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Early life and amateur career
김인경은 어린 시절부터 골프에 재능을 보이며 아마추어 시절부터 뛰어난 성적을 기록했다.
1.1. Early life
김인경은 1988년 6월 13일 대한민국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키 160 cm의 신장을 가졌으며, 미국 캘리포니아주 랜초 산타 페에 거주하면서 샌디에이고 북부 교외에 위치한 페어뱅크스 랜치 컨트리클럽에서 명예 회원으로 훈련했다.
1.2. Amateur career
김인경은 2003년과 2004년에 한국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활동했으며, 국제 주니어 골프 투어에서 세 차례 우승을 차지했다. 2005년에는 미국 주니어 골프 협회(AJGA) 투어에서 하그레이 주니어 클래식(Hargray Junior Classic)에서 우승했다. 같은 해 그녀는 U.S. Girls' Junior 대회에서 우승했으며, U.S. Women's Amateur 스트로크 플레이 부문에서 메달리스트를 차지하며 아마추어 경력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2. Professional career
김인경은 2006년 프로로 전향한 이후 LPGA 투어와 레이디스 유러피언 투어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며 여러 차례 우승을 기록했다.

2.1. Turning professional
2006년 12월, 김인경은 아마추어 신분으로 플로리다주에서 열린 LPGA 최종 예선전에 참가하여 공동 메달리스트를 기록했다. 이 성과로 그녀는 2007 시즌 LPGA 투어의 풀타임 출전 자격을 획득했으며, 토너먼트 직후 곧바로 프로로 전향했다.
2.2. Early professional achievements
김인경은 2007년 루키 시즌에 LPGA 투어에서 4번의 톱10을 기록하며 성공적으로 데뷔했다. 2008년에는 7번의 톱10을 기록하고 롱스 드럭스 챌런지에서 첫 프로 우승을 차지했다. 2009년 6월에는 일리노이주에서 열린 LPGA 스테이트 팜 클래식에서 동료 선수인 박세리를 한 타 차이로 제치고 우승하며 두 번째 LPGA 투어 타이틀을 획득했다. 같은 해 12월, 그녀는 레이디스 유러피언 투어의 두바이 레이디스 마스터스에서 우승하여 세 번째 프로 우승을 달성했다.
2.3. Key milestones and highlights
2010년, 김인경은 로레나 오초아 인비테이셔널에서 네 번째 프로 우승이자 세 번째 LPGA 투어 우승을 차지했다. 특히 그녀는 우승 다음 날, 상금 전액인 22.00 만 USD를 자선 단체에 기부하겠다고 발표하여 큰 감동을 주었다. 기부금의 절반은 멕시코 어린이들의 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로레나 오초아 재단에, 나머지 절반은 미국의 자선 단체에 전달되었다. 이는 당시 그녀의 2010 시즌 총 상금의 약 20%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는 모범적인 사례로 평가받았다.
같은 해, 김인경은 2009년 12월 두바이 레이디스 마스터스에서 우승하며 레이디스 유러피언 투어(LET)에 합류한 뒤, 2010년에 이 투어의 올해의 신인상을 수상했다. 그녀는 2010년 LET에서 네 번의 대회에 참가하여 세 번의 톱10을 기록했으며, 총 19.32 만 EUR를 획득했다. 그녀의 캐디는 전 PGA 투어 캐디인 마이클 던스모어가 맡고 있다.
2012년 크래프트 나비스코 챔피언십 최종일, 김인경은 18번 홀에서 약 30cm 거리의 짧은 퍼트만 성공하면 생애 첫 메이저 대회 우승을 확정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퍼트가 홀컵을 외면하며 유선영과의 연장전으로 이어졌고, 결국 연장전에서 패배하며 아쉬운 준우승을 기록했다. 이 실망스러운 경험 이후 김인경은 LPGA 투어에서 다소 부진한 시기를 겪었고, 두 번의 연장전 패배를 더 경험했다. 하지만 2014년 레이디스 유러피언 투어에서 한 차례 우승하며 재기를 노렸다.
2016년 10월, 중국에서 열린 레인우드 LPGA 클래식에서 우승하며 LPGA 투어에서의 우승 가뭄을 마침내 끝냈다. 2017년에는 LPGA 투어에서 세 차례 우승을 차지했으며, 그 중에는 그녀의 첫 메이저 대회 우승 타이틀인 위민스 브리티시 오픈이 포함되어 있었다.
3. Professional wins
김인경은 프로 경력 동안 총 10번의 우승을 기록했다.
3.1. LPGA Tour wins
김인경은 LPGA 투어에서 총 7번의 우승을 차지했으며, 그 중 한 번은 메이저 대회 우승이었다.
Legend |
---|
메이저 챔피언십 (1) |
기타 LPGA 투어 (6) |
No. | 날짜 | 대회 | 우승 점수 | 파 대비 | 타수 차 | 준우승 | 우승 상금 ($) |
---|---|---|---|---|---|---|---|
1 | 2008년 10월 12일 | 롱스 드럭스 챌런지 | 67-69-69-73=278 | -10 | 3타 | 미국 앤절라 스탠퍼드 | 18.00 만 USD |
2 | 2009년 6월 7일 | LPGA 스테이트 팜 클래식 | 69-68-69-65=271 | -17 | 1타 | 대한민국 박세리 | 25.50 만 USD |
3 | 2010년 11월 14일 | 로레나 오초아 인비테이셔널 | 69-68-68-64=269 | -19 | 3타 | 노르웨이 수잔 페테르센 | 22.00 만 USD |
4 | 2016년 10월 2일 | 레인우드 LPGA 클래식 | 70-64-68-66=268 | -24 | 1타 | 대한민국 허미정 | 31.50 만 USD |
5 | 2017년 6월 4일 | 샵라이트 LPGA 클래식 | 66-67-69=202 | -11 | 2타 | 스웨덴 안나 노르드크비스트 | 22.50 만 USD |
6 | 2017년 7월 23일 | 마라톤 클래식 | 65-67-68-63=263 | -21 | 4타 | 미국 렉시 톰슨 | 24.00 만 USD |
7 | 2017년 8월 6일 | 위민스 브리티시 오픈 | 65-68-66-71=270 | -18 | 2타 | 잉글랜드 조디 유어트 섀도프 | 50.48 만 USD |
LPGA 투어 연장전 기록 (0승 5패)
3.2. Ladies European Tour wins
김인경은 레이디스 유러피언 투어(LET)에서 총 4번의 우승을 기록했다.
No. | 날짜 | 대회 | 우승 점수 | 파 대비 | 타수 차 | 준우승 | 우승 상금 (€) |
---|---|---|---|---|---|---|---|
1 | 2009년 12월 12일 | 오메가 두바이 레이디스 마스터스 | 70-65-67-68=270 | -18 | 3타 | 미국 미셸 위 | 7.50 만 EUR |
2 | 2014년 7월 6일 | ISPS 한다 레이디스 유러피언 마스터스 | 71-68-63-68=270 | -18 | 5타 | 오스트레일리아 니키 캠벨 | 7.50 만 EUR |
3 | 2016년 9월 11일 | ISPS 한다 레이디스 유러피언 마스터스 (2) | 67-70-71-63=271 | -17 | 5타 | 스페인 벨렌 모조 | 7.50 만 EUR |
4 | 2017년 8월 6일 | 위민스 브리티시 오픈 | 65-68-66-71=270 | -18 | 2타 | 잉글랜드 조디 유어트 섀도프 | 43.12 만 EUR |
3.3. Major championships wins
김인경은 2017년 위민스 브리티시 오픈에서 우승하며 생애 첫 메이저 타이틀을 획득했다.
연도 | 챔피언십 | 54홀 | 우승 점수 | 타수 차 | 준우승 |
---|---|---|---|---|---|
2017 | 리코 위민스 브리티시 오픈 | 6타차 선두 | -18 (65-68-66-71=270) | 2타 | 잉글랜드 조디 유어트 섀도프 |
4. Major championships performance
김인경은 여러 메이저 대회에 출전하여 꾸준히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4.1. Results timeline
메이저 대회에서의 성적은 연도별로 다음과 같다. (결과는 시간 순서가 아님)
대회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
셰브론 챔피언십 | CUT | T28 | T44 | ||
U.S. 여자 오픈 | CUT | T61 | T3 | T3 | 4 |
위민스 PGA 챔피언십 | T21 | CUT | T16 | T5 | |
위민스 브리티시 오픈 | T42 | T9 | T20 | T3 |
대회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
셰브론 챔피언십 | T10 | 2 | T55 | T39 | T51 | 49 | T27 | T30 | T4 | T64 |
U.S. 여자 오픈 | T10 | CUT | 2 | T30 | T35 | CUT | CUT | T34 | ||
위민스 PGA 챔피언십 | T12 | T25 | T22 | CUT | T30 | CUT | T8 | T14 | ||
에비앙 챔피언십 ^ | T19 | T27 | T16 | 6 | T10 | T11 | NT | |||
위민스 브리티시 오픈 | T37 | T10 | T47 | CUT | T50 | 1 | T39 | T51 | CUT |
대회 | 2021 | 2022 | 2023 | 2024 |
---|---|---|---|---|
셰브론 챔피언십 | CUT | CUT | ||
U.S. 여자 오픈 | T26 | T51 | ||
위민스 PGA 챔피언십 | CUT | T21 | CUT | |
에비앙 챔피언십 ^ | CUT | |||
위민스 브리티시 오픈 | T58 | CUT | 81 |
^ 에비앙 챔피언십은 2013년에 메이저 대회로 추가되었다.
- 우승
- 톱10
- 불참
- CUT = 중간 컷 탈락
- NT = 대회 없음
- T = 공동
4.2. Summary of major performance
메이저 대회에서의 주요 성적 요약은 다음과 같다.
대회 | 우승 | 2위 | 3위 | 톱5 | 톱10 | 톱25 | 출전 횟수 | 컷 통과 |
---|---|---|---|---|---|---|---|---|
셰브론 챔피언십 | 0 | 1 | 0 | 2 | 3 | 3 | 15 | 12 |
U.S. 여자 오픈 | 0 | 1 | 2 | 4 | 5 | 5 | 15 | 11 |
위민스 PGA 챔피언십 | 0 | 0 | 0 | 1 | 2 | 9 | 15 | 10 |
에비앙 챔피언십 | 0 | 0 | 0 | 0 | 2 | 5 | 7 | 6 |
위민스 브리티시 오픈 | 1 | 0 | 1 | 2 | 4 | 5 | 16 | 13 |
합계 | 1 | 2 | 3 | 9 | 16 | 27 | 68 | 52 |
- 최다 연속 컷 통과: 16회 (2008년 U.S. 오픈 - 2012년 LPGA)
- 최장 연속 톱10 기록: 4회 (2010년 LPGA - 2011년 크래프트 나비스코)
5. Career statistics
김인경의 LPGA 투어 경력 통계는 다음과 같다.
연도 | 출전 대회 수 | 컷 통과 횟수 | 우승 | 2위 | 3위 | 톱 10s | 최고 성적 | 상금 ($) | 상금 순위 | 평균 타수 | 평균 타수 순위 |
---|---|---|---|---|---|---|---|---|---|---|---|
2005 | 1 | 1 | 0 | 0 | 0 | 0 | T39 | n/a | 75.67 | ||
2006 | 1 | 0 | 0 | 0 | 0 | 0 | MC | n/a | 77.00 | ||
2007 | 25 | 21 | 0 | 1 | 0 | 4 | 2 | 45.42 만 USD | 31 | 72.63 | 35 |
2008 | 27 | 22 | 1 | 0 | 1 | 8 | 1 | 77.40 만 USD | 22 | 71.54 | 18 |
2009 | 25 | 21 | 1 | 1 | 2 | 10 | 1 | 123.84 만 USD | 8 | 71.00 | 13 |
2010 | 21 | 20 | 1 | 1 | 2 | 12 | 1 | 121.01 만 USD | 7 | 70.51 | 6 |
2011 | 20 | 18 | 0 | 1 | 3 | 9 | T2 | 86.23 만 USD | 10 | 70.96 | 8 |
2012 | 21 | 17 | 0 | 1 | 0 | 5 | 2 | 56.13 만 USD | 26 | 71.31 | 20 |
2013 | 23 | 23 | 0 | 2 | 0 | 9 | 2 | 112.54 만 USD | 7 | 70.49 | 7 |
2014 | 18 | 15 | 0 | 1 | 0 | 2 | 2 | 34.98 만 USD | 48 | 71.63 | 39 |
2015 | 20 | 16 | 0 | 0 | 1 | 2 | 3 | 33.96 만 USD | 54 | 71.60 | 39 |
2016 | 17 | 14 | 1 | 0 | 0 | 4 | 1 | 62.89 만 USD | 29 | 71.03 | 25 |
2017 | 17 | 12 | 3 | 0 | 0 | 6 | 1 | 122.77 만 USD | 12 | 70.09 | 13 |
2018 | 16 | 13 | 0 | 1 | 0 | 5 | 2 | 46.06 만 USD | 50 | 71.16 | 34 |
2019 | 15 | 12 | 0 | 0 | 0 | 2 | T4 | 40.21 만 USD | 53 | 71.21 | 49 |
2020 | 3 | 2 | 0 | 0 | 0 | 0 | T58 | 1.18 만 USD | 147 | 74.00 | n/a |
2021 | 9 | 6 | 0 | 0 | 0 | 0 | T26 | 6.96 만 USD | 122 | 72.45 | n/a |
2022 | 14 | 6 | 0 | 0 | 0 | 0 | T21 | 14.54 만 USD | 105 | 72.85 | 139 |
2023 | 11 | 3 | 0 | 0 | 0 | 0 | T22 | 4.59 만 USD | 158 | 72.59 | 126 |
2024 | 7 | 5 | 0 | 0 | 1 | 1 | T3 | 13.99 만 USD | 117 | 72.40 | n/a |
6. Team appearances
김인경은 대한민국 또는 아시아 대표팀으로 여러 단체전 경기에 참가했다.
- 프로
- 렉서스 컵 (아시아 대표): 2007년 (우승)
- 인터내셔널 크라운 (대한민국 대표): 2014년, 2018년 (우승)
7. Retirement
김인경은 2024년 시즌을 끝으로 프로 골프 선수 경력을 마쳤다.
8. Legacy and evaluation
김인경은 LPGA 투어와 레이디스 유러피언 투어에서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하고 메이저 대회 타이틀을 획득하며 한국 골프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한 뛰어난 선수로 평가받는다. 특히 2010년 로레나 오초아 인비테이셔널 우승 상금 전액을 기부한 자선 활동은 그녀의 경력에서 가장 빛나는 순간 중 하나로 기억된다. 이와 같은 사회 공헌 활동은 단순히 스포츠에서의 성공을 넘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공인의 모범적인 사례로 대중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녀는 실력과 인성을 겸비한 선수로서 골프계와 사회에 의미 있는 유산을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