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년기와 아마추어 경력
에릭 조키쉬는 프로 선수로 데뷔하기 전, 일리노이주에서 유년기를 보냈으며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대학 야구 선수로 활동하며 기량을 갈고닦았다.
1.1. 출생과 초기 교육
에릭 스펜서 조키쉬는 1989년 7월 29일 미국 일리노이주 스프링필드에서 태어났다. 그는 버지니아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1.2. 대학 및 아마추어 야구 활동
고등학교 졸업 후 2007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에서 클리블랜드 인디언스로부터 39라운드 전체 1176순위로 지명되었으나, 계약하지 않고 노스웨스턴 대학교에 진학하여 대학 야구 선수로 뛰었다. 2009년에는 케이프 코드 베이스볼 리그의 하위치 마리너스에서 컬리지 서머 베이스볼 선수로 활동했다.
2. 프로 경력
에릭 조키쉬는 시카고 컵스에서 메이저 리그에 데뷔한 이후 다양한 MLB 산하 구단과 KBO 리그 팀을 거치며 꾸준히 프로 경력을 이어나갔다.
2.1.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산하 구단 시절
에릭 조키쉬는 2010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에서 시카고 컵스에 지명된 후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 이후 여러 MLB 팀의 마이너 리그 시스템에서 활약하며 메이저 리그 데뷔를 위한 기회를 모색했다.
2.1.1. 시카고 컵스 및 MLB 데뷔
에릭 조키쉬는 2010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에서 시카고 컵스로부터 11라운드 전체 340순위로 지명되어 프로 계약을 맺었다. 2013년에는 컵스 산하 더블 A 팀인 테네시 스모키스 소속으로 노히터를 달성하는 등 뛰어난 투구를 선보였다.
그는 2014년 9월 2일 처음으로 메이저 리그에 콜업되어 데뷔했다. 메이저 리그에서는 1차례의 선발 등판을 포함해 4경기에 등판하여 14.1이닝을 던지며 평균자책점 1.88을 기록했다. 비록 3개의 피홈런을 허용하며 피안타율이 높은 편이었지만, 전반적으로 준수한 성적을 남겼다. 또한 신인 괴롭히기의 일환으로 루이지 복장을 하고 기자들 앞에 등장하기도 했다. 마이너 리그에서는 트리플 A 팀인 아이오와 컵스에서 26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9승 10패, 평균자책점 3.58, 1차례의 완봉승, WHIP 1.18의 안정적인 성적을 기록했다. 2015년에는 메이저 리그 등판 기회 없이 루키 리그인 애리조나 리그 컵스에서 3경기 선발 등판, 평균자책점 0.79를 기록했고, 트리플 A 아이오와에서는 14경기 선발 등판하여 4승 5패, 평균자책점 5.27, WHIP 1.49를 기록했다.
2.1.2. 기타 MLB 마이너 리그 구단 시절
2016년 4월 13일, 에릭 조키쉬는 마이애미 말린스로 웨이버 공시를 통해 이적했다. 그는 더블 A 잭슨빌 선즈에서 1경기에 선발 등판한 후, 트리플 A 뉴올리언스 제퍼스에서 18경기에 등판하여 30⅓이닝 동안 평균자책점 2.64와 19개의 탈삼진을 기록했다. 7월 6일, 그는 지명 할당되었고, 7월 8일 웨이버를 통과하여 더블 A 잭슨빌로 완전 이적했다.
같은 날인 2016년 7월 8일, 말린스는 조키쉬를 페드로 시리아코와 트레이드하여 텍사스 레인저스로 보냈다. 그는 텍사스 산하 트리플 A 라운드 록 익스프레스에서 7경기(4선발)에 등판하여 24이닝 동안 평균자책점 4.13과 15개의 탈삼진을 기록했다. 2016시즌이 끝난 후 11월 7일 자유계약선수 자격을 얻었다. 2016년 한 해 동안 그가 소속했던 마이너 리그 4개 팀의 총 기록은 27경기(6선발) 등판, 3승 2패 1세이브, 평균자책점 4.00, 42개의 탈삼진이었다.
2017년 2월 26일, 그는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와 마이너 리그 계약을 맺었다. 2017년 시즌 대부분을 트리플 A 리노 에이시스에서 보냈고, 더블 A 잭슨 제너럴스에서도 1경기에 선발 등판했다. 리노에서는 28경기(21선발)에 등판하여 8승 8패, 평균자책점 4.21, 134⅔이닝 동안 91개의 탈삼진을 기록했다. 다이아몬드백스 산하 두 팀을 합쳐 총 29경기(22선발)에 등판하여 8승 8패, 평균자책점 4.09, 97개의 탈삼진을 기록했다. 시즌 종료 후 2017년 11월 6일 자유계약선수가 되었다.
2017년 12월 7일, 조키쉬는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와 마이너 리그 계약을 체결하고 스프링 트레이닝에 초청 선수로 참가했다. 2018년 시즌은 트리플 A 내슈빌 사운즈에서 보냈으며, 26경기(23선발)에 등판하여 5승 11패, 평균자책점 4.06, 148⅔이닝 동안 121개의 탈삼진을 기록했다. 2018년 시즌 종료 후 11월 2일 다시 자유계약선수 자격을 얻었다.
2.2. KBO 리그 경력
에릭 조키쉬는 키움 히어로즈와 NC 다이노스에서 KBO 리그 선수로서 중요한 시기를 보냈으며, 특히 키움 히어로즈에서는 팀의 핵심 투수로 자리매김하며 리그 정상급 활약을 펼쳤다.
2.2.1. 키움 히어로즈
2018년 11월 23일, 에릭 조키쉬는 KBO 리그 키움 히어로즈 (당시 넥센 히어로즈)와 50.00 만 USD 규모의 1년 계약을 체결하며 대한민국 무대에 진출했다.
2019년 시즌, 그는 팀에서 가장 많은 13승을 기록했고, 181⅓이닝 동안 평균자책점 3.13을 기록하며 팀의 한국시리즈 진출을 이끌었다. 시즌 종료 후인 2019년 11월 22일, 키움 히어로즈와 70.00 만 USD 규모의 1년 재계약을 맺었다.
2020년 시즌에는 팀 내에서 가장 많은 159⅔이닝을 소화하며 평균자책점 2.14를 기록, KBO 리그 평균자책점 타이틀을 획득했다. 2020년 12월 2일, 그는 90.00 만 USD 규모의 1년 계약으로 다시 키움 히어로즈에 잔류했다.
2021년에는 16승을 기록하여 삼성 라이온즈의 데이비드 뷰캐넌과 함께 다승왕을 공동 수상했다. 또한 181⅓이닝으로 리그 전체 투구 이닝 2위, 평균자책점 2.93으로 리그 4위를 기록하는 등 꾸준한 활약을 이어갔다.
2021년 12월 30일, 조키쉬는 최대 130.00 만 USD 규모의 1년 계약으로 4번째 시즌을 위해 키움 히어로즈와 재계약했다.
2022년 시즌에는 키움에서 30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10승 8패, 평균자책점 2.57, 그리고 개인 경력 최다인 185⅔이닝 동안 154개의 탈삼진을 기록했다. 이로써 그는 4년 연속 두 자릿수 승수를 기록하게 되었다. 2022년 12월 11일, 조키쉬는 150.00 만 USD 규모의 1년 계약으로 또다시 키움 히어로즈와 재계약했다.
2023년 시즌에는 12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5승 3패, 평균자책점 4.39, 65⅔이닝 동안 51개의 탈삼진을 기록했다. 6월 초 왼쪽 내전근이 파열되는 부상을 입어 6주 진단이 나왔다. 키움 히어로즈는 그의 회복을 기다리기보다 6월 16일 그를 웨이버 공시하여 방출하고 이안 맥키니를 영입했다. 6월 23일 그는 자유계약선수 신분이 되었다. 키움 히어로즈에서 5시즌 동안 총 130경기에 출장하여 56승 36패, 평균자책점 2.85를 기록했다.
2.2.2. NC 다이노스
2024년 7월 31일, 에릭 조키쉬는 KBO 리그 NC 다이노스와 계약하며 약 1년 만에 대한민국 무대로 복귀했다. 그는 다니엘 카스타노의 대체 선수로 영입되었다. NC 다이노스 입단 전인 2024년 6월에는 두산 베어스의 입단 테스트에 참가하기도 했으나, 두산 베어스는 시라카와 케이쇼를 영입하기로 결정했다.
NC 다이노스에서 8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3승 4패, 평균자책점 5.72, 39⅓이닝 동안 32개의 탈삼진을 기록했다. 시즌 종료 후인 11월 30일 자유계약선수로 공시되었다.
3. 통산 기록

연도 | 팀 | 등판 | 선발 | 완투 | 완봉 | 무사구 | 승리 | 패전 | 세이브 | 홀드 | 승률 | 타자 | 투구회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고의사구 | 사구 | 삼진 | 폭투 | 보크 | 실점 | 자책점 | 방어율 | WHIP |
---|---|---|---|---|---|---|---|---|---|---|---|---|---|---|---|---|---|---|---|---|---|---|---|---|---|
2014 | CHC | 4 | 1 | 0 | 0 | 0 | 0 | 0 | 0 | 0 | ---- | 66 | 14⅓ | 18 | 3 | 4 | 0 | 0 | 10 | 0 | 0 | 3 | 3 | 1.88 | 1.54 |
2019 | 키움 | 30 | 30 | 1 | 1 | 1 | 13 | 9 | 0 | 0 | .591 | 746 | 181⅓ | 166 | 9 | 39 | 0 | 11 | 141 | 6 | 0 | 72 | 63 | 3.13 | 1.13 |
2020 | 27 | 27 | 0 | 0 | 0 | 12 | 7 | 0 | 0 | .632 | 640 | 159⅔ | 144 | 6 | 25 | 0 | 6 | 115 | 3 | 1 | 53 | 38 | 2.14 | 1.06 | |
2021 | 31 | 31 | 0 | 0 | 0 | 16 | 9 | 0 | 0 | .640 | 739 | 181⅓ | 171 | 12 | 46 | 2 | 4 | 131 | 9 | 0 | 71 | 59 | 2.93 | 1.20 | |
2022 | 30 | 30 | 0 | 0 | 0 | 10 | 8 | 0 | 0 | .556 | 746 | 185⅔ | 169 | 8 | 33 | 0 | 5 | 154 | 2 | 0 | 61 | 53 | 2.57 | 1.09 | |
2023 | 12 | 12 | 0 | 0 | 0 | 5 | 3 | 0 | 0 | .625 | 286 | 65⅔ | 82 | 3 | 14 | 1 | 3 | 51 | 1 | 0 | 37 | 32 | 4.39 | 1.46 | |
MLB 통산 (1년) | 4 | 1 | 0 | 0 | 0 | 0 | 0 | 0 | 0 | ---- | 66 | 14⅓ | 18 | 3 | 4 | 0 | 0 | 10 | 0 | 0 | 3 | 3 | 1.88 | 1.54 | |
KBO 통산 (5년) | 130 | 130 | 1 | 1 | 1 | 56 | 36 | 0 | 0 | .609 | 3157 | 773⅓ | 732 | 38 | 157 | 3 | 29 | 592 | 21 | 1 | 294 | 245 | 2.85 | 1.15 |
- 2023년 시즌 종료 기준
3.1. 등번호
- 43 (2014년, 2019년 ~ 2023년)
- 20 (202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