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Overview

디미트리 옵차로프는 1988년 우크라이나 SSR 키이우에서 태어난 독일의 탁구 선수이다. 1982년 소련 탁구 챔피언이었던 아버지 미하일(또는 미하일로) 옵차로프의 영향을 받아 탁구를 시작했으며, 가족이 독일로 이주한 후 그곳에서 선수 생활을 발전시켰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시작으로 2020년 도쿄 올림픽까지 올림픽에서 은메달 2개와 동메달 4개를 획득하며 남자 탁구 올림픽 최다 메달리스트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했다. 2017년 탁구 월드컵 남자 단식에서 우승했고, 2018년 1월에는 ITTF 세계 랭킹 1위에 오르며 전 세계 탁구계에서 강력한 존재감을 드러냈다. 그의 독특한 서비스 기술과 강력한 양핸드 드라이브는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그의 트레이드마크이다.
2. Early life and background
옵차로프는 1988년 9월 2일 소련 우크라이나 SSR 키이우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미하일(또는 미하일로)은 1982년 소련 탁구 챔피언이었으며, 옵차로프가 태어난 직후 가족과 함께 독일로 이주했다. 옵차로프는 현재 뒤셀도르프와 하멜른에 거주하고 있다.
2.1. Childhood and formative years
어린 시절부터 탁구 선수였던 아버지의 영향으로 자연스럽게 탁구를 접했으며, 독일로 이주한 후 체계적인 훈련 환경에서 재능을 키웠다. 그는 일찍이 주니어 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하며 미래를 기대하게 했다.
3. Career
디미트리 옵차로프는 주니어 시절부터 국제 무대에서 꾸준히 성과를 거두며 탁구 선수로서의 입지를 다졌다. 성인 무대 데뷔 이후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여러 차례 메달을 획득하며 독일 남자 탁구의 핵심 선수로 성장했다.
3.1. Junior career
옵차로프는 유소년 탁구 선수 시절부터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2002년 모스크바에서 열린 유럽 유스 탁구 선수권 대회 카데트 부문 남자 단식에서 준우승을 차지했고, 2003년 노비사드에서 열린 같은 대회 카데트 부문 남자 복식에서도 준우승을 기록했다. 2004년 부다페스트에서 개최된 유럽 유스 선수권 주니어 부문 단체전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2005년 오스트라바 대회 주니어 부문 남자 단식에서도 우승하며 개인 기량도 입증했다. 2006년 이집트 카이로에서 열린 세계 주니어 탁구 선수권 대회 남자 단식에서 4강에 진출했으며, 같은 해 사라예보에서 열린 유럽 유스 선수권 단체전에서 다시 한번 우승을 경험했다.
3.2. Early senior career and Olympic debut
2007년부터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며 성인 무대에 데뷔했다. 2008년 중국 광저우에서 열린 제49회 세계 선수권 대회 단체전에서 독일 대표팀의 일원으로 7위를 기록했다. 같은 해 유럽 톱12 대회에도 출전하여 5위를 기록했다. 특히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티모 볼과 크리스티안 쉬스와 함께 독일 남자 대표팀의 일원으로 출전하여 은메달을 획득하며 올림픽 데뷔전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 시기에 그가 선보인 독특한 서비스 기술은 2008년 타임지에서 선정한 '2008년 50대 혁신' 중 하나로 선정되기도 했다.
3.3. Doping controversy and exoneration
2010년 9월 22일, 옵차로프는 금지 약물인 클렌부테롤의 양성 반응이 담긴 A 샘플 검사 결과로 인해 DTTB로부터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았다. 그는 도핑 혐의를 부인하며, 중국에서 섭취한 육류에 해당 약물이 포함되어 있었을 가능성을 주장했다. B 샘플 검사에서도 양성 반응이 나왔지만, 옵차로프가 자발적으로 제공한 모발 샘플에서는 클렌부테롤 남용의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DTTB는 청문회와 추가 조사를 거쳐 2010년 10월 15일 만장일치로 그의 자격 정지 처분을 해제했다. 이 결정은 ITTF의 승인을 받았다.
3.4. Rise to prominence and Olympic success (2012-2016)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 옵차로프는 남자 단식과 단체전에서 모두 동메달을 획득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2013년 유럽 탁구 선수권 대회 단식에서 첫 우승을 차지하며 개인 기량의 정점을 찍었다. 2015년 6월에는 유럽 경기 대회 창설 이래 첫 탁구 남자 단식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는 남자 단식 8강전에서 블라디미르 삼소노프에게 패했으나, 단체전에서 동메달을 추가하며 두 대회 연속 올림픽 메달리스트가 되었다. 2017년 6월에는 월드 투어 중국 오픈에서 티모 볼을 꺾고 우승했으며, 같은 해 8월에는 불가리아 오픈에서도 우승을 차지했다.
3.5. World No. 1 and later career (2017-2020)
2017년은 옵차로프에게 가장 빛나는 한 해였다. 2017년 탁구 월드컵에서 린가오위안과 당시 세계 랭킹 1위였던 마롱을 꺾고 결승에 진출한 티모 볼을 꺾고 생애 첫 월드컵 우승을 차지했다. 같은 해 11월에는 개인 최고 랭킹인 세계 3위에 올랐다. 2018년 1월에는 약 3년 동안 세계 랭킹 1위를 지켜온 마롱을 제치고 ITTF 세계 랭킹 1위에 등극했다. 2020년 1월에는 버터플라이와 용품 계약을 체결하며 주요 탁구 브랜드의 후원을 받게 되었다.
3.6. Recent activities (2021-present)
2021년 3월, 옵차로프는 WTT 도하 대회에 참가하여 WTT 컨텐더 이벤트에서 우승하고 WTT 스타 컨텐더 이벤트에서 준결승에 진출했다. 특히 WTT 컨텐더 결승에서는 이전 4번의 맞대결에서 모두 패했던 린윈루를 상대로 전술적 조정을 통해 승리하며 주목받았다. 도하에서의 활약으로 그는 세계 랭킹 10위권에 다시 진입했다. 같은 해 6월에는 유럽 탁구 선수권 대회 결승에 진출했으나, 독일 대표팀 동료인 티모 볼에게 패하여 준우승에 머물렀다. 7월에는 2020 도쿄 올림픽을 앞두고 독일 내부 올림픽 연습 경기에서 다리 부상으로 기권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쿄 올림픽에 참가하여 남자 단식에서 동메달을 획득했고, 남자 단체전에서는 은메달을 추가하며 개인 통산 6번째 올림픽 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는 올림픽 탁구 남자 선수로서 최다 메달 획득 기록에 해당한다.
2022년에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여파로 소속 클럽인 가스프롬 파켈 오렌부르크가 2021-2022 시즌 유럽 챔피언스 리그에서 제외되자, 4월 12일 오렌부르크와의 재계약을 포기하고 이적을 결정했다. 이후 2022년부터 2024년까지 TTC 노이울름에서 활동했고, 2023년부터 2024년까지는 올림피아코스 피레우스에서도 뛰었다. 2024년부터는 TTC 뢴슈프루델 풀다-마버젤 소속으로 활동하고 있다.
4. Playing style
옵차로프는 오른손 셰이크핸드 그립을 사용하는 선수로, 강력한 양핸드 드라이브가 주 무기이다. 특히 중국의 최상위 선수들에게도 위협적인 힘을 가지고 있다. 그의 플레이 스타일 중 가장 독특한 점은 예측 불가능하고 다채로운 서비스 기술이다. 특히 백핸드 서비스는 복잡하고 다양한 움직임으로 인해 상대방의 리시브를 어렵게 만들며, 스쿼트 서비스(웅크려 자세를 낮추는 서비스) 또한 그의 주요 기술 중 하나이다.
리시브 시에는 백핸드 촙 블록(츠츠키)을 많이 사용하여 상대방의 공격을 끊고 랠리전으로 전환하는 것을 선호한다. 과거에는 포핸드 리시브가 약하다는 평가가 있었으나, 테이블 위 백핸드 드라이브와 치키타 기술을 강화하고 적극적으로 사용하면서 성적이 크게 향상되었다. 또한 중진 및 후진에서 끈질기게 버티면서 반격하는 능력 또한 뛰어나다.
5. Equipment
옵차로프는 버터플라이의 후원을 받는 선수이며, 해당 브랜드의 탁구 장비를 사용한다.
- 블레이드:** 버터플라이 옵차로프 이너포스 ALC (Butterfly Ovtcharov Innerforce ALC)
- 포핸드 러버:** 버터플라이 디그닉스 09C (Butterfly Dignics 09C)
- 백핸드 러버:** 버터플라이 디그닉스 05 (Butterfly Dignics 05)
6. Club career
옵차로프는 선수 생활 동안 여러 클럽을 거치며 활약했다.
- ~2007년: TSV 슈발베 튄데른
- 2007년~2009년: 보루시아 뒤셀도르프
- 2009년~2010년: 로열 빌레트 샤를루아
- 2010년~2022년: 가스프롬 파켈 오렌부르크
- 2022년~2024년: TTC 노이울름
- 2023년~2024년: 올림피아코스 피레우스
- 2024년~현재: TTC 뢴슈프루델 풀다-마버젤
7. Personal life
옵차로프는 2013년에 스웨덴 탁구 선수인 제니 옵차로프(Jenny Mellström)와 결혼했다. 두 사람 사이에는 2016년에 태어난 딸 엠마가 있다.
8. Career statistics and records
옵차로프는 올림픽을 비롯한 주요 국제 대회에서 수많은 메달과 기록을 달성했다.
- 올림픽**
- 은메달: 2008년 베이징 (남자 단체), 2020년 도쿄 (남자 단체)
- 동메달: 2012년 런던 (남자 단식, 남자 단체),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남자 단체), 2020년 도쿄 (남자 단식)
- 2008년, 2024년 16강 (단식)
- 2016년 8강 (단식)
- 세계 선수권 대회**
- 은메달: 2010년 모스크바 (단체), 2012년 도르트문트 (단체), 2014년 도쿄 (단체), 2018년 할름스타드 (단체)
- 동메달: 2023년 더반 (남자 복식)
- 16강: 2009년, 2011년, 2013년, 2017년 (단식)
- 64강: 2015년 (단식)
- 월드컵**
- 금메달: 2017년 리에주 (단식)
- 동메달: 2009년 린츠 (단체), 2011년 마그데부르크 (단체), 2013년 베르비에 (단식), 2015년 할름스타드 (단식)
- 유럽 경기 대회**
- 금메달: 2015년 바쿠 (남자 단식), 2019년 민스크 (남자 단체), 2023년 크라쿠프-마워폴스카 (남자 단체)
- 유럽 선수권 대회**
- 금메달: 2007년 베오그라드 (단체), 2008년 상트페테르부르크 (단체), 2009년 슈투트가르트 (단체), 2010년 오스트라바 (단체), 2011년 소포트 (단체), 2013년 슈베하트 (단식, 단체), 2015년 예카테린부르크 (단식), 2017년 룩셈부르크 (단체), 2019년 낭트 (단체)
- 은메달: 2014년 리스본 (단체), 2015년 예카테린부르크 (단체), 2020년 바르샤바 (단식)
- 동메달: 2007년 베오그라드 (단식), 2012년 헤르닝 (복식), 2024년 린츠 (단식)
- 유럽 톱12/톱16**
- 금메달: 2012년 리옹 (단식), 2015년 바쿠 (단식), 2016년 곤도마르 (단식), 2017년 앙티브 (단식), 2019년 몽트뢰 (단식)
- 은메달: 2018년 몽트뢰 (단식)
- 동메달: 2014년 로잔 (단식), 2023년 몽트뢰 (단식)
- ITTF 월드 투어**
- 우승 (9회): 2010년 인도 오픈, 2011년 브라질 오픈, 2011년 코리아 오픈, 2012년 독일 오픈, 2014년 독일 오픈, 2017년 인도 오픈, 2017년 차이나 오픈, 2017년 불가리아 오픈, 2017년 독일 오픈
- 준우승 (2회): 2009년 덴마크 오픈, 2010년 폴란드 오픈
- ITTF 월드 투어 그랜드 파이널**
- 준우승 (2회): 2014년, 2017년 (단식)
-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 동메달: 2006년 카이로 (단식, 혼합 복식, 단체)
- 키 및 체중:** 신장 186 cm, 체중 78 kg
- 최고 세계 랭킹:** 1위 (2018년 1월)
- 현재 세계 랭킹:** 20위 (2025년 2월 25일 기준)
대회 | 종목 | 메달 |
---|---|---|
2008년 베이징 | 남자 단체 | 은메달 |
2012년 런던 | 남자 단식 | 동메달 |
2012년 런던 | 남자 단체 | 동메달 |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 남자 단체 | 동메달 |
2020년 도쿄 | 남자 단식 | 동메달 |
2020년 도쿄 | 남자 단체 | 은메달 |
9. Legacy and influence
디미트리 옵차로프는 중국 선수들이 강세를 보이는 탁구계에서 비(非)중국 선수로서 가장 많은 올림픽 메달을 획득하며 탁구 역사에 큰 족적을 남겼다. 그의 꾸준한 경기력과 오랜 기간 최정상급에서 활약한 경험은 후대 선수들에게 귀감이 되고 있다. 특히 그가 개발하고 정교화한 독특한 서비스 기술들은 탁구 전술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세계 탁구계에 새로운 기술적 영감을 주었다. 그의 성공은 독일 탁구의 위상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으며, 탁구의 세계적인 인기 확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