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포르투갈의 엘레오노르(Leonor레오노르포르투갈어; 약 1211년 ~ 1231년 8월 28일)는 포르투갈의 인판타(Infanta)이자 덴마크의 왕비였다. 그녀는 포르투갈의 아폰수 2세와 카스티야의 우라카 사이에서 태어난 유일한 딸이며, 덴마크의 발데마르 2세의 아들인 발데마르 젊은 왕과 결혼하여 1229년부터 1231년까지 덴마크의 공동 통치 왕비로 재위했다. 매우 짧은 생애를 살았던 엘레오노르는 결혼 2년 만에 출산 중 사망했으며, 그녀의 죽음은 후대 연구를 통해 골암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이 문서는 엘레오노르의 초기 생애부터 덴마크 왕비로서의 역할, 그리고 그녀의 사망 및 사후 발견된 건강 상태에 이르기까지 그녀의 삶을 상세히 다룬다.
2. 초기 생애 및 배경
엘레오노르는 약 1211년에 포르투갈의 공주, 즉 인판타로 태어났다. 그녀는 포르투갈의 아폰수 2세와 카스티야의 우라카의 유일한 딸이었다. 그녀의 어머니 우라카는 카스티야의 공주였다. 엘레오노르의 숙모인 포르투갈의 베렝가리아는 덴마크의 발데마르 2세의 왕비였으며, 이는 엘레오노르가 덴마크 왕실과 인연을 맺는 배경이 되었다. 이러한 가족 관계는 훗날 그녀의 결혼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3. 주요 활동 및 업적
엘레오노르와 발데마르 젊은 왕의 결혼은 비보르의 군나르 주교가 처음 제안했다. 이 결혼은 엘레오노르의 숙모 베렝가리아가 발데마르 젊은 왕의 계모였던 점을 고려한 것이었다. 결혼식은 1229년 6월 24일 리베 대성당에서 거행되었다. 결혼 다음 날, 엘레오노르는 남편으로부터 결혼 선물로 퓐섬 남쪽 절반을 받았다. 그녀는 정식적으로는 '젊은 왕비'였지만, 숙모 베렝가리아가 8년 전에 사망하고 시아버지인 발데마르 2세가 재혼하지 않았기 때문에 사실상 덴마크의 유일한 왕비였다. 엘레오노르는 덴마크에서 Eleonora af Portugal엘레오노라 아 포르투갈덴마크어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졌다.

4. 사망 및 건강 상태
엘레오노르는 결혼한 지 불과 2년 만인 1231년 8월 28일, 출산 중에 사망했다. 그녀의 남편인 발데마르 젊은 왕 또한 그로부터 3개월 후인 같은 해 11월, 사냥 중 우발적인 화살에 맞아 사망했다.
엘레오노르 왕비의 무덤이 위치한 링스테드 교회를 조사했을 때, 그녀의 유해에서는 골암의 흔적이 발견되었다. 이는 그녀의 사망에 기여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엘레오노르의 무덤 발치에는 납으로 된 작은 관이 놓여 있었는데, 이 관 안에는 약 6개월 된 것으로 보이는 아이의 뼈가 들어 있었다. 이 아이의 유해는 태어날 때부터 병약하고 림프절염에 시달렸던 흔적을 보였다. 따라서 엘레오노르는 자녀를 낳았으나, 그 자녀는 태어나서 불과 6개월 정도만 생존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발견은 그녀가 출산 중 사망했다는 기록과 일치하며, 엘레오노르의 짧고 비극적인 생애를 보여준다.
5. 가계도
다음은 포르투갈의 엘레오노르의 가계도이다.
번호 | 이름 | 관계 | 비고 |
---|---|---|---|
1 | 엘레오노르 | 본인 | 포르투갈의 인판타, 덴마크 왕비 |
2 | 포르투갈의 아폰수 2세 | 아버지 | 포르투갈 국왕 |
3 | 카스티야의 우라카 | 어머니 | 포르투갈 왕비 |
4 | 포르투갈의 산슈 1세 | 친할아버지 | 포르투갈 국왕 |
5 | 아라곤의 둘시아 | 친할머니 | 포르투갈 왕비 |
6 | 카스티야의 알폰소 8세 | 외할아버지 | 카스티야 국왕 |
7 | 잉글랜드의 엘레오노르 | 외할머니 | 카스티야 왕비 |
8 | 포르투갈의 아폰수 1세 | 증조할아버지 | 포르투갈 국왕 |
9 | 사보이아의 마팔다 | 증조할머니 | 포르투갈 왕비 |
10 | 바르셀로나의 라몬 베렝게르 4세 | 증조할아버지 | 바르셀로나 백작, 아라곤의 섭정 |
11 | 아라곤의 페이로넬라 | 증조할머니 | 아라곤 여왕 |
12 | 카스티야의 산슈 3세 | 증조할아버지 | 카스티야 국왕 |
13 | 나바라의 블랑카 | 증조할머니 | 카스티야 왕비 |
14 | 잉글랜드의 헨리 2세 | 증조할아버지 | 잉글랜드 국왕 |
15 | 아키텐의 엘레오노르 | 증조할머니 | 프랑스 왕비, 잉글랜드 왕비 |
16 | 부르군디의 엔히크 | 고조할아버지 | 포르투갈 백작 |
17 | 레온의 테레사 | 고조할머니 | 포르투갈 백작부인 |
18 | 사보이아의 아메데오 3세 | 고조할아버지 | 사보이아 백작 |
19 | 알봉의 마호 | 고조할머니 | 사보이아 백작부인 |
20 | 바르셀로나의 라몬 베렝게르 3세 | 고조할아버지 | 바르셀로나 백작 |
21 | 프로방스의 돌사 1세 | 고조할머니 | 프로방스 여백작 |
22 | 아라곤의 레미로 2세 | 고조할아버지 | 아라곤 국왕 |
23 | 아키텐의 아녜스 | 고조할머니 | 아라곤 왕비 |
24 | 카스티야의 알폰소 7세 | 고조할아버지 | 카스티야 국왕, 레온 국왕 |
25 | 바르셀로나의 베렝게라 | 고조할머니 | 카스티야 왕비, 레온 왕비 |
26 | 나바라의 가르시아 6세 | 고조할아버지 | 나바라 국왕 |
27 | 레글의 마르게리트 | 고조할머니 | 나바라 왕비 |
28 | 앙주의 제프루아 5세 | 고조할아버지 | 앙주 백작 |
29 | 잉글랜드의 마틸다 | 고조할머니 | 신성 로마 제국 황후, 잉글랜드 귀족 |
30 | 아키텐의 기욤 10세 | 고조할아버지 | 아키텐 공작 |
31 | 샤텔르로의 에노르 | 고조할머니 | 아키텐 공작부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