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학창 시절
스콧은 미국유타주오그던에서 태어났으며, 캘리포니아주잉글우드에서 성장했다. 그는 당시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의 홈 경기장이었던 더 포럼 근처에 위치한 모닝사이드 고등학교에서 농구를 했다. 이후 애리조나 주립대학교에서 3년간 대학 농구 선수로 활약하며 성공적인 경력을 쌓았다.
그는 1980년 Pac-10 올해의 신입생으로 선정되었고, 1983년에는 All-Pac-10 퍼스트 팀에 이름을 올렸다. 애리조나 주립대학교에서 평균 17.5득점을 기록했으며, 3학년을 마친 후 1983년 NBA 드래프트에 참가하기 위해 학교를 떠났다. 2011년, 그의 등번호 11번은 애리조나 주립 선 데빌스에 의해 영구 결번으로 지정되었다.
2. 선수 경력
바이런 스콧은 NBA와 유럽 리그에서 프로 농구 선수로 활약하며 뛰어난 슈팅 능력과 수비력을 선보였다.
2.1. NBA 경력
스콧은 1983년 NBA 드래프트에서 샌디에이고 클리퍼스에 의해 1라운드 4순위로 지명되었으나, 곧바로 노름 닉슨과의 트레이드를 통해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로 이적했다. 그는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인디애나 페이서스, 밴쿠버 그리즐리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스콧은 1980년대 쇼타임 시대의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에서 핵심 선수로 활약했다. 그는 매직 존슨, 제임스 워디, 카림 압둘-자바, A.C. 그린과 함께 주전으로 뛰며 1983년부터 1993년까지 10시즌 연속 레이커스에서 활약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1985년, 1987년, 1988년에 세 차례 NBA 챔피언십 우승을 경험했다.
루키 시즌인 1983-84 시즌에는 평균 22분 출전하여 10.6득점을 기록하며 NBA 올루키 팀에 선정되었다. 1984-85 시즌에는 0.433의 3점 슛 성공률로 NBA 전체에서 3점 슛 성공률 1위를 차지했다. 1987-88 시즌은 그의 최고의 시즌으로, 평균 21.7득점으로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의 득점을 이끌었으며, 평균 1.91스틸을 기록했다. 그는 1984년부터 1993년까지 레이커스의 주전 슈팅 가드였다. 당시 레이커스의 주요 득점 패턴 중 하나는 카림 압둘-자바의 리바운드에서 매직 존슨의 패스를 받아 스콧이 3점 슛을 성공시키거나 덩크를 하는 것이었다. 그는 공격뿐만 아니라 뛰어난 수비수로도 팀에 기여했다.
1992-93 시즌 이후 레이커스에서 방출된 스콧은 인디애나 페이서스와 자유 계약을 맺었다. 페이서스 소속으로 올랜도 매직과의 플레이오프 1라운드 1차전에서 경기 종료 2.4초를 남기고 역전 3점 슛을 성공시키며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 페이서스는 매직을 스윕하고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동부 컨퍼런스 파이널에 진출했다.
스콧은 1995년 NBA 확장 드래프트에서 페이서스에 의해 보호되지 않아 밴쿠버 그리즐리스에 지명되어 한 시즌을 뛰었다. 그리즐리스에서 뛰면서 그는 선수 경력 중 처음으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 못했다.
1996-97 시즌, NBA 선수 경력의 마지막 해에 스콧은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로 복귀했다. 그는 샤킬 오닐, 에디 존스, 닉 밴 엑셀, 그리고 18세의 신인 코비 브라이언트에게 귀중한 멘토 역할을 수행했다. 레이커스는 1996-97 시즌에 56승 26패를 기록하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했고, 유타 재즈와의 컨퍼런스 준결승까지 올랐다. 이 시리즈의 4차전은 스콧의 NBA 경력 마지막 경기가 되었으며, 그는 15.5분 출전하여 4득점 5어시스트를 기록했다. 레이커스는 이 경기에서 95대110으로 패하며 시리즈 전적 3대1로 뒤처졌고, 5차전에서 패배하며 플레이오프에서 탈락했다.
2.2. 유럽 리그 경력

NBA에서 은퇴한 후, 스콧은 1997년 여름 그리스 농구 리그의 명문 팀 파나티나이코스 BC와 1997-98 시즌 계약을 맺으며 유럽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그는 FIBA 사포르타 컵 (당시 FIBA 유로컵으로 알려짐)과 그리스 농구 리그에서 활약했다.
1997-98 시즌 사포르타 컵에서 그는 17경기에 출전하여 평균 25.6분 동안 13.4득점, 2.4리바운드, 2.1어시스트, 1.1스틸을 기록했다. 그리스 농구 리그 1997-98 시즌에는 34경기에 출전하여 평균 33.7분 동안 17.6득점, 2.8리바운드, 2.3어시스트, 1.3스틸을 기록했다.
스콧은 중요한 경기에서 득점을 책임지며 팀을 그리스 농구 리그 챔피언십으로 이끌었다. 결승전에서는 후에 NBA 스타가 되는 페자 스토야코비치가 소속된 PAOK 테살로니키와 맞붙었다. 스콧은 뛰어난 수비로 스토야코비치를 괴롭혔고, 시리즈 최종 5차전에서는 상대의 필드골 성공을 3개로 묶는 동시에 자신은 23득점을 기록했다. 파나티나이코스는 우승을 차지했고, 스콧은 파이널 MVP를 수상하며 선수 경력의 마지막을 화려하게 장식했다. 이 시즌을 끝으로 스콧은 프로 농구 선수 생활에서 은퇴하고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다.
2.3. 선수 통산 기록
바이런 스콧의 NBA 정규 시즌 및 플레이오프 통산 기록은 다음과 같다.
2.3.1. 정규 시즌
| 연도 | 팀 | 경기 수 | 선발 출장 | 평균 출전 시간 | 필드골 성공률 | 3점 슛 성공률 | 자유투 성공률 | 평균 리바운드 | 평균 어시스트 | 평균 스틸 | 평균 블록 | 평균 득점 |
|---|---|---|---|---|---|---|---|---|---|---|---|---|
| 1983-84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 74 | 49 | 22.1 | .484 | .235 | .806 | 2.2 | 2.4 | 1.1 | .3 | 10.6 |
| 1984-85†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 81 | 65 | 28.5 | 0.539 | 0.433 | .820 | 2.6 | 3.0 | 1.1 | .2 | 16.0 |
| 1985-86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 76 | 62 | 28.8 | .513 | .361 | .784 | 2.5 | 2.2 | 1.1 | .2 | 15.4 |
| 1986-87†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 82 | 82 | 33.3 | .489 | 0.436 | 0.892 | 3.5 | 3.4 | 1.5 | .2 | 17.0 |
| 1987-88†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 81 | 81 | 37.6 | .527 | .346 | .858 | 4.1 | 4.1 | 1.9 | .3 | 21.7 |
| 1988-89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 74 | 73 | 35.2 | .491 | .399 | .863 | 4.1 | 3.1 | 1.5 | 0.4 | 19.6 |
| 1989-90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 77 | 77 | 33.7 | .470 | .423 | .766 | 3.1 | 3.6 | 1.0 | 0.4 | 15.5 |
| 1990-91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 82 | 82 | 32.1 | .477 | .324 | .797 | 3.0 | 2.2 | 1.2 | .3 | 14.5 |
| 1991-92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 82 | 82 | 32.7 | .458 | .344 | .838 | 3.8 | 2.8 | 1.3 | .3 | 14.9 |
| 1992-93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 58 | 53 | 28.9 | .449 | .326 | .848 | 2.3 | 2.7 | .9 | .2 | 13.7 |
| 1993-94 | 인디애나 페이서스 | 67 | 2 | 17.9 | .467 | .365 | .805 | 1.6 | 2.0 | .9 | .1 | 10.4 |
| 1994-95 | 인디애나 페이서스 | 80 | 1 | 19.1 | .455 | .389 | .850 | 1.9 | 1.4 | .8 | .2 | 10.0 |
| 1995-96 | 밴쿠버 그리즐리스 | 80 | 0 | 23.7 | .401 | .335 | .835 | 2.4 | 1.5 | .8 | .3 | 10.2 |
| 1996-97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 79 | 8 | 18.2 | .430 | .388 | .841 | 1.5 | 1.3 | .6 | .2 | 6.7 |
| 통산 | 1073 | 717 | 28.1 | .482 | .370 | .833 | 2.8 | 2.5 | 1.1 | .3 | 14.1 | |
2.3.2. 플레이오프
| 연도 | 팀 | 경기 수 | 선발 출장 | 평균 출전 시간 | 필드골 성공률 | 3점 슛 성공률 | 자유투 성공률 | 평균 리바운드 | 평균 어시스트 | 평균 스틸 | 평균 블록 | 평균 득점 |
|---|---|---|---|---|---|---|---|---|---|---|---|---|
| 1984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 20 | 0 | 20.2 | .460 | .200 | .600 | 1.9 | 1.7 | .9 | .1 | 8.6 |
| 1985†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 19 | 19 | 30.8 | 0.517 | .476 | .795 | 2.7 | 2.6 | 2.2 | .2 | 16.9 |
| 1986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 14 | 14 | 33.6 | .497 | .353 | 0.905 | 3.9 | 3.0 | 1.4 | .1 | 16.0 |
| 1987†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 18 | 18 | 33.8 | .490 | .206 | .791 | 3.4 | 3.2 | 1.1 | .2 | 14.8 |
| 1988†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 24 | 24 | 37.4 | .499 | .436 | .865 | 4.2 | 2.5 | 1.4 | .2 | 19.6 |
| 1989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 11 | 11 | 36.5 | .494 | .385 | .836 | 4.1 | 2.3 | 1.6 | .2 | 19.9 |
| 1990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 9 | 9 | 36.1 | .462 | .382 | .769 | 4.1 | 2.6 | 2.2 | 0.3 | 13.4 |
| 1991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 18 | 18 | 37.7 | .511 | 0.526 | .794 | 3.2 | 1.6 | 1.3 | .2 | 13.2 |
| 1992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 4 | 4 | 37.0 | .500 | 0.583 | .889 | 2.5 | 3.5 | 1.5 | 0.3 | 18.8 |
| 1993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 5 | 5 | 35.4 | .500 | .533 | .783 | 2.2 | 1.8 | 1.0 | .0 | 13.6 |
| 1994 | 인디애나 페이서스 | 16 | 0 | 14.9 | .396 | .474 | .784 | 2.1 | 1.3 | .8 | .1 | 7.8 |
| 1995 | 인디애나 페이서스 | 17 | 0 | 17.5 | .340 | .265 | .882 | 1.5 | .9 | .6 | .1 | 6.1 |
| 1997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 8 | 0 | 16.8 | .455 | .364 | .895 | 1.5 | 1.4 | .1 | .0 | 6.4 |
| 통산 | 183 | 122 | 29.3 | .482 | .395 | .819 | 2.9 | 2.1 | 1.2 | .2 | 13.4 | |
3. 지도 경력
바이런 스콧은 선수 은퇴 후 NBA와 기타 리그에서 다양한 팀의 헤드 코치 및 어시스턴트 코치를 역임하며 지도자로서의 경력을 쌓았다.
3.1. 보조 코치
스콧은 1998년 새크라멘토 킹스에서 릭 아델만 감독 아래 NBA 코칭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어시스턴트 코치로서 공격 전술을 분석하는 스카우트 역할을 수행했으며, 특히 외곽 플레이와 슈팅 전문 코치로서 팀의 3점 슛 성공률 향상에 기여했다.
3.2. 뉴저지 네츠
2000년 6월 27일, 스콧은 뉴저지 네츠의 헤드 코치로 고용되었다. 그는 1999년 3월부터 팀을 이끌었던 돈 케이시 감독의 후임이었다. 당시 네츠는 지난 6시즌 중 5시즌 동안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 못했고, 23시즌 동안 12명의 헤드 코치를 교체하는 등 혼란스러운 상황이었다. 스콧이 고용된 날은 2000년 NBA 드래프트 직전이었고, 네츠는 전체 1순위 지명권을 가지고 있었다.
그의 첫 시즌인 2000-01 시즌에는 케년 마틴이라는 신인 드래프트 픽과 함께 26승에 그치며 부진했다. 당시 신인이었던 스테판 잭슨은 스콧을 "어린 선수들과의 소통 능력이 최악인 감독"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그러나 2001-02 NBA 시즌에 스테픈 마버리를 피닉스 선즈로 보내고 제이슨 키드를 영입하는 트레이드가 성사되면서 팀은 크게 개선되었다. 키드의 합류로 네츠는 52승을 거두며 프랜차이즈 기록을 세웠고, 첫 애틀랜틱 디비전 우승과 함께 동부 컨퍼런스 1번 시드를 차지했다.
플레이오프에서 인디애나 페이서스를 상대로 5차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승리하며 1984년 이후 첫 플레이오프 시리즈 승리를 거두었다. 준결승에서는 샬럿 호네츠를 5경기 만에 물리치고 NBA 팀으로서는 첫 컨퍼런스 파이널에 진출했다. 보스턴 셀틱스와의 컨퍼런스 파이널에서는 3차전에서 26점 차 리드를 날리는 등 고전했지만, 5차전과 6차전에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며 시리즈를 승리했다. 네츠는 2002년 NBA 파이널에서 샤킬 오닐과 코비 브라이언트가 이끄는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와 맞붙었으나, 4전 전패로 패배했다.
다음 시즌인 2002-03 시즌에는 디켐베 무톰보의 부상 등으로 49승을 기록하며 다소 부진했다.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 밀워키 벅스를 6경기 만에 꺾었고, 준결승에서 보스턴 셀틱스를 스윕, 컨퍼런스 파이널에서 디트로이트 피스톤즈를 스윕하며 2년 연속 NBA 파이널에 진출했다. 2003년 NBA 파이널에서는 60승을 거둔 샌안토니오 스퍼스와 맞붙었다. 시리즈는 2승 2패로 팽팽하게 진행되었으나, 6차전에서 네츠는 4쿼터 초반 9점 차 리드를 지키지 못하고 팀 던컨의 활약에 밀려 역전패하며 우승을 놓쳤다. 이 경기에서 네츠는 마지막 8.55분 동안 단 5점만을 기록했고, 스퍼스는 25점을 올리며 19점 연속 득점을 허용했다.
2003년 7월부터 스콧과 제이슨 키드 사이의 불화설이 불거졌다. 키드가 재계약을 위해 스콧의 해고를 요구했다는 보도가 있었으나, 스콧과 구단 관계자들은 이를 부인했다. 스콧은 키드와의 관계에서 자신이 "더욱 엄격한 감독"이 될 필요가 있다고 인정하기도 했다. 2003-04 시즌, 네츠는 올스타 브레이크를 앞두고 22승 20패를 기록하며 디비전 선두를 달리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스콧은 시즌 중 해임되었다. 루머에도 불구하고 스콧은 해고 소식에 "매우 놀랐다"고 말했으며, 키드와 "항상 잘 지냈다"고 주장했다. 키드는 나중에 "가끔 변화나 다른 목소리가 좋은 것"이라고 언급했다. 스콧의 후임으로는 그의 어시스턴트였던 로렌스 프랭크가 임명되었다.
3.3. 뉴올리언스 호네츠

스콧은 2004년 뉴올리언스 호네츠의 헤드 코치로 부임했다. 2005년 팀은 크리스 폴을 드래프트했고, 폴은 그 해 NBA 올해의 신인상을 수상했다. 2005-06 시즌과 2006-07 시즌에는 팀을 5할 미만의 승률로 이끌었다. 특히 허리케인 카트리나로 인해 뉴올리언스가 큰 피해를 입으면서, 팀은 대부분의 홈 경기를 오클라호마시티에서 치러야 하는 어려움을 겪었다.
2007-08 시즌, 스콧은 호네츠 헤드 코치로서 첫 위닝 시즌을 기록했다. 팀은 56승 26패(승률 0.683)를 기록하며 사우스웨스트 디비전 챔피언이 되었고, 서부 컨퍼런스 전체 2위로 시즌을 마쳤다. 스콧은 2008년 NBA 올스타전 서부 컨퍼런스 팀의 헤드 코치로 선정되었고, 몇 달 후 2007-08 NBA 올해의 감독상을 수상했다. 이러한 성공에 힘입어 호네츠는 스콧과 2년 연장 계약을 체결했다.
호네츠는 플레이오프에서 댈러스 매버릭스를 4승 1패로 꺾고 1라운드를 통과했다. 그러나 컨퍼런스 준결승에서 디펜딩 챔피언 샌안토니오 스퍼스를 만나 7차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91대82로 패배하며 탈락했다. 이 승리는 스퍼스 감독 그레그 포포비치의 100번째 플레이오프 승리였다.
2008-09 시즌, 호네츠는 49승 33패를 기록하며 플레이오프 7번 시드로 진출했다. 1라운드에서 덴버 너기츠를 만났으나, 5경기 만에 패배했다. 특히 4차전에서는 58점 차이라는 NBA 플레이오프 역사상 최악의 점수 차 패배를 기록했다. 스콧은 2009년 11월 12일, 시즌 초 3승 6패의 부진한 성적을 이유로 호네츠 헤드 코치직에서 해임되었다. 해임 후 그는 잠시 NBA on ESPN의 스튜디오 분석가로 활동했다.
3.4.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2010년 7월 1일, 스콧은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의 헤드 코치로 임명되었다. 이는 팀의 스타 플레이어인 르브론 제임스가 마이애미 히트로 떠나기 며칠 전이었다. 스콧의 첫 시즌 동안 캐벌리어스는 당시 NBA 역사상 가장 긴 26연패를 기록하는 등 힘든 시기를 보냈다. 시즌 중반 배런 데이비스가 트레이드로 클리블랜드에 합류하면서 스콧은 데이비스와 재회했고, 캐벌리어스는 시즌 막판 몇몇 승리를 거두었다. 특히 르브론 제임스의 마이애미 히트를 102대90으로 꺾는 이변을 연출하며 리그 최하위 기록을 피했다.
클리블랜드는 2011년 NBA 드래프트에서 전체 1순위로 카이리 어빙을 지명했고, 어빙은 스콧이 지도한 두 번째 NBA 올해의 신인상 수상자가 되었다. 스콧의 두 번째 시즌은 단축된 66경기 일정에도 불구하고 팀이 다소 개선된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2013년 4월 18일, 스콧은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구단에 의해 해고되었다. 그의 세 시즌 동안 캐벌리어스는 리그 하위 5위권의 수비 효율성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분석가들은 팀의 젊고 부상에 시달리는 로스터를 고려할 때 그의 해고에 놀라움을 표했다. 카이리 어빙을 비롯한 캐벌리어스 선수들은 스콧의 해고에 실망감을 드러냈다.
3.5.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스콧은 2013-14 시즌 동안 타임 워너 케이블 스포츠넷의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텔레비전 분석가로 활동했다. 시즌 후, 그는 레이커스의 새로운 헤드 코치 후보로 유력하게 거론되었다. 마이크 댄토니 감독의 사임으로 공석이 된 자리를 두고 세 차례 면접을 보았다. 2014년 7월 28일, 그는 레이커스와 다년 계약을 맺고 헤드 코치로 부임했다.
2014-15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시즌에서 스콧은 레이커스 감독으로서 첫 시즌을 21승 61패로 마쳤다. 2015년 NBA 드래프트에서 레이커스는 오하이오 주립대학교의 포인트 가드 디안젤로 러셀을 전체 2순위로 지명했다. 2015-16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시즌은 코비 브라이언트의 은퇴 시즌이었고, 레이커스는 프랜차이즈 역사상 최악의 성적인 17승 65패를 기록했다. 2016년 4월 24일, 레이커스는 스콧과의 다음 시즌 계약 옵션을 행사하지 않기로 결정하며 새로운 감독을 물색했다. 그의 레이커스 재임 기간 동안 기록한 38승 126패(승률 0.232)는 최소 두 시즌 이상 팀을 이끈 16명의 감독 중 최악의 기록이었다. 2017년 8월 6일, 스콧은 코칭직에서 은퇴하고 ESPN 해설에 전념하겠다고 밝혔다.
3.6. 지도자 통산 기록
바이런 스콧의 NBA 헤드 코치 통산 기록은 다음과 같다.
| 팀 | 연도 | 정규 시즌 경기 수 | 정규 시즌 승리 | 정규 시즌 패배 | 정규 시즌 승률 | 시즌 결과 | 플레이오프 경기 수 | 플레이오프 승리 | 플레이오프 패배 | 플레이오프 승률 | 최종 결과 |
|---|---|---|---|---|---|---|---|---|---|---|---|
| 뉴저지 네츠 | 2000-01 | 82 | 26 | 56 | 0.317 | 애틀랜틱 디비전 6위 | - | - | - | - | 플레이오프 진출 실패 |
| 뉴저지 네츠 | 2001-02 | 82 | 52 | 30 | 0.634 | 애틀랜틱 디비전 1위 | 20 | 11 | 9 | 0.550 | NBA 파이널 패배 |
| 뉴저지 네츠 | 2002-03 | 82 | 49 | 33 | 0.598 | 애틀랜틱 디비전 1위 | 20 | 14 | 6 | 0.700 | NBA 파이널 패배 |
| 뉴저지 네츠 | 2003-04 | 42 | 22 | 20 | 0.524 | (시즌 중 해고) | - | - | - | - | - |
| 뉴올리언스 호네츠 | 2004-05 | 82 | 18 | 64 | 0.220 | 사우스웨스트 디비전 5위 | - | - | - | - | 플레이오프 진출 실패 |
| 뉴올리언스 호네츠 | 2005-06 | 82 | 38 | 44 | 0.463 | 사우스웨스트 디비전 4위 | - | - | - | - | 플레이오프 진출 실패 |
| 뉴올리언스 호네츠 | 2006-07 | 82 | 39 | 43 | 0.476 | 사우스웨스트 디비전 4위 | - | - | - | - | 플레이오프 진출 실패 |
| 뉴올리언스 호네츠 | 2007-08 | 82 | 56 | 26 | 0.683 | 사우스웨스트 디비전 1위 | 12 | 7 | 5 | 0.583 | 컨퍼런스 준결승 패배 |
| 뉴올리언스 호네츠 | 2008-09 | 82 | 49 | 33 | 0.598 | 사우스웨스트 디비전 4위 | 5 | 1 | 4 | 0.200 | 1라운드 패배 |
| 뉴올리언스 호네츠 | 2009-10 | 9 | 3 | 6 | 0.333 | (시즌 중 해고) | - | - | - | - | - |
|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 2010-11 | 82 | 19 | 63 | 0.232 | 중앙 디비전 5위 | - | - | - | - | 플레이오프 진출 실패 |
|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 2011-12 | 66 | 21 | 45 | 0.318 | 중앙 디비전 5위 | - | - | - | - | 플레이오프 진출 실패 |
|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 2012-13 | 82 | 24 | 58 | 0.293 | 중앙 디비전 5위 | - | - | - | - | 플레이오프 진출 실패 |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 2014-15 | 82 | 21 | 61 | 0.256 | 태평양 디비전 5위 | - | - | - | - | 플레이오프 진출 실패 |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 2015-16 | 82 | 17 | 65 | 0.207 | 태평양 디비전 5위 | - | - | - | - | 플레이오프 진출 실패 |
| 통산 | 1101 | 454 | 647 | 0.412 | 57 | 33 | 24 | 0.579 | |||
4. 개인사
바이런 스콧은 전 부인 아니타와 세 자녀를 두었다. 자녀로는 아들 토마스, 다론과 딸 론덴이 있다. 스콧과 아니타는 2013년 6월 별거에 들어갔고, 2014년 3월 29년간의 결혼 생활 끝에 화해할 수 없는 차이를 이유로 이혼 소송을 제기했다.
2020년 7월 11일, 스콧은 등록 간호사이자 VH1의 리얼리티 쇼 바스켓볼 와이브즈 출연자인 세세 구티에레스와 재혼했다. 그는 결혼 후 2020년 말 천주교로 개종했다.
스콧은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에 드래프트되어 학교를 일찍 떠난 지 37년 만인 2020년에 애리조나 주립대학교로 돌아가 자유 인문학 학사 학위를 취득하며 돌아가신 어머니와의 약속을 지켰다. 스콧의 비영리 단체인 '바이런 스콧 어린이 기금'은 지난 10년간 1500.00 만 USD 이상을 모금하여 다양한 어린이 자선 단체에 기부했다. 그는 최근 ABC의 NBA 중계 방송과 ESPN의 스튜디오 분석가로 활동했다.
5. 지도 스타일 및 평가
바이런 스콧은 NBA 코치들 사이에서 독특한 지도 스타일로 알려져 있다. 그는 경기 중 팔짱을 낀 채 과묵하게 경기를 지켜보는 모습으로 인해 '직립부동의 헤드 코치'로 불리기도 했다. 다른 코치들이 큰 소리나 몸짓으로 선수들에게 지시하는 것과 달리, 스콧은 전술적인 지시를 어시스턴트 코치에게 맡기고 자신은 주로 질책과 격려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스콧의 코칭 스타일은 그가 선수 시절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에서 사제 관계였으며, 기용 방식을 두고 갈등을 겪었던 팻 라일리 감독의 스타일과 유사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일부에서는 그가 선수들에게 자율성을 많이 부여하는 편이라는 지적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