며, 이는 1999년 미스 유니버스 1999에서 미리암 키암바오가 2위에 오른 이후 필리핀의 가장 높은 미스 유니버스 대회 성과였다.
3. Entertainment Career
미스 유니버스 대회 이후 비너스 라지는 연예계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3.1. Television
미스 유니버스 대회 전후로 라지는 여러 방송사의 프로그램에 게스트로 출연했다. 이후 그녀는 아침 프로그램인 '우마강 카이 간다(Umagang Kay Ganda타갈로그어)'를 비롯한 다양한 프로그램에서 진행자로 활동하게 되었다. 2011년, 라지는 ABS-CBN과 독점 계약을 체결했으며, 이는 ABS-CBN이 비니비닝 필리피나스 대회의 방영권을 최소 5년간 획득한 시기와도 맞물렸다. 2013년에는 '우마강 카이 간다'의 개편으로 인해 진행자 자리에서 물러났다. 연예계 활동이 줄어들자 라지는 필리핀 대학교 딜리만 캠퍼스에서 지역사회 개발 석사 학위를 취득하는 데 전념했으며, "케어 포 칠드런(Care For Children영어)"이라는 단체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연도 | 제목 | 역할 | 방송사 |
---|---|---|---|
2011 | Mutya | 미키 | ABS-CBN |
2011-2013 | ASAP 2012 | 진행자/공연자 | |
2011-2016 | Umagang Kay Ganda | 진행자 | |
2012 | Wansapanataym: Bye, Bye Bangungot | 디와타 | |
Maalaala Mo Kaya: Korona | 본인 | ||
2014 | Wagas | 재뉴어리 아이작 | GMA 뉴스 TV |
2015 | Maalaala Mo Kaya | 크리스틴 발라구어 | ABS-CBN |
Tunay Na Buhay | 진행자 | GMA 네트워크 | |
2016 | Celebrity Playtime | 본인/참가자 | ABS-CBN |
A1 Ko Sa 'Yo | 본인 | GMA 네트워크 | |
2017 | Umagang Kay Ganda | 본인 | ABS-CBN |
Family Feud | 본인/참가자 | ABS-CBN |
3.2. Film
연도 | 제목 | 역할 | 제작사 |
---|---|---|---|
2012 | Pridyider | 셀린 | 리갈 필름스 |
2013 | Slumber Party | 본인 | 리지널스 |
4. Personal Life
비너스 라지는 2023년 12월 12일, 노스 오릴란과 결혼했다. 그녀는 이전에 안드레이 펠릭스와 1년간 연애 관계를 유지한 바 있다.
5. Awards and Nominations
비너스 라지는 다양한 방송 활동을 통해 여러 시상식에서 수상하거나 후보에 올랐다.
수상 및 후보 지명 | ||||
---|---|---|---|---|
연도 | 시상 기관 | 부문 | 후보작 | 결과 |
2011 | 제25회 PMPC 스타 어워즈 TV | 최우수 아침 프로그램 진행자 (우마강 카이 간다 진행자들과 공동) | Umagang Kay Ganda | 후보 |
제5회 UPLB 간딩안 어워즈 | 수상 | |||
2012 | 제26회 PMPC 스타 어워즈 TV | 최우수 아침 프로그램 진행자 (우마강 카이 간다 진행자들과 공동) | 후보 | |
제6회 UPLB 간딩안 어워즈 | 수상 | |||
2013 | 제27회 PMPC 스타 어워즈 TV | 최우수 아침 프로그램 진행자 (우마강 카이 간다 진행자들과 공동) | 후보 | |
제7회 UPLB 간딩안 어워즈 | 수상 | |||
2014 | 제28회 PMPC 스타 어워즈 TV | 최우수 여행 프로그램 진행자 (크리스티나 데세나와 공동) | Business Flight | 후보 |
6. Legacy and Influence
비너스 라지는 필리핀 사회와 미인 대회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녀의 미스 유니버스 성과는 필리핀 미인 대회의 국제적인 위상을 크게 높이는 데 기여했다. 특히 10년간 이어지던 필리핀의 미스 유니버스 준결승 진출 실패를 끊어내고 연속 진출 기록을 시작하게 한 것은 그녀의 가장 큰 업적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또한, 미스 유니버스 대회에서 "메이저 메이저(Major Major영어)"라고 답한 그녀의 발언은 필리핀 대중문화에 깊이 각인되어 하나의 유행어처럼 회자되었다. 이는 그녀의 존재감을 더욱 부각시키고 대중적 인기를 확고히 하는 계기가 되었다.
미인 대회 및 연예계 활동 외에도 라지는 지역사회 개발에 대한 깊은 관심을 보였다. 그녀는 "케어 포 칠드런(Care For Children영어)" 그룹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소외된 아이들을 돕고 지역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 노력했다. 이러한 활동은 그녀가 단순히 아름다운 외모를 넘어 사회적 책임감을 지닌 공인으로서 대중에게 기억되게 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