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초반 및 배경
브래드 매크리먼은 어린 시절부터 하키에 깊이 몰두했으며, 가족과의 유대 관계 속에서 선수이자 지도자로서의 기반을 다졌다.
1.1. 유년기와 교육
브래드 매크리먼은 1959년 3월 29일 서스캐처원 도즈랜드에서 태어났지만, 플렌티 마을 근처의 가족 농장에서 성장했다. 그는 선수 시절 여름마다 고향으로 돌아와 가족 농장에서 훈련하며 시간을 보낼 정도로 고향에 대한 애착이 강했다. 그의 아버지 바이런은 서스캐처원의 로즈타운 레드윙스에서 오랜 기간 시니어 선수이자 코치로 활동했으며, 이는 매크리먼이 어린 시절부터 하키에 깊이 빠져들게 된 배경이 되었다. 그는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연령대보다 한 단계 높은 팀에서 뛰는 경우가 많았으며, 플렌티와 로즈타운 팀에서 동시에 활약하기도 했다.
1.2. 하키 경력 초기
매크리먼은 SJHL의 프린스 앨버트 레이더스에서 15세의 나이로 주니어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그는 이 팀에서 두 시즌을 뛰었으며, 23개의 골과 84개의 포인트를 기록했다. 1975-76 시즌에는 SJHL의 올해의 수비수로 선정되며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2. 선수 경력
브래드 매크리먼은 주니어 리그에서의 성공을 발판 삼아 NHL에 진출하여 오랜 기간 동안 정상급 수비수로 활약했으며, 스탠리 컵 우승의 영광을 안기도 했다.
2.1. 주니어 리그 경력
1976-77 시즌, 매크리먼은 WCHL의 브랜던 위트 킹스로 이적했다. 그는 위트 킹스에서의 첫 WCHL 시즌에 72경기에서 84포인트를 기록했고, 15번의 플레이오프 경기에서 13포인트를 추가하며 팀이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에 진출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러나 아쉽게도 뉴 웨스트민스터 브루인스에게 패배하며 우승에는 실패했다.
이후 매크리먼은 1977-78 시즌에 97포인트, 1978-79 시즌에 98포인트를 기록하며 꾸준히 높은 공격 생산성을 유지했다. 1978년에는 올해의 수비수로 선정되었고, 1978년과 1979년 두 시즌 연속으로 리그 올스타 팀에 이름을 올렸다. 또한 매크리먼은 이 두 시즌 동안 캐나다 주니어 국가대표팀에 합류하여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다. 1978년 대회에서는 6경기에서 2개의 어시스트를 기록하며 캐나다의 동메달 획득에 기여했으며, 1979년 대회에서는 5경기에서 3포인트를 기록했으나 캐나다는 메달 획득에 실패했다.
매크리먼이 주장으로 활동한 1978-79 시즌, 위트 킹스는 다시 한번 리그 챔피언십에 진출했다. 그는 22번의 플레이오프 경기에서 28포인트를 기록하며 브랜던이 프레지던트 컵을 우승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팀은 이 기세를 몰아 1979 메모리얼 컵 토너먼트로 진출하여 온타리오 하키 리그 챔피언인 피터버러 피츠를 상대로 결승에 올랐다. 매크리먼은 경기마다 높은 출전 시간을 소화하며 그의 뛰어난 체력을 입증했고, 팀원들로부터 놀라움을 자아냈다. 특히 메모리얼 컵 결승전에서는 단 2분 페널티를 받기 위해 아이스를 벗어난 것을 제외하면 사실상 경기의 모든 시간인 60분 38초를 뛰었다. 그러나 피터버러가 연장전 끝에 2대1로 승리했는데, 매크리먼이 아이싱이라고 생각했던 플레이에서 콜이 불리지 않자 퍽을 잃었고, 피터버러의 테리 보베어(Terry Bovair)가 이를 가로채 챔피언십 우승 골을 넣는 아쉬운 장면이 연출되었다. 이 패배에도 불구하고 매크리먼은 토너먼트 올스타 수비수로 선정되며 개인적인 기량은 인정받았다.
2.2. 프로 리그 경력
브래드 매크리먼은 NHL에 입성한 후 여러 팀을 거치며 탄탄한 수비력과 리더십을 겸비한 선수로 명성을 쌓았다.
2.2.1. 보스턴 브루인스와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
1979년 NHL 드래프트에서 역사상 가장 깊이 있는 드래프트 중 하나로 평가받는 해에, 매크리먼은 보스턴 브루인스에 의해 전체 15순위로 지명되었다. 그는 1979년 10월 11일 팀의 개막전에서 위니펙 제츠를 상대로 승리하며 NHL 데뷔전을 치렀다. 1979-80 시즌 신인 시절 5골 11어시스트로 16포인트를 기록했으며, 두 번째 시즌에는 11골 18어시스트로 29포인트를 기록하며 기량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1981-82 시즌에는 단 9포인트에 그치며 NHL에서 공격적인 재능이 부족하다는 평판을 얻기 시작했다. 로지 바숑의 은퇴로 브루인스는 새로운 골텐더가 필요했고, 1982년 6월 9일 브루인스는 매크리먼을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로 보내고 피트 피터스를 영입하는 트레이드를 단행했다.
플라이어스의 감독 밥 매캠먼은 매크리먼이 브루인스에서 1979년 같은 드래프트 동기이자 올스타였던 레이 버크와 함께 뛰면서 "위축"되었을 수 있으며, 더 나은 수비수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매크리먼은 필라델피아에서의 첫 두 시즌 동안 공격력이 향상되어 1982-83 시즌에 25포인트, 1983-84 시즌에는 골 없이 24포인트를 기록했지만, 플라이어스에서 정상급 셧다운 수비수로 자리매김했다. 1984-85 시즌에는 43포인트를 기록했고, NHL에서 5번째로 높은 +52의 플러스-마이너스 수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퀘벡 노르디크스와의 리그 준결승 3차전에서 윌프 페이먼트의 강한 히트를 받고 왼쪽 어깨가 3도 분리되는 부상을 입어 수술이 필요하게 되면서 1985년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에서 출전하지 못하게 되었다. 플라이어스는 매크리먼 없이 결승에 진출했지만, 에드먼턴 오일러스에게 스탠리 컵을 내주었다. 매크리먼은 1985-86 시즌에 복귀하여 통계적으로 최고의 시즌을 보냈다. 그는 플라이어스의 80경기에 모두 출전하여 개인 최고 기록인 13골, 43어시스트, 56포인트를 기록했으며, 그의 플러스-마이너스 수치인 +83은 수비 파트너였던 마크 하우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그는 플라이어스 최고의 수비수에게 수여되는 배리 애쉬비 트로피를 수상했다.
1986-87 시즌을 앞두고 매크리먼과 플라이어스는 계약 분쟁에 휩싸였다. 양측은 이전 시즌에 계약에 합의하지 못했고, 중재자가 개입하여 교착 상태를 해결해야 했다. 중재자는 팀의 편을 들어 플라이어스가 제시한 해당 시즌 US$16.50 만 USD의 계약을 확정했고, 1986-87 시즌까지 연장할 수 있는 옵션이 있었다. 플라이어스는 이 옵션을 행사했지만, 매크리먼은 계약 중임을 인정하면서도 새 계약이 체결되지 않으면 뛰지 않겠다고 거부했다. 양측이 합의에 이르지 못하자 시즌이 시작되면서 매크리먼은 서스캐처원 고향으로 돌아갔다. 플라이어스는 매크리먼이 첫 시범경기에 출전하지 않자 1986년 9월 26일 그를 출전 정지시켰다. 이 교착 상태는 한 달 뒤인 10월 29일에 그와 팀이 1년 계약에 합의하면서 해결되었다. 그는 즉시 팀에 복귀하여 플라이어스의 80경기 중 72경기에 출전하여 22포인트를 기록했으며, +45의 플러스-마이너스 수치로 리그 4위를 차지했다. 1987년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에서 그는 플라이어스가 다시 오일러스를 상대로 결승에 진출했을 때 26번의 플레이오프 경기에 모두 출전했다. 매크리먼은 3차전에서 결승골을 넣었지만, 플라이어스는 시리즈에서 패배했다. 그러나 플라이어스는 오일러스를 7차전까지 몰고 갔는데, 이는 1971년 이후 처음으로 풀 7차전으로 치러진 시리즈였다.
시즌이 끝난 후, 단장 바비 클라크는 매크리먼과의 새로운 계약을 거부하고 대신 그를 트레이드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1987년 8월 27일 캘거리 플레임스로 트레이드되었고, 대가로 플레임스는 1988년 NHL 드래프트의 3라운드 지명권과 1989년 드래프트의 1라운드 지명권을 필라델피아에게 넘겨주었다.
2.2.2. 캘거리 플레임스
1987-88 시즌 캘거리 플레임스에서 매크리먼은 앨 매키니스, 폴 라인하트, 게리 수터, 릭 내트레스와 합류하여 NHL 최고의 수비진 중 하나를 형성했다. 그는 플레임스에서 42포인트를 기록했으며, 리그 최고 기록인 +48의 플러스-마이너스 수치로 NHL 플러스-마이너스 상을 수상했고, 세컨드 팀 올스타에 선정되었다. 또한 1988년 올스타전에 출전했다.
1988-89 시즌 매크리먼은 22포인트를 기록하며 7시즌 만에 가장 낮은 득점을 올렸지만, +43의 플러스-마이너스 수치로 모든 NHL 수비수 중 1위를 차지했다. 그는 플레임스가 몬트리올 캐나디언스를 꺾고 프랜차이즈 역사상 첫 스탠리 컵 챔피언십에서 우승했을 때 22번의 플레이오프 경기에 모두 출전했다. 매크리먼은 1989년 11월 3일, 1989-90 시즌 초 은퇴한 짐 페플린스키의 뒤를 이어 플레임스 역사상 10번째 주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1989-90 시즌 동안 4골 15어시스트로 19포인트를 기록했지만, 수비수 활용 방식에 대해 감독 테리 크리스프와 의견이 달라 불화가 생기면서 감독의 눈 밖에 나게 되었다. 플레임스는 시즌이 끝난 후 그를 트레이드하기로 결정하고, 1990년 6월 15일 2라운드 드래프트 지명권을 대가로 그를 디트로이트 레드윙스로 보냈다.
2.2.3.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하트퍼드 훼일러스, 피닉스 카이오티스
1991-92 시즌, 매크리먼은 젊은 니클라스 리드스트롬과 짝을 이루었다. 매크리먼은 수비에 집중하며 리드스트롬이 공격적으로 더 창의적인 플레이를 할 수 있도록 도왔고, 그 결과 29포인트를 기록하며 이전 시즌의 13포인트에서 크게 향상된 성적을 보였다. 그는 디트로이트에서 한 시즌 더 뛰었고, 이후 1993년 6월 1일 6라운드 드래프트 지명권을 대가로 하트퍼드 훼일러스로 트레이드되었다.
하트퍼드에서 34세의 매크리먼은 18세의 크리스 프롱거에게 멘토 역할을 했다. 공격적으로는 1993년부터 1996년까지 훼일러스에서 세 시즌 동안 총 16포인트를 기록했다. 자유 계약 선수로 팀을 떠난 매크리먼은 1996-97 시즌 피닉스 카이오티스와 계약했다. 그는 해당 시즌에 37경기에 출전하여 1골 5어시스트를 기록했다. 시즌이 끝난 후 그는 은퇴를 발표했다.
2.3. 플레이 스타일 및 평가
매크리먼은 그의 세대에서 최고의 수비수들과 짝을 이루었다. 니클라스 리드스트롬, 크리스 프롱거 외에도 하키 명예의 전당 헌액자들인 레이 버크, 마크 하우, 폴 코피와 함께 뛰었다. 그는 상대방의 득점 기회를 제한하는 데 집중하는 '스테이-앳-홈(Stay-at-home)' 수비수로 알려져 있었다. 그는 육체적인 플레이를 즐겼으며, 종종 코너나 골대 앞과 같은 '더티(dirty)' 구역에서 상대 선수들과의 몸싸움을 마다하지 않았다.
매크리먼의 경력 통산 플러스-마이너스 수치는 +444로, 2012년 기준으로 9명의 선수만이 그를 능가하는 기록을 가지고 있다. 그의 필라델피아 팀 동료였던 브라이언 프롭은 그가 당대 가장 저평가된 수비수 중 한 명이라고 평가했다. 하키 명예의 전당 헌액자이자 1989년 스탠리 컵 우승을 차지한 캘거리 플레임스의 팀 동료였던 조 멀렌은 매크리먼을 상대하기 가장 어려운 선수로 꼽았다.
그는 "비스트(Beast)"와 "서지(Sarge)"라는 별명으로 불렸으며, 종종 "무뚝뚝하다"는 평을 받았지만, 그의 직설적인 화법은 동료들 사이에서 존경을 불러일으켰다. 전 팀 동료 래니 맥도널드는 그를 "강하고 거칠었지만, 속으로는 큰 곰 인형처럼 부드러운 사람이었다"고 회상했다. 매크리먼의 동생은 그를 가족에게 헌신적인 사람으로 기억했다.
3. 국제 경기 경력
브래드 매크리먼은 주니어 선수 시절 캐나다 주니어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두 차례 세계 U20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여 국제 무대에서 활약했다. 그는 1978년 대회에서 6경기에 출전하여 2어시스트를 기록하며 캐나다의 동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이어진 1979년 대회에서는 5경기에서 3포인트를 기록했으나, 캐나다 팀은 아쉽게도 메달권에 들지 못했다.
4. 지도자 경력
선수 생활 은퇴 후, 브래드 매크리먼은 아이스하키 지도자로서 새로운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주니어 팀 감독과 NHL 보조 코치를 거쳐 KHL 감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지도자로서의 역량을 키워나갔다.
4.1. 주니어 팀 지도자
선수 은퇴 직후인 1997년 8월 19일, 매크리먼은 뉴욕 아일랜더스의 보조 코치로 부임하여 마이크 밀버리를 보좌하며 벤치 뒤에서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2년 후 팀을 떠나 1999년 WHL의 새스커툰 블레이즈의 감독으로 취임했다. 블레이즈에서 두 시즌 동안 감독으로 활동하며 144경기를 지휘했고, 이 중 50승 7무 76패를 기록했다. 1999-2000 WHL 시즌에는 블레이즈를 이끌고 동부 지구 2위를 차지했으며, 플레이오프 첫 라운드에서 리자이나 패츠를 상대로 7경기 접전 끝에 승리했으나, 이후 캘거리 힛맨에게 패해 탈락했다.
4.2. NHL 보조 코치
2000년, 매크리먼은 다시 NHL로 돌아와 캘거리 플레임스의 보조 코치로 돈 헤이 감독을 보좌했다. 그는 2년 반 동안 플레임스에 남아 돈 헤이와 후임인 그렉 길버트 감독 아래서 활동했으며, 2002년 12월 3일 팀의 코칭스태프가 교체될 때까지 재직했다. 2004년에는 애틀랜타 스래셔스의 보조 코치로 NHL에 다시 복귀했다. 그의 네 번째 시즌인 2007-08 시즌 중, 단장 돈 와델이 감독 밥 하틀리를 해고하면서 그는 어소시에이트 코치로 승진했다. 매크리먼은 와델 감독 해임 후 스래셔스의 감독직 제안을 받았지만, 시즌이 끝난 후에도 그 자리를 유지할 것이라는 보장이 없었기 때문에 이 제안을 거절했다. 스래셔스를 떠난 매크리먼은 2008년 디트로이트 레드윙스와 3년 계약을 맺고 보조 코치로 부임하여 2011년까지 활동했다.
4.3. KHL 감독 부임 및 사망
경력을 더욱 발전시키고자 했던 매크리먼은 2011년 5월 19일 디트로이트를 떠났고, 5월 29일 KHL의 로코모티프 야로슬라블의 감독으로 공식 소개되었다. 그는 러시아 클럽을 지도하는 것이 장래에 NHL 감독직을 맡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러나 그는 로코모티프 야로슬라블의 정규 시즌 경기를 단 한 번도 지휘하지 못했다. 2011년 9월 7일, 팀은 시즌 첫 경기를 위해 HC 디나모 민스크와의 원정 경기를 치르러 이동하던 중 야크-42 여객기가 추락하는 비극적인 사고를 당했다. 매크리먼은 팀원 대부분과 함께 사망했으며, 이 사고는 벨라루스 민스크-1 공항에서 약 2 km 떨어진 지점에서 발생했고, 매크리먼을 포함한 총 44명이 현장에서 사망했다.

5. 개인 생활
브래드 매크리먼은 캐나다 서스캐처원 도즈랜드에서 태어났지만, 플렌티 근처의 가족 농장에서 성장했다. 그는 선수 생활 중에도 여름이면 종종 고향으로 돌아와 가족 농장에서 훈련하며 시간을 보냈다. 1989년 캘거리 플레임스와 함께 스탠리 컵을 우승한 후, 매크리먼은 어린 시절 할아버지에게 했던 약속을 지키기 위해 스탠리 컵을 플렌티로 가져왔다.
하키는 그의 어린 시절부터 삶의 중요한 부분이었다. 그의 아버지 바이런은 서스캐처원의 로즈타운 레드윙스에서 오랫동안 시니어 선수이자 코치로 활동했다. 매크리먼은 플렌티와 로즈타운 팀에서 동시에 뛰면서 종종 자신의 연령대보다 한 단계 높은 팀에서 활약하기도 했다. 그의 남동생 켈리 매크리먼은 현재 베이거스 골든 나이츠의 단장으로 일하고 있으며, 두 형제는 1978-79 시즌 브랜던 위트 킹스에서 팀 동료로 함께 뛰었다.
"비스트(Beast)"와 "서지(Sarge)"라는 별명으로 불렸던 매크리먼은 종종 "무뚝뚝하다"는 평을 받았지만, 그의 직설적인 화법은 동료들 사이에서 존경을 불러일으켰다. 전 팀 동료 래니 맥도널드는 그를 "강하고 거칠었지만, 속으로는 큰 곰 인형처럼 부드러운 사람이었다"고 회상했다. 매크리먼의 동생은 그를 가족에게 헌신적인 사람으로 기억했다. 매크리먼은 아내 모린(Maureen)과 딸 칼린(Carlin), 아들 리엄(Liam) 두 자녀를 두었다.
6. 수상 및 영예
브래드 매크리먼은 선수 및 지도자 경력 동안 여러 중요한 수상과 영예를 얻었다.
- 주니어
- SJHL 올해의 수비수: 1975-76
- WCHL 세컨드 올스타 팀: 1976-77
- 빌 헌터 기념 트로피: 1977-78
- WCHL/WHL 퍼스트 올스타 팀: 1977-78, 1978-79
- 메모리얼 컵 올스타 팀: 1979
- 내셔널 하키 리그|NHL
- 스탠리 컵 우승: 1989
- 세컨드 팀 올스타: 1987-88
- NHL 플러스-마이너스 상: 1987-88
-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
- 배리 애쉬비 트로피: 1984-85
7. 경력 통계
7.1. 정규 시즌 및 플레이오프
정규 시즌 | 플레이오프 | |||||||||||
---|---|---|---|---|---|---|---|---|---|---|---|---|
시즌 | 팀 | 리그 | 출장 | 골 | 어시스트 | 포인트 | 페널티 시간 | 출장 | 골 | 어시스트 | 포인트 | 페널티 시간 |
1974-75 | 프린스 앨버트 레이더스 | SJHL | 38 | 4 | 22 | 26 | - | - | - | - | - | - |
1975-76 | 프린스 앨버트 레이더스 | SJHL | 46 | 19 | 39 | 58 | 126 | - | - | - | - | - |
1976-77 | 브랜던 위트 킹스 | WCHL | 72 | 18 | 66 | 84 | 96 | 15 | 3 | 10 | 13 | 16 |
1977-78 | 브랜던 위트 킹스 | WCHL | 65 | 19 | 78 | 97 | 245 | 8 | 2 | 11 | 13 | 20 |
1978-79 | 브랜던 위트 킹스 | WHL | 66 | 24 | 74 | 98 | 139 | 22 | 9 | 19 | 28 | 34 |
1978-79 | 브랜던 위트 킹스 | M-컵 | - | - | - | - | - | 5 | 0 | 5 | 5 | 10 |
1979-80 | 보스턴 브루인스 | NHL | 72 | 5 | 11 | 16 | 94 | 10 | 1 | 1 | 2 | 28 |
1980-81 | 보스턴 브루인스 | NHL | 78 | 11 | 18 | 29 | 148 | 3 | 0 | 1 | 1 | 2 |
1981-82 | 보스턴 브루인스 | NHL | 78 | 1 | 8 | 9 | 83 | 2 | 0 | 0 | 0 | 2 |
1982-83 |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 | NHL | 79 | 4 | 21 | 25 | 61 | 3 | 0 | 0 | 0 | 4 |
1983-84 |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 | NHL | 71 | 0 | 24 | 24 | 76 | 1 | 0 | 0 | 0 | 4 |
1984-85 |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 | NHL | 66 | 8 | 35 | 43 | 81 | 11 | 2 | 1 | 3 | 15 |
1985-86 |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 | NHL | 80 | 13 | 43 | 56 | 85 | 5 | 2 | 0 | 2 | 2 |
1986-87 |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 | NHL | 71 | 10 | 29 | 39 | 52 | 26 | 3 | 5 | 8 | 30 |
1987-88 | 캘거리 플레임스 | NHL | 80 | 7 | 35 | 42 | 98 | 9 | 2 | 3 | 5 | 22 |
1988-89 | 캘거리 플레임스 | NHL | 72 | 5 | 17 | 22 | 96 | 22 | 0 | 3 | 3 | 30 |
1989-90 | 캘거리 플레임스 | NHL | 79 | 4 | 15 | 19 | 78 | 6 | 0 | 2 | 2 | 8 |
1990-91 |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 NHL | 64 | 0 | 13 | 13 | 81 | 7 | 1 | 1 | 2 | 21 |
1991-92 |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 NHL | 79 | 7 | 22 | 29 | 118 | 11 | 0 | 1 | 1 | 8 |
1992-93 |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 NHL | 60 | 1 | 14 | 15 | 71 | - | - | - | - | - |
1993-94 | 하트퍼드 훼일러스 | NHL | 65 | 1 | 5 | 6 | 72 | - | - | - | - | - |
1994-95 | 하트퍼드 훼일러스 | NHL | 33 | 0 | 1 | 1 | 42 | - | - | - | - | - |
1995-96 | 하트퍼드 훼일러스 | NHL | 58 | 3 | 6 | 9 | 62 | - | - | - | - | - |
1996-97 | 피닉스 카이오티스 | NHL | 37 | 1 | 5 | 6 | 18 | - | - | - | - | - |
NHL 총계 | 1,222 | 81 | 322 | 403 | 1,416 | 116 | 11 | 18 | 29 | 176 |
7.2. 국제 경기 통계
연도 | 팀 | 대회 | 출장 | 골 | 어시스트 | 포인트 | 페널티 시간 |
---|---|---|---|---|---|---|---|
1978 | 캐나다 | WJC | 6 | 0 | 2 | 2 | 4 |
1979 | 캐나다 | WJC | 5 | 1 | 2 | 3 | 2 |
주니어 총계 | 11 | 1 | 4 | 5 | 6 |
7.3. 지도자 통계
시즌 | 팀 | 리그 | 정규 시즌 | 플레이오프 | ||||||
---|---|---|---|---|---|---|---|---|---|---|
경기 수 | 승 | 패 | 무 | 연장전 패배 | 승률 | 지구 순위 | 결과 | |||
1998-99 | 새스커툰 블레이즈 | WHL | 72 | 16 | 49 | 7 | - | .271 | 동부 지구 6위 | 플레이오프 진출 실패 |
1999-00 | 새스커툰 블레이즈 | WHL | 72 | 34 | 30 | 8 | 3 | .549 | 동부 지구 2위 | 2라운드 탈락 |
WHL 총계 | 144 | 50 | 76 | 15 | 3 | .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