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젤라 자알리슈빌리(გელა ზაალიშვილი조지아어, 1999년 8월 19일 출생)는 조지아 출신의 유도 선수이다. 남자 최중량급인 +100 kg급에서 활약하며, 주니어 무대와 시니어 무대에서 모두 뛰어난 성과를 거두어 조지아 유도계의 핵심 인물로 자리매김했다. 2018년 세계 주니어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두각을 나타냈으며, 이후 여러 그랜드 슬램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023년에는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혼성 단체전 동메달과 유럽 경기 대회 혼성 단체전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 국제적인 경쟁력을 꾸준히 입증하고 있다. 그의 유도 경력은 끊임없는 성장과 도전의 연속이며, 특히 심판 판정 논란과 같은 중요한 이슈들 속에서도 기량을 발전시켜 온 선수이다.
2. 유도 경력
젤라 자알리슈빌리는 유도 선수로서 주니어 시절부터 두각을 나타내며 빠르게 성장했다.
2.1. 초기 경력 및 주니어 성과
젤라 자알리슈빌리는 2015년에 유럽 유도 카데트 선수권 대회 +90 kg급 개인전에서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단체전에서는 금메달을 차지했다. 같은 해 유럽 유스 올림픽 페스티벌에서도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세계 유도 카데트 선수권 대회에서는 개인전 7위, 단체전 동메달을 기록하며 잠재력을 보여주었다. 2016년에는 유럽 카데트 단체전에서 2년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2017년에는 유럽 유도 주니어 선수권 대회 개인전에서 동메달을, 단체전에서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U23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도 동메달을 추가했다. 2018년에는 유럽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주니어 강자로서의 입지를 굳혔다. 같은 해 세계 주니어 유도 선수권 대회 +100 kg급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그는 2회전에서 일본의 사이토 리츠를 소외걸이로 꺾는 등 강력한 모습을 보이며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는 오스트리아의 스테판 헤기(Stefan Hegyi)를 밭다리후리기와 들어메치기를 연결하는 모둠기술로 한판승을 거두며 모든 경기를 한판승으로 장식하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8년 세계 주니어 단체전 준결승 일본과의 경기에서도 다시 한번 사이토 리츠를 소외걸이로 꺾었으나, 소속팀은 패배했다. 3위 결정전인 러시아와의 경기에서도 곁누르기로 유효를 따내며 승리했으나, 팀은 패배하여 5위에 머물렀다.
2019년에는 유럽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 2년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그러나 같은 해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는 2회전에서 일본의 마츠무라 소스케에게 안뒤축걸이로 한판패하며 2년 연속 우승에는 실패했다. 단체전에서는 준결승에서 러시아를 상대로 승리했지만, 라샤 베카우리가 대표전에서 되치기에 유효를 허용하며 팀은 패배하여 동메달에 머물렀다.
2.2. 시니어 경력 주요 성과
젤라 자알리슈빌리는 시니어 무대로 전환한 이후에도 꾸준히 국제 대회에서 성과를 냈다.
2019년 바쿠 그랜드 슬램에서 +100 kg급 우승을 차지하며 국제 유도 연맹(IJF) 월드 유도 투어 첫 우승을 달성했다. 같은 해 그랑프리 부다페스트에서는 준결승에서 일본의 카게우라 코코로에게 바깥다리걸기로 패배하여 동메달을 획득했다. 그랑프리 자그레브에서는 결승에서 일본의 하라서와 히사요시와 대결했다. 골든 스코어 상황에서 하라서와에게 소매들어 허리채기로 유효를 내주며 패배하는 듯 보였으나, 판독 결과 판정이 취소되었다. 직후 양손으로 상대의 허리띠를 잡고 띠잡아돌리기를 성공시키며 한판승을 거두고 우승을 차지했다.
2020년 부다페스트 그랜드 슬램에서 동메달을, U23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2021년에는 텔아비브 그랜드 슬램과 트빌리시 그랜드 슬램에서 연속으로 금메달을 획득하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같은 해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5위를 기록했으며, U23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는 개인전 동메달과 단체전 금메달을 획득했다.
2022년에는 트빌리시 그랜드 슬램에서 또다시 우승을 차지하며 대회에서 강한 면모를 보였다. 2023년에는 타슈켄트 그랜드 슬램에서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트빌리시 그랜드 슬램에서는 준결승에서 세계 챔피언인 쿠바의 앤디 그란다를 꺾는 활약을 펼치며 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2023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혼성 단체전에서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2023년 유럽 경기 대회에서는 혼성 단체전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같은 해 월드 마스터스에서도 동메달을 추가했다.
2.3. 주요 대회 및 특이 사항
젤라 자알리슈빌리 경력에서 특히 주목할 만한 사건은 2019년 그랑프리 자그레브 결승전에서 일본의 하라서와 히사요시와의 경기였다. 이 경기에서 자알리슈빌리는 골든 스코어 상황에서 하라서와의 소매들어 허리채기에 유효를 내주어 패배하는 듯 보였으나, 심판진의 판독 끝에 판정이 취소되었다. 판정 취소 직후 자알리슈빌리는 양손으로 상대의 허리띠를 잡고 시도한 띠잡아돌리기로 한판승을 거두며 우승을 차지했다.
그러나 2020년 1월 카타르 도하에서 열린 IJF 심판 세미나에서 이 판정은 "오심"으로 지적되었다. IJF의 견해에 따르면, 자알리슈빌리가 상대의 한쪽 깃만을 잡거나 상대의 어깨 너머로 등이나 허리띠를 잡는 크로스 그립을 사용하여 공격했으므로, 이는 지도에 해당하며, 이 판정대로라면 하라서와 히사요시가 지도 3개를 얻어 반칙승을 거두고 자알리슈빌리는 2위에 머물렀을 것이라고 언급되었다. 이 사건은 유도 경기에서의 심판 판정의 중요성과 그 논란의 여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남았다.
3. 주요 전적
젤라 자알리슈빌리가 국제 대회에서 획득한 주요 메달 기록은 다음과 같다.
연도 | 대회명 | 결과 | 체급/종목 |
---|---|---|---|
2015 | 유럽 유도 카데트 선수권 대회 | 동메달 | +90 kg |
2015 | 유럽 유도 카데트 선수권 대회 | 금메달 | 단체전 |
2015 | 유럽 유스 올림픽 페스티벌 | 동메달 | |
2015 | 세계 유도 카데트 선수권 대회 | 7위 | +90 kg |
2015 | 세계 유도 카데트 선수권 대회 | 동메달 | 단체전 |
2016 | 유럽 유도 카데트 선수권 대회 | 금메달 | 단체전 |
2017 | 유럽 유도 주니어 선수권 대회 | 동메달 | +100 kg |
2017 | 유럽 유도 주니어 선수권 대회 | 은메달 | 남자 단체전 |
2017 | 유럽 U23 유도 선수권 대회 | 동메달 | +100 kg |
2018 | 유럽 유도 주니어 선수권 대회 | 금메달 | +100 kg |
2018 | 세계 주니어 유도 선수권 대회 | 금메달 | +100 kg |
2018 | 세계 주니어 유도 선수권 대회 | 5위 | 단체전 |
2019 | 그랜드 슬램 바쿠 | 금메달 | +100 kg |
2019 | 그랑프리 부다페스트 | 동메달 | +100 kg |
2019 | 그랑프리 자그레브 | 금메달 | +100 kg |
2019 | 유럽 유도 주니어 선수권 대회 | 금메달 | +100 kg |
2019 | 세계 주니어 유도 선수권 대회 | 동메달 | 혼성 단체전 |
2020 | 그랜드 슬램 부다페스트 | 동메달 | +100 kg |
2020 | 유럽 U23 유도 선수권 대회 | 은메달 | +100 kg |
2021 | 그랜드 슬램 텔아비브 | 금메달 | +100 kg |
2021 | 그랜드 슬램 트빌리시 | 금메달 | +100 kg |
2021 |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 5위 | +100 kg |
2021 | 유럽 U23 유도 선수권 대회 | 동메달 | +100 kg |
2021 | 유럽 U23 유도 선수권 대회 | 금메달 | 단체전 |
2021 | 유럽 유도 선수권 대회 | 금메달 | 혼성 단체전 |
2022 | 그랜드 슬램 트빌리시 | 금메달 | +100 kg |
2022 | 그랑프리 자그레브 | 5위 | +100 kg |
2023 | 그랜드 슬램 타슈켄트 | 동메달 | +100 kg |
2023 | 그랜드 슬램 트빌리시 | 금메달 | +100 kg |
2023 |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 동메달 | 혼성 단체전 |
2023 | 유럽 경기 대회 | 금메달 | 혼성 단체전 |
2023 | 월드 마스터스 | 동메달 | +100 kg |
4. IJF 세계 랭킹
젤라 자알리슈빌리는 국제 유도 연맹(IJF) 세계 랭킹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2024년 3월 18일 기준으로, 그는 2099점을 획득하여 세계 랭킹 14위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그의 랭킹은 주요 국제 대회에서의 꾸준한 성과를 반영하며, 향후 그의 순위 변동 또한 지속적으로 주목받을 것으로 예상된다.