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다니엘 알렉산더 카스타노(Daniel Alexander Castano영어, 1994년 9월 17일 출생)는 미국의 전 야구 투수이다. 그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MLB)의 마이애미 말린스와 KBO 리그의 NC 다이노스에서 활약했으며, 2024년 프로 야구에서 은퇴를 선언했다.
2. 어린 시절 및 배경
2.1. 어린 시절과 교육
다니엘 카스타노는 1994년 9월 17일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태어났다. 카스타노는 텍사스주 오스틴에 위치한 레이크 트래비스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고등학교 3학년 때 그는 11경기에서 67.67이닝을 소화하며 6승 3패, 평균자책점 1.03을 기록했고, 지구 MVP와 팀 MVP로 선정되었다. 고등학교 졸업 후, 그는 베일러 대학교에 진학하여 3년간 베일러 베어스 야구팀에서 대학 야구 선수로 활동했다. 2015년에는 케이프 코드 베이스볼 리그의 채텀 앵글러스에서 대학 여름 야구를 경험했으며, 2016년 주니어 시즌에는 베일러 대학교에서 14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4승 5패, 평균자책점 4.64의 성적을 기록했다.

3. 프로 경력
다니엘 카스타노는 2016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에서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에 지명되며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마이애미 말린스를 거쳐 KBO 리그의 NC 다이노스에서 활약했으며, 2024년 현역에서 은퇴했다.
3.1.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2016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 19라운드 전체 586순위로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에 지명되어 프로에 입단했다. 계약 후 그는 루키 리그 팀인 존슨 시티 카디널스에 배정되었다. 카스타노는 2016년 프로 첫 시즌을 존슨 시티 카디널스에서 보냈으며, 12경기(선발 11경기)에 등판하여 2승 5패, 평균자책점 6.19를 기록했다. 2017년에는 A-급 팀인 스테이트 칼리지 스파이크스에서 크게 향상된 모습을 보이며 14경기 선발 등판에서 9승 3패, 평균자책점 2.57을 기록했고, 이 활약으로 뉴욕-펜 리그 올스타에 선정되었다.
3.2. 마이애미 말린스
2017년 12월 13일, 카디널스는 다니엘 카스타노와 샌디 알칸타라, 마그뉴리스 시에라, 잭 갤런을 마이애미 말린스로 트레이드하고, 그 대가로 외야수 마르셀 오즈나를 영입했다. 그는 2018년 시즌을 A+급 팀인 주피터 해머헤즈에서 시작했으며, 같은 해 걸프 코스트 말린스와 그린즈버러 그래스호퍼스에서도 뛰었다. 세 팀에서 총 24경기(선발 23경기)에 출전하여 9승 12패, 평균자책점 3.93을 기록했다. 2019년에는 다시 주피터에서 시즌을 시작했고, 5월에 AA급 팀인 잭슨빌 점보 쉬림프로 승격되었다. 두 팀을 오가며 총 30경기(선발 11경기)에서 7승 4패, 평균자책점 3.48을 기록했으며, 119이닝 동안 104개의 탈삼진을 잡아냈다.
2020년 8월 8일, 카스타노는 뉴욕 메츠를 상대로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MLB) 데뷔전을 치렀으나, 4.1이닝 동안 4자책점을 허용했다. 그는 신인 시즌을 7경기 출전(선발 6경기)하여 1승 2패, 평균자책점 3.03으로 마쳤다. 2021년 7월 9일, 그는 왼쪽 어깨 충돌 증후군으로 인해 60일 부상자 명단에 올랐다. 이 해 그는 5경기(선발 4경기)에만 등판하여 0승 2패, 평균자책점 4.87을 기록했으며, 20.1이닝 동안 13개의 탈삼진을 기록했다. 2022년에는 마이애미에서 10경기(선발 7경기)에 출전하여 1승 3패, 평균자책점 4.04를 기록했고, 35.1이닝 동안 20개의 탈삼진을 기록했다.
2023년 1월 19일, 조니 쿠에토의 영입이 공식화되면서 말린스는 카스타노를 지명 할당했다. 1월 26일, 그는 웨이버를 통과하여 트리플 A 팀인 잭슨빌 점보 쉬림프에 마이너 리그로 이관되었다. 4월 4일, 카스타노는 다시 40인 로스터 및 현역 로스터에 이름을 올렸다. 하지만 마이애미에서 단 한 경기만 출전한 후, 6월 23일 다시 로스터에서 제외되어 트리플 A 잭슨빌로 이관되었다. 9월 10일, 그는 다시 메이저 리그 로스터에 복귀했으나, 다음 날 밀워키 브루어스를 상대로 2이닝 동안 5실점을 허용했다. 9월 12일, 카스타노는 또다시 지명 할당되었고, 9월 14일 웨이버를 통과하여 잭슨빌로 이관되었다. 2023년 시즌 동안 그는 3이닝을 투구하며 7피안타, 8실점(7자책점), 4탈삼진, 평균자책점 21.00을 기록하는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WHIP 또한 3.33으로 전년 대비 2점 이상 악화되며 프로 데뷔 후 처음으로 3점대를 기록했고, 2020년 단축 시즌을 포함하여 3시즌 연속 이어지던 1점대 WHIP 기록이 중단되었다. 10월 10일, 카스타노는 자유 계약 선수를 선언했다.
카스타노는 마이애미 말린스 소속으로 뛰는 동안 2020년에는 등번호 72번을, 2021년부터 2024년까지는 등번호 20번을 사용했다.
3.3. NC 다이노스
2023년 12월 13일, 다니엘 카스타노는 KBO 리그의 NC 다이노스와 총액 85.00 만 USD(계약금 13.00 만 USD, 연봉 52.00 만 USD, 옵션 20.00 만 USD)에 1년 계약을 맺고 입단했다.
2024년 시즌, 그는 NC 다이노스에서 19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111.67이닝 동안 8승 6패, 평균자책점 4.35, 89탈삼진을 기록했다. 6월 13일 kt 위즈와의 경기에서 7이닝 4피안타 1피홈런 1볼넷 4탈삼진 2실점으로 시즌 5승을 기록했다. 6월 19일 두산 베어스와의 경기에서는 6이닝 85구 5피안타(1피홈런) 1사사구 4탈삼진 3실점으로 시즌 6승을 달성했다. 7월 3일 SSG 랜더스와의 경기에서 6이닝 5피안타 3볼넷 7탈삼진 1실점으로 시즌 7승을 기록했으며, 7월 17일 한화 이글스와의 경기에서는 8이닝 동안 8피안타 1볼넷 2탈삼진 1피홈런 1실점을 기록하며 시즌 8승을 올렸다. 7월 23일 KIA 타이거즈와의 경기에서 4이닝 7피안타 3볼넷 3탈삼진 6실점을 기록하며 패전 투수가 되었는데, 이 경기가 NC 다이노스에서의 마지막 등판이었다.
2024년 7월 28일, NC 다이노스에서 웨이버 공시되었고, 7월 31일(한국 시간 8월 4일) 자유계약선수로 공시되며 팀을 떠났다. 그의 대체 선수로는 이전에 키움 히어로즈에서 뛰었던 에릭 요키시가 영입되었다. NC 다이노스 방출 이후인 2024년 9월 3일, 다니엘 카스타노는 자신의 인스타그램을 통해 프로 야구 은퇴를 선언했다.
4. 투구 스타일
다니엘 카스타노는 최고 구속 151 km/h (93.7 mph) (약 150.8 km/h)의 패스트볼과 슬라이더를 주 무기로 사용했다.
5. 개인사
다니엘 카스타노는 기독교 신자이다. 그는 브룩 카스타노와 결혼하여 두 아들을 두고 있다.
6. 통산 기록
다니엘 카스타노의 프로 경력 동안 기록한 주요 통계는 다음과 같다.
6.1.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MLB) 통계
연도 | 팀명 | 경기 | 선발 | 완투 | 완봉 | 승 | 패 | 세이브 | 홀드 | 승률 | 타자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고의사구 | 사구 | 탈삼진 | 폭투 | 보크 | 실점 | 자책점 | 평균자책점 | WHIP | |
---|---|---|---|---|---|---|---|---|---|---|---|---|---|---|---|---|---|---|---|---|---|---|---|---|---|
2020 | MIA | 7 | 6 | 0 | 0 | 0 | 1 | 2 | 0 | 0 | .333 | 126 | 29.67이닝 | 30 | 3 | 11 | 0 | 0 | 12 | 1 | 0 | 12 | 10 | 3.03 | 1.38 |
2021 | 5 | 4 | 0 | 0 | 0 | 0 | 2 | 0 | 0 | .000 | 92 | 20.33이닝 | 22 | 3 | 8 | 0 | 1 | 13 | 0 | 0 | 12 | 11 | 4.87 | 1.48 | |
2022 | 10 | 7 | 0 | 0 | 0 | 1 | 3 | 0 | 0 | .250 | 156 | 35.67이닝 | 42 | 5 | 9 | 0 | 2 | 20 | 2 | 0 | 20 | 16 | 4.04 | 1.43 | |
2023 | 2 | 0 | 0 | 0 | 0 | 0 | 0 | 0 | 0 | ---- | 20 | 3.0이닝 | 7 | 2 | 3 | 0 | 0 | 4 | 0 | 0 | 8 | 7 | 21.00 | 3.33 | |
MLB 총계 (4년) | 24 | 17 | 0 | 0 | 0 | 2 | 7 | 0 | 0 | .222 | 394 | 88.67이닝 | 101 | 13 | 31 | 0 | 3 | 49 | 3 | 0 | 52 | 44 | 4.47 | 1.49 |
6.2. KBO 리그 통계
연도 | 팀명 | 평균자책점 | 경기 | 완투 | 완봉 | 승 | 패 | 세이브 | 홀드 | 승률 | 타자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
2024 | NC | 4.35 | 19 | 0 | 0 | 8 | 6 | 0 | 0 | 0.571 | 476 | 111.67이닝 | 117 | 11 | 25 | 7 | 89 | 65 | 54 |
통산 | 1시즌 | 4.35 | 19 | 0 | 0 | 8 | 6 | 0 | 0 | 0.571 | 476 | 111.67이닝 | 117 | 11 | 25 | 7 | 89 | 65 | 5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