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배경
1.1. 출생 및 어린 시절
마나카 미쓰루는 1971년 1월 6일 사이타마현 삿테시에서 태어났으며, 어린 시절 도치기현 오타와라시로 이사하여 그곳에서 성장했다. 그는 오타와라 시립 오타와라 초등학교 5학년 때부터 야구를 시작했다. 마나카는 자신이 태어난 곳은 사이타마현 삿테시지만, 물심양면으로 성장한 곳은 오타와라시이므로 오타와라시를 고향으로 여기고 있으며, 이 사실을 일일이 설명하는 것이 번거로웠다고 밝힌 바 있다. 어린 시절 야구 중계는 도치기현이 요미우리 자이언츠 경기 위주였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팬이었고 특히 다카하시 요시히코 선수를 동경했다.
1.2. 학력 및 아마추어 야구
마나카는 우쓰노미야가쿠엔 고등학교(현재의 분세이 예술대학 부속 중학교·고등학교)에 진학하여 야구부에서 3번 타자로 활약했다. 4번 타자였던 다카시마 도루와 함께 3학년 때인 1988년에 봄과 여름 고시엔 대회에 연속으로 출전했다. 제60회 선발 고등학교 야구 대회에서는 팀이 4강에 진출하는 데 기여했으며, 제70회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3차전에서 아쉽게 패했다.
고등학교 졸업 후 니혼 대학 경제학부 산업경영학과(일부)에 진학했으며, 대학 동기 중에는 와타나베 히로유키가 있었다. 대학 1학년 가을에 열린 승강 결정전에서는 끝내기 홈런을 때려내며 깊은 인상을 남겼다. 4학년 봄에는 타율 0.386와 13타점을 기록하며 타격 2관왕을 차지했고, 가을에는 에이스 몬나 데쓰히로의 활약과 더불어 팀의 우승에 기여했다. 도토 대학 리그 통산 71경기에 출전하여 260타수 78안타, 타율 0.300, 8홈런, 41타점을 기록했으며, 네 차례나 베스트 나인에 선정되는 등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2. 프로 선수 경력
마나카 미쓰루는 프로 야구 선수로서 16년간 활약하며 팀의 황금기를 함께하고, 대타 전문 선수로서 일본 기록을 세우는 등 인상적인 경력을 쌓았다.
2.1. 드래프트 및 데뷔
마나카는 1992년 프로 야구 드래프트 회의에서 야쿠르트 스왈로스로부터 3순위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 그의 프로 데뷔는 1993년 9월 3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경기에서 8번 중견수로 선발 출장하며 이루어졌다. 같은 경기 7회말에는 사이토 마사키를 상대로 우전 결승 적시타를 기록하며 첫 안타와 첫 타점을 올렸다. 첫 홈런은 1994년 9월 29일 히로시마 도요 카프와의 경기에서 기토 마코토로부터 솔로 홈런을 기록하며 달성했다.
2.2. 주요 시즌 및 업적
프로 4년 차인 1996년에는 탈장 수술로 인해 7경기 출전에 그치며 부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1997년에는 부상당한 이이다 데쓰야를 대신하여 1번 타자를 맡아 팀의 센트럴 리그 우승과 일본 시리즈 우승에 크게 기여했다. 특히 1997년 일본 시리즈에서는 부상으로 이탈한 이이다를 대신하여 1번 중견수로 선발 출장했으며, 세이부 라이온스를 4승 1패로 꺾고 일본 챔피언에 올랐다.
1998년에는 처음으로 규정 타석에 도달하며 시즌 133경기에 모두 출전하는 기록을 세웠고, 다음 해인 1999년에는 프로 데뷔 후 처음으로 3할대 타율을 기록했다. 2001년에는 타율 0.312를 기록하며 팀의 리그 우승과 일본 시리즈 우승에 다시 한번 기여했다. 특히 주니치 드래곤즈의 가와카미 겐신을 상대로 통산 2개의 홈런밖에 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중 하나를 9월 25일 나고야 돔에서 역전 3점 홈런으로 연결하며 '대회전 타법'이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노무라 가쓰야 감독이 이끄는 야쿠르트의 황금기에는 마나카가 중견수 포지션을 팀의 명수인 이이다 데쓰야와 경쟁하며 이이다가 부진으로 전력에서 제외될 때 대역으로 활약했다. 그러나 이이다가 반복적으로 부상을 당하면서 상황이 역전되었고, 1998년부터는 주전 외야수로서 우익수와 중견수 자리를 지키게 되었다.
2005년에는 아오키 노리치카의 급성장으로 다시 한번 주전 경쟁이 심화되었다. 리그 최다 안타 기록을 경신하는 아오키의 맹활약으로 마나카의 출전 기회는 줄었지만, 그는 승부처에 강한 타격을 살려 대타의 '비장의 카드'라는 새로운 역할을 부여받았다. 대타로서도 3할 타자에 손색없는 활약을 선보였으며, 2007년에는 일본 기록인 시즌 대타 기용 횟수 98회와 대타만으로 31개의 안타를 기록하며 '대타 장인', '대타의 신'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 대타 기용 횟수와 대타 안타 개수 기록은 현재까지 깨지지 않고 있다.
2.3. 선수 스타일 및 특징
마나카 미쓰루는 프로 야구 선수로서는 키가 큰 편은 아니었지만, 정확한 타격과 펀치력을 겸비한 선수였다. 대학 시절에는 와카마쓰 쓰토무에 비견되어 '와카마쓰 2세'라고 불리기도 했다. 그의 50미터 달리기 기록은 6.1초를 주파할 정도의 빠른 발을 자랑했으며, 1998년 설날에 방송된 TV 프로그램 《최강의 남자는 누구! 장렬 근육 배틀!! 스포츠맨 No.1 결정전》에서는 50미터 달리기에서 6.52초를 기록했다.
당시 상대했던 주니치 드래곤즈의 투수 가와카미 겐신과는 상성이 좋았다. 가와카미는 마나카와 마찬가지로 상대 전적이 좋지 않았던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시미즈 다카유키에 대한 대책으로 컷 패스트볼을 익혔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나카는 가와카미를 상대로 59타수 21안타, 타율 0.356, 2홈런, 7삼진이라는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특히 마나카가 나고야 돔에서 유일하게 기록한 홈런이 가와카미로부터 나온 것이었다. 2021년 가와카미와의 대담에서 가와카미는 "마나카 씨의 연봉을 올린 건 저입니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이다 데쓰야가 부상으로 계속 이탈하면서 마나카가 중견수에 정착했을 때, 가와카미는 장내 아나운서의 "1번 중견수 마나카"라는 목소리를 들으면 의욕이 떨어졌다고 한다. 실제로 가와카미 본인도 가장 상대하기 어려웠던 타자로 마나카와 시미즈를 꼽았지만, 인터뷰에서는 항상 "다른 어려운 선수는 없었나요?"와 같은 질문을 받아 결과적으로 다카하시 요시노부, 가네모토 도모아키, 마쓰이 히데키 등이 언급되었다고 가와카미는 회고했다.
2.4. 선수 수상 및 기록
- 일본 시리즈 우수 선수상: 1회 (2001년)
개인 기록
- 첫 출장·첫 선발 출장: 1993년 9월 3일,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22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8번·중견수로서 선발 출장
- 첫 안타·첫 타점: 상동, 7회말에 사이토 마사키로부터 우전 결승 적시타
- 첫 홈런: 1994년 9월 29일,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25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6회말에 기토 마코토로부터 솔로 홈런
- 통산 1000경기 출장: 2004년 7월 16일,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14차전(도쿄 돔), 8회초에 이시이 히로토시의 대타로서 출장 (역대 395번째)
- 통산 1000안타: 2005년 6월 7일, 대 세이부 라이온스 3차전(인보이스 세이부 돔), 8회초에 오사다 슈이치로로부터 좌익선상 2루타 (역대 233번째)
- 올스타전 출장: 1회 (2001년)
- 한 시즌 대타 기용 횟수: 98회 (2007년) (일본 기록)
- 한 시즌 대타 최다 안타: 31안타 (2007년) (일본 기록)
2.5. 은퇴
2008년 시즌에는 14타수 1안타(타율 0.071)에 그치며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결국 그 해를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3. 코치 및 마이너리그 지도자 경력
현역 은퇴 후 마나카는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에서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다. 2009년부터 야쿠르트의 2군 타격 코치를 맡았다. 2010년 시즌 종반에는 사루와타리 히로시게 2군 감독의 계약 만료에 따라 2군 감독 대행으로서 피닉스 리그를 지휘했다. 같은 해 11월 1일자로 2011년 시즌의 2군 감독으로 정식 부임했다. 2군 감독 재임 기간 중인 2013년에는 팀을 이스턴 리그 우승으로 이끌며 지도력을 인정받았다. 2013년 10월 23일, 2014년 시즌부터 1군 타격 수석 코치로 승격하여 1군에서 선수들을 지도했다.
4. 감독 경력
마나카 미쓰루는 2015년부터 2017년까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의 감독을 역임하며 팀의 극적인 리그 우승을 이끌었으나, 이후 성적 부진으로 사임했다.
4.1. 감독 취임
2014년 시즌 종료 후인 10월 8일, 마나카는 오가와 준지의 후임으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의 신임 감독으로 부임한다고 발표되었다. 그는 이미 스왈로스의 2군 감독을 역임하며 팀 내부 사정에 밝았고, 젊은 선수들을 육성한 경험이 있었다. 취임 당시 팀의 상황은 전년도 최하위였으며, 마나카는 팀을 하나로 묶어 좋은 방향으로 이끌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4.2. 2015 시즌: 리그 우승

2015년 시즌, 마나카 감독이 이끄는 야쿠르트는 요미우리 자이언츠 등과 시즌 막판까지 치열한 우승 경쟁을 벌였다. 결국 10월 2일 메이지 진구 야구장에서 열린 한신 타이거스와의 시즌 최종전에서 연장 11회말 유헤이의 적시타로 끝내기 승리를 거두며 극적으로 센트럴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이 해 센트럴 리그는 유례없는 대혼전 양상이었으며, 마나카는 취임 1년 만에 팀을 우승으로 이끈 감독이 되었다. 전년도 최하위 팀이 리그 우승을 차지한 것은 센트럴 리그에서 39년 만의 쾌거였다.
클라이맥스 시리즈 파이널 스테이지에서는 퍼스트 스테이지 승리팀인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맞붙었다. 첫 경기는 패했지만, 이후 3연승을 기록하며 4승 1패(리그 우승팀에게 주어지는 어드밴티지 1승 포함)의 성적으로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클라이맥스 시리즈 우승을 달성했다. 이로써 야쿠르트는 14년 만에 일본 시리즈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그러나 일본 시리즈에서는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에게 1승 4패로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2015년 드래프트 회의에서는 1순위 지명 선수인 다카야마 슌을 두고 한신과 경합하게 되었다. 추첨 결과 마나카가 가네모토 도모아키 한신 감독과의 제비뽑기에서 승리한 것으로 오인하여 기쁨의 가츠포즈를 취했으나, 이후 확인 결과 한신이 지명권을 획득한 것으로 밝혀지는 해프닝이 있었다. 이 사건으로 인해 마나카는 그 해 유모아 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또한, 같은 해 9월 4일에는 그의 고향인 도치기현으로부터 '도치기 미래 대사'로 위촉되었다.
4.3. 2016-2017 시즌 및 사임
2016년 시즌에는 2015년 우승 당시의 주전 선수였던 하타케야마 가즈히로가 부상으로 이탈하는 등 어려움을 겪으며 팀 성적이 5위로 크게 떨어졌다.
2017년 시즌에는 하타케야마가 시즌 초반 또다시 부상으로 이탈했고, 마찬가지로 우승 당시 주전이었던 가와바타 신고는 수술로 인해 1군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 전년도 NPB 사상 최초로 2년 연속 트리플 쓰리를 달성했던 야마다 데쓰토의 시즌 타율이 0.250에도 미치지 못하는 등 타선의 연결이 끊겼다. 투수진 역시 에이스급인 오가와 야스히로나 이시카와 마사노리가 부진하여 두 자릿수 승리 투수가 한 명도 없는 등 완전히 붕괴되었다. 7월 26일에는 NPB 사상 66년 만의 10점 차 역전승을 거두는 등 밝은 소식도 있었지만, 최종적으로는 우승팀 히로시마 도요 카프에 44게임 차, 5위 주니치 드래곤즈에 15.5게임 차로 뒤지며 3년 만에 최하위를 기록했다. 구단 역사상 최다인 96패를 기록했으며, NPB 사상 61년 만에 전반기에 두 차례나 두 자릿수 연패를 당하는 등 극심한 부진에 시달렸다. 결국 시즌 도중인 8월 22일, 마나카의 사임이 발표되었고, 시즌 모든 일정이 종료된 후 그는 공식적으로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5. 감독 퇴임 후 활동
감독직에서 물러난 후 마나카는 야구 해설가 및 평론가로 활동하며 다양한 방송에 출연하고 있다.
2017년 12월 17일, 그의 고향인 오타와라시는 시립 미하라 공원 제2구장의 애칭을 '마나카 미쓰루 기념구장'으로 명명한다고 발표했다.
2018년부터는 후지 TV와 닛폰 방송의 야구 해설자, 그리고 산케이 스포츠의 야구 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TBS 채널과 BS아사히의 야구 중계에도 출연하고 있다. 2019년 현재는 재팬 스포츠 마케팅에서 그의 업무를 관리하고 있다.
방송 활동 외에도 드라마 《쓰바메 형사》(2019년)에 본인 역으로 출연했으며, 웹 TV 프로그램 《아베마 de 주말 보트 레이스》(2020년 2월 28일 ~ 5월, AbemaTV)에서는 금요일 강사로 비정기 출연했다. 2021년부터는 스포츠 라이브+에서 《마나카 미쓰루가 간다!》라는 자신의 이름을 건 프로그램에 출연하고 있다. 저서로는 《할 수 없는 이유를 찾지 마라! 스왈로스 마나카류 "제비 혁명"》(2016년, 베이스볼 매거진사)이 있다.
6. 감독 철학
마나카 미쓰루는 감독으로서 팀 운영, 선수 기용, 경기 전략에 대해 자신만의 명확한 야구 철학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후루타 아쓰야의 오더 구성 이론과 유사하게, 타격 능력이 좋고 어느 정도 발이 빠른 타자들을 상위 타선에 배치하는 것을 선호했다. 중심 타선 뒤에도 좋은 타자를 배치하여 중심 타자에게 고의 사구가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고자 했다. 기본적으로 타율이 높은 타자 순서로 타순을 짰는데, 이는 1경기가 3이닝으로 진행되는 모바일 게임 《프로 야구 스피리츠 A》의 실시간 대전 이론과도 일맥상통하는 야구의 원점이라고 본인은 인식했다.
그는 희생 번트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이었으며, 이는 엔터테인먼트적 요소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오직 '승리'만을 생각한 결과라고 주장했다. 또한, 적극적으로 진루타를 노리는 타격에 대해서도 탐탁지 않게 여겼다.
7. 개인사 및 대중적 이미지
마나카 미쓰루는 단정한 외모 덕분에 현역 시절 '야구계의 사나다 히로유키'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다.
2018년 9월에는 자신의 인스타그램 계정을 개설했는데, 다양한 선풍기 사진을 꾸준히 게시하여 팬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었고, 이는 그의 대명사가 되었다. 2022년 기준으로 그는 약 40여 개의 선풍기를 소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2018년 12월 15일 니혼 TV의 TV 프로그램 《아리요시 반성회》에 출연하여 선풍기 사진을 계속 올리는 이유에 대해 "처음에 무엇을 올릴까 고민하다가 선풍기 사진을 올렸는데 반응이 좋아서 계속 올리다 보니 이상한 평판이 생겼다. 야구 외에 나에게 가장 잘 맞는 것을 찾고 있다"고 고백했다. 이에 진행자 아리요시 히로유키는 "선풍기는 아닌 것 같다"고 농담을 던지기도 했다.
8. 기념물 및 추모
마나카 미쓰루의 업적을 기리기 위한 기념물이 존재한다. 2017년 12월 17일, 그의 고향인 도치기현 오타와라시는 시립 미하라 공원 제2구장의 애칭을 '마나카 미쓰루 기념구장'으로 명명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그의 야구 경력과 고향에 대한 기여를 인정하는 의미이다. 또한, 2015년에는 드래프트 추첨에서의 착각으로 '유모아 대상'을 수상하는 등 대중에게 유쾌한 이미지로도 기억되고 있다. 같은 해 9월 4일에는 도치기현으로부터 '도치기 미래 대사'로 위촉되어 지역 홍보에도 기여하고 있다.
9. 상세 통계
9.1. 선수 시절 연도별 타격 성적
연도 | 소속 | 경기 | 타석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루자 | 희생번트 | 희생플라이 | 볼넷 | 고의사구 | 사구 | 삼진 | 병살타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1993 | 야쿠르트 | 21 | 45 | 44 | 3 | 12 | 2 | 0 | 0 | 14 | 1 | 1 | 1 | 0 | 0 | 1 | 0 | 0 | 7 | 0 | .273 | .289 | .318 | .607 |
1994 | 27 | 82 | 76 | 9 | 25 | 3 | 1 | 1 | 33 | 6 | 0 | 0 | 2 | 1 | 3 | 1 | 0 | 12 | 0 | .329 | .350 | .434 | .784 | |
1995 | 99 | 137 | 126 | 14 | 27 | 1 | 1 | 1 | 33 | 13 | 10 | 3 | 6 | 0 | 4 | 1 | 1 | 8 | 5 | .214 | .244 | .262 | .506 | |
1996 | 7 | 10 | 9 | 1 | 3 | 0 | 0 | 0 | 3 | 0 | 1 | 0 | 0 | 0 | 1 | 0 | 0 | 0 | 0 | .333 | .400 | .333 | .733 | |
1997 | 87 | 250 | 228 | 40 | 77 | 11 | 3 | 3 | 103 | 19 | 8 | 2 | 5 | 0 | 15 | 0 | 2 | 32 | 2 | .338 | .384 | .452 | .835 | |
1998 | 133 | 561 | 495 | 57 | 136 | 20 | 8 | 5 | 187 | 27 | 12 | 8 | 30 | 1 | 29 | 0 | 4 | 56 | 2 | .275 | .319 | .378 | .697 | |
1999 | 133 | 574 | 516 | 71 | 159 | 33 | 2 | 7 | 217 | 46 | 8 | 6 | 7 | 3 | 46 | 7 | 2 | 38 | 4 | .308 | .365 | .421 | .786 | |
2000 | 119 | 495 | 463 | 53 | 129 | 16 | 4 | 9 | 180 | 41 | 5 | 3 | 6 | 1 | 23 | 5 | 2 | 33 | 8 | .279 | .315 | .389 | .704 | |
2001 | 123 | 498 | 449 | 61 | 140 | 26 | 1 | 7 | 189 | 36 | 7 | 3 | 5 | 2 | 38 | 9 | 4 | 40 | 6 | .312 | .369 | .421 | .790 | |
2002 | 89 | 387 | 367 | 39 | 91 | 13 | 0 | 4 | 116 | 25 | 2 | 2 | 2 | 1 | 16 | 1 | 1 | 33 | 4 | .248 | .281 | .316 | .597 | |
2003 | 121 | 390 | 369 | 49 | 108 | 21 | 3 | 6 | 153 | 48 | 6 | 1 | 2 | 3 | 13 | 1 | 2 | 37 | 7 | .293 | .318 | .415 | .732 | |
2004 | 91 | 268 | 246 | 36 | 67 | 7 | 2 | 4 | 90 | 20 | 1 | 3 | 5 | 0 | 17 | 0 | 0 | 34 | 2 | .272 | .319 | .366 | .685 | |
2005 | 99 | 244 | 225 | 20 | 68 | 12 | 0 | 5 | 95 | 28 | 2 | 1 | 3 | 1 | 15 | 2 | 0 | 29 | 11 | .302 | .344 | .422 | .767 | |
2006 | 99 | 194 | 172 | 13 | 41 | 8 | 0 | 1 | 52 | 15 | 1 | 0 | 7 | 3 | 11 | 0 | 1 | 19 | 5 | .238 | .283 | .302 | .586 | |
2007 | 105 | 125 | 119 | 11 | 38 | 6 | 0 | 1 | 47 | 10 | 0 | 0 | 0 | 1 | 5 | 0 | 0 | 13 | 5 | .319 | .344 | .395 | .739 | |
2008 | 15 | 14 | 14 | 0 | 1 | 0 | 0 | 0 | 1 | 0 | 0 | 0 | 0 | 0 | 0 | 0 | 0 | 3 | 0 | .071 | .071 | .071 | .143 | |
통산: 16년 | 1368 | 4274 | 3918 | 477 | 1122 | 179 | 25 | 54 | 1513 | 335 | 64 | 33 | 80 | 17 | 237 | 27 | 19 | 394 | 61 | .286 | .329 | .386 | .715 |
9.2. 감독 시절 팀 성적
9.2.1. 정규 시즌
연도 | 소속 | 순위 | 경기 | 승리 | 패전 | 무승부 | 승률 | 승차 | 팀 홈런 | 팀 타율 | 팀 평균자책점 | 연령 |
---|---|---|---|---|---|---|---|---|---|---|---|---|
2015 | 야쿠르트 | 1위 | 143 | 76 | 65 | 2 | .539 | - | 107 | .257 | 3.31 | 44세 |
2016 | 5위 | 143 | 64 | 78 | 1 | .451 | 25.5 | 113 | .256 | 4.73 | 45세 | |
2017 | 6위 | 143 | 45 | 96 | 2 | .319 | 44.0 | 95 | .234 | 4.21 | 46세 | |
통산: 3년 | 429 | 185 | 239 | 5 | .436 | A클래스: 1회, B클래스: 2회 |
9.2.2. 포스트 시즌
연도 | 소속 | 경기명 | 상대팀 | 성적 |
---|---|---|---|---|
2015 | 야쿠르트 | 센트럴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파이널 스테이지 | 요미우리 자이언츠 (센트럴 리그 2위) | 4승 1패 = 일본 시리즈 진출 (※1) |
일본 시리즈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퍼시픽 리그 1위) | 1승 4패 = 패전 |
- 성적에서의 굵은 글씨는 승리한 시리즈를 나타냄.
- ※1 리그 우승 팀에게는 1승의 어드밴티지가 포함됨.
10. 관련 항목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 고시엔 대회
- 니혼 대학
- 일본 프로 야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