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및 역경
곽태휘는 어린 시절부터 축구 선수로서 수많은 시련을 겪었지만, 이를 극복하고 한국 축구의 대표적인 수비수로 성장했다.
1.1. 어린 시절과 교육
곽태휘는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태어났다. 그는 일반 학생으로 순심고등학교에 입학했으나, 축구 선수의 꿈을 위해 대구공업고등학교 축구부 테스트를 거쳐 1학년 도중 전학하며 늦은 나이에 축구 인생을 시작했다. 늦게 시작한 만큼 주변의 만류도 많았으나, 타고난 신체 조건과 피나는 노력 덕분에 고등학교 2학년 때부터 경기에 출전할 수 있었다. 고등학교를 4년 만에 졸업한 그는 프로팀 여러 곳과 고려대학교 등 명문대학교로부터 입단 제의를 받았지만, 은사였던 곽병유 전 대구공고 감독의 조언에 따라 중앙대학교에 입학하여 실력을 더욱 키웠다.
1.2. 신체적 역경 극복
곽태휘는 고등학교 시절 연습 경기 중 공이 왼쪽 눈에 강하게 맞아 시력이 크게 떨어지는 부상을 입었다. 일부 보도에서는 실명에 가까운 상태라고 언급되었지만, 그의 아버지는 시력 0.2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 부상으로 인해 고등학교를 4년 만에 졸업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병역 의무 또한 면제받았다. 또한 그는 선천적으로 평발이라는 축구 선수에게 불리한 신체 조건을 타고났으나, 이러한 고된 시련과 신체적 불리함에도 불구하고 1년여 간의 재활 끝에 다시 그라운드에 서며 축구 선수의 꿈을 포기하지 않았다. 그는 피나는 노력으로 역경을 극복하며 '인간 승리'의 드라마를 써내려갔다.
2. 클럽 경력
곽태휘는 2005년 프로 데뷔 이후 한국, 일본, 사우디아라비아 등 다양한 리그를 경험하며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2.1. FC 서울 (초기)
중앙대학교 졸업 후 FC 서울에 입단하며 2005년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2005년부터 2007년까지 FC 서울 소속으로 리그 28경기에서 1골을 기록했다.
2.2. 전남 드래곤즈
2007년 7월 25일 여름 이적 기간에 전남 드래곤즈의 김진규 선수와 트레이드되며 전남 드래곤즈로 이적했다. 그는 이적 후 2007년 11월 25일 FA컵 결승 1차전에서 역전 결승골을 터뜨리며 팀의 우승에 크게 기여했다. 2008년에는 전남 드래곤즈의 주장을 맡기도 했다. 전남 드래곤즈에서 리그 33경기에 출전하여 1골을 기록했다.
2.3. 일본 및 울산 현대 진출
2010년 일본 J리그의 교토 상가 FC로 이적하며 해외 무대에 도전했다. 교토 상가에서 2010년 한 시즌 동안 리그 24경기에 출전하여 2골을 기록했다.
2011년 울산 현대로 이적하며 K리그 무대에 복귀했다. 울산 현대 이적 이후 그는 2011 시즌 팀을 리그 최소 실점 팀으로 이끌었고, 플레이오프에서 2골을 기록하며 팀의 리그 준우승에 기여했다. 또한 센터백임에도 불구하고 팀 내 최다 득점을 기록하며 공격과 수비 양면에서 맹활약하여 "골 넣는 수비수"라는 별명을 얻었다. 2012년에는 울산 현대 소속으로 AFC 챔피언스리그에 출전하여 팀의 대회 무패 우승에 크게 기여했으며, 결승전에서는 헤딩으로 선제골을 기록하기도 했다. 울산 현대에서 리그 66경기에 출전하여 12골을 기록했다. 그는 2011년과 2012년 2년 연속으로 K리그 베스트 11에 선정되며 K리그 최고의 수비수임을 입증했다.
2.4. 중동 리그 (알샤바브, 알힐랄)
2013년 1월 사우디아라비아의 알샤바브로 이적하며 다시 해외 무대로 향했다. 알샤바브에서 리그 16경기에 출전하여 2골을 기록했다.
2013년 12월 27일에는 같은 사우디아라비아 리그의 알힐랄로 이적했으며, 이적 후 이틀 뒤인 12월 29일 데뷔전에서 데뷔골을 터뜨리는 인상적인 모습을 보였다. 중동 리그에서의 그의 인기는 연예인을 넘어설 정도였다고 전해진다. 알힐랄 소속으로 리그 42경기에 출전하여 2골을 기록했다. 그는 중동 리그에서 활약하던 중 2014년 브라질 월드컵 최종 엔트리에 포함되며 국가대표팀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2.5. FC 서울 복귀
2016년 7월 7일, 프로 축구 선수 커리어를 시작했던 친정팀 FC 서울과 2018년까지 계약하며 K리그로 복귀했다. 2016년 7월 13일 FC 서울에 공식 입단했으며, 복귀 후에도 2016년 K리그 클래식 우승에 기여하는 등 팀의 핵심 선수로 활약했다. FC 서울에서 리그 49경기에 출전하여 3골을 기록했다.

2.6. 경남 FC 및 은퇴
2019 시즌을 앞두고 경남 FC로 이적하며 선수 생활의 마지막을 보냈다. 경남 FC에서 리그 16경기에 출전했으며, 2020 시즌을 끝으로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 은퇴 후에는 서정원 감독이 부임한 중국의 청두 룽청에서 코치로 부임하며 지도자로서 제2의 축구 인생을 시작했다.
3. 국가대표팀 경력
곽태휘는 청소년 대표팀부터 성인 국가대표팀까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선수로 활약했다.
2004년 U-23 축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었으나, 많은 출전 기회를 잡지 못했고 올림픽 최종 예선까지는 엔트리에 있었지만 2004년 아테네 올림픽 본선에는 참가하지 못했다.
허정무 감독이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선임된 후 처음으로 열린 A매치인 2008년 1월 30일 칠레와의 평가전을 통해 A매치에 데뷔했다. A매치 2번째 출전인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투르크메니스탄전에서는 헤딩으로 A매치 첫 골을 터뜨렸다.
2010년 2월 10일 동아시아컵 중국과의 경기에서 수비 실수로 실점의 빌미를 제공했고, 이 경기에서 대한민국은 A매치에서 32년 만에 처음으로 중국에게 0-3으로 패배하는 뼈아픈 경험을 했다. 그러나 2010년 3월 3일 영국 런던에서 펼쳐진 코트디부아르전에서는 헤딩 골을 기록하며 2-0 승리에 기여했다.
2010년 FIFA 월드컵 26명 예비 엔트리에 합류했으나, 전지 훈련 도중 가진 평가전인 벨라루스전에서 다리 부상을 당해 아쉽게 최종 엔트리에서 제외되며 데뷔 첫 월드컵 출전의 기회를 포기해야 했다.
2011년 AFC 아시안컵에서는 조별 리그 바레인전과 인도전에서 연달아 페널티킥을 허용하며 실점의 빌미를 제공하기도 했다. 바레인전에서는 페널티킥 허용과 동시에 레드카드를 받아 퇴장당했다. 이후 3위 결정전에서 교체 출전할 때까지 출전 기회를 잡지 못했다.
국가대표팀 감독이 최강희 감독으로 교체된 후,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쿠웨이트전에서 처음으로 국가대표팀 주장을 맡아 경기에 출전했다. 2012년 6월 8일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카타르전에서는 헤딩 역전골을 넣어 팀의 4-1 대승을 이끌었다.
2014년 12월 22일 발표된 2015년 AFC 아시안컵 최종 명단에 포함되었다. 특히 울리 슈틸리케 감독의 과감한 전술적 시도로 2015년 AFC 아시안컵 결승전에서 원톱 공격수로 뛰는 이색적인 경험을 하기도 했다. 이 시도는 성공적이었으며, 곽태휘는 이 경기에서 손흥민의 동점골을 어시스트했다. 그는 2008년부터 2017년까지 총 58회의 A매치에 출전하여 5골을 기록했다.
4. 지도자 경력
곽태휘는 현역 은퇴 후 곧바로 지도자의 길을 걸었다. 2020 시즌을 끝으로 선수 생활을 마감한 뒤, 서정원 감독이 이끄는 중국 슈퍼리그의 청두 룽청에서 코치로 부임하며 새로운 축구 인생을 시작했다.
5. 수상
곽태휘는 선수 생활 동안 수많은 개인 및 팀 단위의 상을 수상했다.
5.1. 클럽 수상
5.2. 국가대표팀 수상
-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 EAFF 챔피언십 우승: 2008
- EAFF 챔피언십 준우승: 2010
- AFC 아시안컵 준우승: 2015
- AFC 아시안컵 3위: 2011
5.3. 개인 수상
- K리그 베스트 11: 2011, 2012
- K리그 올스타: 2012, 2017
- AFC 챔피언스리그 드림팀: 2014
- AFC 아시안컵 팀 오브 더 토너먼트: 2015
- AFC 챔피언스리그 올스타 스쿼드: 2016
- 2015년 AFC 아시안컵 맨 오브 더 매치: 우즈베키스탄전 (8강전)
6. 개인 생활
곽태휘는 2006년 12월 17일 2살 연상인 강수연 씨와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결혼했다.
7. 경력 통계
7.1. 클럽 통계
클럽 | 시즌 | 리그 | 내셔널컵 | 리그컵 | 대륙대회 | 기타 | 합계 | |||||||
---|---|---|---|---|---|---|---|---|---|---|---|---|---|---|
디비전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
FC 서울 | 2005 | K리그 | 11 | 1 | 2 | 0 | 8 | 0 | - | - | 21 | 1 | ||
2006 | K리그 | 12 | 0 | 1 | 0 | 11 | 1 | - | - | 24 | 1 | |||
2007 | K리그 | 5 | 0 | 1 | 0 | 7 | 0 | - | - | 13 | 0 | |||
합계 | 28 | 1 | 4 | 0 | 26 | 1 | - | - | 58 | 2 | ||||
전남 드래곤즈 | 2007 | K리그 | 13 | 1 | 5 | 1 | 0 | 0 | 0 | 0 | - | 18 | 2 | |
2008 | K리그 | 10 | 0 | 0 | 0 | 3 | 2 | 0 | 0 | - | 13 | 2 | ||
2009 | K리그 | 10 | 0 | 0 | 0 | 0 | 0 | - | - | 10 | 0 | |||
합계 | 33 | 1 | 5 | 1 | 3 | 2 | 0 | 0 | - | 41 | 4 | |||
교토 상가 | 2010 | J1리그 | 24 | 2 | 1 | 0 | 2 | 0 | - | - | 27 | 2 | ||
울산 현대 | 2011 | K리그 | 34 | 9 | 4 | 0 | 7 | 0 | - | - | 45 | 9 | ||
2012 | K리그 | 32 | 3 | 3 | 0 | - | 12 | 2 | 2 | 0 | 49 | 5 | ||
합계 | 66 | 12 | 7 | 0 | 7 | 0 | 12 | 2 | 2 | 0 | 94 | 14 | ||
알샤바브 | 2012-13 | 사우디 프로리그 | 6 | 1 | 5 | 0 | 0 | 0 | 9 | 0 | - | 20 | 1 | |
2013-14 | 사우디 프로리그 | 10 | 1 | 0 | 0 | 1 | 0 | - | - | 11 | 1 | |||
합계 | 16 | 2 | 5 | 0 | 1 | 0 | 9 | 0 | - | 31 | 2 | |||
알힐랄 | 2013-14 | 사우디 프로리그 | 2 | 1 | 0 | 0 | 0 | 0 | 10 | 0 | - | 12 | 1 | |
2014-15 | 사우디 프로리그 | 21 | 1 | 4 | 1 | 3 | 0 | 12 | 0 | - | 40 | 2 | ||
2015-16 | 사우디 프로리그 | 19 | 0 | 3 | 0 | 3 | 0 | 6 | 0 | 1 | 0 | 32 | 0 | |
합계 | 42 | 2 | 7 | 1 | 6 | 0 | 28 | 0 | 1 | 0 | 84 | 3 | ||
FC 서울 | 2016 | K리그1 | 11 | 0 | 2 | 0 | - | 4 | 0 | - | 17 | 0 | ||
2017 | K리그1 | 24 | 2 | 1 | 0 | - | 2 | 0 | - | 27 | 2 | |||
2018 | K리그1 | 14 | 1 | 2 | 0 | - | - | - | 16 | 1 | ||||
합계 | 49 | 3 | 5 | 0 | - | 6 | 0 | - | 60 | 3 | ||||
경남 FC | 2019 | K리그1 | 16 | 0 | 1 | 1 | - | 1 | 1 | - | 18 | 2 | ||
경력 총합 | 274 | 23 | 35 | 3 | 45 | 3 | 56 | 3 | 3 | 0 | 413 | 32 |
7.2. 국가대표팀 통계
국가대표팀 | 연도 | 출장 | 득점 |
---|---|---|---|
대한민국 | 2008 | 7 | 3 |
2009 | 1 | 0 | |
2010 | 8 | 1 | |
2011 | 5 | 0 | |
2012 | 7 | 1 | |
2013 | 5 | 0 | |
2014 | 4 | 0 | |
2015 | 13 | 0 | |
2016 | 6 | 0 | |
2017 | 2 | 0 | |
총합 | 58 | 5 |
:대한민국 국가대표팀의 득점 기록을 우선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