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인사
데이비드 C. 강 교수의 개인적인 배경, 출생, 가족 관계 및 초기 삶은 그의 학문적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1.1. 출생 및 가족
데이비드 찬웅 강은 1965년 1월 17일에 태어났다. 그의 한국 이름은 강찬웅(강찬웅康燦雄한국어)이며, 본관은 신천 강씨이다. 그는 한국계 미국인으로서 두 문화권의 배경을 바탕으로 동아시아 지역 연구에 깊이 몰두해왔다.
1.2. 학력
강 교수는 학업에서 뛰어난 성과를 보였다. 그는 1988년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인류학과 국제 정치학 분야에서 우등으로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로 진학하여 정치학 석사 학위를 받았고, 1995년에는 같은 대학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며 학문적 기반을 다졌다.
2. 학력 및 경력
데이비드 C. 강 교수는 교육자이자 연구자로서 다양한 기관에서 중요한 직책을 수행하며 학계에 기여해왔다.
2.1. 교수 활동
강 교수는 오랜 기간 다트머스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2009년부터는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로 자리를 옮겨 국제 관계, 경영 및 동아시아 언어문화 분야의 마리아 크러처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에서 그는 국제 정치 및 조직 관리 분야의 교수를 겸임하고 있다. 또한, 스탠퍼드 대학교, 예일 대학교, 서울대학교, 고려대학교, 제네바 대학교 등 유수의 대학에서 객원 교수로 강의하며 폭넓은 학술 교류를 이어갔다.
2.2. 연구소 활동
강 교수는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 한국학연구소의 소장을 맡고 있다. 이 연구소에서 그는 한국학 분야의 연구를 이끌고 있으며, 동아시아 지역 연구의 중심 인물로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3. 주요 연구 및 저술
데이비드 C. 강 교수의 학문적 업적은 동아시아의 복잡한 정치, 경제, 안보 문제를 깊이 있게 분석한 다수의 저서와 논문을 통해 드러난다.
3.1. 연구 분야
강 교수의 주요 연구 분야는 동아시아 안보, 북한 문제, 국제 관계, 비교 정치, 그리고 정실 자본주의이다. 그는 특히 북한의 외교 및 국내 정책, 북한 행동의 동기, 그리고 북한 행동의 예측 가능성 여부에 대해 깊이 있게 탐구해왔다. 그의 연구는 패트릭 맥이천(Patrick McEachern), 스테판 해거드(Stephan Haggard), 마커스 놀랜드(Marcus Noland), 김숙영(Suk-Young Kim) 등의 학술적 작업을 바탕으로 북한의 생존 방식과 미래를 근본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를 담고 있다.
3.2. 주요 저서
강 교수는 여러 권의 중요한 단행본을 집필했으며, 이들은 동아시아 연구 분야에서 큰 영향력을 미쳤다.
- 2024년: 『권력 전이를 넘어서: 동아시아 역사의 교훈과 미중 관계의 미래』(Beyond Power Transitions: The Lessons of East Asian History and the Future of U.S.-China Relations영어).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 2022년: 『모방을 통한 국가 형성: 동아시아 모델』(State Formation through Emulation: The East Asian Model영어).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친하오(Chin-hao Huang) 공저)
- 2020년: 『세계 속의 동아시아: 현대 국제 질서를 형성한 12가지 사건』(East Asia in the World: Twelve Events That Shaped the Modern International Order영어).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스테판 해거드 공저)
- 2017년: 『21세기 미국의 대전략과 동아시아 안보』(American Grand Strategy and East Asian Security in the Twenty-First Century영어).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 2010년: 『서양이 발전하기 전 동아시아: 5세기의 무역과 조공』(East Asia Before the West: Five Centuries of Trade and Tribute영어). 컬럼비아 대학교 출판부.
- 2009년: 『북한과의 관여: 실행 가능한 대안』(Engagement with North Korea: A Viable Alternative영어). 뉴욕 주립 대학교 출판부. (김성철 공저)
- 2007년: 『부상하는 중국: 동아시아의 평화, 권력, 질서』(China Rising: Peace, Power, and Order in East Asia영어). 컬럼비아 대학교 출판부.
- 2003년: 『핵무장한 북한: 관여 전략에 대한 논쟁』(Nuclear North Korea: A Debate on Engagement Strategies영어). 컬럼비아 대학교 출판부. (빅터 차 공저)
- 2002년: 『정실 자본주의: 한국과 필리핀의 부패와 발전』(Crony Capitalism: Corruption and Development in South Korea and the Philippines영어).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3.3. 주요 논문 및 기고
강 교수는 학술 잡지에 다수의 논문과 서평 에세이를 발표하며 자신의 분석과 통찰을 제시해왔다. 대표적인 논문으로는 2011년 『국제 안보』(International Security) 저널에 게재된 「그들은 자신들이 정상이라고 생각한다: 북한에 대한 지속적인 질문과 새로운 연구 - 서평 에세이」(They Think They're Normal: Enduring Questions and New Research on North Korea - A Review Essay영어)가 있다. 이 논문에서 그는 북한의 외교 및 국내 정책, 행동 동기, 그리고 예측 가능성에 대해 심도 있게 다루었다.
4. 대중 활동
강 교수는 학술 활동 외에도 다양한 대중 활동을 통해 자신의 전문 지식을 공유하고 사회적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4.1. 언론 기고 및 분석
강 교수는 주요 언론 매체에 기고하고 인터뷰에 응하며 대중에게 자신의 견해를 전달해왔다.
- 뉴욕 타임스: 「김정은은 기괴한 광대가 아니다」(Kim Jong-un Is Not a Freakish Buffoon)라는 제목의 기고를 통해 김정은의 정치적 역할을 분석했다.
- 워싱턴 포스트의 WNYC 미디어: 「우리가 북한에 대해 걱정해야 하는가, 말아야 하는가?」(Should We Be Worried About North Korea, Or Not?)라는 주제로 북한에 대한 분석을 제공했다.
- CNN: 김정은 위원장의 이복형제 사망 사건에 대한 분석을 제공했다.
- 동아시아 포럼(East Asia Forum): 「북한에 대해 낙관적인 이유」(Reasons to be optimistic about North Korea)와 「문재인-김정은 정상회담이 주요 행사이다」(The Moon-Kim summit is the main event) 등의 분석을 기고하며 한반도 정세에 대한 통찰을 제시했다.
- 타임지: 「도널드 트럼프는 김정은보다 북한 회담이 더 필요하다」(Donald Trump Needs the North Korea Meeting More Than Kim Jong-un)라는 제목으로 도널드 트럼프와 김정은의 정상회담에 대한 분석을 제공했다.
4.2. 공개 강연
강 교수는 한국 역사와 북한 관련 주제에 대한 공개 강연을 통해 대중과 소통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역사 개요」(An Overview of Korea): 한국의 역사 전반을 개괄하는 강연을 진행했다.
- 「헤드라인 너머의 북한과 대한민국 제1부: 북한 소개」(North Korea Beyond the Headlines PART 1: Introducing North Korea): 북한의 경제와 전반적인 상황에 대해 소개했다.
- 「헤드라인 너머의 북한과 대한민국 제2부: 북한의 군사적 도전에 대한 대응」(North Korea Beyond the Headlines Part 2: Dealing with North Korea's Military Challenge): 북한의 군사 전략에 대한 분석을 제공했다.
5. 관련 항목
- 2018년 북미정상회담
- 2018년 4월 남북정상회담
- 2018년 5월 남북정상회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