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1.1. 출생 및 유년 시절
박희준은 1994년 3월 29일 대한민국에서 태어났다.
1.2. 가라테 입문
박희준은 고등학교 시절 아버지의 권유로 검도를 시작했다. 검도관 관장이 보여준 가라테 영상에 깊은 인상을 받아 가라테에 입문하게 되었다.
2. 선수 경력
박희준은 가라테 선수로서 다양한 국내외 대회에 참가하며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아시안 게임과 아시아 카라테 선수권 대회에서 여러 차례 메달을 획득하며 대한민국 가라테의 위상을 높였다.
2.1. 초기 경력
박희준은 2014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가라테1 프리미어 리그에 참가하여 3위를 기록하며 국제 무대에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2.2. 아시안 게임
박희준은 2018년 아시안 게임에 참가하여 남자 카타 종목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대한민국 가라테 역사상 카타 종목에서 획득한 첫 아시안 게임 메달로, 큰 의미를 가졌다. 2018년 이전까지 대한민국은 지난 여섯 번의 아시안 게임에서 구미테 종목에서만 8개의 동메달을 획득했을 뿐, 카타 종목에서는 메달이 없었다. 이후 2022년 아시안 게임에서도 남자 카타 종목에서 동메달을 추가하며 꾸준한 기량을 선보였다.
2.3. 아시아 카라테 선수권 대회
박희준은 아시아 카라테 선수권 대회에서도 꾸준히 메달을 획득했다.
2.4. 올림픽 참가
박희준은 2020년 하계 올림픽 가라테 종목 출전권을 획득하며 대한민국 가라테 역사상 최초로 올림픽 본선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그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2020년 하계 올림픽 최종 예선에서 1승 2패를 기록하며 올림픽 출전권을 따냈다.
2020년 하계 올림픽 본선에서는 예선 A조에 배정되어 조 3위를 기록하며 랭킹 라운드에 진출했다. 랭킹 라운드에서는 25.98점을 받아 3위에 오르며 동메달 결정전에 진출하는 기염을 토했다. 그러나 동메달 결정전에서 튀르키예의 알리 소푸글루에게 아쉽게 패배하며 최종 5위로 대회를 마쳤다. 가라테가 2024년 하계 올림픽 정식 종목에서 제외됨에 따라, 2020년 도쿄 올림픽은 박희준의 처음이자 마지막 올림픽 출전이 되었다.
3. 개인사
박희준은 선수 활동 외에도 사회적으로 주목받는 일화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무술 단을 보유하고 있다.
3.1. 사회적 활동
박희준은 2011년과 2012년에 걸쳐 두 차례에 걸쳐 시민을 돕는 의로운 행동으로 화제가 되었다. 2011년에는 여성을 폭행하고 도둑질하던 남성을 제압했으며, 2012년에는 성추행하던 남성을 제압하여 사회의 귀감이 되었다.
3.2. 무술 단
박희준은 다음과 같은 무술 단을 보유하고 있는 유단자이다.
- 가라테 3단
- 태권도 3단
- 검도 3단
4. 학력
박희준은 선수 생활과 학업을 병행하며 학문적인 성취도 이루었다.
4.1. 학력 사항
- 부산대학교를 졸업했다.
-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5. 평가 및 영향
박희준은 대한민국 가라테 역사에 중요한 발자취를 남겼으며, 그의 업적은 후배 선수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5.1. 주요 성과 및 평가
박희준은 2018년 아시안 게임에서 대한민국 최초로 가라테 카타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하며 가라테 종목의 저변 확대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한 2020년 하계 올림픽 본선 진출 및 5위라는 성적은 대한민국 가라테의 국제 경쟁력을 입증하는 중요한 성과로 기록되었다.
5.2. 향후 계획
박희준은 2022년에 열리는 세계 선수권 대회를 끝으로 선수 생활에서 은퇴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은퇴 후에는 체육 교사 시험을 준비하며 교육 분야에서 활동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