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초기 및 경력 시작
막심 미하일로프는 1988년 3월 19일 소련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레닌그라드주 쿠즈몰롭스키에서 태어났다. 발레리 베스프로즈반니흐의 지도로 레닌그라드주에서 배구를 시작했으며, 유년기와 청소년기를 야로슬라블에서 보냈다.
1.1. 어린 시절과 유소년 경력
미하일로프는 청소년 및 유소년 시절부터 두각을 나타냈다. 2003년 러시아 배구 슈퍼리그의 야로슬라비치 야로슬라블 클럽에 입단하며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 유소년 국가대표팀에서는 2005년 FIVB 남자 U19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2006년 남자 주니어 유럽 배구 선수권 대회에서도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2007년 FIVB 남자 U21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이 대회에서 최고 서브상을 수상하며 개인 능력을 인정받았다.
1.2. 프로 데뷔 및 초기 클럽 경력
막심 미하일로프는 2003년부터 2010년까지 야로슬라비치 야로슬라블 소속으로 활동했다. 그의 초기 소속 클럽은 여러 차례 명칭이 변경되었는데, 2003년부터 2005년까지는 '스트로이텔 야로슬라블'로, 2005년부터 2008년까지는 '네프차니크 야로슬라블'로, 그리고 2008년부터 2010년까지는 '야로슬라비치 야로슬라블'로 활동했다. 그는 이 기간 동안 아웃사이드 히터 포지션으로 뛰었으며, 2008년부터 2010년까지 3년 연속 러시아 배구 슈퍼리그 득점왕을 차지하며 팀의 핵심 공격수로 활약했다.
2. 클럽 경력
막심 미하일로프는 그의 프로 경력 대부분을 두 개의 주요 클럽에서 보냈는데, 초기에는 야로슬라비치 야로슬라블에서, 그리고 2010년부터는 VC 제니트 카잔에서 활동하며 수많은 국내외 대회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다.
2.1. 야로슬라비치 야로슬라블 (2003-2010)

2003년에 프로 데뷔한 막심 미하일로프는 야로슬라비치 야로슬라블에서 아웃사이드 히터로 활약했다. 그는 이 팀에서 2008, 2009, 2010년 러시아 배구 슈퍼리그 득점왕을 차지하며 리그 최고의 공격수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했다. 2010년 팀을 떠나기 전까지 그는 팀의 주요 득점원으로 안정적인 활약을 보여주었다.
2.2. 제니트 카잔 (2010-현재)
2010년, 미하일로프는 러시아 배구 슈퍼리그의 강팀인 VC 제니트 카잔으로 이적했다. 그는 이적 후 팀의 주요 아포짓 히터로 활약하며 제니트 카잔이 유럽 및 세계 클럽 배구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그는 CEV 챔피언스 리그에서 여러 차례 우승을 경험했다. 2010-11 시즌에 준우승을 차지한 후, 2011-12 시즌에 우승을 차지하며 팀의 성공에 기여했다. 이 대회에서 그는 최고 득점상과 최고 서브상을 수상했다. 이후 2012-13 시즌에는 3위를 기록했으며, 2014-15, 2015-16, 2016-17, 2017-18 시즌에는 4년 연속 우승이라는 전례 없는 기록을 달성했다. 특히 2016-17, 2017-18 시즌에는 최우수 선수(MVP)로 선정되었다.

FIVB 클럽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도 제니트 카잔 소속으로 여러 메달을 획득했다. 2011년에는 3위를 차지하며 최고 득점상을 수상했고, 2015년과 2016년에는 연속으로 준우승을 차지했다. 2017년에는 팀의 우승에 기여하며 클럽 세계 챔피언이 되었다. 2019년에도 3위를 기록했다.
러시아 국내 리그에서도 압도적인 성과를 보여주었다. 러시아 슈퍼컵과 러시아 컵에서 수차례 우승을 차지했으며, 특히 2010-11, 2011-12, 2013-14, 2014-15, 2015-16, 2016-17, 2017-18 시즌에 걸쳐 총 7차례 러시아 배구 슈퍼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제니트 카잔의 황금기를 이끌었다. 2016-17 러시아 챔피언십에서는 최우수 선수(MVP)로 선정되기도 했다.
3. 국가대표 경력
막심 미하일로프는 러시아 배구 국가대표팀의 핵심 선수로, 수많은 국제 대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3.1. 청소년 및 주니어 국가대표
미하일로프는 어린 시절부터 러시아 청소년 및 주니어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어 국제 무대에서 활약했다. 2005년에는 FIVB 남자 U19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국제 대회에서의 첫 우승을 경험했다. 이어서 2006년에는 남자 주니어 유럽 배구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추가했으며, 2007년 FIVB 남자 U21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은메달과 함께 최고 서브상을 수상하며 유망주로서의 잠재력을 입증했다.
3.2. 성인 국가대표 (2008-현재)

2008년 6월 14일, 막심 미하일로프는 수원시에서 열린 2008년 FIVB 배구 월드리그 인터콘티넨탈 라운드 대한민국전에서 러시아 성인 국가대표팀 데뷔전을 치렀다. 같은 해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 출전하여 20세의 나이로 주전 아포짓 히터의 역할을 수행하며 팀의 동메달 획득에 크게 기여했다. 2008년 FIVB 배구 월드리그에서는 3위에 입상했으며, 최고 스파이커 부문 3위, 최고 득점자 부문 6위를 기록하며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2010년 FIVB 배구 월드리그에서는 팀의 준우승에 기여하며 최고 득점상과 최고 스파이커상을 수상했다. 같은 해 2010년 FIVB 남자 배구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5위에 그쳤지만, 최고 스파이커상을 수상하며 개인 기량을 인정받았다.
2011년 FIVB 배구 월드리그에서는 러시아가 9년 만에 우승을 차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이 대회에서 최우수 선수(MVP)와 최고 블록상을 동시에 수상했다. 이어 2011년 FIVB 남자 배구 월드컵에서도 러시아의 우승(10승 1패, 폴란드전 5세트 승리)을 이끌며 최우수 선수(MVP)로 선정되었다. 2011년 남자 유럽 배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최고 득점상과 최고 스파이커상을 받았다.
2012년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러시아 대표팀의 금메달 획득을 이끄는 원동력이 되었고, 개인적으로는 최고 득점상과 최고 스파이커상을 수상하며 2관왕에 올랐다.
2013년에는 FIVB 배구 월드리그와 남자 유럽 배구 선수권 대회에서 모두 우승을 차지하며 러시아 대표팀의 성공을 이어갔다. 특히 2013년 남자 유럽 배구 선수권 대회 결승에서는 이탈리아를 3-1로 꺾고 우승했다. 같은 해 FIVB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부상으로 인한 공백기도 있었다. 2013년 시즌 초반에는 어깨 부상으로 경기에 나서지 못했으며, 2014년에는 양쪽 발목 부상으로 인해 수술을 받아 대부분의 시즌을 결장했다. 2014년 독일에서 무릎 수술을 받기도 했다.
부상에서 복귀한 후, 2016년 2016년 리우 올림픽에 출전하여 팀의 핵심 공격수로 활약했다. 2017년에는 남자 유럽 배구 선수권 대회에서 다시 한번 우승을 차지했으며, 이 대회에서 최우수 선수(MVP)로 선정되었다. 2018년 FIVB 남자 배구 네이션스리그에서도 러시아의 우승에 기여하며 최우수 선수(MVP)를 수상했다.
2020년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는 ROC 소속으로 참가하여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개막식에서는 소피야 벨리카야와 함께 기수로 나섰다. 이 대회에서 그는 최고 아포짓 스파이커로 선정되었다.
4. 업적 및 수상
막심 미하일로프는 클럽과 국가대표팀 경력을 통틀어 수많은 팀 성과와 개인 수상을 달성했다.
4.1. 클럽 성과
미하일로프가 소속 클럽에서 달성한 주요 성과는 다음과 같다.
대회 | 연도 | 결과 |
---|---|---|
FIVB 클럽 세계 선수권 | 2011 | 3위 |
2015 | 2위 | |
2016 | 2위 | |
2017 | 1위 | |
2019 | 3위 | |
CEV 챔피언스 리그 | 2010-11 | 2위 |
2011-12 | 1위 | |
2012-13 | 3위 | |
2014-15 | 1위 | |
2015-16 | 1위 | |
2016-17 | 1위 | |
2017-18 | 1위 | |
2018-19 | 2위 | |
러시아 슈퍼컵 | 2010 | 1위 |
2011 | 1위 | |
2012 | 1위 | |
2015 | 1위 | |
2016 | 1위 | |
2017 | 1위 | |
러시아 컵 | 2010 | 3위 |
2012 | 2위 | |
2013 | 3위 | |
2014 | 1위 | |
2015 | 1위 | |
2016 | 1위 | |
2017 | 1위 | |
러시아 배구 슈퍼리그 | 2010-11 | 1위 |
2011-12 | 1위 | |
2012-13 | 3위 | |
2013-14 | 1위 | |
2014-15 | 1위 | |
2015-16 | 1위 | |
2016-17 | 1위 | |
2017-18 | 1위 | |
2018-19 | 2위 |
4.2. 국가대표팀 성과
미하일로프가 국가대표팀에서 획득한 주요 메달은 다음과 같다.
대회 | 연도 | 결과 |
---|---|---|
FIVB 남자 U19 세계 선수권 대회 | 2005 | 1위 |
남자 주니어 유럽 배구 선수권 대회 | 2006 | 1위 |
FIVB 남자 U21 세계 선수권 대회 | 2007 | 2위 |
FIVB 배구 월드리그 | 2008 | 3위 |
2009 | 3위 | |
2010 | 2위 | |
2011 | 1위 | |
2013 | 1위 | |
올림픽 | 2008 2008년 베이징 올림픽 | 3위 |
2012 2012년 런던 올림픽 | 1위 | |
2020 2020년 도쿄 올림픽 | 2위 | |
FIVB 남자 배구 월드컵 | 2011 | 1위 |
FIVB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 2013 | 2위 |
남자 유럽 배구 선수권 대회 | 2013 | 1위 |
2017 | 1위 | |
FIVB 남자 배구 네이션스리그 | 2018 | 1위 |
4.3. 개인 수상
미하일로프가 개인적으로 수상한 주요 상의 목록과 수상 연도는 다음과 같다.
연도 | 대회 | 수상 |
---|---|---|
2007 | FIVB 남자 U21 세계 선수권 대회 | 최고 서브상 |
2010 | FIVB 배구 월드리그 | 최고 득점상, 최고 스파이커상 |
2010 | FIVB 남자 배구 세계 선수권 대회 | 최고 스파이커상 |
2011 | CEV 챔피언스 리그 | 최고 득점상 |
2011 | FIVB 배구 월드리그 | 최우수 선수(MVP), 최고 블록상 |
2011 | 남자 유럽 배구 선수권 대회 | 최고 득점상, 최고 스파이커상 |
2011 | FIVB 남자 배구 월드컵 | 최우수 선수(MVP) |
2011 | FIVB 클럽 세계 선수권 | 최고 득점상 |
2012 | CEV 챔피언스 리그 | 최고 득점상, 최고 서브상 |
2012 | 런던 올림픽 | 최고 득점상, 최고 스파이커상 |
2012 | - | 우정훈장 |
2014 | CEV 챔피언스 리그 | 최고 아포짓 스파이커 |
2015 | CEV 챔피언스 리그 | 최고 아포짓 스파이커 |
2015 | FIVB 클럽 세계 선수권 | 최고 아포짓 스파이커 |
2016 | CEV 챔피언스 리그 | 최고 아포짓 스파이커 |
2016 | 남자 유럽 올림픽 예선 | 최고 아포짓 스파이커 |
2017 | CEV 챔피언스 리그 | 최우수 선수(MVP) |
2017 | 러시아 챔피언십 | 최우수 선수(MVP) |
2017 | 메모리얼 후베르트 예르지 바그네라 | 최우수 선수(MVP) |
2017 | 남자 유럽 배구 선수권 대회 | 최우수 선수(MVP) |
2017 | - | CEV 올해의 남자 배구 선수 |
2018 | CEV 챔피언스 리그 | 최우수 선수(MVP) |
2018 | FIVB 남자 배구 네이션스리그 | 최우수 선수(MVP) |
2020 | 도쿄 올림픽 | 최고 아포짓 스파이커 |
5. 개인 생활
막심 미하일로프는 아나스타샤와 결혼했으며, 슬하에 아들 니키타를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