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명칭 및 어원
이 여신은 본래 현녀(玄女중국어)로 알려졌다. 이 명칭은 영어로는 "어두운 여인"(Dark Lady) 또는 "신비로운 여인"(Mysterious Lady) 등으로 번역될 수 있다. 특히 '현'(玄)의 글자는 '검은색'을 의미하기도 한다. 당나라 후기의 도교 대가 두광정 (850-933)은 이 여신을 지칭하기 위해 "아홉 하늘[의]"이라는 의미의 구천(九天중국어)을 추가하여 구천현녀라는 칭호를 만들었다. 민간에서는 구천현녀냥냥(九天玄女娘娘중국어)으로도 불린다.
그녀와 소녀는 신적인 자매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의 이름을 합친 현소지도(玄素之道중국어)는 도교의 방중술(침실의 예술)을 의미한다.
2. 신화적 기원과 초기 전승
구천현녀의 신화적 기원과 초기 시대에 전해지던 전승들은 그녀의 초월적인 성격과 중요한 역할을 강조한다.
2.1. 초기 형상 및 신분
구천현녀는 초월적이고 신비로운 형상으로 묘사된다. 초기에는 사람의 머리에 새의 몸을 한 모습으로 전해졌으며, 붉은 봉황을 타고 형광 물질과 구름을 고삐 삼아 날아다녔다는 기록도 있다. 그녀는 아홉 가지 색깔의 물총새 깃털로 만든 의상을 입었다고 묘사되기도 한다. 이러한 인수조신의 원형은 현조(玄鳥중국어, 검은 제비)와 연관된다고 알려져 있다. 은나라 시조 설의 어머니인 간적이 현조의 알을 먹고 설을 낳았다는 신화나, 전욱의 손녀인 여수가 베를 짜다가 현조의 알을 먹고 대업을 낳았다는 진나라의 기원 신화에서 현조와의 연관성이 엿보인다.
도교 신화 체계에서 구천현녀는 서왕모 다음가는 지위를 가진 여천신으로 언급되기도 하며, 상원부인과 동일시되거나, 모든 신선의 우두머리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녀는 성모원군의 제자이자 황제의 스승으로 알려져 있다. 갈홍의 《포박자》와 《원시상진중선기》에 인용된 "침중서"에 따르면, 원시천왕과 태원옥녀가 구광현녀를 낳았는데, 이 구광현녀는 태진 서왕모로 불리며 서한부인과 동일시된다고 한다. 이는 구천현녀가 서왕모의 한 측면으로 여겨졌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태상노군중경》에 따르면 구천현녀는 인체의 신장들 사이에 위치하며, 금성의 흰색과 찬란한 별들로만 옷을 입고, 그녀의 태광명주가 온몸 내부를 비추어 수명을 연장하고 죽지 않게 한다고 설명된다.
2.2. 황제와의 관계
구천현녀의 가장 유명한 신화적 서사는 황제와 치우 간의 전쟁에서 황제를 돕는 역할이다. 당나라 도사 두광정이 저술한 《용성집선록》에 이 이야기가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치우는 80명의 형제와 함께 짐승의 몸에 사람의 말을 하고 구리 머리와 철 이마를 가졌으며, 모래와 돌을 먹고 병기를 만들어 세상을 위협하고 잔인하게 살육했다. 황제는 치우의 독으로 백성들이 고통받는 것을 보고 하늘에 한탄했다. 이때 치우가 짙은 안개를 만들어 밤낮을 가려 황제가 며칠 동안 안개 속에 갇히는 위기에 처하자, 하늘은 현녀를 지상으로 내려보냈다.
구천현녀는 붉은 봉황을 타고 나타나 황제에게 신비로운 병법과 부적, 병기 등을 전수했다. 그녀가 황제에게 내린 물품들은 다음과 같다.
- 육갑육임병신지부(六甲六壬兵信之符중국어)
- 영보오제책사귀신지서(靈寶五帝策使鬼神之書중국어)
- 제요통령오명지인(制妖通靈五明之印중국어)
- 오음오양둔갑지식(五陰五陽遁甲之式중국어)
- 태일십정사신승부악기지도(太一十精四神勝負握機之圖중국어)
- 오악하도(五嶽河圖중국어)
- 책정지결(策精之訣중국어)
이러한 가르침과 신물 덕분에 황제는 치우를 물리치고 하늘로 승천할 수 있었다고 전해진다. 특히 《수호전》에서는 황제가 치우를 격파하기 위해 방위를 구분하는 지남차와 병법을 익혔다고 묘사된다. 구천현녀는 또한 황제와 궁비들이 누에를 길러 비단을 짜는 법을 만들고, 역법을 측정하는 개천 기구를 만들고, 상힐이 문자를 만드는 것을 돕는 등 백성들의 삶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전수했다고도 한다.
3. 주요 역할 및 능력
구천현녀는 신화와 도교 신앙에서 다양한 능력과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3.1. 전쟁 및 병법
구천현녀는 전쟁의 여신으로서 군사적 승리에 필요한 지식과 능력을 전수하는 역할을 한다. 신나라 시대에 만들어진 《용어하도》는 황제와 치우의 전쟁에서 구천현녀가 나타나 황제에게 군사적 비책과 신성한 부적을 전수하여 치우를 제압하고 천하를 통일하게 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녀는 또한 마법적인 능력을 통해 군사적 우위를 제공한다. 당나라 이후에 만들어진 도교 경전들은 구천현녀를 은신술(隱身중국어) 및 북두칠성의 별들을 움직여 국가를 보호하는 마법과 연관시킨다. 《영보육정비법》은 구천현녀의 마법이 군사적 기원에서 비롯되었다고 설명한다. 구천현녀는 육정옥녀(六丁玉女중국어)라는 수행원들을 통해 몸을 마법적으로 숨기는 능력을 발휘한다. 이 육정옥녀는 숨겨진 갑목(丁卯), 운명(丁巳), 재물(丁亥), 혼(丁酉), 백(丁未), 그리고 정신(丁丑)을 감춘다. 은신은 적을 물리치고 국가를 보호하기 위한 군사 전략으로 간주되며, 이 경전은 악을 물리치고 정의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먼저 몸을 숨기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주장한다. 구천현녀와 육정옥녀는 함께 우주에서 음양의 음(陰)의 힘을 대표하며, 이는 몸을 숨기는 수단이 된다. 여기서 그들의 마법과 여성성은 서로 얽혀 있다. 육임신과와도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당나라의 명장 이정이 구천현녀의 전술을 구사했다고 전해진다.
북송 초기에 쓰인 《비장통현변화육음동미둔갑진경》에는 구천현녀와 관련된 주문이 나온다. 이 주문을 외우고 우보(禹步중국어, 우의 걸음걸이)를 수행하면 다른 사람들에게 보이지 않게 된다고 한다. 갈홍이 저술한 《포박자》에는 우보가 기문둔갑(遁甲중국어)의 일부로 설명되어 있으며, 기문둔갑을 통해 육정(六丁)의 공간-시간 구조에서의 즉각적인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육정은 우주의 틈새를 나타내는 기문(奇門중국어)의 위치를 담당하는 신으로, 우보를 통해 이 기문에 접근하면 악한 영향으로부터 보이지 않는 다른 세상의 공허함에 도달할 수 있다고 한다.
《북두치법무위경》에 따르면 구천현녀는 수나라에서 당나라로 넘어가는 시기(수말당초)의 관리인 원청에게 북두칠성의 별들을 움직이는 방법을 가르쳤다고 한다. 이 방법은 북두십이성(北斗十二星중국어)으로 알려져 있다. 남송 시대에 만들어진 《상청천심정법》에는 이 방법과 함께 천강신주(天罡神咒중국어, 하늘의 주춧돌 주문)라는 주문이 수록되어 있다.
3.2. 장수 및 연금술
구천현녀는 장수(불로불사)와 연금술(단약 제조)에도 관여하는 능력으로 언급되며, 인체를 소우주로 보는 생리 미시우주론과도 연관된다. 그녀는 인체의 중앙 경락에 위치하며 숨의 순환과 연관되어 생명력을 키우고 장수를 부여한다고 설명된다.
구천현녀는 《황정경》에 최소 세 번 등장하는데, 수련자들은 자신의 숨을 아래로 보내 여신의 입으로 들어가게 해야 한다고 지시받는다. 5세기경의 《태상노군중경》에서는 그녀가 "신장들 사이에 위치하며, 금성의 흰색과 찬란한 별들로만 옷을 입고 있다. 그녀의 태광명주는 수련자의 온몸 내부를 비추어 그가 수명을 연장하고 죽지 않게 한다"고 언급한다.
《노자중경》에서는 구천현녀가 신성한 거북이 위에 앉아 있는 세 신 중 한 명으로 묘사된다. 이 책의 저자는 "현녀는 허무의 도의 어머니이다"라고 언급한다. 또한 수련자들에게 "눈을 감고 어깨 사이의 흰 숨을 명상하라. 그 중앙에 흰 거북이가 있다. 거북이 위에는 현녀가 있다"고 지시한다. 그녀 옆에는 두 명의 관리가 있는데, 수련자들은 "운명의 관리와 명부의 관리여, 아무개의 이름을 사망자 명단에서 지우고 옥력의 생명 명단에 기록하라"고 말하며 이들을 소환하라고 지시받는다. 이 의식은 장수를 약속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서기 3세기 이래로 구천현녀는 연금술과 연관되어 왔다. 갈홍의 《포박자》에는 구천현녀가 다른 신들과 함께 단약을 준비하는 것을 돕고, 수련자들이 금속 단약을 만들 때 그녀에게 제단을 세웠으며, 그녀가 황제와 체조 및 식이요법에 대해 논의했다고 언급된다. 송나라 시대에는 그녀가 내단술과 밀접하게 연관되었다.
3.3. 성과 방중술
구천현녀의 이름을 단 대부분의 책이 전쟁에 관한 것이었지만, 그녀의 성(性)과 관련된 책들도 존재한다. 한나라 시대의 《현녀경》(玄女經중국어)과 《소녀경》(素女經중국어)은 모두 대화 형식의 성에 관한 지침서였다. 《현녀경》의 내용은 일부 수나라 시대의 《소녀경》 판본에 포함되었다. 한나라 이래로 이 지침서들은 상류층에게 익숙했다. 그러나 한나라 시대의 왕충은 성적 기예가 "몸을 해칠 뿐만 아니라 남녀의 본성을 침해한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당나라와 그 이전 시대에 구천현녀는 종종 성적 기예와 연관되었다. 《현녀경》은 수당 시대 문인들 사이에서 여전히 익숙한 작품으로 남아 있었다. 7세기 시인 유종원이 저술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동현자방중술》(洞玄子房中術중국어)에는 구천현녀로부터 전수되었다고 여겨지는 성적 기예에 대한 노골적인 묘사가 포함되어 있다.
구천현녀가 가르쳤다고 전해지는 성적 수행법은 종종 연금술과 생리적 절차를 통한 수명 연장과 비교되었다. 갈홍의 《포박자》에는 구천현녀가 황제에게 성적 기술이 "물과 불의 혼합과 같아서, 올바른 방법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죽일 수도 있고 새로운 생명을 가져올 수도 있다"고 말하는 구절이 있다.
3.4. 기타 연관성
전쟁, 장수, 성 외에도 구천현녀는 다양한 문화적, 지역적 신앙에서 다른 역할을 수행한다. 그녀는 결혼과 다산의 수호신으로도 여겨지며, 같은 성씨를 가진 사람들의 결혼을 금지하는 중국 문화의 관습에 책임이 있다고도 믿어진다.
특히 베트남에서는 목공의 수호신, 즉 장인들의 수호신으로 숭배되기도 한다. 또한 베트남 민간 신앙에서는 그녀가 재앙과 악귀를 물리치는 신성한 여신으로, 제야에 문 앞에 활과 화살 그림을 그려 액운을 막는 풍습과도 연관된다고 한다. 여성들의 본명을 구호하고 구원하는 어머니 신의 역할도 한다고 믿어진다.
4. 신격의 발전과 숭배
구천현녀의 신격은 시대에 따라 변화하고 발전해 왔으며, 그녀에 대한 숭배도 점차 확산되었다.
4.1. 도교로의 편입 및 이미지 변화
구천현녀는 고대 중국인들에게 활발히 숭배되었으나, 한나라 이후 그 숭배의 정도는 줄어들었다. 이후 수세기에 걸쳐 그녀는 점차 도교에 편입되었다. 당나라 시대에는 구천현녀에 대한 상반된 견해가 공존했다. 이 시기에 도교가 부흥하면서 그녀는 마법적이고 지적인 수단으로 승리하며 불멸의 예술을 전수하는 고위 전쟁 여신이라는 새로운 이미지로 자리 잡았다. 성(性), 전쟁에서의 승리, 영원한 생명이라는 측면들은 이 새로운 이미지에 맞게 점차 수정되었다.
특히 도사 두광정은 구천현녀의 대중적인 전설에서 외설적이고 조잡한 요소들, 예를 들어 여신의 에로틱하고 성적인 측면을 제거하고, 상청파 도교에 적합한 무술적인 여신이라는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려고 시도했다.
4.2. 명나라 시기 공식적 숭배
명나라 시대에 구천현녀는 공식적으로 하늘의 수호신이자 국가의 수호 여신으로 숭배되었다. 1493년, 홍치제의 황후인 장황후는 도교 의례를 통해 서품(敍品)을 받았는데, 그녀의 서품을 증명하는 두루마리인 《장황후 서품의식》에는 여러 신(구천현녀는 제외)의 그림과 정일도 소속 도사 장현경이 작성한 비문이 포함되어 있다. 이 비문은 구천현녀를 장군, 원수, 천병, 육정옥녀, 육갑신장 등 모든 다른 천상의 전사들보다 상위에 두어 그녀의 지위를 높였다. 나아가 그녀에게 구천참사호정현녀(九天斬邪護正玄女중국어, "사악함을 베고 정의를 보호하는 아홉 하늘의 현녀")라는 확장된 공식 칭호를 부여했다. 《영보육정비법》은 "사악함을 베고 정의를 보호한다"(斬邪護正중국어)는 구절을 여신과 연관시키며 "사악함을 베고 정의로 돌아가려면 먼저 몸을 숨기는 법을 알아야 한다"(斬邪歸正,先須知隱形중국어)고 강조한다.
구천현녀의 숭배와 지위 상승 뒤에는 정치적 의도가 있었을 수도 있다. 이는 특정 귀족 가문이 다른 가문보다 우위에 서게 하는 역할을 했다. 장황후와 구천현녀의 관계는 명나라 황제들과 도교의 또 다른 중요한 신인 현무의 관계와 밀접하게 유사하여, 황후와 그녀의 가문이 황실 내에서 지위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 이는 불교를 숭배하던 주태후의 주가(周家)와 장가(張家) 사이의 갈등 시기에 일어났다. 구천현녀는 다산의 여신이기도 하여, 이는 장황후가 이 신을 숭배한 또 다른 이유가 될 수 있다.
4.3. 현대적 숭배와 지역별 특성
현대에 이르러서도 구천현녀에 대한 숭배는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며, 특히 지역별로 다른 신앙적 특성과 관습을 보인다. 그녀의 생일인 음력 2월 15일에는 기념 축제가 열리기도 한다.
4.3.1. 중국에서의 숭배
중국 내에서는 구천현녀를 모시는 도관이 곳곳에 존재한다. 예를 들어 펑후현 후시향의 바이컹 위성 사원이나 칭하이성의 펑황산 도관 등이 그녀를 숭배하는 장소이다.



4.3.2. 베트남에서의 숭배
베트남에서 구천현녀에 대한 숭배는 학자 오니시 카즈히코에 따르면 리 왕조 시기부터 시작되었다고 전해진다. 응우옌 왕조는 그녀에게 익보중흥현녀(Dực bảo Trung hưng Huyền nữ)라는 신칙을 내려 공적인 숭배를 인정했다. 구천현녀 숭배는 후에, 북부 지방, 남부 지방 등 여러 지역에서 널리 퍼져 있으며, 그녀는 종종 천야아나, 연옥비, 대간사위성낭, 성모유행과 같은 다른 여신들과 함께 숭배된다.
후에에서는 구천현녀 숭배가 왕실부터 민간에 이르기까지 보편적이었으며, 그녀는 본명신이자 목공업의 수호신으로 여겨졌다. 호이안에서는 깜포와 선퐁 마을의 사당에서 구천현녀를 숭배하지만, 그 기원이나 신화적 내력은 불분명하다. 흥옌성에는 17세기 후반에 세워진 구천현녀 사당이 있는데, 이 사당은 백성들이 곤경에 처했을 때 도와준 성스러운 존재인 구천현녀진군을 모시며, 그녀는 성황으로 추앙받는다. 매년 음력 9월 9일에는 구천현녀의 공로를 기리는 전통 축제가 열리며, 제례, 향 올리기, 문화 예술 교류 등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진다.
구천현녀의 존재는 베트남의 신 숭배 체계, 특히 여신 숭배에서 독특한 가치를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 이는 또한 역사적으로 중국과 베트남 간의 문화 교류 및 문화 동화의 흔적을 보여준다. 학자 후인 응옥 짱은 "구천현녀는 여성들을 구원하며, 수공예 직업의 시조이기도 하다. 그녀는 사당의 안뜰이나 본당에서 숭배된다"고 언급했다. 또한 구스타브 뒤무티에에 따르면, 구천현녀는 액막이와 귀신을 쫓아내는 능력이 있으며, 설날에 가정의 마당에 활과 화살 그림을 그려 사악한 영혼을 물리친다고 한다.


5. 묘사와 외형
구천현녀의 신화 및 문헌에서는 그녀의 외형적 특징과 복식이 상세히 묘사된다. 《태상노군중경》에서는 그녀가 금성의 흰색과 찬란한 별들로만 옷을 입고 있으며, 그녀의 '태광명주'가 빛을 발하여 몸속을 환하게 비춘다고 설명한다.
《용성집선록》에 묘사된 황제 앞에 나타난 구천현녀는 아홉 가지 색깔의 물총새 깃털로 만든 의상을 입고, 붉은 봉황을 타고 형광 물질과 구름을 고삐 삼아 날아다녔다.


명나라 시대에 출판된 소설 《수호전》의 '용여당' 판본에 실린 시에는 구천현녀의 아름다운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이 시는 그녀의 머리에는 아홉 마리의 용과 나는 봉황이 얽힌 쪽진 머리가 있고, 몸에는 황금 실로 장식된 붉은 비단 가운을 입었으며, 푸른 옥띠가 길게 늘어져 있고, 흰 옥으로 만든 홀(圭璋)을 화려한 소매에 들고 있다고 전한다. 그녀의 얼굴은 연꽃 봉오리 같고, 눈썹은 자연스럽게 머리카락과 어우러지며, 입술은 앵두 같고, 눈처럼 하얀 몸은 우아하고 편안해 보인다. 그녀는 서왕모가 반도회를 주최하는 모습 같기도 하고, 상아가 월궁에 사는 모습 같기도 하다고 묘사된다. 시는 그녀의 화려한 선녀의 얼굴은 묘사할 수 없고, 그녀의 위엄 있는 형상 또한 그릴 수 없다고 덧붙인다.


구천현녀는 또한 태백성의 백색과 찬란한 별들을 온몸에 두른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6. 문학 및 대중문화 등장
구천현녀는 고전 문학 작품과 현대 대중매체에 꾸준히 등장하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6.1. 고전 소설
- 《수호전》: 41회에서 송강이 관군에게 쫓겨 사당에 숨었을 때 꿈속에 등장한다. 구천현녀는 송강에게 "하늘을 대신하여 정의를 행하라"는 그의 임무를 돕기 위해 세 권의 신성한 책을 선물한다. 두 번째로, 송강이 양산박 군대를 이끌고 요나라 침략자들을 막을 때 꿈에 나타나 요나라 군대의 진법을 깨는 방법을 가르쳐 준다.
- 《삼수평요전》: 소설 속에서 현녀는 뛰어난 무술 실력과 도교 지식을 갖춘 흰 긴팔원숭이인 원공(袁公중국어)을 천상으로 데려가 천상의 책들을 관리하게 하지만, 원공이 호기심에 금지된 책을 열어 지상의 재앙을 초래한다. 이후 원공은 왕택의 반란을 진압하는 데 기여하며 자신의 죄를 속죄하고 '백운굴군'이라는 옛 지위를 되찾는다. 또한 이 소설의 개작 과정에서 성고고(聖姑姑)가 구천현녀로 변경되었다는 설도 있다.
- 《동유기》
- 《평요전》
- 《통속대명여선전》(원제: 《여선외사》): 여주인공 당새아는 구천현녀로부터 받은 일곱 권의 천서를 배우고 다양한 환술을 사용하여 연군을 혼란에 빠뜨린다. 구천현녀는 검선들을 통솔하는 천선(天仙)의 우두머리이며, 소녀는 구천현녀의 여동생으로 묘사된다. 구천현녀의 일인칭은 '짐'(朕중국어)이다.
- 《탕구지》

6.2. 현대 대중문화
구천현녀는 다양한 현대 대중문화 작품에도 등장한다.
- 영화:** 2007년 홍콩 영화 《쾌락가정》에 캐릭터로 등장한다.
- TV 시리즈:** 1980년대 중국 TV 시리즈 《수호전》과 1985년 홍콩 TV 시리즈 《양가장》에 등장한다.
- 비디오 게임:** 모바일 게임 《타워 오브 사비오르》와 비디오 게임 《선검기협전 4》 및 《선검기협전 7》에 등장한다.
7. 둘러보기
- 서왕모
- 소녀
- 뇌공
- 도교
- 기문둔갑
- 황제 (전설)
- 치우
- 팔선
- 태상노군
- 누와
- 후토
- 여산노모
- 두모
- 구천현녀묘: 대만 사담향에 있는 구천현녀를 모시는 사당.
- 구천동: 후난성 장가계시에 있는 동굴. 내부에 '구성산옥주', '구천현녀궁', '수성궁'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