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 생애 및 주니어 경력
구스예 스테인하위스는 네덜란드에서 태어나 유도 선수로서 주니어 시절부터 뛰어난 재능을 보이며 여러 국제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했다.
1.1. Birth and background
스테인하위스는 1992년 10월 27일 네덜란드의 그라베에서 태어났다.
1.2. Junior achievements
스테인하위스는 주니어 선수 시절부터 국제 대회 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2010년 유럽 주니어 유도 선수권 대회 -78kg급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국제 대회 첫 메달을 기록했다. 이듬해인 2011년에는 벨기에 국제 유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유럽 주니어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유럽 주니어 정상에 올랐다. 같은 해에 열린 세계 주니어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하며 세계 무대에서도 경쟁력을 입증했다. 2012년 월드컵 로마 대회에서 동메달을 추가했으며, 2013년 유럽 오픈 민스크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같은 해에 열린 유럽 U23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는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2. 시니어 경력
구스예 스테인하위스는 시니어 무대에 진출한 이후 꾸준히 최정상급 기량을 유지하며 다양한 국제 대회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다.
2.1. Progression and key moments
스테인하위스는 2014년 유럽 오픈 바르샤바 대회에서 우승하며 시니어 무대 첫 금메달을 획득했다. 같은 해 유럽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는 5위를 기록했고, IJF 월드 투어의 일환으로 열린 그랜드 슬램 바쿠 대회에서 동메달을, 그랑프리 칭다오 대회에서 은메달을 차지하며 시니어 선수로서의 입지를 다졌다.
2015년에는 그랑프리 뒤셀도르프에서 5위를 기록한 후, 그랜드 슬램 바쿠 결승에서 일본의 오가타 아카리를 상대로 역전승을 거두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어서 유럽 경기 대회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그랜드 슬램 튜멘에서는 결승에서 일본의 사토 루카를 꺾고 그랜드 슬램 대회 2연승을 달성했다. 같은 해 2015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는 3회전에서 일본의 우메키 마미에게 패배했다. 그랜드 슬램 아부다비에서는 동메달을, 그랜드 슬램 도쿄에서는 결승에서 미국의 케이라 해리슨에게 패해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6년에는 그랑프리 뒤셀도르프에서 동메달, 그랑프리 티빌리시에서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유럽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차지했다. 그랜드 슬램 바쿠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월드 마스터스 과달라하라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그랑프리 자그레브에서 은메달을, 그랜드 슬램 아부다비에서 다시 한번 금메달을 획득했다. 스테인하위스는 2018년까지 2년 연속으로 세계 랭킹 1위를 기록하며 세계 유도계의 강자로 자리매김했다.
2017년에는 그랜드 슬램 파리에서 동메달, 그랜드 슬램 바쿠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좋은 흐름을 이어갔다. 유럽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추가했고, 그랜드 슬램 아부다비에서 동메달을, 그랑프리 헤이그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그랜드 슬램 도쿄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하며 꾸준한 기량을 선보였다.
2018년에는 그랜드 슬램 파리에서 은메달을, 그랑프리 부다페스트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특히 2018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는 결승까지 진출했으나 일본의 하마다 쇼리에게 9분 이상의 접전 끝에 반칙패를 당하며 은메달에 머물렀다. 이후 그랜드 슬램 아부다비에서 우승하며 2018년 한 해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2019년에는 유럽 경기 대회에서 은메달을, 그랜드 슬램 아부다비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21년에는 월드 마스터스 도하에서 동메달을 획득했고, 몇 달 후 2021년 유럽 유도 선수권 대회 -78kg급에서 은메달을 추가했다. 같은 해 2021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준결승에서 세계 챔피언인 프랑스의 마들렌 말롱가에게 패했지만, 3위 결정전에서 같은 네덜란드 선수인 마르힌더 페르케르크를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2022년에는 유럽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고, 그랜드 슬램 안탈리아에서 은메달, 그랜드 슬램 바쿠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월드 마스터스 예루살렘에서는 동메달을 추가했다. 2023년에는 그랜드 슬램 파리에서 동메달을 획득했고, 2023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준결승에서 프랑스의 오드레 튀메오에게 패하며 동메달을 획득했다. 같은 대회 혼성 단체전에서도 동메달을 획득했다.
2024년에는 그랜드 슬램 파리에서 동메달을, 그랜드 슬램 바쿠에서 금메달을, 그랜드 슬램 티빌리시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올림픽을 앞두고 좋은 컨디션을 보였다.
2.2. Olympic participation
스테인하위스는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을 앞두고 같은 체급의 마르힌더 페르케르크가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3위를 차지하면서 올림픽 대표팀에 선발되지 못했다.
이후 일본무도관에서 열린 2020년 도쿄 올림픽 유도 여자 -78kg급에 출전하여 7위를 기록했다. 또한 혼성 단체전에서도 5위에 올랐다.
2024년 파리 올림픽 유도 여자 -78kg급에도 출전하여 다시 한번 7위를 기록했다.
2.3. World and European Championships
구스예 스테인하위스는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 여러 차례 메달을 획득하며 세계 최고 수준의 기량을 입증했다. 2018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2021년과 2023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각각 동메달을 획득했다. 특히 2023년 도하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개인전 동메달 외에 혼성 단체전에서도 동메달을 추가했다.
유럽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는 총 네 차례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6년, 2017년, 2021년, 2022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모두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또한 유럽 경기 대회에서도 두 차례 메달을 획득했다. 2015년 유럽 경기 대회에서 동메달을, 2019년 유럽 경기 대회에서 은메달을 차지했다. 2019년 대회는 2019년 유럽 유도 선수권 대회를 겸해서 열렸다.
2.4. IJF World Tour activities
스테인하위스는 IJF가 주관하는 월드 투어 대회에서 압도적인 성과를 보여주었다.
월드 마스터스에서는 2016년 과달라하라, 2017년 상트페테르부르크, 2021년 도하, 2022년 예루살렘에서 모두 동메달을 획득했다.
그랜드 슬램 대회에서는 총 7개의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5년 바쿠와 튜멘, 2016년 바쿠와 아부다비, 2017년 바쿠, 2018년 아부다비, 그리고 2024년 바쿠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은메달은 2015년 도쿄, 2017년 도쿄, 2018년 파리, 2022년 안탈리아, 2024년 티빌리시에서 획득했으며, 동메달은 2014년 바쿠, 2015년 아부다비, 2017년 파리, 2017년 아부다비, 2019년 아부다비, 2022년 바쿠, 2023년 파리, 2024년 파리에서 획득했다.
그랑프리 대회에서는 2017년 헤이그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은메달은 2014년 칭다오, 2016년 티빌리시, 2016년 자그레브에서 획득했으며, 동메달은 2016년 뒤셀도르프와 2018년 부다페스트에서 획득했다.
3. 주요 성과 및 메달 기록
다음은 구스예 스테인하위스가 시니어 및 주니어 경력 동안 획득한 주요 메달 기록이다.
3.1. World Championships medals
대회 | 종목 | 메달 |
---|---|---|
2018 바쿠 | -78kg | 은 |
2021 부다페스트 | -78kg | 동 |
2023 도하 | -78kg | 동 |
2023 도하 | 혼성 단체전 | 동 |
3.2. European Championships and European Games medals
대회 | 종목 | 메달 |
---|---|---|
2015 바쿠 | -78kg | 동 |
2016 카잔 | -78kg | 은 |
2017 바르샤바 | -78kg | 은 |
2019 민스크 | -78kg | 은 |
2021 리스본 | -78kg | 은 |
2022 소피아 | -78kg | 은 |
3.3. IJF World Tour medals
대회 | 종목 | 메달 |
---|---|---|
2014 바쿠 | -78kg | 동 |
2014 칭다오 | -78kg | 은 |
2015 바쿠 | -78kg | 금 |
2015 튜멘 | -78kg | 금 |
2015 아부다비 | -78kg | 동 |
2015 도쿄 | -78kg | 은 |
2016 뒤셀도르프 | -78kg | 동 |
2016 티빌리시 | -78kg | 은 |
2016 바쿠 | -78kg | 금 |
2016 과달라하라 | -78kg | 동 |
2016 자그레브 | -78kg | 은 |
2016 아부다비 | -78kg | 금 |
2017 파리 | -78kg | 동 |
2017 바쿠 | -78kg | 금 |
2017 상트페테르부르크 | -78kg | 동 |
2017 아부다비 | -78kg | 동 |
2017 헤이그 | -78kg | 금 |
2017 도쿄 | -78kg | 은 |
2018 파리 | -78kg | 은 |
2018 부다페스트 | -78kg | 동 |
2018 아부다비 | -78kg | 금 |
2019 아부다비 | -78kg | 동 |
2021 도하 | -78kg | 동 |
2022 안탈리아 | -78kg | 은 |
2022 바쿠 | -78kg | 동 |
2022 예루살렘 | -78kg | 동 |
2023 파리 | -78kg | 동 |
2024 파리 | -78kg | 동 |
2024 바쿠 | -78kg | 금 |
2024 티빌리시 | -78kg | 은 |
3.4. Junior and U23 medals
대회 | 종목 | 메달 |
---|---|---|
2010 사모코프 | -78kg | 은 |
2011 롬멜 | -78kg | 금 |
2011 케이프타운 | -78kg | 동 |
2013 사모코프 | -78kg | 동 |
4. 개인 생활
구스예 스테인하위스는 개인적인 삶의 측면에서 공개적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밝힌 바 있다.
4.1. Public identity
스테인하위스는 자신이 동성애자임을 공개적으로 밝힌 바 있다. 이는 스포츠계에서 다양성과 포용성을 상징하는 중요한 발자취 중 하나로 여겨진다.
5. 유산 및 평가
구스예 스테인하위스는 꾸준한 활약과 여러 국제 대회에서의 메달 획득으로 네덜란드 유도와 세계 유도계에 기여했다.
5.1. Impact and recognition
스테인하위스는 2018년까지 2년 연속으로 세계 랭킹 1위를 차지하며 세계 유도계에서 자신의 존재감을 확고히 했다. 이는 그녀의 꾸준한 기량과 최상위권 경쟁력을 입증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5.2. World ranking and records
2024년 7월 22일 기준, 스테인하위스의 IJF 세계 랭킹은 3372포인트로 5위이다. 그녀는 세계 선수권 대회 은메달 1개, 동메달 3개(혼성 단체전 포함), 유럽 선수권 대회 은메달 4개, 유럽 경기 대회 은메달 1개와 동메달 1개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IJF 월드 투어에서 수많은 금, 은, 동메달을 획득하며 기록적인 성과를 거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