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까르마빠(ཀརྨ་པ་까르마빠티베트어)는 티베트 불교의 주요 환생 계보 중 가장 오래된 역사를 자랑하는 지도자로서, 까규파의 최대 지파인 까르마 까규의 수장이다. 1110년 초대 까르마빠인 뒤숨 키옌빠에 의해 창시되었다. '까르마빠'는 '붓다의 활동을 수행하는 자' 또는 '모든 붓다 활동의 구현체'라는 의미를 지니며, 공식 명칭은 '승리자'를 뜻하는 རྒྱལ་བ་걀와티베트어가 더해진 걀와 까르마빠(རྒྱལ་བ་ཀརྨ་པ་걀와 까르마빠티베트어)이다. '승리자들의 왕'이라는 의미의 걀왕 까르마빠(རྒྱལ་དབང་ཀརྨ་པ་걀왕 까르마빠티베트어)로도 불린다.
일반적으로 까르마빠가 달라이 라마와 판첸 라마에 이어 티베트 불교 서열 3위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지만, 이는 정확하지 않다. 달라이 라마와 판첸 라마가 겔룩파에 속하는 반면, 까르마빠는 까르마 까규파의 수장이므로 종파가 다르다. 그러나 까르마 까규파의 세력 규모와 17대 까르마빠의 망명 사건이 세계적인 이목을 끌었던 점 등을 고려할 때, 달라이 라마와 판첸 라마 다음으로 높은 인지도를 가진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까르마빠는 관음보살의 화신으로 믿어지고 있으며, 티베트 불교 내에서 환생 제도의 전통을 가장 먼저 시작한 인물로 평가된다.
2. 계보의 역사
까르마빠 계보는 12세기 초에 설립된 이래 티베트 불교의 중요한 흐름을 형성하며 발전해왔다. 이 계보는 독특한 환생자 식별 시스템과 영적인 상징물들을 통해 그 정통성을 유지해왔다.
2.1. 계보의 형성
까르마 까규파의 기원은 1110년 뒤숨 키옌빠(དུས་གསུམ་མཁྱེན་པ་뒤숨 키옌빠티베트어, 1110년 ~ 1193년)의 탄생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는 티베트의 큰 스승인 간포파의 제자로, 어린 시절부터 아버지에게서 불교를 배우기 시작했으며, 20대와 30대에는 위대한 스승들을 찾아다니며 수행에 매진했다. 특히 그는 꿈 요가를 수행하던 중 50세에 깨달음을 얻었다고 전해진다. 이후 그는 당대의 존경받는 스승인 샤캬 스리와 라마 샹으로부터 까르마빠, 즉 관음보살의 화신으로 인정받았다. 그의 등장은 『사마디라자 수트라』와 『랑카바타라 수트라』에서 예언된 바 있다.
까규파의 구전 계보는 금강지불(바즈라다라)로부터 시작되어 인도의 마하무드라와 탄트라 스승인 틸로빠(989년 ~ 1069년)에게 전해졌고, 다시 나로빠(1016년 ~ 1100년), 마르파 로짜와, 밀라레빠를 거쳐 이어졌다. 이들 까규파의 선대 스승들은 통틀어 '황금 로자리'라고 불린다.
2.2. 환생자 인식 시스템
까르마빠는 의식적으로 다시 태어나는 라마들의 긴 계보를 이루며, 2대 까르마빠인 까르마 팍시(ཀརྨ་པཀྵི་까르마 팍시티베트어, 1204년 ~ 1283년)는 티베트 불교에서 자신의 환생 상황을 예언한 최초의 툴쿠(sprul sku툴쿠티베트어)로 인정된다. 까르마빠의 신원은 선대 까르마빠가 남긴 예언서, 영적인 스승들의 초자연적인 통찰, 그리고 어린 환생자 스스로가 이전 생의 사물과 사람들을 식별하는 능력 등을 통해 확인된다. 이 예언서는 선대 까르마빠가 입적 전에 은밀히 믿을 만한 제자에게 전달하며, 자신의 탄생 시기와 장소, 부모의 이름, 그리고 특별한 자연적 징후 등을 상세히 알려준다고 한다. 이는 영적 계보의 연속성을 증명하는 중요한 증거로 여겨진다.
이러한 복잡한 환생자 인정 절차는 때때로 갈등을 야기하기도 했다. 8대, 10대, 12대 까르마빠는 물론, 널리 알려진 16대 까르마빠의 인정 과정에서도 갈등이 있었으나, 모두 최종적으로 해결되었다. 그러나 17대 까르마빠의 즉위를 둘러싸고는 현재까지도 복잡한 논쟁이 진행 중이다.
3. 특징과 상징물
까르마빠 계보는 그들만의 독특한 특징과 깊은 영적 의미를 담고 있는 상징물들을 통해 그 위상과 정통성을 드러낸다. 그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검은 모자'이다.
3.1. 검은 모자
까르마빠들은 '검은 모자'(Zhwa-nag좌낙티베트어)의 소유자이며, 이 때문에 때로는 '검은 모자 라마'로도 알려져 있다. 이 모자(rang 'byung cod pan랑쥭 최뺀티베트어, '스스로 나타난 왕관')는 전통적으로 다키니들이 자신의 머리카락으로 엮어 까르마빠의 영적 깨달음을 인정하는 의미로 선물했다고 전해진다. 까르마빠들이 실제로 착용하는 물리적인 모자는 5대 까르마빠인 데신 셱빠에게 명나라의 영락제가 영적인 의미를 물질적으로 구현하여 선물한 것이다.
검은 모자의 마지막 소재지는 16대 까르마빠가 거주했던 인도 시킴 주의 룸텍 사원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1993년 이후 룸텍 사원에서 여러 혼란이 발생하면서 모자가 여전히 그곳에 남아있는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인도 정부가 조만간 룸텍 사원에 남아있는 물품들의 재고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한다.
4. 역대 까르마빠 목록
역대 까르마빠들의 이름, 생몰년 및 주요 업적은 다음과 같다.
| 대수 | 이름 | 생몰년 | 비고 |
|---|---|---|---|
| 1세 | 뒤숨 키옌빠 | 1110년 - 1193년 | 간포파의 고제, 까르마파의 창시자 |
| 2세 | 까르마 팍시 | 1204년 - 1283년 | 환생 라마 제도의 확립 |
| 3세 | 랑중 도르제 | 1284년 - 1339년 | |
| 4세 | 롤빼 도르제 | 1340년 - 1383년 | |
| 5세 | 데신 셱빠 | 1384년 - 1415년 | 영락제로부터 검은 모자를 선물받음 |
| 6세 | 통와 된뗀 | 1416년 - 1453년 | |
| 7세 | 최작 갸초 | 1454년 - 1506년 | |
| 8세 | 미꾜 도르제 | 1507년 - 1554년 | |
| 9세 | 왕축 도르제 | 1556년 - 1603년 | |
| 10세 | 최잉 도르제 | 1604년 - 1674년 | |
| 11세 | 예셰 도르제 | 1676년 - 1702년 | |
| 12세 | 창춥 도르제 | 1703년 - 1732년 | |
| 13세 | 두둘 도르제 | 1733년 - 1797년 | |
| 14세 | 텍촉 도르제 | 1798년 - 1868년 | |
| 15세 | 카캬브 도르제 | 1871년 - 1922년 | |
| 16세 | 랑중 릭빼 도르제 | 1924년 - 1981년 | |
| 17세 (대립) | 틴레 타예 도르제 | 1983년 - | 샤말 린포체에 의해 인정. 2017년 3월 결혼으로 승려 지위 포기 |
| 17세 | 오겐 틴레 도르제 | 1985년 - | 다수파, 달라이 라마 14세 및 중국 정부에 의해 인정 |
5. 17대 까르마빠 및 관련 논쟁
16대 까르마빠의 입적 이후, 17대 까르마빠의 인정 문제를 둘러싸고 까르마 까규파 내부에서 복잡하고 오랜 논쟁이 발생했다. 이는 계보의 역사에서 가장 큰 분열 중 하나로 기록된다.
5.1. 인정 분쟁의 배경
1981년 16대 까르마빠 랑중 릭빼 도르제가 입적한 뒤, 그의 후계자를 둘러싸고 까르마 까규파 내부에 심각한 의견 대립이 불거졌다. 전통적으로 까르마빠의 환생자는 선대 까르마빠가 남긴 예언서를 통해 식별되지만, 이번에는 그 예언서의 해석과 진위 여부를 두고 파벌 간의 이견이 발생하면서 까르마 까규파가 두 진영으로 분열되는 사태에 이르렀다. 이러한 분쟁은 단순한 종교적 문제를 넘어 티베트 불교의 주요 계보 중 하나인 까르마 까규의 미래와 직결되는 중대한 사안이었다.
5.2. 주요 인물 및 주장
논쟁의 중심에는 두 명의 주요 후보가 있었다.
- 오겐 틴레 도르제(ཨོ་རྒྱན་འཕྲིན་ལས་རྡོ་རྗེ།오겐 틴레 도르제티베트어) (1985년 출생): 까르마 까규파의 다수파에 의해 17대 까르마빠로 선출되었으며, 달라이 라마 14세와 중국 중앙정부의 승인을 받았다. 그의 지지 세력은 16대 까르마빠가 남긴 예언서에 근거하여 그를 정통 후계자로 주장했다.
- 틴레 타예 도르제(ཕྲིན་ལས་མཐའ་ཡས་རྡོ་རྗེ།틴레 타예 도르제티베트어) (1983년 출생): 까르마 까규파의 수석 섭정(부교주)이자 '붉은 모자 라마'로 알려진 샤말 린포체가 그를 17대 까르마빠로 인정하고 즉위시켰다. 샤말파로 불리는 소수파의 지지를 받았으며, 주로 유럽과 미국에서 독자적인 포교 활동을 펼쳐왔다.
이외에도 2001년 시킴 출신의 다와 상포 도르제(1977년 출생)가 스스로 17대 까르마빠를 자칭하기도 했으나, 그는 일반적으로 지지를 받지 못했다.
5.3. 해결 및 최근 동향
17대 까르마빠 논쟁은 오랫동안 지속되며 까르마 까규파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최근에는 의미 있는 진전이 있었다. 2023년 12월 4일, 오겐 틴레 도르제와 틴레 타예 도르제 양측은 공동 성명을 발표하며, 샤말 린포체의 환생을 인정하는 데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는 까르마 까규파 내부의 오랜 분열을 해소하고 화합을 모색하는 중요한 단계로 평가된다.
한편, 틴레 타예 도르제는 2016년 3월 25일 인도 뉴델리에서 어린 시절 친구와 결혼식을 올리고 승려 지위를 포기한다고 선언했다. 이로 인해 샤말파는 교주를 잃게 되었으며, 이는 논쟁의 향방에도 영향을 미쳤다. 현재 다수파가 추대하고 달라이 라마가 인정한 오겐 틴레 도르제가 사실상 유일한 17대 까르마빠로 폭넓게 인정받고 있는 상황이다.
6. 역할과 영향
까르마빠 계보는 티베트 불교 전체, 특히 까르마 까규파 내에서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해 왔다. 까르마빠는 까르마 까규파의 최고 지도자로서, 이 종파의 영적인 전통을 계승하고 전파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이들은 오랜 세월 동안 까르마 까규파의 교리 발전과 수행법 전승에 기여하며 수많은 제자를 양성했다.
특히 17대 까르마빠 오겐 틴레 도르제의 망명 사건은 전 세계적인 관심을 받으며 티베트 불교의 상황을 국제 사회에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이처럼 까르마빠는 단순히 종교 지도자를 넘어 티베트 문화와 정체성을 대표하는 상징적인 인물로서, 국제적인 영향력을 지니고 있다. 까르마빠의 활동은 티베트 불교가 전 세계로 확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서구 사회에서도 많은 추종자를 얻고 있다.
7. 주요 사원 및 활동 중심지
까르마빠 계보의 주요 거점 사원들은 그들의 역사적 중요성과 전 세계적인 활동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반영한다.
- 쭈르푸 사원(མཚུར་ཕུ་དགོན་པ쭈르푸 사원티베트어): 티베트 중부 톨룽 계곡에 위치한 쭈르푸 사원은 역대 까르마빠들의 주요 거점 사원이다. 이는 까르마빠 계보의 정신적 본거지이자 티베트 불교 내에서 그들의 오랜 역사를 상징하는 중요한 장소이다.
- 룸텍 사원(Rumtek Monastery룸텍 사원영어): 인도 시킴 주에 위치한 룸텍 사원은 티베트 망명 이후 16대 까르마빠가 마지막으로 거주했던 곳이자, 까르마빠 계보의 주요 망명 거점 사원이다. '다르마 차크라 센터'로도 불리며, 전 세계 까르마 까규파 신도들의 순례지이자 중요한 활동 중심지 역할을 한다.
- 카르마 뜨리야나 다르마차크라(Karma Triyana Dharmachakra카르마 뜨리야나 다르마차크라영어): 미국 뉴욕 주에 위치하며, 북미 지역의 까르마빠 계보 활동을 위한 주요 국제 사원이다.
- 다그포 까규 링(Dhagpo Kagyu Ling다그포 까규 링영어): 프랑스 도르도뉴 주에 위치하며, 유럽 지역의 까르마 까규파 활동을 위한 주요 국제 사원이다.
- 타시 촐링(Tashi Choling타시 촐링영어): 부탄에 위치한 또 다른 중요한 활동 중심지이다.
- 도미니카에도 국제적인 활동 중심지가 있다.
이러한 사원과 센터들은 까르마빠 계보의 영적인 가르침을 전파하고, 티베트 불교 문화를 보존하며, 전 세계 신도들에게 영적인 지침을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