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김사랑(金沙朗, Kim Sa-rang영어)은 1989년 8월 22일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남자 배드민턴 선수이다. 그는 주로 남자 복식 종목에서 활약하며, 특히 김기정 선수와 오랜 기간 파트너십을 맺고 다수의 국제 대회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며 한국 배드민턴계에 크게 기여했다. 김사랑은 2008년 국가대표팀에 합류한 이래, BWF 세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에서 두 차례 동메달을 획득하고,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 1개와 동메달 1개, 아시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 동메달 2개를 획득하는 등 국제 무대에서 꾸준히 정상급 실력을 선보였다. 특히 2012년 일본 오픈에서 첫 BWF 슈퍼시리즈 우승을 차지하며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이후 국가대표팀에서 은퇴했으나, 이후 독립 선수로서 활동을 이어가며 배드민턴에 대한 변함없는 열정을 보여주었다. 그의 선수 생활은 꾸준한 노력과 파트너와의 뛰어난 호흡을 통해 한국 배드민턴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한 중요한 발자취로 평가받는다.
2. 어린 시절과 학창 시절
김사랑 선수의 배드민턴 선수로서의 시작과 학업 배경은 그의 성장 과정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2.1. 출생과 어린 시절
김사랑은 1989년 8월 22일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에서 태어났다. 그는 초등학교 때부터 배드민턴을 시작했으며, 이는 그의 선수 경력의 중요한 출발점이 되었다. 일찍이 배드민턴에 재능을 보인 그는 어린 시절부터 꾸준히 훈련하며 선수로서의 기량을 다졌다.
2.2. 학력
김사랑은 다음과 같은 교육 기관에서 학업을 마쳤다.
- 신흥초등학교
- 화도진중학교
- 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
- 인하대학교
3. 경력
김사랑 선수는 2008년 국가대표팀에 발탁된 이후부터 2016년 국가대표 은퇴, 그리고 독립 선수 활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국제 무대에서 활약하며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3.1. 국가대표팀 데뷔 및 초기 경력
김사랑은 2008년 한국 배드민턴 국가대표팀에 합류하며 국제 무대에 데뷔했다. 같은 해, 그는 최상원 선수와 함께 남자 복식 종목에서 오스트레일리아 국제 챌린지 대회에 참가하여 우승을 차지하며 국제 대회에서의 첫 성공을 거두었다. 2011년에는 김기정 선수와 함께 튀르키예 인터내셔널 대회 남자 복식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새로운 파트너십의 시작을 알렸다.
3.2. 김기정과의 파트너십
김기정 선수와의 파트너십은 김사랑의 선수 경력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두 선수는 뛰어난 호흡을 바탕으로 수많은 국제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2012년, 김사랑과 김기정은 일본 오픈에서 그들의 첫 BWF 슈퍼시리즈 타이틀을 획득했다. 결승전에서 말레이시아의 구 건 키앗/탄 분 허엉 조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같은 해 중국 칭다오에서 열린 2012년 아시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에서는 일본의 엔도 히로유키/하야카와 겐이치 조를 결승에서 물리치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2012년 9월에는 인도네시아 마스터스 대회 남자 복식에서도 우승을 차지하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2013년, 그는 중화 타이베이 오픈과 코리아 마스터스 그랑프리 골드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중화 타이베이 대회에서는 대만 선수인 리성무/차이젠신 조를 꺾고 우승했으며, 코리아 대회에서는 동료인 고성현/신백철 조를 2-1로 물리치고 우승했다. 그는 또한 타이베이에서 열린 2013년 아시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광저우에서 열린 2013년 BWF 세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에서 김사랑과 김기정 조는 5번 시드를 받았으며, 8강에서 말레이시아의 2번 시드를 꺾었다. 하지만 준결승에서 마티아스 보/카르스텐 모겐센 조에게 3세트 접전 끝에 패하여 동메달에 만족해야 했다. 2013년 BWF 시즌 말에는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2013년 BWF 슈퍼시리즈 파이널에 참가하여 결승에서 인도네시아의 모하마드 아산/헨드라 세티아완 조에게 패하며 준우승을 차지했다.
2014년에는 인천 아시안 게임 남자 복식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5년, 김사랑과 김기정은 코리아 마스터스 그랑프리 골드 대회 남자 복식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결승에서 고성현/신백철 조를 16-21, 21-18, 21-19로 물리쳤다. 또한 차이 뱌오/홍 웨이 조를 연달아 꺾으며 차이나 오픈 슈퍼시리즈 프리미어 대회에서도 우승을 차지했다.
2016년, 그들은 말레이시아 오픈 슈퍼시리즈 프리미어 대회에서도 우승했다. 8강에서 중국의 3번 시드를 꺾었고, 준결승에서는 당시 세계 랭킹 1위였던 이용대/유연성 조를 물리쳤다. 결승에서는 차이 뱌오/홍 웨이 조를 21-19, 21-15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3.3. 주요 대회 참가 및 핵심 우승
김사랑은 선수 생활 동안 다음과 같은 주요 국제 대회에 참가하여 핵심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 2013년 BWF 세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 남자 복식 동메달
- 2014년 BWF 세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 남자 복식 동메달
- 2013년 수디르만 컵: 혼합 단체전 은메달
- 2015년 수디르만 컵: 혼합 단체전 동메달
- 2012년 토마스 컵: 남자 단체전 은메달
- 2016년 토마스 컵: 남자 단체전 동메달
- 2014년 아시안 게임: 남자 단체전 금메달, 남자 복식 동메달
- 2012년 아시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 남자 복식 금메달, 혼합 복식 동메달
- 2013년 아시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 남자 복식 은메달
- 2015년 아시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 남자 복식 동메달
- 2016년 아시아 단체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 남자 단체전 동메달
- 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남자 복식 금메달, 혼합 단체전 금메달, 혼합 복식 동메달
- 2007년 BWF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혼합 단체전 은메달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남자 복식에도 김기정 선수와 함께 참가했으나, 8강에서 중국의 푸하이펑/장난 조에게 21-11, 18-21, 22-24로 아쉽게 패하며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3.4. 은퇴 및 독립 경력
리우 올림픽 이후 김사랑은 국가대표팀 은퇴를 결정했고, 2016년 10월 31일 BWF 웹사이트를 통해 공식적으로 은퇴가 발표되었다. 그러나 그는 배드민턴에 대한 열정으로 2018년부터 대한배드민턴협회와 별도로 독립 선수로 활동을 재개했다. 특히 2018년 마카오 오픈과 2018년 코리아 마스터스에서는 말레이시아의 전 세계 랭킹 1위인 탄 분 허엉과 파트너를 맺고 경기에 출전하기도 했다. 이후 2019년부터는 김덕영 선수와 남자 복식으로, 김하나 선수, 엄혜원 선수와 혼합 복식으로 여러 국제 챌린지/시리즈 대회 및 BWF 월드 투어 대회에서 꾸준히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2021년에는 다시 김기정 선수와 남자 복식으로 웨일스 인터내셔널에서 우승하며 변치 않는 기량을 입증했다.
4. 주요 업적
김사랑 선수는 국제 배드민턴 무대에서 다음과 같은 주요 메달 및 수상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4.1. BWF 세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
남자 복식
4.2. 아시안 게임
남자 복식
연도 | 개최지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2014 |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계양체육관 | 김기정 | 모하마드 아산 헨드라 세티아완 | 21-19, 16-21, 18-21 | ![]() 동메달 |
남자 단체전
연도 | 개최지 | 결과 |
---|---|---|
2014 |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계양체육관 | ![]() 금메달 |
4.3. 아시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
남자 복식
연도 | 개최지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2012 | 중국 칭다오 칭다오 스포츠 센터 콘슨 스타디움 | 김기정 | 엔도 히로유키 하야카와 겐이치 | 21-12, 21-16 | ![]() 금메달 |
2013 | 타이완 타이베이 타이베이 아레나 | 김기정 | 고성현 이용대 | 13-21, 20-22 | ![]() 은메달 |
2015 | 중국 우한 우한 스포츠 센터 체육관 | 김기정 | 이용대 유연성 | 18-21, 9-21 | ![]() 동메달 |
혼합 복식
연도 | 개최지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2012 | 중국 칭다오 칭다오 스포츠 센터 콘슨 스타디움 | 최혜인 | 장난 자오윈레이 | 13-21, 21-12, 13-21 | ![]() 동메달 |
4.4. 하계 유니버시아드
남자 복식
연도 | 개최지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2015 | 대한민국 화순군 화순 하니움 문화스포츠센터 | 김기정 | 왕이류 장원 | 21-16, 22-20 | ![]() 금메달 |
혼합 복식
연도 | 개최지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2015 | 대한민국 화순군 화순 하니움 문화스포츠센터 | 고아라 | 김기정 신승찬 | 10-21, 17-21 | ![]() 동메달 |
혼합 단체전
연도 | 개최지 | 결과 |
---|---|---|
2015 | 대한민국 화순군 화순 하니움 문화스포츠센터 | ![]() 금메달 |
4.5. BWF 월드 투어
BWF 월드 투어는 2017년 3월 19일 발표되어 2018년부터 시행된 BWF가 주관하는 엘리트 배드민턴 대회 시리즈이다. BWF 월드 투어는 월드 투어 파이널, 슈퍼 1000, 슈퍼 750, 슈퍼 500, 슈퍼 300, 그리고 BWF 투어 슈퍼 100 레벨로 나뉜다.
남자 복식
연도 | 대회 | 레벨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2022 | 코리아 마스터스 | 슈퍼 300 | 김기정 | 류위천 어우쉬안이 | 21-14, 21-16 | 우승 |
혼합 복식
연도 | 대회 | 레벨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2020 | 스페인 마스터스 | 슈퍼 300 | 김하나 | 톰 지켈 델핀 델류 | 15-21, 21-11, 21-10 | 우승 |
4.6. BWF 슈퍼시리즈
BWF 슈퍼시리즈는 2006년 12월 14일 출범하여 2007년부터 시행된 BWF가 주관하는 엘리트 배드민턴 대회 시리즈였다. BWF 슈퍼시리즈는 슈퍼시리즈와 슈퍼시리즈 프리미어 레벨로 구성되었다. 2011년부터는 전 세계 12개 대회로 구성된 슈퍼시리즈 시즌이 도입되었으며, 매년 말에 슈퍼시리즈 파이널에 성공적인 선수들이 초청되었다.
남자 복식
연도 | 대회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2012 | 일본 오픈 | 김기정 | 구 건 키앗 탄 분 허엉 | 21-16, 21-19 | 우승 |
2013 | 홍콩 오픈 | 김기정 | 이용대 유연성 | 21-12, 15-21, 18-21 | 준우승 |
2013 | 월드 슈퍼시리즈 파이널 | 김기정 | 모하마드 아산 헨드라 세티아완 | 14-21, 16-21 | 준우승 |
2015 | 코리아 오픈 | 김기정 | 이용대 유연성 | 16-21, 12-21 | 준우승 |
2015 | 차이나 오픈 | 김기정 | 차이 뱌오 홍 웨이 | 21-13, 21-19 | 우승 |
2016 | 말레이시아 오픈 | 김기정 | 차이 뱌오 홍 웨이 | 21-19, 21-15 | 우승 |
4.7. BWF 그랑프리
BWF 그랑프리 대회는 그랑프리와 그랑프리 골드 두 가지 레벨로 나뉘었다. 이 대회는 BWF가 주관하며 2007년부터 2017년까지 개최되었다.
남자 복식
연도 | 대회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2011 | 독일 오픈 | 김기정 | 정재성 이용대 | 19-21, 21-18, 11-21 | 준우승 |
2012 | 인도네시아 그랑프리 골드 | 김기정 | 앙가 프라타마 라이언 아궁 사푸트라 | 21-13, 21-9 | 우승 |
2012 | 코리아 그랑프리 골드 | 김기정 | 고성현 이용대 | 12-21, 11-21 | 준우승 |
2013 | 중화 타이베이 오픈 | 김기정 | 리성무 차이젠신 | 21-11, 21-11 | 우승 |
2013 | 코리아 그랑프리 골드 | 김기정 | 고성현 신백철 | 21-15, 18-21, 25-23 | 우승 |
2015 | 코리아 마스터스 | 김기정 | 고성현 신백철 | 16-21, 21-18, 21-19 | 우승 |
2016 | 태국 마스터스 | 김기정 | 모하마드 아산 헨드라 세티아완 | 21-12, 15-21, 12-21 | 준우승 |
2016 | 차이나 마스터스 | 김기정 | 이용대 유연성 | 17-21, 14-21 | 준우승 |
4.8. BWF 국제 챌린지/시리즈
남자 복식
연도 | 대회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2008 | 오스트레일리아 인터내셔널 | 최상원 | 젠위쉰 린위랑 | 21-17, 16-21, 21-11 | 우승 |
2011 | 튀르키예 인터내셔널 | 김기정 | 조건우 신백철 | 21-17, 16-21, 21-15 | 우승 |
2019 | 남오스트레일리아 인터내셔널 | 김덕영 | 시아 춘 캉 탄 분 허엉 | 21-14, 17-21, 21-16 | 우승 |
2019 | 헝가리 인터내셔널 | 김덕영 | 피터 브릭스 조슈아 헐버트-유 | 21-12, 21-17 | 우승 |
2021 | 웨일스 인터내셔널 | 김기정 | 만 웨이 총 티 카이 분 | 21-18, 18-21, 21-15 | 우승 |
혼합 복식
연도 | 대회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2011 | 튀르키예 인터내셔널 | 이소희 | 조건우 유현영 | 25-23, 9-21, 19-21 | 준우승 |
2019 | 두바이 인터내셔널 | 김하나 | 로디온 알리모프 알리나 다블레토바 | 20-22, 16-21 | 준우승 |
2019 | 헝가리 인터내셔널 | 김하나 | 마티아스 크리스티안센 알렉산드라 뵈예 | 21-12, 21-15 | 우승 |
2019 | 네팔 인터내셔널 | 김하나 | 수팍 촘코 수피사라 패우삼프란 | 18-21, 16-21 | 준우승 |
2019 | 이탈리아 인터내셔널 | 엄혜원 | 블라디미르 이바노프 예카테리나 볼로토바 | 12-21, 21-18, 15-21 | 준우승 |
5. 유산
김사랑 선수는 그의 선수 경력을 통해 한국 배드민턴계에 중요한 유산을 남겼다. 그는 2008년부터 2016년까지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서 남자 복식에서 꾸준히 세계 정상급 기량을 선보이며 한국 배드민턴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특히 김기정 선수와의 견고한 파트너십은 오랜 기간 동안 세계 랭킹 상위권을 유지하며 수많은 국제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함으로써 한국 남자 복식의 황금기를 이끄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이후 국가대표팀에서 은퇴했음에도 불구하고, 김사랑은 독립 선수로서 계속해서 배드민턴 활동을 이어가며 스포츠에 대한 변함없는 열정과 헌신을 보여주었다. 그의 이러한 행보는 후배 선수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프로 선수로서의 직업 의식과 자기 관리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모범이 되었다. 김사랑의 활약은 한국 배드민턴 팬들에게 많은 즐거움을 선사했으며, 국제 배드민턴 무대에서 한국 선수들의 위상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한 선수로 기억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