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마크 앨런 놀(Mark Allan Noll, Mark Allan Noll마크 앨런 놀영어, 1946년 7월 18일 출생)은 미국의 저명한 역사학자로, 특히 미국 기독교 역사 연구에 특화되어 있다. 그는 현재 리젠트 칼리지의 역사학 연구 교수로 재직 중이며, 이전에는 노트르담 대학교에서 프랜시스 A. 맥애너니 역사학 교수를 역임했다. 놀은 개혁주의 복음주의 기독교인으로서, 2005년에는 미국 시사 주간지 《타임》에 의해 미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복음주의자 25인 중 한 명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그의 학문적 기여는 미국 사회와 민주주의, 그리고 종교와 정치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2. 생애
마크 놀의 생애는 그의 학문적 깊이와 미국 기독교 역사 연구에 대한 헌신을 보여준다. 그의 어린 시절부터 교육, 그리고 휘튼 대학교와 노트르담 대학교를 거쳐 현재 리젠트 칼리지에 이르기까지의 학문적 여정은 미국 기독교사 연구의 중요한 흐름을 형성했다.
2.1. 어린 시절 및 교육
마크 앨런 놀은 1946년 7월 18일에 태어났다. 그는 학문적 탐구를 위해 여러 명문 기관에서 수학했다. 먼저 휘튼 칼리지에서 영어 학사 학위(B.A.)를 취득하며 학문의 기초를 다졌다. 이후 아이오와 대학교에서 영어 석사 학위(M.A.)를 받았고, 트리니티 복음주의 신학교에서 교회 역사 및 신학 석사 학위(M.A.)를 취득하며 신학적 깊이를 더했다. 최종적으로 밴더빌트 대학교에서 기독교 역사 박사 학위(Ph.D.)를 받으며 전문 역사학자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2.2. 학문적 경력
놀은 노트르담 대학교로 자리를 옮기기 전까지 27년 동안 휘튼 칼리지에서 역사학과 신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맥매니스 기독교 사상 교수로 활동했다. 휘튼 칼리지에 재직하는 동안 그는 네이선 해치와 함께 1982년부터 2014년까지 운영된 미국 복음주의 연구소(ISAE, Institute for the Study of American Evangelicals)를 공동 설립하고 이끌었다.
2006년부터 2016년까지는 노트르담 대학교의 역사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은퇴한 조지 마즈든의 뒤를 이어 프랜시스 A. 맥애너니 역사학 교수로 부임했다. 그는 노트르담 대학교로의 이직이 휘튼에서보다 더 적은 수의 주제에 집중할 수 있게 해주었다고 언급했다. 현재는 리젠트 칼리지의 역사학 연구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3. 주요 활동 및 업적
마크 놀은 방대한 저술 활동을 통해 미국 기독교 역사 연구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 그의 저서들은 학계에서 폭넓게 인정받았으며, 특히 미국 복음주의 운동의 지성적 경향과 미국 국가 정체성 형성 과정에서 기독교의 역할을 비판적으로 탐구하는 데 집중했다.
3.1. 미국 기독교사 연구
마크 놀은 미국 기독교 역사, 특히 복음주의 운동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세계적인 전문가로 인정받고 있다. 그는 과거와 현재의 복음주의 신념과 태도에 대한 세계의 이해를 크게 증진시켰다. 그의 연구는 "미국은 기독교 국가인가?"라는 질문에 내재된 복잡성을 많은 학자와 일반 대중이 더 깊이 인식하도록 이끌었다.
3.2. 주요 저서
놀은 수많은 저서를 집필했으며, 그의 책들은 학계에서 상당한 찬사를 받았다. 다음은 그의 대표적인 저서들과 그 핵심 내용이다.
3.2.1. 《복음주의 지성의 스캔들》
The Scandal of the Evangelical Mind영어는 1994년에 출간된 마크 놀의 대표작 중 하나로, 미국 복음주의 운동 내에 만연한 반지성주의적 경향을 비판적으로 분석한 저서이다. 이 책은 복음주의자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세상과 그 안에 있는 모든 것을 지탱하는 분으로 묘사하는 성서를 믿는다고 고백한다면, 세상과 그 안에 있는 모든 것을 지적으로 이해하려는 노력에 전심을 다해야 하며, 이런 작업을 부끄러워하거나 혼란스러워하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놀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 안에 지성적인 진지함, 성실함, 엄밀함에 대한 본원적인 소망이 존재한다고 강조하며, 복음주의 공동체가 지성적 활동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함을 역설했다. 이 책은 종교 및 세속 출판물 모두에서 광범위하게 다루어지며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3.2.2. 《America's God: From Jonathan Edwards to Abraham Lincoln》
2002년에 출간된 《America's God: From Jonathan Edwards to Abraham Lincoln》은 미국 건국 초기부터 남북전쟁 시기까지 미국의 기독교와 국가 정체성 간의 복잡한 관계를 심층적으로 탐구한 저서이다. 이 책은 조너선 에드워즈와 같은 초기 종교 지도자들의 영향력부터 에이브러햄 링컨 시대에 이르기까지 기독교 신앙이 미국의 정치, 사회, 문화적 발전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한다. 놀은 이 시기 동안 기독교가 미국의 도덕적 기반과 공공 담론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보여주면서도, 종교적 신념이 노예제와 같은 사회적 갈등에 어떻게 얽히고 분열되었는지도 조명한다.
3.2.3. 《The Search for Christian America》
네이선 해치, 조지 마즈든과 함께 1989년에 공동 집필한 《The Search for Christian America》는 미국이 과연 '기독교 국가'인가에 대한 역사적 논쟁을 다루는 중요한 저서이다. 이 책은 미국이 기독교와 비기독교적 요소의 혼합으로 형성된 나라이며, 따라서 '기독교 국가'라고 단정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저자들은 미국 헌법에 성경 구절이 없고 국기에 기독교 상징이 전혀 없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는 미국이 특정 종교에 기반을 두지 않고 다양한 종교에 대한 관용을 근거로 하는 국가임을 보여준다고 설명한다. 이 책은 기독교인들이 비기독교인들과의 공통분모를 찾아 겸손하게 공존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미국 건국 과정에서 기독교의 역할과 국가 정체성에 대한 균형 잡힌 시각을 제시한다.
3.2.4. 《The Civil War as a Theological Crisis》
2006년에 출간된 《The Civil War as a Theological Crisis》는 남북전쟁이 미국 사회와 기독교에 미친 신학적, 문화적 위기를 분석한 저서이다. 놀은 남북전쟁이 단순한 정치적, 경제적 갈등을 넘어, 노예제 문제와 국가의 운명에 대한 상충되는 신학적 해석이 충돌하면서 발생한 깊은 종교적 위기였음을 보여준다. 그는 전쟁이 미국 기독교 내부에 분열을 초래하고, 신학적 정당화가 어떻게 전쟁의 잔혹성을 부추겼는지, 그리고 종전 후 기독교가 이러한 위기를 어떻게 극복하려 했는지를 탐구한다.
3.2.5. 기타 주요 저서
마크 놀은 위에 언급된 저서 외에도 그의 학문적 여정과 폭넓은 연구 분야를 보여주는 다양한 중요한 저서들을 집필했다.
- 《A History of Christianity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1992): 미국과 캐나다 기독교의 역사를 포괄적으로 다룬다.
- 《One Nation Under God: Christian Faith and Political Action in America》(1988): 이 책의 5장 '1800년의 캠페인: 빛 없는 화재 사건'에서는 토머스 제퍼슨의 대통령 당선에 대한 당시 장로교인과 회중교인들의 두려움과 그로 인해 프린스턴 대학교 건물에 화재가 발생했던 사건을 다룬다. 당시 프린스턴 학장이었던 스탠호프는 미국의 기독교 위기에 대해 설교하기도 했다.
- 《Religion and American Politics: From the Colonial Period to the 1980s》(1989): 미국의 식민지 시대부터 1980년대까지 종교와 정치의 관계를 분석한다.
- 《The Rise of Evangelicalism: The Age of Edwards, Whitefield, and the Wesleys》(2004): 조너선 에드워즈, 조지 휫필드, 존 웨슬리 시대를 중심으로 복음주의의 부흥을 다룬다.
- 《Is the Reformation Over? An Evangelical Assessment of Contemporary Roman Catholicism》(2005, 캐롤린 니스트롬과 공저): 종교개혁이 끝났는지에 대한 질문을 던지며 현대 로마 가톨릭 사상에 대한 복음주의적 평가를 제시한다.
- 《The New Shape of World Christianity: How American Experience Reflects Global Faith》(2009): 미국 기독교 경험이 전 세계 기독교 신앙의 새로운 형태를 어떻게 반영하는지를 탐구한다.
- 《Protestantism: A Very Short Introduction》(2011): 개신교에 대한 간략하면서도 핵심적인 소개를 제공한다.
- 《Jesus Christ and the Life of the Mind》(2011): 예수 그리스도와 지성적 삶의 관계를 탐구한다.
- 《From Every Tribe and Nation: A Historian's Discovery of the Global Christian Story》(2014): 역사가로서 그가 발견한 전 세계 기독교의 이야기를 다룬다.
- 《America's Book: The Rise and Decline of a Bible Civilization, 1794-1911》(2022): 1794년부터 1911년까지 미국에서 성경 문명의 흥망성쇠를 다룬다.
3.3. 에큐메니컬 활동
마크 놀은 학문적 활동 외에도 종교 간 화합을 위한 에큐메니컬 활동에 참여했다. 1994년에는 미국 내 복음주의 및 가톨릭 지도자들 간의 협력 증진 필요성을 강조하는 에큐메니컬 문서인 《Evangelicals and Catholics Together》에 공동 서명했다. 이는 복음주의와 가톨릭 간의 대화와 협력을 모색하는 그의 노력을 보여주는 중요한 행보였다.
4. 수상 및 평가
마크 놀의 학문적 성과는 사회와 학계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는 여러 권위 있는 상을 수상하며 그의 기여를 인정받았다.
4.1. 주요 영예 및 수상
2006년, 마크 놀은 조지 W. 부시 대통령으로부터 미국 국가인문학메달을 수여받았다. 이 상은 인문학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이룬 개인에게 주어지는 미국 정부의 최고 영예 중 하나로, 그의 학문적 기여가 국가적 차원에서 인정받았음을 의미한다.
5. 영향 및 유산
마크 놀의 저술과 연구는 미국 기독교사 및 복음주의 연구 분야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후대 학자들과 일반 대중의 이해를 심화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5.1. 역사 서술에 대한 기여
놀은 조지 마즈든, 네이선 해치, 데이비드 베빙톤과 같은 다른 역사학자들과 함께 복음주의 신념과 태도에 대한 세계의 이해를 크게 증진시켰다. 그의 연구는 미국 기독교사 연구의 방법론과 주제 설정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특히 "미국은 기독교 국가인가?"라는 질문에 내재된 복잡성을 많은 학자와 일반 대중이 더 깊이 인식하도록 이끌었으며, 이는 미국 역사에 대한 보다 미묘하고 비판적인 접근 방식을 촉진했다.
5.2. 후대 학자 및 대중에게 미친 영향
마크 놀의 저서와 강연은 후대 학자들의 연구 방향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는 복음주의 운동의 지성적 문제점과 미국 기독교의 복잡한 역사를 탐구함으로써, 새로운 세대의 학자들이 이러한 주제에 대해 더 깊이 파고들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 또한 그의 명확하고 접근하기 쉬운 저술 스타일은 일반 대중이 기독교 및 미국 역사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도움을 주었다. 그의 작품은 종교와 사회, 정치의 관계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6. 관련 항목
- 조지 마즈든
- 네이선 해치
- 데이비드 베빙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